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4월 28일 월요일

2차대전기 미영 연합군의 전차 손실에 대한 통계 :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 - (2)-2



계속해서 연합군의 전차 손실 원인에 대한 통계가 나갑니다. 오늘 포스팅은 무기 종류에 따른 피격 거리에 관한 내용입니다.


표1. 화기별 평균 피격 거리(단위 : 야드)

전차포/대전차포

성형작약탄


표본
평균피격거리
표본
평균피격거리
미 제1군(서유럽)
330
796.4
62
53.6
미 제3,7,9군(서유럽)
119
713.7
21
93.1
미군(이탈리아)
3
758.3
1
50.0
영국군(서유럽)
190
886.3
59
33.2
영국군(이탈리아)
51
348.1
2
75.0
영국군(시칠리아)
6
300.0
-
-
영국군(북아프리카)
96
890.1
-
-
캐나다군(서유럽)
5
432.0
1
50.0
총계
800
782.0
146
51.3
[표 출처 :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VIII., p.17.]


ORO-T-117에서 집계한 내용을 보면 피격 거리가 확인된 800대의 전차들을 대상으로 평균을 낸 결과 전차포/대전차포에 의한 평균 피격거리는 북아프리카/지중해전선/서부전선을 통틀어 800야드였다고 합니다. 이것을 다시 각 전선별로 분류하면 북아프리카에서 격파된 96대는 평균 피격거리가 900야드, 시칠리아와 이탈리아에서 격파된 60대는 평균 피격거리가 350야드, 서유럽 전선에서 격파된 644대는 평균 피격거리가 800야드로 되어 있습니다. 다만, 이 보고서의 작성자는 표본이 더 많다면 서유럽 전선의 경우 평균 피격거리가 약간 더 짧을 것 이라는 추정을 하고 있습니다.1)


판처슈렉, 판처파우스트 같은 보병용 대전차 무기에 의한 피격 거리는 평균50야드로 나옵니다. 표본은 미군, 영국군, 캐나다군의 전차를 합쳐 총 146대인데 이것을 다시 분류하면 영국군은 평균 피격거리가 35야드, 미군은 평균피격거리 55야드라고 합니다. 이 보고서의 작성자는 영국군의 집계가 보다 자세히 이루어졌기 때문에 사실에 가까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영국군이 집계한 수치는 1945년 봄 독일 영내에서 피격된 전차들을 대상으로 한 것 입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이탈리아 전선에서 판처파우스트에 피격된 전차에 대해서는 표본이 너무 적어 다루지 않고 있습니다.2) 영국군 전차가 판처파우스트에 피격당한 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표2. 영국군 전차의 판처파우스트에 의한 피격 거리(단위 : 야드)
거리
0~20
21~40
41~60
61~80
81~100
100≤
표본
35
22
13
4
3
3
[표 출처 :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VI., p.15.]


전차포 및 대전차포에 의한 전차의 피격 부위별로 구분해 보면 미군의 경우 표본으로 선정된 1100대 중 31%가 포탑에, 52%가 차체에, 17%가 차체하부-현가장치에 피격당한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영국군 전차의 표본은 375대인데 이 중에서 33%가 포탑에, 52%가 차체에, 16%가 차체하부-현가장치에 피격을 당해 미군과 유사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북아프리카와 이탈리아 전선의 경우 포탑이 피격되는 경우가 40~50% 정도인데 서유럽 전선에 비해 표본이 적다는 점을 지적합니다.3)


보병용 대전차 무기에 의한 피격 양상도 대략 비슷한 경향을 보여줍니다. 전체적으로는 44%가 포탑에, 48%가 차체에, 8%가 차체하부-현가장치에 피격을 당했습니다. 다시 군별로 구분하면 미군은 37%가 포탑에, 56%가 차체에, 8%가 차체하부-현가장치에 피격을 당했고 영국군은 52%가 포탑에, 39%가 차체에, 9%가 차체하부-현가장치에 피격된 것으로 나타납니다.4)




1)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pp.14~15.
2)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p.15.
3)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p.18.
4)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p.19.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