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M1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M1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1년 7월 13일 화요일

역지사지 - 어떤 육사생도의 실전 경험담

오랫만에 박경석 장군의 회고록 『야전지휘관』을 읽고 있는데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이 한국전쟁 초기 포천 방면 방어에 투입된 일화가 눈에 들어옵니다. 박경석 장군 본인이 자신의 이야기를 3인칭으로 풀어놓는 서술방식도 재미있네요. 첫 전투에서 패배하여 후퇴할때의 비참한 심정을 토로하는 내용입니다. 상당히 솔직한 회고담이 아닌가 싶어서 인용을 해 봅니다.


******************


중대장을 빼놓고 그들은 모두 동기생이었다. 1950년 6월 1일 태능 육군사관학교 생도 제2기로 입교하여 청운의 꿈을 안고 교육을 받은지 25일째 되는 날 6ㆍ25가 발발하자 M1소총 조작법도 제대로 모르는 사관생도가 국가의 위기에 대처하기 위하여 생도 제1기생(현 제10기)과 더불어 대대를 편성 포천 방면 전투에 투입되었다.

홍안의 청소년들인 그들은 생도 제1기생이 하라는대로 행동했다. 호를 파라면 호를 팠고 잠복조에 차출하면 잠복근무에 열중했다. 그들은 포천지역에 배치된 능선에 개인호를 파고 M1소총을 겨누면서 북쪽을 향해 응시하고 있었다. 생도 제1기생들은 포천지역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었으나 생도 제2기생들은 전혀 어디가 어딘지 모르는 생소한 곳 이었다. 동서남북도 잘 알지를 못했으며 겨우 다음날 이른 새벽에 햇살이 비치기 시작하는 것을 보고서야 방향을 알 정도였다. 

전선에 배치된 얼마 후 이윽고 멀리서 둔탁한 북소리 같은 것이 울리더니 잠시 뒤 천지를 뒤흔드는 진동과 더불어 '쾅쾅 쿵쾅 쿵쾅...' 벼락치는 소리와 함께 포탄이 진지 주위에 떨어지기 시작하였다. 평생 처음 당하는 포탄세례인지라 모두들 호속에 웅크리고 앉아 눈을 감고 이제는 다 죽는가보다 하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얼마나 지났을까 포탄소리가 뜸하면서 곧 이어 따발총 소리가 요란하게 들려왔다. '따. 따. 따. 따...' 따발총 소리에 기가 질려 어쩔줄을 모르는 생도 제2기생들을 향하여 뒤에서 생도 제1기생의 호령소리가 들려왔다.

"전방 보이는 적, 사거리 500m 사격개시!"

생도들은 일제히 사격을 개시했다. 사격을 하면서 자세히 살피니 적이 500미터 정도에 있는 것이 아니고 멀리 가물가물 메뚜기 같이 뛰었다가 엎드렸다 하면서 달려오는데 약 1키로미터 거리 쯤 되는 것 같았다.

적의 진출 속도는 상당히 느렸다. 그들도 겁이 났는지 별로 계속 전진하는 기색이 없었다. 그러나 사격명령이 내려졌으니 안쏠 수도 없어 무턱대고 방향만 어림잡아 쏘아 대었다. 처음에는 총소리와 진동에 겁이 나는 것 같기도 하더니 몇 크립 정도 쏴보니 신이 나는 것 같았다. 계속 삽탄 장전 하면서 방아쇠를 당겼다. 그러나 일부 생도 제2기생들은 M1 8발을 다 쏘고난 다음 장전이 서툴러 호에서 뛰어나와 생도 제1기생 호를 찾아다니며 삽탄장전을 부탁하는 모습도 보였다.

그렇게 교전한 지 30분 정도 되었을까 '부릉 부릉 부릉'하는 무거운 금속성 자동차 엔진소리가 들려오기 시작하더니 집채만한 괴물이 이쪽을 향하여 움직이고 있었다. 생도 제2기생들은 아무도 그 물체가 무엇인지 몰랐다. 그러나 무조건 그 물체를 향해 M1 소총을 쏘아댔다.

"야! 전차닷! M1으론 안돼!"하는 고함소리가 들리더니 이어서 쿵쾅 하는 벼락치는 소리에 뒤이어 "이크! 웅웅"하는 신음소리가 들려오는 것이 아닌가. 적의 직사포탄에 의해 아군의 희생자가 발생한 것이다. 바로 옆 개인호 속으로 달려가니 이름모를 동기생 한 명이 죽어있었다.

"전원 후퇴! 화랑대로 집결이닷."

생도들은 무슨 영문인지 몰랐다. 그때까지만 해도 적과 마주치면 죽을때까지 싸우는 것인줄만 알았던 그들에게 후퇴명령이 내려지니 도무지 뭐가 뭔지 알수가 없는 일어었다.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줄 모른다더니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육사입교 25일째를 맞이하는 그들인지라 전차의 위력을 전혀 모르고 있었다. 그러나 생도 제1기생들은 전차의 위력을 알고 있었다. 맨손으로 개죽음을 당하느니 일단 후퇴하여 전열을 가다듬어야 되겠다는 판단이 내려진 것이다.

박생도는 엉엉울면서 뛰기 시작했다. 사관생도의 긍지가 무참히 짓밟힌 것이다. 그 화려하던 꿈이 무너진 것이다. 뛰면서도 박생도는 주마등처럼 어린 시절의 일들이 생각났다. 어린시절에 본 만화책에는 중국군 병사들이 일본군에게 쫒기어 도망가는 그림이 실리곤 했다. 그당시 기억으로는 일본군은 공격만 하는 군인이고 중국군은 도망만 하는 패잔병인 줄만 알았다. 그것이 커가면서 뇌리에 박혀있어 도망은 으례히 중국인만 하는 것으로 인식이 돼 중국집에 음식 먹으러 가면 중국인들이 쏼라쏼라 떠들면서 우동을 나르는 모습과 도망가는 모습을 연상하면서 혼자서 웃기도 하였던 것을 아스라히 생각하면서 지금 박생도는 자신이 전차가 나타났다고 하여 적에게 뒤를 보이며 뛰는 모습이 너무나도 비참하게 느껴지는 것 이었다. 신라의 화랑들처럼 또한 화랑 관창처럼 멋있게 싸우겠다고 다짐한 나이어린 사관생도들의 아름다운 꿈을 무참히 꺾어 버린 것이었다. 박생도는 계속 엉엉울면서 뛰었다.


박경석, 『야전지휘관: 야전지휘관의 사생관』 (서울: 병학사, 1981) 143~147쪽.

2014년 6월 20일 금요일

미군과 독일군 장비의 비교 평가에 관한 미 제2기갑사단장의 보고서 - 3



지난번에 이어서 제41기계화보병연대장, 제82기갑수색대대장, 제17기계화공병대대장, 제67전차연대 제3대대장의 보고를 올리겠습니다. 전반적인 내용은 다른 간부들의 보고와 대동소이합니다.

