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5일 토요일

1930년대 미 육군 항공대의 폭격기 우월론에 대한 궁금증

다들 잘 아시는 이야기 겠지만 1930년대 미국 육군항공대의 주류는 폭격기의 발전이 전투기를 앞지르고 있어서 미래전에서 폭격기가 전투기를 압도할 것이라는 예측을 하고 있습니다. 에. 이런 견해를 뭐라고 부르는게 좋을지 몰라서 그냥 "폭격기 우월론"**이라고 부르겠습니다.

1차대전 직후만 하더라도 미육군 항공대는 폭격기에 전투기의 호위를 강조했습니다. 1922년에 소령으로 제1추격항공단(1st Pursuit Group) 단장이었던 스파츠(Carl Spaatz)는 폭격기 호위를 위해 중무장에 폭격기와 같은 항속거리를 가지는 전투기 개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으며 역시 육군항공대 장교였던 셔먼(William Sherman)도 1926년에 출간한 저서에서 폭격기에 대한 호위기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런데 이 시기 미육군항공대가 직면한 문제는 폭격기의 항속거리는 길어지는데 호위 전투기는 그것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었다는 사실입니다. 1925년에서 1926년에 걸쳐 증가연료탱크를 사용하는 방식이 시험되어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증가연료탱크를 장착할 경우 공기저항을 높여 전투기의 성능을 저하시킬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당장 채택되지 못했습니다. 무엇보다 전투기가 증가연료탱크를 장착한 상태에서 폭격기의 순항속도를 따라갈 수 있겠느냐는 문제가 대두되었습니다.1) 항속거리가 같더라도 폭격기와 속도를 맞춰 날 수 없다면 호위기는 무용 지물이지요.

이런 상황에서 육군항공대에 "전략폭격" 이론이 도입되기 시작하고 폭격기가 기술적으로 진보하자 점차 전투기의 역할에 대한 회의감이 높아지기 시작했습니다. 먼저 1930년대 초반에 들어오면서 미육군항공대에 전략폭격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해지기 시작했습니다. 1931년에 발행된 육군항공대 전술학교(Air Corps Tactical School)의 교재는 "적 부대를 상대로 한 작전은 제외하고" 육군항공대의 임무 대부분을 전략적 목표에 맞춰야 하며 동시에 "정치적 목표" 즉 적국의 민간인에 대한 폭격도 명시하고 있었습니다.2)

게다가 폭격기의 급속한 발전은 이런 경향을 더 가속화 했습니다. 전투기가 폭격기에 대해 열세를 보이는 경향은 신형폭격기의 등장 이전 부터 나타나고 있었습니다. 1931년에 실시한 워게임에서 제1추격항공단은 가상적의 폭격기를 단 한대도 요격하지 못하는 패배를 당합니다.3) 그리고 기술적으로 발전한 신형 폭격기가 등장하면서 폭격기 우월론은 더 힘을 받게 됩니다. 1931년 육군항공대가 개량형 중폭격기(advanced type heavy bomber) 사업을 발주했을 때 응모한 마틴(Martin)사의 폭격기는 시속 330km/h를 돌파해 당시 육군항공대의 주력 폭격기였던 B-3A의 속도(160km/h)를 두 배나 능가했습니다. 폭탄탑재 능력도 거의 2톤에 육박해(4380파운드) 1톤 남짓에 불과한 B-3A를 압도하고 있었습니다.4) 그야말로 엄청난 기술적 진보였습니다. 마틴사의 폭격기는 B-10으로 정식채택되었습니다. B-10의 성능은 전투기가 폭격기를 효과적으로 요격할 수 없다는 견해를 더 강화했습니다. 1934년에 캘리포니아에서 실시된 모의교전에는 B-10의 개량형인 B-12와 당시 육군항공대의 주력 전투기였던 P-26이 대결했는데 결과는 B-12의 승리였습니다. 이 모의교전 결과 육군항공대 내에서는 "최전선의 비행장에서 작전하는 추격기나 전투기는 우발적인 경우가 아니면 현대적인 폭격기를 요격할 기회가 별로 없을 것"이라는 평가까지 나왔습니다. 1930년대 후반에 등장한 P-35나 P-36도 B-17에 대해 열세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하지요.5) 폭격기 옹호론자들은 빠른 속도에 중무장을 갖춘 폭격기는 전투기가 요격하기 어려운 상대라고 생각했습니다. 대표적인 전략폭격 지지자이고 1930년대 초 육군항공대 전술학교의 폭격기 교관이었던 조지(Harold L. George) 중위는 1932-33년 사이에 한 강의에서 폭격기 한 대당 6정의 기관총으로 무장하고 편대 대형으로 상호 엄호가 가능하기 때문에 폭격기는 "공격해 오는 적 전투기에게 까다로운 상대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6)

