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9월 6일 월요일

『6.25전쟁 미 공군 항공전사』가 다시 번역되었습니다

 


얼마전 공군본부에서 로버트 퍼트렐(Robert F. Futrell)The United States Air Force in Korea, 1950-1953을 다시 번역해서 6.25전쟁 미 공군 항공전사』라는 제목으로 간행했습니다. 이번 번역본은 1988년에 나온 개정판을 저본(底本)으로 하고 있습니다. 한국어판이 새로 나왔으니 이 책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조금 이야기 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이 책은 미국 공군의 작전을 연대기 순으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전형적인 공식 역사서의 틀을 따라가고 있지요. 그래서 전쟁의 주요 국면마다 미국 공군 수뇌부와 극동공군 사령부가 어떤 판단을 내리고 어떻게 행동했는지 파악하는데 유용합니다. 중요한 점은 이 책이 한국전쟁시기 공군의 작전을 다루고 있다는 점 입니다. 미국 공군은 1947년 육군에서 독립한 신생 병종입니다. 한국전쟁은 미국 공군이 독자적인 병종으로 수행한 첫 번째 전쟁입니다. 퍼트렐은 미국 극동공군이 극동군사령부 예하의 전력으로 통합작전의 틀 내에서 공군의 구상을 어떻게 관철시켰는지를 잘 서술하고 있습니다. 한국전쟁 초기 북한군 후방에 대한 항공차단작전 수행을 위해 근접항공지원을 더 선호한 육군지휘관들(맥아더와 워커, 알몬드)을 극동공군 사령관 스트레이트마이어 장군과 제5공군 사령관 패트리지 장군이 설득하는 과정이 대표적입니다. 미국 공군의 관점에서 집필된 공간사인 만큼 합동군이라는 체제하에서 자군의 논리를 어떻게 관철시켰는가를 중요시 하는 것 같습니다. 합동작전의 틀 내에서 미국 공군이 해군 및 해병항공대 전력과 어떻게 작전을 조율했는지 보여주는 점도 흥미롭습니다. 1951년 추계전역에서 해병대가 해병항공대의 근접지원을 독점하면서 육군에 비해 과도한근접지원을 받게 되자 육군의 리지웨이 장군이 형평성측면에서 문제를 제기한 점이 대표적입니다. 이 책은 합동군 체제인 미군의 일부인 미국 공군이 합동작전의 경험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잘 보여줍니다.

 

다음으로 흥미로운 점은 세계적 냉전하에서 한국전쟁의 위치를 보여주는 서술입니다. 저자는 미국 극동공군이 전쟁 발발 이전부터 상대적으로 전략적 우선순위가 낮은 동아시아에 배치되어 있었던 까닭에 충분한 전력을 갖추지 못하고 전쟁에 참여한 점을 지적합니다. 이런 문제점은 전쟁 내내 계속됐습니다. 저자가 잘 지적하고 있듯 유럽 주둔 미국공군의 증강이 최우선 순위였기 때문에 미국극동공군, 그 중에서도 한국전선을 담당한 미국 제5공군은 격전의 와중에서도 충분한 지원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 제5공군이 한국전선의 제공권을 장악하는데 문제가 없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미국 공군의 강력함을 과시하는 서술이 인상적입니다. 이건 분명한 역사적 사실이기도 하죠. 저자 퍼트렐은 미국 극동공군이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고 대안을 제시하면서 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을 흥미롭게 저술하고 있습니다. 비록 미국 공군의 공식 역사서이지만 서술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이 책에서 가장 재미있는 부분은 정치적으로 무승부를 낼 수 밖에 없었던 제한전에서 미국 공군이 실질적 승리를 거뒀음을 보여주려는 서술입니다. 미국의 압도적인 공군력이 공산측의 전쟁 수행 의지를 꺾은 것은 냉전 이후 스탈린과 김일성 회담 녹취록들이 공개되면서 설득력을 얻었습니다. 퍼트렐은 휴전회담이 진행되면서 공산측을 압박하기 위해 수행된 폭격작전이 어떤 성과를 거두었는지, 그리고 공산군이 이에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잘 서술하고 있습니다. 1952년 이후 중공군의 방공망이 강화되면서 미국 공군의 작전에 어려움이 있었음을 솔직히 인정하고 있습니다.(이 점은 중국측에서 자국의 승리를 주장할 때 내세우는 단골 소재이기도 합니다.) 물론 미국 공군이 이런 난관을 극복하고 폭격을 통해 공산측을 협상장으로 끌어냈음을 강조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것이 1951년 이후 미그 앨리에서 전개된 공중전의 양상입니다. 저자는 미국 공군이 실질적으로 승리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F-86MiG-15의 대결을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습니다. 전쟁 당시에도 유엔군은 승리하고 있음을 과시하기 위해 미국 공군의 F-86 부대가 공중전에서 거둔 전과를 선전의 소재로 적극 활용했습니다. 물론 미국 공군의 F-86이 공산군의 MiG-15에 대해 우세한 전과를 거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소련측 자료가 공개되면서 실제로 미국 공군이 생각한 것 만큼 압도적인 승리가 아니었던 게 드러났지요. 이렇게 미국측 자료에만 의존해 집필되다 보니 현재 시각에서 약간 부정확한 서술이 보이는건 아쉬운 점이라고 하겠습니다.

 

미국 공군의 입장을 대변하는 저작이다 보니 전쟁 기간 중 미국 공군의 폭격으로 발생한 민간인 피해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을 하지 않습니다. 이런 문제점은 김태우의 『폭격』 같은 연구들이 나오면서 극복됐습니다. 민간인 피해를 외면하는 점은 이 책이 냉전시대에 미국 군부의 입장을 대변해 집필됐다는 한계를 적나라하게 보여줍니다. 다행스럽게도 오늘날 우리는 이런 문제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런 몇가지 단점이 있지만 훌륭한 저작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오래전에 집필되어 현재의 시각에서는 다소 아쉽지만 그럼에도 오늘날에도 충분히 읽을만한 가치가 있는 책 입니다. 다만 비매품으로 간행되었다 보니 편하게 구하지 못하는 점이 단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