Flotation은 Ya펭귄님의 지적대로 접지압으로 옮기는게 옳겠습니다. Ya펭귄님의 지적대로 수정했습니다.



R. W. 제나R. W. Jenna 중령, 제41기계화보병연대장

반궤도차량: 오토카Auto Car, 다이아몬드TDiamond-T, 화이트White, 그리고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컴패니International Harvester Companies에서 생산한 미제 반궤도차량이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반궤도차량이라는 점은 의문의 여지가 없습니다. 하지만 독일제 반궤도차량의 특징 몇가지를 아군의 반궤도차량에 적용한다면 훨씬 성능이 개선될 것입니다. 독일제 반궤도차량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기흡입구와 라디에이터 환풍구를 제대로 보호하고 있습니다. 라디에이터 전면의 판이 장갑판으로 완벽하게 막고 있습니다. 이때문에 라디에이터 파손률이 엄청나게 낮습니다. 독일군 반궤도차량의 측면과 후면 장갑판은 차체의 대부분에서 바깥쪽으로 60도 꺾인 뒤 다시 중간 부분에서 같은 각도로 반대방향으로 꺾인 형태로 부착되어 “바구니 효과”, 혹은 “욕조 효과”가 있기 때문에 탑승한 인원의 머리 부분까지도 약간의 방호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방어구조가 이런 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차체 내부의 공간이 줄어들지 않으면서도 소화기와 포탄 파편으로 부터 보호 해 줄수 있습니다.

독일군의 반궤도차량의 현가장치는 대형의 적층식 주행륜를 채택하고 있으며 궤도는 블록 형식(block type)으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조합은 반궤도차량에게 특별한 성능상의 이점을 주지 못합니다. 미군 반궤도차량의 현가장치가 훨씬 좋은 승차감을 제공하며 훨씬 더 조용합니다.

미제 반궤도차량의 엔진과 구동체계는 독일군이 지금까지 생산한 다른 어떤 차량 보다도 우수합니다. 독일군의 반궤도차량은 대부분 전면 차축이 구동하지 않지만(dead front axle), 미제 반궤도차량은 전면 차축이 구동합니다.(driven axle)

반궤도차량의 다양한 용도를 고려할때, 미제 반궤도차량은 독일제 반궤도차량 보다 훨씬 더 융통성이 좋습니다. 아군의 반궤도차량은 병력수송, 각종 화기의 탑재, 대공화기의 탑재, 장비 수송, 탄약 수송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데 비해 독일군은 용도 별로 다른 종류의 차량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비성 측면에서는 엔진, 차체, 궤도, 현가장치등이 차량별로 호환된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독일군은 여러 종류의 반궤도차량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품 상호호환이 어렵습니다. 미제 반궤도차량은 속도가 빠르고 엔진 출력도 우수하며, 도로 주행성은 물론 야지 주행에서도 훨씬 좋은 기동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경전차: M5 경전차는 독일군의 경전차들 보다 더 좋은 엔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때문에 훨씬 더 빠른 도로 주행이 가능하고 정비하는데 있어서도 문제가 적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훨씬 더 전투에 적합합니다. 미제 경전차는 속도와 엔진 출력이 높아서 기동성이 우수하고 독일 전차 보다 더 빠르게 포탑 회전과 주포 조준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독일 전차가 훨씬 두터운 장갑과 포구 초속이 높은 강력한 주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투력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전차전이 벌어지면 독일 전차는 높은 방어력으로 승무원을 보호하면서 미제 전차의 가벼운 장갑을 쉽게 관통할 수 있습니다. 지반이 약하고 질척한 지형에서는 독일 전차는 현가장치와 우수한 접지압에 힘입어 미제 전차가 기동할 수 없는 지역에서도 움직일 수 있습니다.

신형 M24경전차는 독일군 전차의 몇가지 특징을 차용했고 개선된 엔진과 75mm 주포를 탑자해서 전투력이 향상됐습니다. M24 전차를 직접 관찰해 본 결과 경전차를 훨씬 쉽게 조종할 수 있도록 하고, 가속력을 높이는 한편, 변속기를 단순화하고 독일군 전차 보다 더 빠른 속도를 얻도록 하기 위해서 설계 및 생산단계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아군의 경전차에 탑재된 캐딜락 V-8엔진과 유압식 변속기는 현재는 물론 당분간 이것을 능가할 것이 없다고 단언할 수 있을 정도의 기술적 혁신이라 하겠습니다. 실제로 독일군은 아군에 의해 잃는 전차 보다 기계적인 고장으로 잃어버리는 전차가 더 많다고 인정하고 있습니다.

트럭: 미제 트럭과 독일제 트럭의 비교 평가에 대해서는 할 말이 별로 없습니다. 미제 트럭은 모든 면에서 압도적으로 우월합니다. 독일군은 트럭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비 문제가 심각하고 독일군은 이것을 해결할 능력이 없습니다. 이 때문에 미군 트럭처럼 부품의 상호 호환만 가능해도 쉽게 수리할 수 있는 차량들이 수없이 버려지고 있습니다.(The U.S. trucks are superior in every respect. The lack of standard model in the German Army creates a maintenance problem with which the Germans are unable to cope. This condition causes many trucks to be abandoned that could be easily repaired ifn parts were interchangeable as in U.S. vehicles.) 미제 트럭은 전륜 구동 방식을 택했고 저단 기어를 채택했기 때문에 속도와 엔진출력, 탑재 능력, 야지 주행능력에서 우수합니다.

독일군은 여러 종류의 트럭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중 어느 하나도 아군의 표준형 트럭만 못합니다. 아군의 2½톤 6륜 트럭에 대응할만한 독일제 트럭은 4륜 트럭으로 뒷 바퀴가 두개 뿐이고 후륜구동방식을 택하고 있습니다. 이 차량의 차대와 화물칸은 조잡하게 만들어져 있어서 약간 과격하게 운용하기라도 하면 망가질 것입니다. 차량의 공랭식 엔진은 단순하게 설계되어 있지만 출력이 약하고, 많은 차량이 목탄을 사용할 수도 있게 되어 있습니다. 아군의 2½톤 6륜 트럭은 장기간 지속적으로 거친 환경에서 운용할 수 있게 설계, 생산되었으며 실제로 이런 환경에서 운용하면서도 기계적 문제가 크게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군의 2½톤 트럭에 대응하는 독일군의 차량 중 일부는 반궤도 차량입니다. 하지만 아군의 2½톤 트럭은 눈덮인 지역이나 진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궤도형식의 장비로 뒷차축과 앞차축을 연결하여 접지압을 향상시켜서 좋지 않은 주행 조건에서 더 높은 속력과 주행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독일군의 폴크스바겐은 아군의 표준형 ¼톤 트럭의 상대가 되지 못합니다. 폴크스바겐은 4기통 공랭식엔진을 탑재했는데 이 엔진은 출력이 낮고 성능이 떨어집니다. 반면 아군의 액랭식 4기통 엔진은 기어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우수한 동력계통에 힘입어 더 높은 주행력과 속도를 발휘합니다. 폴크스바겐은 2륜구동인데 비해 아군의 ¼톤 트럭은 4륜구동입니다. 폴크스바겐은 무게 중심이 낮지만 무게 중심은 군용 차량에 있어서 크게 중요한 특성이 아닙니다. 그리고 무게 중심이 낮은 대신 차체도 전반적으로 낮아서 아군의 ¼톤 트럭이 우수한 주행력을 발휘하는 아주 거친 지형이나 돌이 많은 지형에서 기동할 수가 없습니다. 

