2010년 6월 30일 수요일

묘한 기시감

오늘 자료를 뒤지다가 약간 웃기는 글을 발견했습니다. 해당 부분은 대략 이렇습니다.

일년전 나는 광주(光州)에서 문학을 연구한다는 모 여대생이 이런말을 하는 것을 들었다. 

"군인 같이 무서운 직업은 없다. 그것은 인간이 인간을 살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라고.

나는 아연(啞然)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이 얼마나 무식을 폭로하는 일구일언인가? 만약 전쟁목적이 모다 인간을 살육하는데 있는 것이라면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 나선 군대는 검을 꺾고 입으로만 싸우란 말인가? 우리들은 이런 말을 함부로 입밖에 내는 사람의 의식수준을 의심하는 동시에 그들의 인식부족을 통탄치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대학교에서 공부하는, 특히 예술을 한다고 자부하는 사람의 말이라니 한심하기 짝이 없다. 예술을 하고 있는 사람이던 예술을 할려고 하는 사람이던 간에 그는 누구보다 똑바루 현실을 관찰할 줄 알아야 하며 그 현실가운데서 각양의 인간형을 분별할 줄 알고 그의 가치 판단까지 할줄아는 사람이래야 할 것이다. 이것을 모르는 예술가는 기형아적 존재이며 이 기형성을 벗어날 수 없는 한 여사한 편향의 결함은 면할 도리가 없을 것이다.

이러한 부류에 속하는 사람들은 자기들이 마치 평화주의자인것 처럼 또는 지극히 평화를 애호하는 인도주의자인것 처럼 자부할런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들은 아직 하나만 알고 열을 모르는 우둔한 인간들의 상투용어를 그냥 반복한데 불과하다는 것을 의식하지 못하고 있다. 왜 그러냐 하면 평화를 위협하는 것이 군대의 소위(所爲)라면 평화를 전취하여 항구한 반석위에 건립하는 것도 또한 군대의 소위라는 것을 전연 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李愼得, 「軍人과 藝術家」, 『國防』16호(1952. 8), 36쪽

이걸 읽고나니 수메르의 점토판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있지 않을까 하는 망상이 일더군요. ㅋ

일본의 군사혁명

어쩌다 서점에 간 김에 책을 조금 샀는데 그 중의 한 권이 『일본의 군사혁명』 입니다. 올해 2월에 발행되었으니 제법 신간에 속하는 군요.

꽤 흥미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어서 주저하지 않고 샀는데 사실 제가 일본사, 특히 20세기 이전의 일본사나 그 연구경향에 대해서는 완전히 깡통인지라 이 책에 대해서 뭐라고 평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저자인 구보타 마사시(久保田正志)는 일단 책에 소개된 약력에서 도쿄대에서 법학을 연구했고 현재 일본에서 성새사적(城塞史跡) 협회 이사장을 맡고 있는 인물이라고 되어 있고 또 저자 후기에는 1984년 이래 군사사 연구를 계속해 오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일본에서 어떤 평가를 받는 연구자인지 궁금합니다.

책 자체는 아주 재미있게 읽힙니다. 아직 앞부분과 결론 부분만 살펴 본 정도이지만 일본사에 문외한인 입장에서 꽤 흥미로운 서술이 많군요. 일단 저자가 '군사혁명(Military Revolution)'이라는 개념으로 일본의 전쟁양상 변화를 설명하려 하고 있어서 같은시기 유럽과 비교해서 서술하고 있는데 덕분에 이해가 잘 가는 편입니다. 앞부분을 조금 읽다가 꽤 재미가 있어서 결론을 먼저 읽어보게 됐는데 저자는 이시기 일본의 전쟁양상이 가진 특징을 대략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습니다.

1. 일본 또한 동시기 유럽과 마찬가지로 14세기 이후 창을 사용하는 보병중심의 전술로 움직였다. 그러나 유럽과 달리 모든 창병이 밀집대형을 취하지는 않았는데 주된 이유는 일본의 기병은 유럽의 기병보다 덜 위력적이기 때문이었다.

2. 기병의 위협이 적었기 때문에 총포가 도입된 뒤에도 유럽과는 다른 발전양상을 보였다. 즉 유럽과 달리 탄막사격 대신 저격을 중심으로 하는 발전이 이루어졌다. 또한 유럽에서는 총병의 등장과 상비군의 발생이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데 일본은 그렇지 않다.

3. 일본 말의 열등한 체격은 대포를 사람이 견인하는 소형포 위주로 발전하게 했으며 이때문에 축성 양식도 총포사용을 중심으로 발달했으며 이 때문에 유럽 처럼 성곽의 높이가 낮아지지 않았다.

4. 총포의 도입은 유럽과 마찬가지로 사상률을 높였다. 그러나 일본의 독특한 군사문화가 유럽과 다른 방향으로 나가게 했다. 일본의 군사문화는 수급 획득을 중시했다. 총포의 도입으로 인한 사상률 증가는 수급 획득의 기회를 늘렸으며 군사문화의 특성으로 적의 지휘관, 사령부에 대한 공격 지향이 강했다. 이것은 전역을 조기에 종결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유럽과 달리 전쟁이 장기전으로 가지 않게 되는데 영향을 끼쳤다.

5. 유럽은 군사혁명의 과정으로 들어가면서 병농일치를 통한 병력 확대가 이루어졌는데 일본에서는 전란이 조기에 종결되면서 잉여 병력이 늘어나면서 병농분리와 상비군화가 진행되었다.

6. 죠프리 파커 등은 일본에서는 군사혁명이 '중단' 되었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는데 이것은 일본사의 특성을 무시한 것이다. 유럽의 군사혁명은 전쟁의 장기화의 결과였으나 일본은 통일을 이루면서 유럽과 같은 군사혁명의 과정을 밟을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즉 군사혁명이 중단된 것이 아니라 필요한 범위 내에서 군사혁명을 완료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유럽군사사와의 비교분석이 꽤 흥미롭다고 생각되었습니다. 나중에 渤海之狼님 같이 일본전통군사사를 공부하시는 분들을 뵐 때 한번 고견을 들어봤으면 합니다.

일단 국내에도 일본 전통군사사에 대한 책이 나왔다는 사실이 꽤 반갑습니다.

