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6월 23일 수요일

소통 방식의 한 유형

1929년 4월, 코민테른의 미국 위원회는 미국공산당의 분파 투쟁을 해결하기 위한 회의를 열었습니다. 당시 미국공산당의 다수파를 이루고 있던 러브스톤(Jay Lovestone), 기트로우(Benjamin Gitlow), 페퍼(John Pepper), 올퍼(Bertram Wolfe)는 코민테른이 미국공산당의 다수파인 자신들을 지지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었기 때문에 1929년 3월 뉴욕을 출발할 때 까지만 하더라도 꽤 자신만만했다고 전해집니다.

그런데 미국 대표단은 모스크바에 도착한 직후 코민테른 지도부의 맹렬한 공격을 받았습니다. 당시 러브스톤과 기트로우 등은 부하린에 동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스탈린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는 것 이었습니다. 코민테른 미국위원회의 위원 열두명 중 여덟명이 소련인이었는데 여기에는 스탈린과 몰로토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스탈린이 부하린에게 우호적인 러브스톤을 어떻게 봤을지는 뻔한 일이지요. 결국 미국공산당의 분파투쟁은 모스크바에서 미국공산당의 주류와 코민테른과의 대립으로 발전했습니다. 스탈린은 러브스톤으로 부터 당권을 빼앗으려고 했고 러브스톤은 완강히 저항하지요.

미국공산당원들의 저항은 스탈린의 혈압을 오르게 했습니다. 당시 스탈린은 이런 반응을 보였다고 합니다.

공식기록에 따르면 스탈린은 완강히 저항하는 여덟명의 미국 공산당원이 굳은 결의와 완고함을 지녔다고 칭찬했지만 "진정한 볼셰비키적 용기란" 코민테른의 의지에 저항하는 것이 아니라 거기에 복종하는 것 이라고 충고했던 것으로 되어 있다. 스탈린은 러브스톤, 기트로우, 그리고 엘라 리브 블루어(Ella Reeve Bloor)의 이름을 거명하면서 이들이 무정부주의자, 개인주의자, 그리고 파업방해자(Strike-breakers)처럼 행동하고 있다고 괴롭히면서 미국공산당은 그들의 분파가 몰락하더라도 살아남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런데 올퍼에 따르면 스탈린은 다음과 같이 소리쳤다고 한다.

"당신들은 당신들이 뭐라도 되는지 아는가? 트로츠키는 나에게 대들었소. 그자가 어디에 있소? 지노비예프도 나에게 대들었소. 그자가 어디에 있소? 부하린도 나에게 대들었소. 그자가 어디에 있소? 그리고 당신들은? 당신들이 미국에 돌아가면 당신들의 마누라 말고는 아무도 당신들과 함께 하려 하지 않을 것이오!"

러브스톤은 나중에 스탈린의 발언을 "묘지의 연설(graveyard speech)"이라고 불렀는데 그의 회고에 따르면 스탈린은 미국공산당원들에게 러시아인은 파업방해자들을 어떻게 다루는지 알고 있다고 협박했다고 한다.

"소련의 공동묘지에는 묘자리가 충분하오!"

Theodore Draper, American Communism and Russia : The Formative Periode(Viking Press, 1960), p.422.

스탈린의 이런 소통방식은 미국공산당원들의 정나미를 떨어지게 만들었습니다. 러브스톤은 훗날 반공으로 선회하는데 이때의 경험이 끼친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을 것 입니다.

댓글 26개:

  1.  '묘자리' 이전에 "트로츠키, 지노비예프, 부하린이 어디 있지?" 만으로도 충분한 공포가...;;;

    답글삭제
  2. 트로츠키는 아직 살아는 있을때군요 --;;

    답글삭제
  3. ...........아무리 그래도 그 기반이 소비에트에 있는 사람과 미국에 있는 사람을 똑같이 취급한 건;;;

    답글삭제
  4. .....................과연 스탈린....이 말밖에는....