수륙양용형 폴크스바겐은 아군의 완전 궤도식 수송차량인 M29C 보다 성능이 떨어집니다. M29C는 매우 튼튼한 수륙양용차량으로 강이나 강둑에서 운용하는데 아무런 문제도 없습니다. 반면 수륙양용형 폴크스바겐은 수상에서 매우 느립니다. 수륙양용형 폴크스바겐은 접지압이 낮아서 늪지대에서는 운용할 수 없습니다. 수륙양용형 폴크스바겐은 4기통 공랭식엔진을 탑재해서 출력이 떨어지는 반면 M29C에 탑재된 6기통 액랭식 엔진은 충분한 출력과 속력을 낼 수 있습니다. 

화기류: 양군의 화기류에 대한 비교평가는 병기의 관점에서 해야 합니다. 아군의 화포와 소화기는 대부분 독일군의 화포와 소화기에 비해 훨씬 잘 만들어졌고 품질도 좋기 때문에 우수합니다. 예외라고 할 만한 것은 M3기관단총입니다. 이 기관단총은 싸고 조잡하게 만들어져서 독일군의 슈마이저 기관단총의 상대가 되지 않습니다. 독일군의 대전차포와 양용포에서 뛰어나다고 할 수 있는 점은 이러한 장비들이 파손되더라도 아군의 화포와 비교했을때 더 적은 부품과 부속만으로 수리할 수 있다는 점 입니다. 하지만 대구경 화포는 전반적으로 미제가 더 우수합니다. 예외라고 할 수 있는 것은 88mm 양용포입니다. 88mm포는 포구초속이 높아 관통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아군의 90mm와 대등하거나 더 우수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독일제 소총과 아군의 소총을 비교하면 아군의 소총이 훨씬 더 잘 만들어졌고 더 좋은 부품을 사용했기 때문에 무기로서의 완성도가 높다고 하겠습니다. 모든 종류의 기관총을 비교했을 때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The same comparison applies to all types of machine guns.) 

바주카포: 바주카포에 대한 비교 평가는 먼저 전술적인 관점에서 했습니다. 독일군의 바주카포는 구경이 훨씬 커서 파괴력이 높기 때문에 아군의 바주카포 보다 우수합니다. 독일군의 바주카포는 구경이 88mm이고 아군의 바주카포는 2.36인치 입니다. 또 독일제 바주카포는 포방패를 달고 있어서 마스크를 쓸 필요가 없습니다. 아군의 바주카포로는 적의 전차를 저지할 수 없는 경우가 허다했습니다. 독일군의 판처파우스트는 훌륭한 무기입니다. 판처파우스트는 가벼워서 휴대하기가 편하고 후폭풍도 별로 없어서 얼굴이나 손을 다칠 일이 거의 없고 4인치나 되는 경사장갑을 그냥 뚫어버립니다. 판처파우스트는 사용법도 간단하고 싼 값에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군의 대전차화기는 잘 만들어지긴 했지만 파괴력을 더 높여야 합니다. 

병기의 관점에서 평가를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미제와 독일제 바주카포를 비교했을때 독일제 바주카포는 훨씬 더 무겁고 훨씬 더 복잡한 격발 장치를 가지고 있어 아군의 바주카포와 비교했을때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아군의 바주카포는 여러가지의 개량을 거쳤지만 개량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독일제 바주카포 만큼 효율적이었습니다. 독일제 바주카포는 훨씬 크고 거추장스러우며 조작하거나 차량으로 수송하는 것이 불편합니다. 아군의 신형 바주카포는 튼튼하고 매우 정확합니다. 독일제 바주카포는 외관상으로 매우 조잡하게 만들어졌으며 고장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피복류: 미제 전투복과 작업복, 정복은 모든 면에서 독일제 군복 보다 우수합니다. 피복의 품질, 디자인, 그리고 표준화 되었다는 점 때문에 미군 병사들은 독일군에 비해서 훨씬 전투에 적합한 피복류를 지급받았습니다. 약간의 예외가 있다면 독일군의 동계용 전투 피복입니다. 독일군의 동계 전투복과 원피스형 전차병 제복은 양털과 모피를 안감으로 사용해서 미군의 동계피복 보다 가벼우면서도 따뜻합니다. 독일군 동계 피복은 가볍고 방수성이 뛰어나며, 보온효과는 훨씬 무거운 미육군항공대의 조종복과 맞먹습니다.독일군의 장화와 신발은 아군의 군화 보다 신발 바닥이 더 잘 붙어있기 때문에 방수성이 뛰어납니다. 아군의 장비 보다 훨씬 더 성능이 좋습니다. 

화약: (화약에 대한 비교 평가도 중요합니다.) 독일군은 무연 화약을 사용하고 있어서 아군에 비해 이점을 누리고 있습니다. 아군의 기관총은 발사시 위치를 노출하지만 독일군의 기관총은 예광탄을 사용하지 않는 이상 위치를 찾아낼 방법이 없습니다. 

Issac D. White(Major General, Commanding General 2nd Armored Division), United States vs. German Equipmet, (Merriam Press, 2011), pp.18~23.


약간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있는데 미제 기관총이 독일제 기관총 보다 더 우수하다는 평가입니다. MG 42가 미제 기관총 보다 뒤떨어지는 점이 그렇게 많았을까요?


휠러 G. 미리엄Wheeler G. Merriam 중령, 제82기갑수색대대장

노획한 독일군의 장비를 검사하고 몇몇 장비는 직접 아군의 장비와 비교 평가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습니다.

반궤도차량: 제82기갑수색대대에서는 몇대의 독일제 반궤도차량을 검사한 뒤 주행을 해 봤습니다. 그 결과 미제 반궤도차량과 독일제 반궤도차량 간에 어느 것이 더 좋다고 할만한 점을 찾이 못했습니다. 양자의 차이를 알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검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경전차: 독일제 경전차와 미제 경전차는 직접 비교 평가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고참 전차병과 경험이 풍부한 지휘관들이 익명으로 한 평가에 따르면 M24 경전차는 독일군의 경전차들이 가지고 있는 주요한 특성은 물론 독일군의 경전차가 갖추지 못한 특성도 갖추고 있다고 합니다. M24가 독일군의 경전차 보다 뛰어난 점은 주포안정기, 훨씬 뛰어난 시야, 편리한 정비성, 대공기관총 등입니다.