1949년 5~6월경 한국군의 연대별 장비현황

2009년 2월에 "한국군 소총에 대한 잡담"이 란 글을 쓰면서 1949년 당시 한국군 7, 10 보병연대의 장비 현황을 소개한 일이 있습니다. 이 두개 연대를 사례로 든 것은 당시 가지고 있는 자료가 이 두 연대의 것 뿐이어서였습니다. 참고한 자료는 1949년 5월에서 6월 사이에 주한미군사고문단이 한국군 각 야전부대에 대한 검열을 실시했을 당시 검열부대가 미군사고문단에 제출한 장비내역인데 원래는 검열결과표에 부록으로 포함되어 있어야 할 것이 따로 떨어져 다른 문서에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그리고 조금 뒤에 각 사단/여단별 검열결과표를 구해서 살펴보게 되었는데 검열결과표의 경우 일정과 인력문제로 내용이 조금씩 차이가 났습니다. 일부 연대는 대대단위까지 장비현황이 조사되어 있었던 반면 상당수의 연대는 장비현황이 부록으로 포함되어 검열결과표에는 정작 내용이 없거나 또는 간단하게 부족분만 표시하고 있었습니다. 후자의 경우가 문제인데 부족분은 표시해도 초과분은 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부족하지 않은 장비의 수량을 정확히 알 수 가 없다는 것 입니다.

어쨌든 지금까지 정리된 8개 연대의 현황을 대략 정리해 봤습니다. 검열이 실시된 이후 부대가 새로 증편되는 등 한국군이 확대개편되었기 때문에 이로부터 1년 뒤인 한국전쟁 발발당시에는 이것보다 장비현황이 더 악화되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장비
인가량
1연대
(1949. 5. 16)
5연대
(1949. 6. 4)
7연대
(1949. 6. 17)
9연대
(1949. 5. 16)
권총
103
103?
103?
103
102
M1소총
1,303
1,303?
965
1,360
1,303?
M1카빈
1,194
657
1,072
637
287
99식소총
87
87?
87
230
?
BAR
81
81?
30
72
53
기관단총
(비인가)
0
?
?
?
?
M1919A4
18
18?
5
18
18?
M1919A7
24
24?
22
9
12
M2 cal.50
10
10?
1
10
10?
박격포
(60mm)
27
21
5
22
27?
박격포
(81mm)
18
18?
1
15
15
바주카포
100
100?
12
50
10
[표 출처 : 5, 15, 16연대의 장비 현황은 RG338, KMAG, Box 11, Report of Inspection of Second Division, KA; Report of Inspection for 3rd and 5th Divisons, KA; 1, 9, 17연대의 장비현황은 RG338, KMAG, Box 10, Report of Inspection of 7th Brigade, KA; Report of Inspection of 1st Korean Infatry Division; 7, 10연대의 장비현황은 RG 338, KMAG, Box 17, Organization of Army, Efficiency Reports, 1949.]


장비
인가량
10연대
(1949. 6. 17)
15연대
(1949. 6. 20)
16연대
(1949. 6. 10)
17연대
(1949. 5. 23)
권총
103
103
103?
103?
103?
M1소총
1,303
530
1,300
603
1,252
M1카빈
1,194
740
842
777
1,165
99식소총
87
1,000
87?
1,081
?
BAR
81
74
56
67
30
기관단총
(비인가)
0
?
?
31
?
M1919A4
18
18
18?
17
18?
M1919A7
24
8
7
21
4
M2 cal.50
10
10
5
6
10?
박격포
(60mm)
27
27
25
9
27?
박격포
(81mm)
18
15
10
10
14
바주카포
100
67
99
70
99
[표 출처 : 5, 15, 16연대의 장비 현황은 RG338, KMAG, Box 11, Report of Inspection of Second Division, KA; Report of Inspection for 3rd and 5th Divisons, KA; 1, 9, 17연대의 장비현황은 RG338, KMAG, Box 10, Report of Inspection of 7th Brigade, KA; Report of Inspection of 1st Korean Infatry Division; 7, 10연대의 장비현황은 RG 338, KMAG, Box 17, Organization of Army, Efficiency Reports, 1949.]

이 표에서 재미있는 점은 어떤 연대의 경우 비인가장비인 기관단총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 입니다. 어떠한 경로로 입수했는지 알 수 없으나 한국전쟁 초기에 한국군 야전부대가 기관단총을 아예 사용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마 다른 연대의 장비현황은 군사고문단의 다른 문서를 찾아보면 나오지 않을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를 구할 때 마다 이 도표를 갱신할 예정입니다.

2010년 6월 27일 일요일

두 편의 한국전쟁 드라마...

KBS와 MBC에서 제작한 두 편의 한국전쟁 드라마를 조금 뒤늦게 봤습니다. 아직 시작단계입니다만 살짝 난감하더군요.

"고증" 문제는 여기저기서 비판 받은 것이고 사실 저는 "고증"에 대해 크게 신경쓰지는 않는 입장이라 이 이야기는 하지 않겠습니다.

하지만 이야기는 다소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MBC의 '로드넘버원'이 약간 더 난감한데 한국전쟁 직전 빨치산 토벌전에서 중상을 입은 주인공이 행방불명 된 것 때문에 약혼자가 다른 남자와 사귀게 된다는 설정은 황당하기 짝이 없었습니다. 2년뒤라는 자막이 뜨는걸 보니 시간상으로 볼 때 주인공이 1948년 말 쯤 부상을 당한 듯 싶은데 도데체 1950년이 될 때 까지 어디에 있었길래 약혼자와 연락이 두절된 것 입니까?

이건 거의' 진주만'의 이야기구조를 모방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 같습니다. '진주만'의 이야기도 난감하기 짝이 없었지만 그래도 진주만에서는 주인공이 격추되어 프랑스를 통해 탈출하느라 연락이 두절되었다는 개연성이라도 있습니다. 하지만 '로드넘버원'은 그것도 아닙니다. 어차피 주인공이 빨치산과의 전투직후에 구조되었으니 살아남았을 텐데 뭐하느라고 약혼자에게 연락도 안하고 있다가 1950년에 나타난 건지 모르겠습니다;;;;

도데체 한국에서, 탈영한 것도 아닌 군인이 2년 동안 연락이 두절된다는게 말이나 됩니까;;;;

전투장면의 엉성함 같은거야 참고 볼 수 있지만 논리적이지 못한 이야기전개는 정말 실망스럽습니다. 물론 앞으로의 전개에 따라 좀 더 그럴듯한 이야기를 만들어 나갈수도 있겠습니다만.

