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산업 초창기 부터 냉전 초기까지 미국의 군사항공산업을 다룬 비들(Wayne Biddle)의 Barons of the Sky를 읽던 중 재미있는 부분이 하나 눈에 들어왔습니다. 미국의 전시 동원체제가 본궤도에 올라가면서 군수산업에 종사하는 항공기 생산기업들의 수익률이 떨어졌다는 이야기 입니다. 물론 항공기 생산회사들이 적자를 본 것은 아니지만 수익률이 급속히 하락했다는 것은 꽤 의외더군요. 미의회에서는 기업의 순익이 생산가격의 일정 비율을 넘지 못하게 하는 규정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1940년에는 6%였다가 1942년에는 5%, 그리고 1943년에는 4%까지 떨어졌습니다. 전시동원체제가 완성되어 갈수록 기업들은 재미를 볼 수 없었다는 이야기죠;;;;
이 책에서는 그 사례로 록히드의 P-38 가격을 들고 있습니다. 1942년 6월 육군항공대가 1,800대의 P-38을 주문했을 때 한대당 가격은 82,418달러로 록히드는 한대당 3,925달러의 순익을 올렸다고 합니다. 그런데 미하원에서 록히드가 폭리를 취한다는 보고서를 발행하자 상황이 꽤 안좋아졌습니다. 1943년 1월에 주문된 800대의 P-38은 한대당 가격이 66,861 달러로 떨어졌는데 한대당 순익은 2,572달러로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1944년 6월에 주문된 1,700대는 대당 가격이 67,589달러로 조금 올라갔지만 순익은 2,000달러로 더 떨어졌다고 하는군요;;;; 당시 록히드의 사장이었던 그로스(Robert E. Gross)는 꽤 실망했는지 1945년 1월 한 주주에게 보낸 편지에서 남은 전쟁 기간 동안은 1942년 만큼 돈을 벌 수 없을 거라고 푸념했다고 합니다.
전쟁으로 군수 생산이 폭증하면 기업의 이익도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하는게 일반적인데 실제로는 꼭 그렇지만도 않았다는 것이죠. 생각해 보면 전시동원체제에서는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향으로 나가게 되는데 ‘갑’에 해당하는 정부가 ‘을’에 해당되는 기업의 이익을 꼬박꼬박 챙겨주는게 더 이상하긴 합니다.
현대에 와서는 군수산업체에게 전쟁은 "연구개발예산을 다 까먹어서 우리 차기 사업들 다 조지는" 나쁜 존재가 되어버렸죠.
답글삭제전쟁을 안하면 안할수록 무기 만드는 기업이 망할 확률이 줄어드는것 같습니다.
말씀하신걸 읽고 보니 굵직한 사업들을 모조리 잘라버린 럼스펠드가 생각나는군요.
답글삭제쟐 읽었습니다만, 이해가 안되는 것이 대당 순이익이 감소했다해도 주문댓수가 1942년보다는 월등히 많을 것이니 전체 이익은 오히려 더 늘어났을 것이 아닌지 싶습니다만.
답글삭제매출 대비 이익률이 감소합니다. 거기다 법인세도 인상되니 각각의 기업에서는 체감손실이 커집니다.
답글삭제총력전 하에서 싸그리 징발 안 당하는 것만 해도 어디겠습니까;;
답글삭제그렇지요. 스탈린 동지처럼 무식하게 부려먹는 것도 아니니^^;;;;
답글삭제역시 동서고금을 막론한 진리인 '갑'과 '을'은 전시 중 천조국에도 해당되는군요.(당연한건가?)
답글삭제넵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