장갑차: 제82기갑수색대대에서 사용해 본 독일제 장갑차는 네덜란드에서 노획한 20mm 기관포를 탑재한 4륜 장갑차 뿐이었습니다.(The only German armored car ever operated by any member of this command was a four-wheeled armored car armed with a 20mm gun which was captured in Holland) 미군의 M8 장갑차는 독일군의 4륜 장갑차와 비교했을때 모든 측면에서 우수했습니다. 독일제 4륜 장갑차의 두드러진 단점 중 하나는 엔진을 정비하거나 수리하는게 굉장히 불편하다는 점 입니다.

그 밖의 다른 장갑차는 비교해보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M8은 전장에서 마주친 독일군의 모든 장갑차에 대해 승리를 거뒀습니다.

트럭: 독일제 트럭은 직접 시험해 보지 못했습니다만, 전투 중에 임시 변통으로 운용해 본 경험은 있습니다. 미군의 2½톤 6륜 트럭은 독일군이 사용하는 어떠한 트럭 보다도 우수합니다.

화기류: 독일군의 화기류를 사용하거나 시험해 본 경험은 없습니다.

바주카포: 독일제 바주카포를 아군의 바주카포와 비교해서 시험 사격을 해 보았습니다.  구체적인 데이터는 얻지 못했지만 독일군의 바주카포(88mm)가 아군의 바주카포(구형 모델) 보다 관통력과 파괴력이 우수했습니다. 독일군의 바주카포에 달린 포방패는 효율적이지만 이것 때문에 무게가 더 늘어난 것을 보완할 만큼 효율적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외견상으로도 매우 훌륭했습니다.

피복류: 피복류는 구체적으로 비교 평가를 해보지 않았습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각종 피복류를 비교평가 하지는 않았지만 느낌상으로는 미군의 피복류가 더 우수하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몇몇 경우에는 독일군 병사가 아군 병사들 보다 더 좋은 피복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아직까지 계속되고 있습니다.

ibid, pp.23~24.


미군과 독일군 장비의 비교 평가에 관한 미 제2기갑사단장의 보고서 - 1에서 제2기갑사단장이 M8장갑차가 독일군의 장갑차들 보다 우수하다고 평가한 이유가 궁금했는데 제2기갑사단에서 직접 테스트해본 독일군의 장갑차가 Sd.kfz 222 뿐이라는게 흥미롭습니다. 다른 장갑차들에 대한 평가는 그냥 체감적인 평가였다는 것이지요. 전차의 성능격차와 같이 압도적으로 차이가 나지 않는 경우에는 체감평가를 크게 신뢰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 보고서가 전반적으로 일선 장병들의 경험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지만 몇몇 경우에는 단순 비평에 그친다는 점은 주의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L. W. 코렐L. W. Correll 중령, 제17기계화공병대대장

반궤도차량: 미군의 반궤도차량이 전반적으로 독일군의 반궤도 차량보다 우수하다는 것이 공통적인 의견입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몇가지 측면에서는 적의 반궤도차량이 아군의 것 보다 낫습니다. (1) 경사장갑을 채택해서 차량 내부의 수납공간이 더 많고 소화기나 포탄 파편을 더 잘 막아주기 때문에 병력에 대한 봉호능력도 뛰어납니다. (2) 독일군의 통신 장갑차는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 별도의 가솔린 발전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연료와 엔진 수명을 절약해 줍니다.

독일군의 반궤도차량을 아군의 동일 차종과 비교했을때 다음과 같은 두드러진 약점이 있습니다. (1) 전륜 구동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견인력이 떨어지고 연약한 지반에서 선회하는 능력이 매우 떨어집니다. (2) 독일군의 반궤도차량은 급선회를 할 때 궤도가 벗겨지는 경우가 잦으며 이 점에서 아군의 반궤도차량보다 뒤떨어집니다.

경전차: 경전차에 대한 평가는 전적으로 의견에 불과하므로 여기서 다루지 않겠습니다.

트럭: 트럭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평가가 없습니다. 아군의 트럭은 모든 점에서 독일군의 트럭 부도 우수합니다. 미제 트럭의 두드러진 장점은 다륜구동에 바퀴 숫자가 많아 견인력과 접지압이 높으며, 표준화가 잘 이루어져 있어 부품의 상호호환이 가능하고 매우 튼튼하게 만들어 졌다는 점 입니다.

소총: 아군의 M1903과 M1소총, 그리고 카빈은 독일군이 보유한 유사한 종류의 화기 보다 훨씬 우수하다고 생각합니다.

권총: 표준형 45구경 자동권총은 독일군이 사용하는 다른 모든 권총보다 우수합니다. 가벼운 무게에 비해 저지력이 뛰어납니다. 안전장치도 독일군의 권총 보다 우수하다고 생각합니다.

30구경 기관총: 적군이 사용하는 기관총은 한가지 점에서 아군의 기관총 보다 우수합니다. 금속제 급탄띠를 사용하고 있어서 탄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탄걸림도 별로 없습니다. 적군의 기관총은 발사속도가 높긴 하지만 이때문에 탄을 매우 빠르게 소모하고 낭비되는 탄도 많기 때문에 장점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The greater cyclic rate of fire of the enemy weapon is not considered to be any particular advantage in that it results in faster consumption of ammunition with a large part of it wasted.) 독일군의 30구경 경기관총은 우수하다고 생각되지만 미제 기관총의 우수한 냉각 성능으로 상쇄할 수 있습니다.

50구경 기관총: 미군의 50구경 기관총은 독일군의 동급 기관총에 비해 압도적으로 우수합니다.

독일군의 포구초속이 높은 75mm포나 88mm포는 우수한 장비로서 아군의 동급 장비보다 우수하다고 합니다만 본인은 그러한 의견이 철저하게 검증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바주카포: 미군의 바주카포와 독일군의 “88mm” 바주카포를 시험사격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독일군의 5호전차를 80야드 부터 200야드 거리에서 사격했을 때 명중시에는 측면장갑과 전면장갑을 모두 관통할 수 있었습니다. 대략 12발을 사격했습니다. 빗나간 포탄은 탄두가 지면에 충돌하면서 폭발했습니다. 미제 바주카포는 측면 장갑에 명중한 열 발 중에서 단지 세발만이 관통을 기록했습니다. 2백야드에서는 한발도 관통하지 못했습니다. 빗나간 포탄은 지면에 충돌해도 폭발하지 않았습니다.