KBS의 '전우'는 그점에서 약간 나은 것 같습니다. 물론 주인공의 애인이었던 북한군 장교의 존재가 조금 꺼림칙하긴 합니다만.

잡담하나. 사실 얼마전에 본 노스페이스(Nordwand)의 감상문을 쓸까 했는데 이 멋진 영화를 어떻게 이야기 해야 될지 생각이 떠오르지 않아서 쓰지 못하고 있는 중 입니다. 그러던 차에 로드넘버원을 보고 엉성한 서사구조에 감명(?) 받았습니다.

1950년 6월 27일 이승만의 서울탈출

6월 27일은 이승만이 서울에서 탈출한 날 입니다. 수도가 함락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함께 죽을 필요는 없겠지만 이승만은 정부와 의회, 그리고 군대를 내팽겨치고 혼자 도망쳤기 때문에 비난의 대상이 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것은 이승만에게는 정치적인 약점이 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승만이 비밀리에 수도 서울을 탈출한 데 대한 변호는 1983년에 중앙일보를 통해 공개된, 그의 아내였던 프란체스카 도너 리가 기록한 비망록에 나타납니다. 프란체스카의 비망록에서는 이승만은 수도를 사수하려 했으나 신성모 등의 간청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서울을 떠날 수 밖에 없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얼마전 단행본으로 나온 판본을 인용하겠습니다.)

숨 막힐 듯한 긴장과 긴박감 속에 하루가 지났다. 대통령이나 나나 자정을 넘겨 막 잠자리에 눈을 붙였을 때 비서의 다급한 노크 소리가 들려왔다. 머리 맡의 시계는 27일 새벽 2시를 가리키고 있었다. 신성모 국방장관이었다. 불길한 예감이 뇌리를 스쳤다. 이어 서울시장 이기붕씨와 조병옥씨가 들어왔다.

"각하 서울을 떠나셔야 겠습니다."

신 장관이 간곡히 남하를 권유했다.

"안돼! 서울을 사수해! 나는 떠날 수 없어!"

대통령은 그 이상 아무 말도 않고 문을 쾅 닫으며 방으로 들어갔다. 신 장관은 침통한 표정으로 한참을 멍하니 안장 있었다. 나는 대통령을 뒤따라 들어가 침착하게, 그리고 간절하게 부탁했다.

"지금 같은 형편에서는 국가원수에게 불행한 일이 생기면 더 큰 혼란이 일어날 거라고 염려들 합니다. 그렇게 되면 대한민국의 존속이 어렵게 된답니다. 일단 수원까지만 내려갔다가 곧 올라오는 게 좋겠습니다."

내 말이 땅에 떨어지기도 전에 대통령은 "뭐야! 누가 마미한테 그런 소릴 하던가? 캡틴 신이야, 아니면 치프 조야, 장이야. 아니면 만송(晩松, 이기붕씨의 아호)이야. 나는 안 떠나." 하고 고함을 질렀다.

대통령은 나에게는 신 장관을 캡틴 신(그는 한 때 선장을 했다), 조병옥 박사나 장택상 씨는 경찰국장을 지냈다고 해서 치프(chief) 조라고 불렀다. 나는 재차 "모두 같은 의견입니다. 저는 대통령 뜻을 따르겠습니다." 라고 했다.

이때 경찰간부(이름은 기억이 없다) 한 사람이 들어와 적의 탱크가 청량리까지 들이닥쳤다고 메모를 전했다. 나중에 알게 된 일이지만 당시 적의 탱크는 그보다 훨씬 먼 곳에 있었고, 그것은 대통령의 남하를 독촉하려는 꾀였었다.

나도 "수원은 서울에서 별로 멀지 않아요" 라고 넌지시 거들었다. 신 장관은 때를 놓치지 않고 "각하가 수원까지만 내려가 주시면 작전하기가 훨씬 쉽겠습니다"라며 머리를 숙였다.

새벽 3시 30분. 남행 열차를 타기로 결정됐다.

프란체스카 도너 리/조혜자 옮김, 『6ㆍ25와 이승만 : 프란체스카의 난중일기』(기파랑, 2010), 24~26쪽

프란체스카의 주장에 따르면 이승만은 27일 까지도 서울을 사수하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고 신성모를 비롯한 주요 인사들의 간곡한 설득 끝에 서울에서 탈출하기로 결정했다고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중앙일보에 프란체스카의 비망록이 공개되기 이전에 미국에서 기밀해제된 주한미국대사 무초의 전문에 따르면 이야기는 크게 달라집니다.

이승만 대통령은 25일 밤 10시에 제게 전화를 걸어 자신과 면담할 것을 요청했습니다. 대사관에 있던 신성모 국무총리서리가 저와 동행했습니다. 제가 대통령관저에 도착했을 때 이범석 전국무총리는 이미 도착해 있었습니다. 다음의 내용은 우리가 나눈 대화에 대한 기록입니다.

이승만 대통령은 큰 압박을 받고 있었습니다. 그는 실룩거리면서 중간에 끊어져 뜻이 통하지 않는 말을 반복했습니다. 이승만 대통령은 의정부의 상황에 대해 언급했는데 그에 따르면 수많은 전차가 서울을 향해 쇄도하고 있으며 한국군의 능력으로는 저항할 수 가 없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승만은 국무총리서리에게 한국어나 영어로 말을 걸었으며 가끔씩 이범석에게도 한국어로 말을 걸었습니다. 이 대통령은 내각에서 오늘 밤 정부를 대전으로 옮길것을 결정했다고 말했습니다. 이대통령은 이러한 결정을 내린 것은 자신의 안전을 고려해서가 아니라 정부를 반드시 보전해야 하며 만약 대통령 자신이 공산당에게 잡힐 경우 대한민국의 체제에 심각한 타격이 될 것이기 때문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이대통령은 뜬금없이 국무총리서리에게 군사지식을 가진 "유능한 사람을 여러명" 모아서 현재의 상황에 대해 논의하고 필요한 조치를 결정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이대통령은 만약 신성모가 만족할수 있을 정도로 군사적인 상황에 더 잘 대처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주저없이 그 사람을 위해 국방부장관직을 사임해도 좋다고 말했습니다. 이대통령은 한국측은 미국이 큰 원조를 해 줄 것이라고는 기대하지 않는다고 말하고 "우리는 1천만 달러 정도의 원조를 기대하고 있다... 우리는 갑부인 박흥식(화신 그룹의 소유주인)이 무기 구매를 위해 백만달러를 제공하겠다고 한 것을 알고 있지만 내 생각에는 이미 너무 늦은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국무총리서리는 거듭해서 이대통령이 지시하면 상선단에서 얻은 경험에 따라 최대한 공손한 자세로 "네 각하", "그렇게 하겠습니다 각하"를 연발했습니다. 하지만 신성모도 이대통령의 결정과 명령에 대해 매우 불쾌해하고 있는 것은 분명했습니다. 신성모는 결국에는 실례하겠다고 한 뒤 의정부 지구의 전투에 대한 최신 소식을 전화로 알아보겠다고 했습니다.

