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0월 22일 목요일
Robert Forczyk, Tank Warfare on the Eastern Front 1941-1942: Schwerpunkt (Pen and Sword, 2014)
개인적으로 Robert Forczyk의 Tank Warfare on the Eastern Front 1941-1942: Schwerpunkt는 최근 10년간 간행된 동부전선의 기갑전을 다룬 저작 중에서 한손에 꼽을 정도로 잘 씌여진 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2차세계대전사 중에서도 독일 기갑부대의 작전은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는 분야지만 2000년대에 들어오기 전 까지는 과도하게 독일 편향적인 서술이 이루어져 온 것이 사실입니다. 이것이 의도한 것이건 아니건 간에 독일군의 시각에 편중되어 씌여진 연구들은 그 한계가 명확했습니다. 이 책의 서술은 미국 국립문서보관청에 소장된 독일군 노획문서를 1차 사료로 하고, 주로 2차사료가 중심인 러시아-소련 문헌으로 보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저자는 독소전 초반의 기갑 작전에 대해 균형잡힌 서술을 하고자 하지만 1차 사료가 독일쪽에 집중되어 있다 보니 주로 독일측을 비판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서술 방식은 의외의 장점을 보여주는데 독소전 초반의 요란한 승리에 가려진 독일군 기갑부대의 한계점을 생생히 보여준다는 것 입니다.
Robert Forczyk이 이 책에서 다루는 시기는 독소전쟁 개전 부터 스탈린그라드 전투가 끝날때 까지입니다. 저자는 전략적인 측면, 작전적인 측면, 전술적인 측면을 균형있게 다루고자 합니다. 그래서 책의 서두에서 독일과 소련 양측의 기갑전 교리, 기갑부대의 편성, 교육 및 훈련 수준, 전차와 지원 장비를 비롯한 무기 체계를 비교평가하고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 서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위에서 서술한 것 처럼 1차사료가 독일쪽에 집중되어 있다 보니 독일군의 한계에 대한 비판이 부각되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저자는 주요 국면에서 독일군부의 전략적인 시야가 협소한 점을 통렬하게 비판하는데 이 점은 상당히 설득력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본론인 기갑작전에 대한 서술에 대해 이야기 해 보죠. 개전 초기에는 소련군이 일방적으로 밀리면서 막대한 인력 및 장비 손실을 입었기 때문에 이 시기 독일군의 문제점에 대해 주목하는 연구는 2000년대에 들어와서야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저자는 이 시기 독일군의 성과를 인정하면서도 한계점에 대해 냉철한 비판을 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전 초기 북부전선에서 만슈타인이 보여준 기갑군단 지휘에 대해서도 지나치게 무모한 진격으로 군단의 측익과 후방을 위험에 빠트리는 경향이 있었다고 지적합니다. 물론 독일군에 대한 비판에 머무르지 않고 소련의 선전으로 과장된 콜로바노프의 활약을 지적하는 등 균형 잡힌 서술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바르바로사 작전 시기의 작전에 대한 서술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독일군 기갑부대의 소모에 대한 부분입니다. 저자는 독일군이 기갑부대의 장기적인 작전을 뒷받침 할 수 있는 보급 및 인력 보충 체계를 가지고 있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것이 소모전에서 어떻게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왔는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결과론적인 비판이라 하더라도 타이푼 작전을 전후한 시점에서 소모가 심한 기갑사단 일부를 독일 본토로 소환해 재정비를 했어야 한다는 지적은 타당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소련군 기갑부대가 개전 초기의 패전의 경험을 통해 서서히 발전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점도 흥미롭습니다. 저자는 소련의 전시선전으로 개전 초기 몇몇 소련군 기갑부대의 활약상이 과장된 측면은 인정하면서도 소련군 지휘관들이 경험을 축적하면서 조금씩 독일군에 맞설 수 있는 역량을 키워나갔음을 강조합니다.
1942년 전역에 대한 서술도 비슷한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먼저 1941~42년 겨울 전역이 마무리 된 뒤 독일과 소련측이 다가올 여름의 작전을 위해 기갑부대를 재정비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독일군과 소련군의 편제 개편, 장비의 개선, 인력 충원에 대해 서술하면서 이것이 42년 전역에 끼치는 영향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1942년 전역에 대한 서술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그동안 잘 다루어 지지 않았던 1942년 하계 전역 당시 북부집단군과 중부집단군 지구에서 전개된 기갑전에 대해서도 상당한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는 점 입니다. 그러나 역시 중요한 것은 독일군이 주공을 가한 남부전선의 이야기 겠지요.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관한 서술에서는 기갑부대를 시가전에서 소모시킨 파울루스의 미숙한 기갑부대 운용에 대한 비판, 독일 제6군이 소련군에게 포위된 뒤 전개된 독일군의 구출작전에 대한 비판 등이 주목할 만 합니다. 이중에서도 제6기갑사단장 라우스 같은 인물들이 전후 회고에서 구출작전의 경과에 대해 낙관적으로 서술한 점을 비판하는 부분이 훌륭하다고 생각됩니다.
비록 저자의 1차사료 활용이 독일측에 집중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으나 균형잡힌 서술을 하고자 하는 의도는 달성했다고 봅니다. 독일군의 작전-전술 단위의 탁월한 역량은 인정하면서도 전략적 시각의 결여, 특히 전쟁이 소모전의 단계에 접어들었음에도 이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결전을 위해 전력을 낭비한 점을 비판하는 것은 수긍할 만 합니다. 독일측 사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덕분에 독일군 지휘관들의 회고록에 실린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다만 소련-러시아 쪽의 1차사료 인용이 부족한 점은 아쉽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