독일제 바주카포는 2백야드 거리까지 아군의 바주카포 보다 정확도가 높았고 탄도도 곧은 편이었습니다. 시험 결과 독일군의 바주카포가 아군의 바주카포 보다 우수하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피복류: 기본적인 피복류에 대한 비교평가는 한두가지 척도로 판단할 수 없습니다. 독일군의 진한 녹색 군복은 미군의 국방색 군복 보다 위장효과가 좋습니다. 적군의 피복류는 통일성을 갖추어 표준화가 되어있기 때문에 보급을 간소화 하며, 피아식별에 있어서도 유리합니다. 미군 기갑병의 야전 자켓은 피아를 막론하고 이와 유사한 형태의 군복 중에서 가장 뛰어납니다. 미군의 군화와 철모는 독일군의 것 보다 뛰어납니다. 미군의 우의는 재질이 형편없습니다. 피아를 막론하고 판초 형태의 우의가 보다 쓸만합니다. 독일군이 사용하는 뒤집어 입을 수 있는 동계 피복은 아군이 지난 동계작전에서 사용했던 어떤 피복 보다 훨씬 쓸만하고, 방한성이 좋으며 실용적입니다. 유럽 전역에서는 영국군의 전투복이 피아를 막론하고 여러 방면에서 가장 뛰어난 군복이라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The British Battle dress is considered the best all-round uniform used by either Allied or enemy forces in Europe.)

ibid, pp.24~27.


MG42에 대해서 지나치게 탄약을 낭비한다고 혹평을 하고 있습니다. 틀린 말은 아닌데 미군이 총알보다 더 비싼 포탄을 마구 쏟아붇는 걸 생각하면 묘하게 수긍이 가질 않는군요. 마지막은 기갑병과 장교의 보고 입니다. 호킨스 중령의 보고는 충분히 예측 가능한 내용입니다.


윌슨 M. 호킨스Wilson M. Hawkins 중령, 제67전차연대 제3대대장

본인은 지난 2년 5개월간 북아프리카, 튀니지(이때는 제1기갑사단에 배속되어 있었습니다.) 노르망디, 북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그리고 현재 독일에 이르는 전장에서 전투에 참여하여 미군의 장비를 사용한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중형전차대대의 대대 선임참모, 연대 작전장교, 전차연대 선임참모, 전투단 선임참모, 그리고 중형전차대대 대대장으로 활동했습니다.

미군과 독일군 전차의 성능을 비교하라고 한다면 간단히 다음과 같습니다. 만약 나에게 선택권이 있다면 지금 독일군이 쓰는 5호전차나 6호전차를 타고 미군의 중형전차나 90mm포 구축전차를 상대로 싸울 것 입니다.(If such a choice were possible, I would prefer to fight in the present German Mark V or VI tank against present U.S. medium tank and tank destroyers with the 90mm gun.)  이같은 결론을 내린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습니다. 네번, 다섯번, 또는 여섯번 정도의 전역을 경험한 전차병이라면 본인과 같은 생각일 것 입니다. 우리 전차병들에게 아군 장비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기 위해서 모든 조치를 취했으며 모든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아군의 장비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데 온 힘을 쏟았습니다.

아군의 M4 전차의 방어력을 독일군의 5호전차나 6호전차와 비교한다면 좋은 평가를 할 수 가 없습니다. 적 전차의 장갑은 아군 전차 보다 훨씬 두껍고 경사장갑이어서 정상적인 각도에서는 타격을 가할수가 없습니다. 튀니지의 파이드 고개를 아군이 탈환했을때 그곳을 시찰한 일이 있었습니다. 격파된 아군 전차들을 살펴보니 88mm 포탄이 포탑 전면을 관통해 포탑 후면까지 뚫고 나갔습니다. 피격된 흔적을 보니 맞기만 하면 관통된 것 이었습니다. 아군의 전차는 88mm와 75mm는 물론 50mm포를 맞아도 차체와 포탑의 모든 부위가 관통됐습니다. 수많은 관통된 구멍을 직접 세어봤습니다.

현재 접지압 문제는 지난 겨울에 비해서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국-버마-인도 전선에서는 접지압이 중요할 것 입니다. 약한 지반에서 아군 전차가 얼마나 가라앉는지 독일군의 5호전차 및 6호전차와 비교해 봤습니다. 궤도에 덕빌을 달기 전에는 6인치에서 8인치 정도 빠져들었는데 5호전차는 4인치 정도만 빠져들었습니다. 우리는 앞의 전차를 그대로 따라가거나 주행시 급선회 하는 것을 최대한 피했습니다. 이 경우 차체까지 빠져들어 옴싹달싹 못하게 될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런 문제점은 율리히Julich 서쪽의, 부름Wurm강과 뢰어Roer강 사이에 펼쳐진 평야지대에서 드러났습니다. M4전차의 신형 E8 현가장치는 넓은 궤도를 사용하기 때문에 독일군의 5호전차와 동일한 접지압을 보여주었습니다. 덕빌을 사용하는 것도 일시적으로는 좋은 효과를 보여주었지만 덕빌은 계속해서 교체해 주어야 하며 양호한 접지압이 필요한 불도저 장착 전차에는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전차포는 전차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본인은 독일군의 4호전차, 5호전차, 6호전차에 탑재된 75mm포와 88mm포가 아군의 전차를 격파할 수 있는데 아군의 전차는 같은 거리에서 적 전차를 격파할 수 없었던 사례를 수없이 목격했습니다. 수많은 시험이 이루어졌고 이같은 사실을 보여주는 보고서도 간행되었습니다. 우리는 독일군이 75mm 장포신포를 장착한 4호전차를 투입했던 튀지에서 부터 적 전차포에 압도당했습니다. 독일군 전차포의 높은 포구초속은 정확성을 높여주고, 탄도를 곧게 만들어 거리 측정의 중요성이 덜하게 만듭니다. 본인은 아군의 전차에 탑재되는 무기를 모두 사용해 봤기 때문에 이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아군의 76mm포는 75mm포에 비해 크게 개선된 것 입니다.

경전차는 보병을 지원하는데 사용됩니다. 아군의 경전차는 적의 화기를 막아낼 수 없으며 37mm포로는 적의 전차나 자주포를 격파할 수 없기 때문에 적의 화력에 노출되는 것을 최대한 피하고 있습니다.

전차포의 조준기도 심각한 문제입니다. 아군 전차의 조준경은 물론 독일군의 5호전차와 6호전차에 장비된 조준기도 사용해 보았습니다. 본인은 독일 전차의 조준기가 아군의 조준기 보다 목표물을 더 크고 뚜렷하게 보여주어 포수에게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아군 전차와 독일 전차 엔진의 기계적인 성능에 대해서는 비교해 본 바가 없습니다. 현재 중형전차에 사용되고 있는 포드사의 엔진은 기존의 공랭식 항공기용 엔진보다 훨씬 좋습니다. 진창이나 경사가 급한 지형에서는 출력이 부족합니다.