저는 이대통령에게 무기와 병력이 있다는 점과 전차를 저지하기 위해 바주카포와 대전차포, 그리고 대전차지뢰를 사용해 싸워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정부가 서울을 지키도록 설득하려 노력했습니다. 신성모는 57mm 대전차포가 북한군 전차의 장갑을 관통하지 못했다고 말했고 저는 대전차지뢰의 사용을 강조했습니다.(신성모의 주장은 다소 의심스럽습니다. 한국의 도로와 교량은 중전차(extremely heavy tanks)가 다닐 수준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저는 만약 정부가 서울을 포기한다면 전투에 지게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만약 한국의 상황이 계속 악화된다면 이것을 다시 호전시키는 것은 불가능해 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대통령은 이런 주장에 대해서는 별다른 느낌을 받지 않은 것처럼 보였고 그는 거듭해서 자신은 개인적인 안위에는 관심이 없으며 정부가 사로잡히는 위험을 감수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확신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저는 이대통령의 생각을 바꿀수 없다는 것이 확실하다고 생각되자 자리를 뜨기로 했고 이대통령에게는 대전으로 피신하라고 한 뒤 저는 서울에 남겠다고 했습니다. 저는 미국인 여성과 어린이들은 다음날 밝는대로 일찍 철수시킬 것이며 철수가 진행되는 동안 서울 상공에 공중 엄호가 있을 것 이라고 했습니다. 이대통령은 여성과 어린이들은 피신해야 한다는데 동의했습니다. 하지만 저는 미국 사절단의 남성들은 잔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제가 회의를 끝내고 나오려 하자 이범석은 어설픈 영어로 그가 생각하기에 북한의 원래 전략은 서울 방면으로 기만 공격을 건 뒤 동해안에 게릴라 부대를 상륙시키는 것이었으나 서울 방면으로의 공격이 순조롭게 진행되자 이 지구에 전력을 더 투입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범석은 한국군이 서울 방면으로의 공격에 대항해 완강하게 싸워야 한다고 했습니다. 제가 회의실을 떠나자 이범석은 대통령과 나눌 말이 더 있다고 하면서 남았습니다.

대통령관저를 나서자 신성모는 저에게 다가와 이대통령은 그와 아무런 상의도 하지 않고 정부를 옮기겠다는 결정을 내렸다고 했습니다.

The Ambassador in Korea(Muccio) to the Secretary of State(1950. 6. 26),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0 Vol.VII Korea(U.S.GPO, 1976), pp.141~143

바로 한국전쟁 당시의 기록인 무초의 주장에 따르면 이승만은 이미 전쟁 당일 서울을 포기하고 피신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며 무엇보다 다른 측근들의 권유가 아니라 스스로 결정한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특히 프란체스카의 회고에서 이승만에게 피신을 권유했다고 하는 신성모는 오히려 이승만으로 부터 어떠한 통고도 받지 못한 상태입니다. 가장 재미있는 점은 이승만이 자신의 안위를 신경쓰지 않는다는 것을 "거듭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는 것 입니다. 한 번 이야기 해도 될 것을 왜 계속해서 이야기 하고 있을까요?^^;;;; 이것은 읽는 분들이 판단하실 문제지요.

무초는 1971년의 인터뷰에서도 이승만이 이미 25일 저녁에 피난할 생각을 하고 있었다는 증언을 한 바 있습니다. 세부적인 사항은 이 문서와 약간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은 골격은 대동소이합니다.

하나의 사건에 대해 두개의 다른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는 바로 사건 당시의 기록인 반면 다른 하나는 사건으로 부터 시간이 지난뒤에 씌여진 기록입니다. 게다가 이승만을 변호하는 입장에서 씌여진 기록이지요. 어떤 것이 더 믿을만 한지는 읽은 분들이 판단하시면 되겠습니다.

2010년 6월 26일 토요일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의 한국전쟁 당시 벙커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기지리에는 한국전쟁 당시 제7사단 9연대가 사용한 벙커가 남아있습니다. 한국전쟁 이전에 건설되어 전쟁 당일 7사단의 방어거점으로 사용된 벙커인데 전쟁초기의 축성물로 유일하게 남아있는 것 입니다. 이 벙커는 43번도로를 끼고 있는데 이곳은 바로 전쟁 당일 북한군 제109전차연대의 지원을 받는 북한군 제3사단의 공격정면이었습니다.

올해 1월에 이곳을 방문해 사진을 몇장 찍었는데 마침 한국전쟁 60주년이니 포스팅하기에 적절할듯 싶습니다.

  전체적인 모습은 이렇습니다.

벙커의 입구입니다.



벙커 안에서 밖을 바라본 모습입니다. 이 벙커안의 군인들이 바라보았을 광경과 그들의 운명을 생각하면 숙연해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2010년 6월 23일 수요일

소통 방식의 한 유형

1929년 4월, 코민테른의 미국 위원회는 미국공산당의 분파 투쟁을 해결하기 위한 회의를 열었습니다. 당시 미국공산당의 다수파를 이루고 있던 러브스톤(Jay Lovestone), 기트로우(Benjamin Gitlow), 페퍼(John Pepper), 올퍼(Bertram Wolfe)는 코민테른이 미국공산당의 다수파인 자신들을 지지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었기 때문에 1929년 3월 뉴욕을 출발할 때 까지만 하더라도 꽤 자신만만했다고 전해집니다.

