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1월 1일 수요일

한국전쟁에 참전한 무장친위대원의 이야기: Waffenbrüder- Ein Niederländer in Russland und Korea

제2차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은 군사사에 관심 가진 사람들에게 매우 인기있는 주제고 그중에서도 무장친위대는 독보적인 존재입니다. 무장친위대의 역사, 장비, 군장을 다룬 연구서 뿐만 아니라 무장친위대원들의 회고록도 여러권이 발간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소개할 John J. R. Folmer의 Waffenbrüder- Ein Niederländer in Russland und Korea도 무장친위대원으로 제2차세계대전에 참전한 인물의 회고담입니다.

이 책의 주인공인 John J. R. Folmer는 1923년 5월 4일 오늘날의 인도네시아인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태어나 1939년 대학입학자격시험을 치기 위해 본국으로 돌아옵니다. 하필이면 그때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이듬해에 네덜란드는 독일군에 점령됩니다. 그는 대학에 진학하는 대신 무장친위대에 자원하기로 결심합니다. 폴머르는 훈련을 수료한 뒤 무장친위대 비킹 사단의 베스트란트(Westland) 연대 2대대 7중대 1소대 1분대 기관총 사수로 독소전쟁에 참전하게 됩니다. 이어지는 독소전쟁의 회고담은 다른 무장친위대원들의 회고담과 비슷합니다. 그는 동부전선에서 전개되는 일련의 격전에 참전해 전공을 세우고 부상을 당하기도 합니다. 폴머르는 1944년 7월 그간의 공훈을 인정받아 바트 퇼츠의 친위대사관학교에 입교하게 됩니다.

전쟁 말기의 경험담은 꽤 흥미롭습니다. 저자는 무장친위대 소위로 임관하면서 전쟁말기에 급조된 부대인 제38사단(니벨룽엔 사단) 제95연대 3대대 대대장 부관으로 다시 전선에 나가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무장친위대에 관한 책은 많지만 제38사단은 전쟁 말에 급조된 부대라서 관련된 문헌이 상대적으로 소략합니다. 이 회고담에 묘사된 제95연대 3대대장은 꽤 상식적인 인물입니다. 3대대장은 미군이 추격해 오는 상황에서 중간에 휴식을 취하기 위해 도시에 머무를 때 마다 소년병들을 제대시키고 후퇴합니다. 한 부대가 자발적이고 조직적으로 와해되는 과정에 대한 묘사는 꽤 재미있습니다. 대대장의 부관인 폴머르는 머무르는 도시의 시장과 협의해 소년병들에게 나눠줄 사복을 모으고 '제대시키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합니다. 미군에 포로가 된 폴머르는 임시 수용소에서 탈출해 귀향합니다.

여기까지라면 다른 무장친위대원의 회고담과 비슷한 개성없는 이야기가 되었을 것 입니다. 수많은 무용담과 고통스러운 패배의 기억으로 끝나는 이야기지요. 하지만 이 책은 마지막 1장으로 인해 맥락이 바뀌게 됩니다. 폴머르는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네덜란드군에 자원입대해 한국에 파견되기 때문입니다. 1951년 3월 네덜란드군 2진으로 C중대가 한국에 도착합니다. 그는 네덜란드군에 자원입대해 C중대의 기관총 사수로 참전합니다. 그리고 이 전쟁은 그에게 '승리'를 가져다 준 전쟁이 됩니다. 폴머르는 이렇게 회고합니다.

"한국전쟁은 자유세계가 공산주의의 광기에 맞서 싸운 전쟁이었다. 10년전에는 독일만이 홀로 공산주의에 맞서 싸우다 패배했다. 하지만 이제는 전 세계가, 자유세계 전체가 공산주의에 맞서 일어났다."

폴머르는 한국전선에서 1년간 싸운 뒤 1952년 9월 18일 '명예롭게' 군 생활을 마칩니다. 그의 세계관에서 독소전쟁은 공산침략에 맞서싸운 10년 전쟁의 일부였고 한국전쟁은 이를 승리로 마무리한 경험이 됩니다. 다른 무장친위대원의 경험담과 달리 이 책은 한국전쟁으로 인해 '승리'의 기록으로 마무리 됩니다. 꽤 특이한 시각의 회고담이고 한국전쟁 때문에 더욱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 이 책에는 다른 네덜란드 무장친위대원들의 이야기도 있지만 이 책을 쓸 당시(1996년) 살아있었던 가족들의 보호를 위해 모두 가명으로 처리되어 있습니다.


댓글 7개:

  1. 정말 특이한 경험이네요. 러시아 포로가 됐다가 북한 쪽에서 참전한 케이스인가 했더니, 서방측 참전자라.. 그냥 소련=공산주의가 싫었던 것 뿐이었을까요.

    답글삭제
    답글
    1. 대학진학을 포기하면서까지 친위대에 자원한 걸 보면 공산주의가 어지간히 싫었던 것 같습니다.

      삭제
  2. 책을 보건대 영역본은 없는것 같군요. 독알못은 웁니다ㅠㅠ.

    그나저나 생각 외로 반공 이념으로 낙지를 지지한 사람이 꽤 있었던듯 싶습니다. 하인츠 크노케 같은 경우는 대전 중에 낙지에 크게 실망했다고 느끼면서도 공산주의에 대한 반발로 낙지당 후신인 사회주의 제국당에 들어갔다는데 여긴 아예 네덜란드 사람이군요.

    답글삭제
    답글
    1. 스웨덴이나 스위스 같은 중립국 지원자들의 지원동기를 보면 '무신론 볼셰비즘'에 대한 증오심이 동기가 된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특히 스웨덴 지원병들의 경우 핀란드가 침략받는 것을 옆에서 지켜봤기 때문에 핀란드 꼴이 되지 않으려면 독일을 도와서 소련을 타도해야 한다는 인식도 있었습니다.

      삭제
    2. 종교적 신념은 생각을 못해봤는데 이것도 굉장히 강한 동기가 될 수 있겠네요.

      삭제
  3. 대전 종료후 네덜란드에서 나치 협력자로 처벌은 받지않은 모양입니다.

    답글삭제
    답글
    1. 폴머르 본인은 네덜란드군에 입대해서 무장친위대 복무사실을 밝혔을 때 별다른 불이익이 없었다고 회고하고 있습니다. 이 책의 부록에는 폴머르와 함께 입대한 네덜란드 친위대원 가족들(가명)이 전후에 부역자로 처벌받았다는 이야기를 짤막하게 하고 있습니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