아군 전차의 기동성이 좋다는 이야기가 있긴 합니다. 최근에 우리는 노획한 독일군의 5호전차와 아군이 사용하는 모든 전차를 비교해서 시험해 봤습니다. 5호전차는 야지는 물론 도로에서도 아군 전차보다 더 빨랐으며 급격한 선회도 가능했습니다. 그리고 등판력도 훨씬 우수했습니다.

제 휘하의 전차병 중 일부는 76mm포에 HVAP탄(포구초속 3,400피트)을 사용해서 5호전차의 전면 장갑을 관통했다는 보고를 했습니다. 우리 전차병들은 76mm포에 HVAP탄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믿습니다. 하지만 HVAP탄은 전차 한대 당 두발에서 세발 정도만 보급되었습니다. HVAP탄을 더 확보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76mm포를 탑재한 전차 17대 중 7대만 HVAP탄을 지급했습니다. 그리고 우리 전차대대에 있는 54대의 전차 중에서 E8 현가장치를 가진 것은 세대 뿐입니다.

제3대대의 전차병들은 전차의 방어력을 높이고 독일군 전차포를 막기 위해서 전차 한대 당 170개의 모래주머니를 두르고 있습니다.

아군의 전차는 보병의 공격을 지원하고 전차전은 회피하도록 되어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경험한 바로는 공격을 할 때 전차전을 회피할 수 있는 이상적인 상황은 한 번도 없었고 우리는 독일 전차와 직접 교전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같은 상황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전차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공격시 독일 전차를 격퇴하는 것은 시간이 엄청나게 걸리고 희생이 큽니다. 벨기에의 우팔리즈Houffalize를 확보하기 위해 썽헤Samree에서 공격하던 도중 독일군의 6호전차가 나타나 90mm전차포를 탑재한 구축전차를 포함해 모든 무기를 동원해 공격했지만 아무런 효과가 없었습니다. 8인치 포탄이 직격했는데도 6호전차를 격파할 수 없었습니다. 우회할 방법도 없었습니다. 적 전차는 아군의 M4 전차 세대를 격파한 뒤 야음을 틈타 후퇴했습니다.

근접지원을 하는 항공기들은 적 전차를 폭격해서 아군의 진격을 도왔습니다. 생로St. Lo에서 돌파를 할 때, 그리고 프랑스를 횡단하여 진격할 때 이같은 경험을 했습니다. 율리히 북쪽에 있는, 뢰어강 서안의 바르멘Barmen을 확보한 직후 독일 전차 부대가 반격해 왔을 때는 항공기들이 이것을 분쇄했습니다.  

본인은 튀지니 전역이 끝난 직후, 영국에 주둔하고 있을때, 그리고 프랑스에서 전쟁부가 아군의 장비에 관한 사실을 조사하기 위해 파견한 사람과 인터뷰를 했습니다. 그리고 실전 경험이 풍부한 사병들도 같은 시기에 인터뷰를 했습니다. 전차병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시급히 필요한 문제들, 그리고 지금까지 이야기한 것들은 거의 2년 전에 전쟁부와 병기국에서 파견된 사람들에게 했던 것 입니다.

ibid, pp.27~30.

2011년 7월 11일 월요일

사창리 전투에 대한 미9군단장 호그 소장의 반응

한국군 6사단은 군사사를 공부하는 입장에서 흥미로운 부대입니다. 한국전쟁 초기 춘천 지구 전투에서 북한군에 큰 타격을 입히는 공훈을 세웠고 용문산 지구 전투에서는 중국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기도 했지요. 하지만 6사단은 사창리 전투에서는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참패를 겪기도 했습니다. 6사단은 한국군 부대 중에서 우수한 편에 속한다고 평가되었기 때문에 더욱더 그랬습니다.

당시 6사단을 지휘했던 장도영은 회고록에서 사창리 전투를 간략하게 서술하고 있습니다. 장도영 회고록의 사창리 전투 관련 서술은 대략 이렇습니다.

사단은 이날 가급적 속히 중간목표선까지 진출하여 일몰전에 방어에 들어가려고 하였다. 그렇게 해야만 지형상 사창리로부터의 포병지원이 가능한데다, 또 제7연대의 예비선을 전진시켜 23일 초월공격으로 화천-금화 도로상의 수개 요점을 점거하려 하였다. 그러나 22일 오후가 되면서부터 갑자기 적의 저항이 심하여지며 반격이 잦아지기 시작하였다. 부득이 일선공격부대들은 진격을 멈추고 각 연대의 진출선에서 수세로 전환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드디어 일몰이 되자 중공군은 새로운 부대로 대거 침공을 개시하여 우리 일선전후에 쇄도하였다. 피아의 공방전은 밤이 되면서 더욱 더 치열해졌다. 자정이 되자 적의 새로운 대부대가 포격을 증가시키며 파상공격을 계속해 왔고, 또 다른 부대들은 전에 없던 기병대와 혼성하여 사단 전구 후방에 침투, 각 지휘소를 교란하기 시작했다.

방어진지에서 이탈하여 공격 전진 중에 적의 대부대의 공격을 받은 사단은 중과부적으로 일선을 전날의 공격출발선까지 철수시킬 수 밖에 없었다. 예비 7연대도 역시 전진하여 일몰전까지 방어에 들어가 사단주력의 철수를 엄호하다가 밤에 사창리 예비진지로 후퇴하였다.

23일 새벽까지 공방전을 계속하는 동안 적의 새로운 대부대는 야음을 이용하여 계속 남하하였으며, 여명시에는 이미 우리 전선 후방 깊숙이 진출하였다. 사단은 부득이 주력을 사창리 방어선으로 철수하고, 예비 7연대는 다시 38선 일대의 진지를 점령케 하여 적의 진격을 저지하려고 하였다.

24일에도 역시 적은 계속하여 우리 일선부대와 교전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부대를 투입하여 우리 후방으로 우회 포위하고 또 다른 부대들로 깊숙이 남하하여 우리 후방 요지들을 점거하는 작전을 반복하였다. 우리 사단은 중공군 제20군 소속 제58, 59, 60사단, 그리고 20사단 등 4개 사단의 집중공격을 받은 것 이었다. 25일에 이르러 우리는 가평북방까지 철수하여 방어선을 확보하고 국부적으로 반격을 감행하여 그날 오후가 되어서야 비로소 적의 진격을 완전히 저지할 수 있었다.1)

장도영의 회고록에서는 사창리 전투의 패배를 다소 축소해서 서술하고 있지만 한국전쟁에 관심을 가진 분들이라면 잘 아시다 시피 사창리 전투는 6사단이 경험한 패배 중 가장 황당한 패배였습니다. 사창리 전투 직후 6사단이 용문산 지구 전투에서 대승을 거둔 것을 생각한다면 더욱 더 황당하지요. 6사단의 패주는 군단 예비대로 있던 영연방 27여단이 투입되어 겨우 막을 수 있었습니다. 영국군 공간사는 6사단의 패배에 대해 이렇게 평가하고 있습니다.