그런데 미국 대표단은 모스크바에 도착한 직후 코민테른 지도부의 맹렬한 공격을 받았습니다. 당시 러브스톤과 기트로우 등은 부하린에 동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스탈린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는 것 이었습니다. 코민테른 미국위원회의 위원 열두명 중 여덟명이 소련인이었는데 여기에는 스탈린과 몰로토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스탈린이 부하린에게 우호적인 러브스톤을 어떻게 봤을지는 뻔한 일이지요. 결국 미국공산당의 분파투쟁은 모스크바에서 미국공산당의 주류와 코민테른과의 대립으로 발전했습니다. 스탈린은 러브스톤으로 부터 당권을 빼앗으려고 했고 러브스톤은 완강히 저항하지요.

미국공산당원들의 저항은 스탈린의 혈압을 오르게 했습니다. 당시 스탈린은 이런 반응을 보였다고 합니다.

공식기록에 따르면 스탈린은 완강히 저항하는 여덟명의 미국 공산당원이 굳은 결의와 완고함을 지녔다고 칭찬했지만 "진정한 볼셰비키적 용기란" 코민테른의 의지에 저항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복종하는 것 이라고 충고했던 것으로 되어 있다. 스탈린은 러브스톤, 기트로우, 그리고 엘라 리브 블루어(Ella Reeve Bloor)의 이름을 거명하면서 이들이 무정부주의자, 개인주의자, 그리고 파업방해자(Strike-breakers)처럼 행동하고 있다고 괴롭히면서 미국공산당은 그들의 분파가 몰락하더라도 살아남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런데 올퍼에 따르면 스탈린은 다음과 같이 소리쳤다고 한다.

"당신들은 당신들이 뭐라도 되는지 아는가? 트로츠키는 나에게 대들었소. 그자가 어디에 있소? 지노비예프도 나에게 대들었소. 그자가 어디에 있소? 부하린도 나에게 대들었소. 그자가 어디에 있소? 그리고 당신들은? 당신들이 미국에 돌아가면 당신들의 마누라 말고는 아무도 당신들과 함께 하려 하지 않을 것이오!"

러브스톤은 나중에 스탈린의 발언을 "묘지의 연설(graveyard speech)"이라고 불렀는데 그의 회고에 따르면 스탈린은 미국공산당원들에게 러시아인은 파업방해자들을 어떻게 다루는지 알고 있다고 협박했다고 한다.

"소련의 공동묘지에는 묘자리가 충분하오!"

Theodore Draper, American Communism and Russia : The Formative Periode(Viking Press, 1960), p.422.

스탈린의 이런 소통방식은 미국공산당원들의 정나미를 떨어지게 만들었습니다. 러브스톤은 훗날 반공으로 선회하는데 이때의 경험이 끼친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을 것 입니다.

2010년 6월 21일 월요일

2010년 6월 20일 일요일

대인배들의 사고방식

sonnet님의 오늘의 한마디(Al Capone/Theodore Roosevelt)를 읽고나니 떠오르는 일화가 있습니다.

트루먼은 취임한 직후 스탈린이 루즈벨트 행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던 정책들을 계속해서 수용할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해리 홉킨스(Harry Hopkins)를 특사로 파견하기로 합니다. 트루먼의 회고록에 따르면 트루먼은 홉킨스에게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주었다고 하는군요.

나는 홉킨스에게 스탈린과 회견할 때 그가 적절한 방식이라는 생각이 들면 외교적 수사나 야구 방망이를 재량껏 사용해도 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I made it plain to Hopkins that in talking to Stalin he was free to use diplomatic language or a baseball bat if he thought that was the proper approach.

Harry S. Truman, Memoirs vol. 1 : Year of Decisions (doubleday, 1955), p.258

대인배라면 언제든지 채찍을 휘두를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2010년 6월 16일 수요일

싸구려군대

60년대 잡지를 읽던 중....

참고삼아 한국군과 미국군의 현행 기본급여를 비교해 보면 앞 페이지의 표와 같거니와 장교의 기본급여의 경우 한국군 대 미국군이 1대10 정도이고 사병에 있어서는 1대150정도이다. 대장급의 한미군 비교가 1대8인데 반하여 이병의 경우는 1대163으로서 도저히 비교가 안되는 싸구려이다. 60만 대군의 대부분이 미군의 150분의 1을 받는 사병(이병~병장)이고 보면 한국군의 병원비(兵員費)가 미군에 비하여 그 얼마나 싸구려인가는 알고도 남음이 있다. 이와 같은 병원비의 국제비교차가 오늘날 미국의 대한원조, 특히히 대한미군사원조의 기초조건이 되어 있음은 이미 지적한 바와 같다.

鄭丙壽, 「美對韓軍援政策分析」,『靑脈』제5호(1965. 1), 50쪽

40년이 더 지났지만 나아진 것은 없으니;;;;  한국의 징병제는 좀 지독한 면이 없지 않죠.

중국측이 본 상하이 지구 항공전(1937년 8월 14일~17일)

10일 전에 쓴 "1930년대 미 육군 항공대의 폭격기 우월론에 대한 궁금증"이란 글에 배군님이 "전투기 무용론"이란 답글을 써 주셨습니다. 배군님의 글에서 중요한 부분이 바로 1936년 8월 14일에서 8월 17일에 걸쳐 벌어진 일본군과 중국군의 항공전인데 여기에 대해서 조금 써 보려 했으나 제가 요 며칠동안 약간 정신이 없다 보니 제때 글을 쓰지 못했습니다. 조금 늦긴 했습니다만 이 공중전에 대한 중국측 시각에 대해 간단하게 써 보겠습니다.