    답글삭제
  5. 세 명 다 아직 자기 묘자리를 찾지는 않을 때였습니다. 니콜라이 부하린-그리고리 지노비예프 모두 예조프시치나 때 쓸려가서 1929년 당시엔 아직 살아있기는 했었죠. (부하린은 1938년, 지노비예프는 1936년 처형됐습니다.)

    스탈린이 트로츠키를 쫓아내고 사실상의 독재정치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시점이라 저렇게 자신만만하게 외쳤나 봅니다.

    어쨌건 결론은, 역시 스탈린은 상식이 통하지 않는 사나이라는 거군요. 권력자들이 어느 정도 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역시 저건 좀 심했다능..

    답글삭제
  6. <span>미국 대표단에게는 "너네 소련에 올때는 맘대로 왔지만 갈때도 맘대로 갈수 있을거 같아?" 라고 하는 걸로 들렸겠네요. 정말 범 아가리에 들어갔다가 무사히 미국에 돌아온 것만 해도 천운이겠습니다.</span>

    답글삭제
  7. 이것이 소비에트 판 대륙의 기상인가요?

    답글삭제
  8. 1. 그놈의 공산당 정신, 볼셰비키 용기 등등은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걸면 코걸이, 엿장수 맘대로인것 같습니다.

    2. 스탈린은 집권초기부터 소련에 앉아서 타국의 공산당 내부 분쟁까지 간섭하는군요.

    3. 묘지의 연설..... 정말 대박입니다.

    답글삭제
  9. 딴사람도 아니고 스탈린이 면전에서 묘자리 운운하면...저 같으면 졸도하겠네요-_-;;;

    답글삭제
  10. 나는 다수파에게 차가운 볼셰비키.
    하지만 어머니 대조국에겐 따뜻하겠지...

    답글삭제
  11. 1. 근데 반동분자에게 묘자리나 있을까요? 시베리아 영구동토 지대 나무밑이나. (김학준의 저서에 의하면) 화장해서 빙판 제설작업용 재로 뿌려버리는게 일반적이었다는데.

    2. 70~80년대만해도 저런 출신들의 전향 고백수기가 우행했죠.

    3. 인정효씨도 나른 시니컬한 비평을 했고 저도 그런 영화를 나름 재밌게 봤는데. 실제 저런 출신의 "미국인"들이 시베리아로 고고씽해서 생고생하는 류의 영화가 유행한적 있었죠. 척 노리스 아들이 나오는것(무려 레니할린이 연출했다능) 그나마 양반이지만요 ㅋ

    답글삭제
  12. 미국인들은 불쾌감을 느꼈다지요. 스탈린이 악수를 청하자 무시한 사람도 있었으니.

    답글삭제
  13. 그래서 미국 대표단 중 일부는 스탈린이 악수를 청했을 때 무시하기까지 했지요.

    답글삭제
  14. 미국인들은 무섭게 생각하기 보다는 불쾌하게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답글삭제
  15. 스탈린이 잡놈인게죠.

    답글삭제
  16. 코민테른의 잘못된 지도로 피를 본 외국 공산당이 많지요.

    답글삭제
  17. 2. 스탈린이 전향에 큰 영향을 끼친것 같아 안습입니다.

    답글삭제
  18. '받아라 이건 네 무덤에 헌화하는거라고...'

    ㄷㄷㄷ

    답글삭제
  19. <span></span><span>대체 이태준선생은 뭘 보고 스탈린을 호호야라고 표현 했는지 모르겠습니다.</span>

    답글삭제
  20. 스탈린에 대한 숭배가 거의 신앙수준이었던 시절이다 보니;;;;

    답글삭제
  21. 아직은 대숙청의 전말이 잘 안려졌을 때이니 그냥 불쾌했을 수도 있겠습니다만, 그 엄청난 피의 향연이 알려진 뒤에라면 뚱띵이 괴원수가 힛총통 신경질부리는데서 나와서는 "만약 뭘 먹었다면 다 토했을 것이다."와  비슷한 감상을 토로했을지도 모릅니다.
    묘자리 충분하오! 라니...역쉬나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