4월 22일 오후, 한국군 6사단은 제19연대를 좌익에, 제2연대를 우익에 두고 와이오밍선을 향해 진격하기 시작했다. 본대보다 3마일 정도 앞선 차량화수색대는 적과 접촉하지 못했다. 하지만 미 제9군단의 포병 관측기가 갑작스럽게 대규모의 적이 남진하는 것을 포착하여 적의 접근을 알렸으며 이 소식은 제8군의 전선 전체에 전달되었다.

한국군 6사단장 장도영 준장은 1600경 선두의 두 연대를 정지시키고 두 연대의 전투지경선 사이의 간격을 메워주는 좋은 지역이었던 인접한 산에 방어진지를 구축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장도영 준장은 제7연대를 제2연대 뒤에 배치했다. 한국군 6사단은 날이 밝는대로 종심 5마일의 방어선을 형성할 수 있을 것 이었다. 장도영 준장은 지원부대로 6사단 포병대대외에 제16 뉴질랜드 야전포병연대(대대급)와 미군의 4.2인치 박격포 1개 중대를 갖추고 있었다. 이 외에도 미 9군단의 155mm 야포 1개 대대와 105mm 야포 4개 포대가 추가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었다.

날이 지자 한국군 6사단은 사단 및 군단 지휘소의 지도에 표시된 진지에 포진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장도영 준장이나 6사단 사령부의 참모들이 각 연대의 구역을 직접 시찰했다면 상황이 매우 좋지 않다는 것을 알았을 것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그러질 않았다. 방어진지로 재전개 하는 것이 매우 느렸고 사격 진지는 진창이었다. 야간 방어 전투에 필요한 많은 장비들이 산 아래에 있긴 했지만, 초급 장교와 부사관, 사병들은 꾸물거렸고 적극적으로 움직이지 않았다. 이렇게 된 원인은 훈련이 부족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중국군의 공세가 코앞에 닥쳤다는 위기의식을 느낀 부대가 별로 없기 때문이기도 했다. 한국군 장교들 중 상당수가 특별한 기준 없이 선발되었고 훈련도 부족했기 때문에 이런 문제에 대응하기에는 불출분했다.

이같은 상황하에서는 걱정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일몰 후 대략 한시간이 지나자 중국군 제60사의 선두 연대가 공격 준비사격이나 다른 공격 조짐도 보이지 않은채 갑자기 한국군 제2연대의 최전방 대대를 휩쓸고 돌진하기 시작했다. 제2연대가 혼란에 빠졌을 때 중국군의 두 번째 연대가 나타나 (2연대의) 예비대대를 향해 공격을 시작했다. 저항은 약간의 간헐적인 소화기 사격에 그쳤다. 제19연대는 왜 사격을 하는 건지 물어본 뒤에야 제2연대가 곤경에 빠졌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한 시간도 되지 않아 제2연대의 생존자들과 제19연대 전체가 방어진지를 버리고 도주하기 시작했으며 일부는 무기와 장비도 모조리 버리고 어둠속으로 사라졌고 보다 신중한 이들은 장비와 탄약, 무전기는 챙겨서 후퇴했다. 그렇다 하더라도 수많은 장비가 유기되었다. 제7연대는 제2연대의 패잔병들 때문에 비상이 걸려 2200에서 2230사이에 황급히 방어선에 전개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곧바로 제7연대도 패주하기 시작했다.

미군과 뉴질랜드군의 포대는 한국군 6사단 구역에 관측소를 설치하지 못했기 때문에 한국군의 화력지원본부(fire support center)를 통해 목표를 지정받아야 했다. 한국군의 전방포병관측요원들도 도주하는 보병들과 함께 달아났기 때문에 미군과 뉴질랜드군 포병들은 화력지원요청을 받지 못했다. 한국군의 포병 진지들은 총퇴각의 와중에 모두 버려졌다.

2230 경 군사고문관 한 명이 뉴질랜드군의 지휘소에 한국군의 전방에 배치된 2개 연대가 공격을 받아 5km 정도 퇴각했다고 알려왔다. 한시간 반 뒤 한국군 6사단 사령부도 예하 연대와의 연락이 모두 두절되었다고 알렸다. 이 무렵 소규모의 한국군 병사들이 뉴질랜드군의 포진지를 지나쳐 가평천을 따라 난 길을 따라 도망쳤다. 23일 0100 무렵이 되자 이 길은 수많은 패잔병들로 가득 메워졌다.

다행히도 한국군은 적군보다 훨씬 앞서 도망치고 있었다.(Fortunately, they had outpaced their foe.)2)

미육군 공간사인 Ebb and Flow에서는 사창리의 패전을 무미건조하게 사실 위주로 서술하고 있는 반면 영국군 공간사는 살짝 시니컬하게 쓰고 있어 한국사람을 무안하게 하지요;;;;3)  6사단 부사단장 이었던 임부택 대령은 사창리 전투 당시 6일 동안이나 포위되어 있다가 간신히 귀환할 정도로 6사단의 혼란은 심각했습니다.4)  다행히도 중국군은 전과를 확대하지 못하고 반격에 직면해 대참사는 막을 수 있었습니다만 한국군의 정예부대였던 6사단은 체면을 있는대로 다 구기죠.

사창리 전투에서 제6사단과 배속된 부대가 상실한 장비는 다음과 같았다고 합니다.5)


한국군 제6사단과 배속부대의 장비 손실(1951. 4. 22~23)
한국군 제6사단
6사단 배속부대
75mm 야포
6
105mm 야포
8
15
M1 소총
2,353
카빈
852
BAR
85
중기관총
45
경기관총
43
기관단총
72
권총
45
60mm 박격포
37
81mm 박격포
7
4.2인치 박격포
7
3/4톤 트럭
11
11
1/4톤 트럭
22
27
2½톤 트럭
17
22
도요타 트럭
23
닛산 트럭
13


장도영의 회고록에는 호그 소장의 질책에 대해 별다른 언급이 없습니다. 하지만 이런 참패를 겪었는데 아무 반응이 없었을 리가 없지요. 6사단의 어처구니 없는 패배뒤에 미 제9군단장 호그(William Morris Hoge) 소장은 장도영 준장에 다음과 같은 서한을 보냈습니다.

장도영 장군에게,

이 서한은 귀하가 1951년 4월 25일 귀하의 사단의 상태와 현황을 보고한 서한에 대한 답장이오.

1951년 4월 22일 밤 귀하의 사단이 보인 행위에 대한 나의 실망은 글로는 표현할 수 없을 정도요. 22일 저녁 제2연대와 제19연대의 패주와 와해는 납득할 수 없으며 모든 면에서 불명예 스러운 것이오. 내가 가진 정보에 의하면 적군은 귀하의 사단에 비해 병력과 장비 면에서 열세에 있었던 것이 분명한데 제2연대와 제19연대는 이렇다 할 저항도 하지 않고 혼란에 빠져 도주했으며 무기와 장비를 적이 노획하도록 내버려 두었고 우리측의 지원부대들 까지 유린되게 했소. 이 때문에 지원부대들은 심각한 물자와 장비의 손실을 입어야 했소.