먼저 중일전쟁 초기의 공중전이니 만큼 중일전쟁 직전 중화민국 공군의 편성에 대해 간단히 이야기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중일전쟁 직전 중화민국 공군은 급속히 증강되었습니다. 1936년 까지 중화민국 공군은 총 14개 비행중대(飛行中隊)로 편성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1936년 8월에 광동공군의 9개 비행중대가 중앙군 예하로 들어와 다음과 같이 개편되었습니다.1)


광동공군 제1비행중대 → 중앙군 제16비행중대
광동공군 제2비행중대 → 중앙군 제17비행중대
광동공군 제3비행중대 → 중앙군 제18비행중대
광동공군 제4비행중대 → 중앙군 제19비행중대
광동공군 제5비행중대 → 중앙군 제20비행중대
광동공군 제6비행중대 → 중앙군 제28비행중대
광동공군 제7비행중대 → 중앙군 제29비행중대
광동공군 제8비행중대 → 중앙군 제30비행중대
광동공군 제9비행중대 → 중앙군 제31비행중대

그리고 10월에는 중앙군 예하에 7개 비행중대가 새로 편성되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1937년 7월에 중화민국 공군은 총 10개 비행대대(飛行大隊)와 6개 독립 비행중대로 편성되었고 구체적인 편성은 다음과 같았습니다.2)

항공위원회
 │
 └공군전적총지휘부(空軍前敵總指揮部)
   │
   └공군굉작기사령(空軍轟炸機司令)*
   │   └제1비행대대
   │     └제1비행중대(노스롭 감마 2E)
   │     └제2비행중대(노스롭 감마 2E)
   │   └제2비행대대
   │     └제9비행중대(노스롭 감마 2E)
   │     └제11비행중대(노스롭 감마 2E)
   │     └제14비행중대(노스롭 감마 2E)
   │   └제8비행대대
   │     └제10비행중대(사보이아 S.72)
   │     └제19비행중대(He111A-0)
   │     └제30비행중대(마틴 138WC)
   │    
   └공군구축기사령(空軍驅逐機司令)**
   │  └제3비행대대
   │     └제7비행중대(커티스 호크 III)
   │     └제8비행중대(브레다 Ba.27, 피아트 CR.32)
   │     └제17비행중대(P-26A)
   │  └제4비행대대
   │     └제21비행중대(커티스 호크 III)
   │     └제22비행중대(커티스 호크 III)
   │     └제23비행중대(커티스 호크 III, Fw44)
   │  └ 제5비행대대
   │     └제24비행중대(커티스 호크 III)
   │     └제25비행중대(커티스 호크 III)
   │     └제28비행중대(커티스 호크 II, Fw44)
   │  └독립제29비행중대(커티스 호크 III)
   │    
   └공군정찰기사령(空軍偵察機司令)
   │  └제6비행대대
   │     └제3비행중대(더글라스 O-2MC)
   │     └제4비행중대(더글라스 O-2MC)
   │     └제5비행중대(더글라스 O-2MC)
   │     └제15비행중대(피아트 CR.32)
   │   └제7비행대대
   │      └제6비행중대(Vought V-92C)
   │      └제12비행중대(Vought V-92C)
   │      └제16비행중대(Vought V-92C)
   │   └독립제31비행중대(정찰기)
   │
   └제9비행대대(공격기)
   │  └제26비행중대(커티스 A-12 슈라이크)
   │  └제27비행중대(커티스 A-12 슈라이크)
   │
   └항주견교항교잠편대대(杭州筧橋航校暫編大隊)
   │   └제32비행중대
   │   └제34비행중대(커티스 호크 II)
   │   └제35비행중대(Vought V-92C)
   │
   └제13독립비행중대
   └제18독립비행중대
   └제20독립비행중대
   └제33독립비행중대

*굉작기(轟炸機) 폭격기죠
**다들 잘 아시겠지만 구축기(驅逐機)는 전투기죠.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군은 상하이에 대한 상륙작전을 개시합니다. 중국 항공위원회는 8월 14일 오전 2시, 공군작전명령 제2호를 발령해 상해에 상륙하고 있는 일본군을 폭격하도록 했습니다. 이 작전에는 폭격기 부대인 제2비행대대와 전투기 부대인 제4, 제5비행대대, 그리고 공군전적총지휘부(空軍前敵總指揮部) 직할대인 항주견교항교잠편대대(杭州筧橋航校暫編大隊, 이하 잠편대대)가 투입됐습니다.

8월 14일 부터 8월 17일까지 전개된 항공전의 추이는 唐学锋저, 中国空军抗战史, 90~100쪽의 내용에 따라 서술하겠습니다.

8월 14일 오전 7시, 잠편대대 제35비행중대 소속의 보우트 V-92C 5대로 편성된 중국공군의 제1차 공격대가 젠차오(筧橋)비행장을 출격했습니다. 제1차 공격대는 손실 없이 임무를 마치고 귀환했습니다. 제2차 공격대는 제2비행대대 소속의 노스롭 감마 2E 21대로 편성되었으며 오전 8시 40분 제2비행대대 부대대장 쑨통강(孫桐崗)의 지휘하에 250kg 폭탄 14발과 50kg 폭탄 70발을 탑재하고 광더(廣德)비행장에서 출격했습니다. 2차 공격대는 두 제대로 나뉘어 첫 번째 제대는 휘산(山) 부두를 폭격하고 두 번째 제대는 우송(吳淞) 하구에 상륙하는 일본군 함선을 공격했습니다. 2차 공격대 또한 손실 없이 귀환했습니다. 3차 공격대는 제5비행대대의 호크III 8대로 편성되었으며 5대대장 딩지쉬(丁紀徐)가 직접 지휘하는 가운데 250kg 폭탄 1발씩을 탑재하고 오전 9시 20분 출격해 상해 인근의 일본 해군 함정을 공격했습니다.
중국공군은 오후부터 폭격을 재개했습니다. 제4차 공격대는 제5대대 제24중대의 호크III 3대로 편성되었으며 3차 공격대와 마찬가지로 각각 250kg 폭탄 1발을 탑재하고 오후 2시20분 출격했습니다. 4차 공격대는 일본군의 본격적인 반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4차 공격대가 목표 상공에 도달했을 때 일본군 전투기가 기습해와 부중대장이 격추되어 전사하는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제5차공격대는 제2대대의 폭격기로 편성되어 오후 2시 40분 출격했으며 상해의 일본해군 육전대사령부를 폭격했습니다. 제6차 공격대는 제35중대장의 지휘하에 오후 2시 40분에 출격해 궁다(公大) 방직공장을 폭격했습니다. 제7차 공격대는 제25중대의 호크III 3대로 편성되었으며 25중대장의 지휘하에 오후 2시 45분 출격해 일본군 사령부 등을 폭격했습니다. 오후 3시 40분에는 제2대대의 폭격기로 구성된 제8차 공격대가 출격했으며 오후 3시 50분에는 잠편대대 소속 제34중대의 호크 II와 호크III로 편성된 제9차 공격대가 출격해 50kg 폭탄 2발과 18kg 폭탄 11발을 투하하고 귀환했습니다.
한편, 이날 제공전투는 제4비행대대 소속의 전투기들이 담당했습니다. 오후 2시 50분, 제4비행대대는 공격해 오는 일본군 폭격기들을 습격해 21, 22, 23중대가 각각 1대씩, 총3대를 격추시켰습니다.