사실 이러한 주장은 당시 미육군 항공대가 보유한 전투기들이 고속폭격기를 요격하기에는 성능이 부족했기 때문에 설득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1931년과 1934년의 훈련에 사용된 P-26은 기관총 2정이라는 빈약한 무장에 느린속도를 가진 기종이었기 때문에 중무장한 폭격기를 상대하기는 버거웠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가상 적국이 개발하는 전투기도 미국의 전투기들 처럼 별 볼일이 없지는 않을 것이라는 겁니다. 다들 잘 아시다시피 플라잉 타이거즈의 두목이 되어 이름을 떨친 셴놀트는 초창기의 폭격기 우월론에 강한 회의감을 드러냈습니다. 셴놀트는 여러 차례의 훈련에서 전투기가 폭격기를 요격하는데 실패했지만 이것은 전투기를 집중운용해 화력을 극대화 하고 전투기간의 유기적인 협동전술로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7) 그리고 폭격기를 조기에 포착해서 요격하는 데 대해서는 전자기술의 발전을 이용한 조기경보체계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당시의 기술 수준으로는 무전기나 유선전화를 가진 대공감시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꼽았습니다.8)

구식화된 전투기로도 충분히 신형 폭격기들을 상대할 수 있다는 주장이 있었던 만큼 적이 신형전투기를 가지게 된다면 폭격기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생각도 있을법 한데 이상하게도 1930년대의 폭격기 우월론자들은 이런 가능성을 과소평가했습니다. 그 이유가 참 궁금하지요. 당시 미육군 내부의 의사결정과정이 어떠했는지 의문이 생기게 됩니다. 결과적으로는 셴놀트가 옳았고 폭격기 만능론은 허상이라는 것이 드러났지만 분명히 1930년대 미육군항공대 내에서는 폭격기를 과대평가할 이유가 충분했을 테니 말입니다. 만약 기회가 된다면 1920년대 후반에서 1930년대 초반 사이 미육군 항공대 내의 관련 문건을 직접 읽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쨌거나 당시의 사회경제적 상황은 미육군항공대가 폭격기와 전투기 중 어느 한 쪽에 집중할 수 밖에 없는 조건을 만들었습니다. 대공황의 여파로 예산 부족에 시달린 미육군은 폭격기와 전투기 개발을 동시에 추진하기 보다는 폭격기 개발에 더 많은 예산을 투자하는 방향을 선택하게 된 것입니다. 당시의 논리는 꽤 단순했습니다. 첫 번째로는 B-10이나 B-17과 같이 전투기의 호위가 필요없는 장거리 폭격기가 존재하고 있으니 전투기는 필요 없다는 것 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는 이런 장거리 폭격기가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적이 미국 본토를 직접 타격하기 이전에 타격해서 제압할 수 있으므로 요격기의 필요성도 감소한다는 것 이었습니다;;;;9) 강력한 공격력을 가지게 되었으나 방어는 부차적인 것이라는 논리이죠;;;;

1930년대의 미육군항공대가 모든 면에서 폭격기 중심으로 돌아갔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아마도 전투기 부대 지휘관으로 1920년대 초반에 전투기의 필요성을 강조하던 스파츠가 1920년대 후반 이후로는 계속해서 폭격기 부대를 지휘하게 된 것 일겁니다.


**일단 "전투기 무용론"으로 부르지 않는 이유는 폭격기 지지자들 중에서도 전투기의 역할을 어느 정도 인정하는 인물들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1) Tami D. Biddle, Rhetoric and Reality in Air Warfare : The Evolution of British and American Ideas about Strategic Bombing, 1914~1945(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 p.166
2) Conrad C. Crane, Bombs, Cities, and Civilians : American Airpower Strategy in World War II(University Press of Kansas, 1993), p.21
3) Daniel Ford, Flying Tigers : Claire Chennault and the American Volunteer Group(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1991), p.15
4) David E. Johnson, Fast Tanks and Heavy Bombers : Innovation in the U.S.Army 1917-1945(Cornell University Press, 1998), p.154
5) Biddle, ibid., p.168
6) Johnson, ibid., p.155
7) Ford, ibid., p.16
8) Biddle, ibid., p.169
9) Richard G. Davis, Carl A. Spaatz and the Air War in Europe(Washington, Center for Air Force History, 1993), p.28

댓글 18개:

  1. 진즉 밤에 날아다니는 토미들을 보면서도 우린 박스대형으로 커버한다능! 하면서 날아다닌 양반들 아니겠습니까(...)

    전략폭격이론이 한창 뜨고 있고 써 놓으신 대로 미국 본토에 날아들 전투기들이 없는데다 (그땐 제대로 된 항모도 없고 함재기는 복엽기-_-) 미국제 전투기들은 40년대 초반까지도 죄다 뭔가 덜떨어진 물건들 뿐이었으니 그런 판에 예산마저 부족하다면 폭격기에 집중하는 게 합리적일 것 같은데요. 아마 저라도 그랬을 것 같네요.