제7연대도 나을 것이 없소. 제7연대는 예비대로서 공격을 감행해 제2연대가 잃어버린 진지를 탈환하라는 지시를 받았소. 이 공격을 실시했다면 성공했을 것이 분명하고 다른 부대들의 와해를 막는 한편 진지를 되찾을 수 있었으리라 확신하오. 제7연대는 이 공격을 실시하지 않고 대신 후방으로 달아났고 연대의 일부 병력이 23일 오전 수마일 후방에서 재집결했을 뿐이오.

귀하의 사단으로 인해 양익의 아군 부대들은 적의 돌파 위험에 직면하게 되었소. 적군이 초기의 성공을 확대했다면 엄청난 참사가 일어났을 것이오. 아군이 적의 돌파를 저지할 수 있었던 원인은 적군이 소수에 불과했고 한국군 6사단의 패배로 인한 이점을 활용하는데 실패했기 때문이오.

본인의 판단으로는 귀하의 사단이 와해된 근본적인 원인이 모든 계급의 장교와 부사관들이 지휘력과 통제력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이오. 하위 제대의 부사관과 장교들이 초기 단계에서 지휘책임을 고수했다면 혼란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오. 이러한 혼란은 매우 빨리 퍼지기 때문에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해서라도 최대한 빨리 진정시켜하는 것이오.

상위 제대의 지휘관들은 전투 초기 단계에 해당 구역에 없었기 때문에 지휘관들이 개입하기도 전에 병사들의 패주가 손을 쓸 수 없을 정도가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하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상위제대 지휘관들의 책임이 없는 것은 아니오. 사단장과 사단 참모들, 연대장과 그 이하의 지휘관들은 부대의 훈련과 규율 유지에 책임을 지는 것이오. 과거에 이러한 조치들을 충분히 취했고 이러한 긴급 상황에서 공격적인 지휘력을 발휘할수 있었다면 이와 같은 패주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오.

본인이 제9군단의 지휘를 맡은 이래 4월 22일 까지 제6사단은 부여받은 임무를 모범적으로 수행해 왔소. 본인은 귀하와 귀하의 사단을 높게 평가했으며 한미양국의 고위층에게도 칭찬했소. 이러한 확신이 없어진 것이 정말 유감이오. 앞으로 이와 같은 불명예스러운 기억을 지워버릴 수 있을 만큼 전장에서 활약을 해야만 나의 확신이 되살아 날 것이오.

본인은 귀하와 한국군 6사단의 전 장병이 사단의 재건을 위해 최선을 다하여 제8군의 다른 부대들과 전장에서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는 영광스러운 위치를 차지할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오.6)

그리고 호그 소장은 5월 2일에는 제8군 사령관에게 다음과 같은 전문도 보냈습니다.

1951년 4월 22일의 적 공세 이전만 하더라도 한국군 제6사단은 부여받은 임무를 모범적으로 수행해 왔습니다.

현재까지의 정보로는 1951년 4월 22일 공세 당시 적군의 병력이나 장비는 한국군 6사단 보다 열세했습니다. 적의 공격이 시작된지 얼마 되지않아 제2연대와 제19연대는 와해되어 이렇다할 저항도 하지 않은채 혼란에 빠져 패주했으며 무기와 장비를 내버려두고 도망치면서 우리측 지원부대들 마저 유린되게 했습니다. 예비대로 있던 제7연대는 명령대로 공격하지 못했습니다. 제7연대 또한 혼란에 빠져 후방으로 패주했습니다. 4월 23일 오전 한국군 제6사단장은 사단의 병력이 대략 3,000명 정도라고 파악했습니다. (6사단 예하) 연대들이 패주, 와해된 것은 도데체 그 이유를 알 수 없으며 모든 측면에서 불명예스럽습니다. 4월 23일, 재편성된 사단의 잔여 병력은 어떠한 저항도 하지 않고 다시 방어진지를 버렸으며 지원부대들을 뒤로 하고 후방으로 도망쳤습니다. 한국군 6사단을 와해시킨 공격은 군단의 예비대로 있던 영연방 제27여단 소속의 약 2개 대대에 의해 저지되었습니다.

한국군 6사단에 소속된 분대에서 연대에 이르는 모든 부대들이 이렇다 할 저항도 없이 혼란에 빠져 와해된 상태로 퇴각한 것이나 무기와 장비를 내팽개쳐 적이 노획하도록 한 사실은 모든 계급의 장교들과 부사관들의 지휘력과 부대 장악력이 부족하다는 점을 보여주었습니다.

의견 : 본인은 한국군 제6사단의 패주는 모든 계급의 장교와 부사관들이 공격적인 지휘력을 결여하고 있는데 그 원인이 있다고 생각하며 하위 제대들이 초기 단계에서 지휘책임을 고수했다면 혼란이 시작되지 않았을 것 입니다. 사단 내에 제5열이 침투해 있었다는 증거는 없지만 그랬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소문을 퍼트리는 병사는 순식간에 공황과 혼란으로 번져나갈 수 있는 의심과 공포의 씨앗을 뿌릴 수 있습니다.

제안 : 모든 한국군 장교와 부사관들에게 지휘관은 책임을 가지며 이것은 부하들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이고 책임이란 부하들의 훈련, 군기 유지, 그리고 복지라는 기초적인 원칙을 철저히 숙달시켜야 합니다.7)

여기서 호그 소장은 한국군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한국군이 패전할 경우 단골로 지적되는 장교와 부사관의 자질 문제이지요. 다행히도 장도영과 6사단은 얼마 안되어 명예를 회복할 기회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어쨌든 아쉬운 것은 사창리 전투의 패배만 없었다면 제6사단은 전설적인 부대로 남을 수 있었다는 점 입니다.



1) 장도영, 『望鄕』(숲속의 꿈, 2001), 215~216쪽
2) Anthony Farrar-Hockley, The British Part in the Korean War Vol.II : An Honourable Discharge(HMSO, 1995), pp.139~140
3) 미육군 공간사의 사창리 전투 서술은 Billy C. Mossman, Ebb and Flow(USGPO, 1990), pp.381~385를 참고하십시오.
4) 林富澤, 『洛東江에서 楚山까지』(그루터기, 1996), 375쪽
5) 6th ROK Division(1951. 4. 28), James A. Van Fleet Papers, Box 86, Republic of Korea Army, Folder 1-2, 4-9, 10
6) From Major General W. M. Hoge to Brigadier General Chang Do Young(1951. 4. 28), James A. Van Fleet Papers, Box 86, Republic of Korea Army, Folder 1-2, 4-9, 10
7) IXCCG76, James A. Van Fleet Papers, Box 86, Republic of Korea Army, Folder 1-2, 4-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