중국공군은 8월 15일에도 공격을 계속했습니다. 이날 중국공군은 모두 8차에 걸쳐 공격을 감행했는데 각 공격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습니다.

1차 공격대 : 제6대대 5중대, 3대
2차 공격대 : 제6대대 5중대, 5대
3차 공격대 : 제6대대, 대대장 단독출격
4차 공격대 : 제5대대, 14대
5차 공격대 : 제2대대 11중대, 17대
6차 공격대 : 제5대대, 6대
7차 공격대 : 제7대대 16중대, 6대
8차 공격대 : 제4대대, 8대

한편, 8월 15일 전투는 배군님의 글에 잘 서술되어 있듯 일본군이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중국쪽 기록은 이날 전투에서 러이친(樂以琴)이 4대, 탄원(潭文)이 3대를 격추하는 등 총 30대의 일본 항공기를 격추시켰다고 되어 있습니다. 중국측의 주장은 실제보다 다소 과장되었지만 어쨌든 이 전투는 일본측에게 큰 충격을 안겨준 것이 사실입니다. 8월 16일에도 대규모 공중전이 계속되었는데 중국측은 이날에는 11대를 격추시켰다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17일에는 제 2, 4, 5, 7대대의 호크 17대와 노스롭 감마 2E 12대, 보우트 V-92C 15대 등 총 44대의 항공기를 동원해 6차 걸친 공격을 감행했습니다. 이날 전투에서는 소규모 공중전이 있었으며 일본군 항공기 1대를 격추시켰다고 합니다.

중국공군은 8월 내내 상하이와 우송 일대에 출격하여 지상군의 작전을 지원했습니다만 이 글을 쓴 이유가 일본군이 큰 피해를 입은 8월 14일~17일의 항공전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는 것 이었으니 8월 하순의 작전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루지 않겠습니다. 이 전투가 흥미로운 점은 그 당시 미국에서 퇴물로 취급하던 호크II, III와 같은 기종으로도 공격해 오는 적의 폭격기를 요격하는데 큰 문제가 없다는 점을 입증했다는 것 입니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구식 항공기들이 동원된 이 전투의 결과에 대해 그다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실전에서 큰 피해를 입은 일본군은 이 전투의 교훈을 살려 전투기들을 개선하는데 노력을 기울였습니다만.

이상하게도 미국은 전간기의 여러 전쟁에서 교훈을 얻는데 신통치 않았던 것 같습니다.



1) 刘凤翰, 国民党軍事制度史 上(北京, 中国大百科全书出版社, 2009), p.469
2) 曹剑浪, 国民党军简史 下(北京, 解放军出版社, 2004), pp.1557~1558

잡담하나, 이 글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참고한 唐学锋의 中国空军抗战史는 한가지 문제가 있는데 각주가 제대로 달려 있지 않다는 겁니다;;;;

2010년 6월 5일 토요일

1930년대 미 육군 항공대의 폭격기 우월론에 대한 궁금증

다들 잘 아시는 이야기 겠지만 1930년대 미국 육군항공대의 주류는 폭격기의 발전이 전투기를 앞지르고 있어서 미래전에서 폭격기가 전투기를 압도할 것이라는 예측을 하고 있습니다. 에. 이런 견해를 뭐라고 부르는게 좋을지 몰라서 그냥 "폭격기 우월론"**이라고 부르겠습니다.

1차대전 직후만 하더라도 미육군 항공대는 폭격기에 전투기의 호위를 강조했습니다. 1922년에 소령으로 제1추격항공단(1st Pursuit Group) 단장이었던 스파츠(Carl Spaatz)는 폭격기 호위를 위해 중무장에 폭격기와 같은 항속거리를 가지는 전투기 개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으며 역시 육군항공대 장교였던 셔먼(William Sherman)도 1926년에 출간한 저서에서 폭격기에 대한 호위기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런데 이 시기 미육군항공대가 직면한 문제는 폭격기의 항속거리는 길어지는데 호위 전투기는 그것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었다는 사실입니다. 1925년에서 1926년에 걸쳐 증가연료탱크를 사용하는 방식이 시험되어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증가연료탱크를 장착할 경우 공기저항을 높여 전투기의 성능을 저하시킬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당장 채택되지 못했습니다. 무엇보다 전투기가 증가연료탱크를 장착한 상태에서 폭격기의 순항속도를 따라갈 수 있겠느냐는 문제가 대두되었습니다.1) 항속거리가 같더라도 폭격기와 속도를 맞춰 날 수 없다면 호위기는 무용 지물이지요.

이런 상황에서 육군항공대에 "전략폭격" 이론이 도입되기 시작하고 폭격기가 기술적으로 진보하자 점차 전투기의 역할에 대한 회의감이 높아지기 시작했습니다. 먼저 1930년대 초반에 들어오면서 미육군항공대에 전략폭격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기 시작했습니다. 1931년에 발행된 육군항공대 전술학교(Air Corps Tactical School)의 교재는 "적 부대를 상대로 한 작전은 제외하고" 육군항공대의 임무 대부분을 전략적 목표에 맞춰야 하며 동시에 "정치적 목표" 즉 적국의 민간인에 대한 폭격도 명시하고 있었습니다.2)