    거기다 셴놀트는 당시 군에서 따(..)였다고 어디선가 봤던 것 같습니다. 선구자들의 비극이죠. 쿨럭

    답글삭제
  2.  그리고 우월한 B-17이 유럽에 가서 격게된 일은...(이하생략)

    답글삭제
  3. 전략폭격을 중시하는 견해가 2차대전 직후까지 이어졌다는 것도 주목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이 당시 B-17을 옹호했던 루이스 존슨이 2차대전 이후 제2대 국방부장관이 되어 해군의 반발을 불러왔으니 말입니다.

    답글삭제
  4. 2차 대전 직후라면 더더욱 그렇겠죠. 그땐 핵투발수단은 폭격기 뿐이었으니까요.
    마침 B-29의 실적도 좋았고.

    답글삭제
  5. 항공기술사적으로 30년대가 일종의 '작은 혁명기' 였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듯 합니다...  거의 10년 정도의 간격 동안 항공기들의 속도가 거의 2배로 튀어올랐던 시기였으니까요....(그 정도의 성능향상 비율이라면 50년대의 제트혁명 시기 동안의 성능도약에 근접한 수준이었고...  제트혁명 이후로는 다시는 그런 수준의 도약을 이루지는 못했지요...)    기술적으로 항공기들의 성능이 급격하게 올라가다 보니  (신형)폭격기가 (아직은 구형) 전투기를 성능적으로 따돌리는 경우도 종종 벌어졌고, 그러한 것들이 폭격기를 지지하는 '착시'의 근거가 되지 않았는가 하는 생각입니다.

    답글삭제
  6. 유럽제 전투기들이라고 해서 40년대 초반에는 그렇게 성능이 좋지는 않았던 걸로 압니다......

    아무튼 영국항공전의 주력은 여전히 허리케인이었고  그 물건은 잘 봐줘야 P-40정도인지라.... 

    답글삭제
  7. 문제는 전투기의 발달이 폭격기 보다 항상 뒤쳐지진 않을 것이고 실제로 이런 반론도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폭격기 몰빵 수준으로 나갔다는 점 입니다. 이게 잘 이해가 안가더군요.

    답글삭제
  8. 저도 간단한(?) 바다 건너 나라의 비슷한 이야기에 대해 트릭백해 글하나 썼습니다 ㅋ

    http://kandahar.egloos.com/

    답글삭제
  9. 일본도 비슷한 생각을 했군요. 그래도 이쪽은 미국보다 실전을 일찍 겪어서 삽질을 덜 했으니 나은 것 같습니다.

    답글삭제
  10. 폭격기 우월론 하니 1938년인가에 미육군항공대가 YB-17로 자그만치 1125KM를 날아가 이탈리아 여객선을 요격한 적이 있다죠. 당연히 미육군항공대는 이걸 동네방네 홍보했고 이에 열받은 해군은 강력히 항의하고...(근데 미해군 항공대를 만들면 간단히 해결되지 않나?)

    참고로 이탈리아 여객선 요격시 항법지도한 사람이 훗날 석기시대 매니아가 되는 커티스 르메이 중위라네요.

    답글삭제
  11.  P-38 - P-51 - F4U 삼각연대로 허공을 썰러 다니셨다는 미군의 뒷이야기도 같이...(잉?)

    답글삭제
  12. 무슨 말씀이신지 모르겠는데 당시 미해군항공대는 있었습니다.

    당시 미 해군이 강력히 항의한 이유는 육군항공대의 작전 범위를 해안선에 근접한 지역으로 제한한 1931년의 맥아더-프랫 협약을 위반했기 때문입니다. 저것은 명백히 해군의 영역을 침범한 것이었기 때문입니다.

    답글삭제
  13. 쓸 기회가 생기면 써야죠^^

    답글삭제
  14. 그냥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전략폭격론에서는 대량의 폭격기로 고고도폭격을 하는 것이 원칙이었는데,
    당시 고고도 비행은 대형기체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전략폭격기를 요격할 전투기도 상당히 대형이어야 하고, 대형전투기는 폭격기에 비해서 특별히 이점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 어렵게 되죠.
    즉 공군의 제1역할이 전략폭격이라면 전투기는 의미가 없다는 것이 폭격기 우월론의 근거가 아닌가 합니다.

    답글삭제
  15. 경우는 다르지만 1970년대, 경전투기를 옹호했던 보이드 대령과 그의 '전투기 마피아'가 생각나네요.
    보이드 대령의 주장을 받아들여 단거리 미사일과 기관포로만 무장한 경전투기로 태어났던 F-16이
    지금은 콘포멀 탱크 달고 온갖 무거운 정밀유도폭탄들을 달고 나는 모습을 보면 보이드 대령은 무덤 속에서 돌아누울 거 같습니다.

    답글삭제
  16. 모든 것이 다 그렇지만 처음 생각한 그대로 풀리는 사례는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