게다가 폭격기의 급속한 발전은 이런 경향을 더 가속화 했습니다. 전투기가 폭격기에 대해 열세를 보이는 경향은 신형폭격기의 등장 이전 부터 나타나고 있었습니다. 1931년에 실시한 워게임에서 제1추격항공단은 가상적의 폭격기를 단 한대도 요격하지 못하는 패배를 당합니다.3) 그리고 기술적으로 발전한 신형 폭격기가 등장하면서 폭격기 우월론은 더 힘을 받게 됩니다. 1931년 육군항공대가 개량형 중폭격기(advanced type heavy bomber) 사업을 발주했을 때 응모한 마틴(Martin)사의 폭격기는 시속 330km/h를 돌파해 당시 육군항공대의 주력 폭격기였던 B-3A의 속도(160km/h)를 두 배나 능가했습니다. 폭탄탑재 능력도 거의 2톤에 육박해(4380파운드) 1톤 남짓에 불과한 B-3A를 압도하고 있었습니다.4) 그야말로 엄청난 기술적 진보였습니다. 마틴사의 폭격기는 B-10으로 정식채택되었습니다. B-10의 성능은 전투기가 폭격기를 효과적으로 요격할 수 없다는 견해를 더 강화했습니다. 1934년에 캘리포니아에서 실시된 모의교전에는 B-10의 개량형인 B-12와 당시 육군항공대의 주력 전투기였던 P-26이 대결했는데 결과는 B-12의 승리였습니다. 이 모의교전 결과 육군항공대 내에서는 "최전선의 비행장에서 작전하는 추격기나 전투기는 우발적인 경우가 아니면 현대적인 폭격기를 요격할 기회가 별로 없을 것"이라는 평가까지 나왔습니다. 1930년대 후반에 등장한 P-35나 P-36도 B-17에 대해 열세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하지요.5) 폭격기 옹호론자들은 빠른 속도에 중무장을 갖춘 폭격기는 전투기가 요격하기 어려운 상대라고 생각했습니다. 대표적인 전략폭격 지지자이고 1930년대 초 육군항공대 전술학교의 폭격기 교관이었던 조지(Harold L. George) 중위는 1932-33년 사이에 한 강의에서 폭격기 한 대당 6정의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편대 대형으로 상호 엄호가 가능하기 때문에 폭격기는 "공격해 오는 적 전투기에게 까다로운 상대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6)

사실 이러한 주장은 당시 미육군 항공대가 보유한 전투기들이 고속폭격기를 요격하기에는 성능이 부족했기 때문에 설득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1931년과 1934년의 훈련에 사용된 P-26은 기관총 2정이라는 빈약한 무장에 느린속도를 가진 기종이었기 때문에 중무장한 폭격기를 상대하기는 버거웠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가상 적국이 개발하는 전투기도 미국의 전투기들 처럼 별 볼일이 없지는 않을 것이라는 겁니다. 다들 잘 아시다시피 플라잉 타이거즈의 두목이 되어 이름을 떨친 셴놀트는 초창기의 폭격기 우월론에 강한 회의감을 드러냈습니다. 셴놀트는 여러 차례의 훈련에서 전투기가 폭격기를 요격하는데 실패했지만 이것은 전투기를 집중운용해 화력을 극대화 하고 전투기간의 유기적인 협동전술로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7) 그리고 폭격기를 조기에 포착해서 요격하는 데 대해서는 전자기술의 발전을 이용한 조기경보체계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당시의 기술 수준으로는 무전기나 유선전화를 가진 대공감시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꼽았습니다.8)

구식화된 전투기로도 충분히 신형 폭격기들을 상대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었던 만큼 적이 신형전투기를 가지게 된다면 폭격기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생각도 있을법 한데 이상하게도 1930년대의 폭격기 우월론자들은 이런 가능성을 과소평가했습니다. 그 이유가 참 궁금하지요. 당시 미육군 내부의 의사결정과정이 어떠했는지 의문이 생기게 됩니다. 결과적으로는 셴놀트가 옳았고 폭격기 만능론은 허상이라는 것이 드러났지만 분명히 1930년대 미육군항공대 내에서는 폭격기를 과대평가할 이유가 충분했을 테니 말입니다. 만약 기회가 된다면 1920년대 후반에서 1930년대 초반 사이 미육군 항공대 내의 관련 문건을 직접 읽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쨌거나 당시의 사회경제적 상황은 미육군항공대가 폭격기와 전투기 중 어느 한 쪽에 집중할 수 밖에 없는 조건을 만들었습니다. 대공황의 여파로 예산 부족에 시달린 미육군은 폭격기와 전투기 개발을 동시에 추진하기 보다는 폭격기 개발에 더 많은 예산을 투자하는 방향을 선택하게 된 것입니다. 당시의 논리는 꽤 단순했습니다. 첫 번째로는 B-10이나 B-17과 같이 전투기의 호위가 필요없는 장거리 폭격기가 존재하고 있으니 전투기는 필요 없다는 것 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는 이런 장거리 폭격기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적이 미국 본토를 직접 타격하기 이전에 타격해서 제압할 수 있으므로 요격기의 필요성도 감소한다는 것 이었습니다;;;;9) 강력한 공격력을 가지게 되었으나 방어는 부차적인 것이라는 논리이죠;;;;

1930년대의 미육군항공대가 모든 면에서 폭격기 중심으로 돌아갔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아마도 전투기 부대 지휘관으로 1920년대 초반에 전투기의 필요성을 강조하던 스파츠가 1920년대 후반 이후로는 계속해서 폭격기 부대를 지휘하게 된 것 일겁니다.


**일단 "전투기 무용론"으로 부르지 않는 이유는 폭격기 지지자들 중에서도 전투기의 역할을 어느 정도 인정하는 인물들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1) Tami D. Biddle, Rhetoric and Reality in Air Warfare : The Evolution of British and American Ideas about Strategic Bombing, 1914~1945(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 p.166
2) Conrad C. Crane, Bombs, Cities, and Civilians : American Airpower Strategy in World War II(University Press of Kansas, 1993), p.21
3) Daniel Ford, Flying Tigers : Claire Chennault and the American Volunteer Group(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1991), p.15
4) David E. Johnson, Fast Tanks and Heavy Bombers : Innovation in the U.S.Army 1917-1945(Cornell University Press, 1998), p.154
5) Biddle, ibid., p.168
6) Johnson, ibid., p.155
7) Ford, ibid., p.16
8) Biddle, ibid., p.169
9) Richard G. Davis, Carl A. Spaatz and the Air War in Europe(Washington, Center for Air Force History, 1993), p.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