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2월 4일 금요일

국립김해박물관 특별전시전 '갑주: 전사의 상징' 도록


10월에 부산 출장을 가면서 잠깐 시간을 내 김해박물관의 특별전 '갑주: 전사의 상징'전을 다녀왔었습니다. 매우 훌륭한 전시여서 전시가 끝나는 11월 29일 이전에 시간을 내서 한번 더 가야 겠다고 생각했는데 유감스럽게도 그럴 수가 없었습니다. 그 대신 박물관 매점에 연락해서 도록을 한 부 구매했습니다. 이 도록도 전시 만큼이나 훌륭하네요.



도록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제1장 '갑주의 흐름'은 한반도 고대 국가들의 갑주 발전사를 보여줍니다. 나무와 갑옷 등을 소재로 한 갑주에서 철을 사용한 판갑과 찰갑, 마지막으로 마갑을 포함한 중기병이 등장하기 까지 이어지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4~5세기 찰갑의 발전과정을 보여주는 부분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참고로 동래성 해자 유적에서 발굴된 조선시대 찰갑에 대해서도 간략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소단락 '비늘갑옷 읽기: 유적에서 출토된 비늘갑옷을 복원하기 까지'에서는 찰갑의 재현 과정을 사진과 함께  간략히 설명해 놓았습니다. 영화나 드라마 소품 담당자들에게 유용한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제2장 '갑주의 지역성'은 고대 국가별 갑주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는 장 입니다. 먼저 한반도의 철제 갑주 도입에 영향을 준 중국 갑주 유물과 한반도의 영향을 받은 왜의 갑주에 대한 간략한 해설로 시작해 종장판갑(縱長板甲)으로 대표되는 가야와 신라, 그리고 찰갑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 갑주의 특성을 보여주는 유물과 벽화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아쉬운 점이라면 유물을 비롯한 자료가 부족한 백제 갑주에 관한 부분이 좀 빈약하다는 것 입니다. 소단락 '백제인가, 당인가?: 공산성에서 출토된 옻칠갑옷'에서는 공주 공산성 터에서 출토된 옻칠갑옷을 비롯한 갑주 유물에 대한 두 가지 가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제3장 '갑주: 고대 기술의 정수'에서는 고대의 갑주 제작 방식과 갑주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다양한 찰갑 소찰의 결합 방식을 설명한 부분이 흥미있었습니다. 제3장은 분량이 조금 소략합니다.

제4장 '갑주로 엿본 고대사'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됩니다. 첫 번째는 갑주의 장식과 매장 방식을 통해 갑주에 대한 고대인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가 중요한데 바로 한반도 중부와 남부에서 출토되는 왜 계열의 갑주의 역사적 의의를 다루고 있습니다.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나타나는 왜 계열의 유적과 유물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소재인데 일본측에서는 임나일본부의 실존을 증명하는 근거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도록에서는 한반도 고대국가들과 왜의 활발한 교류를 보여주는 유물이라는 서술을 하고 있습니다. 김영민의 2014년 논문을 인용하여 왜 계열의 갑주가 주로 발굴된 가야의 경우 교역품으로, 백제 지역의 경우는 갑주 소유자가 왜인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라남도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빈번하게 출토되는 왜 계열의 유적과 유물이 용병의 성격을 가진 왜군의 주둔을 보여주는 것인지, 아니면 이 지역과 왜의 활발한 교류를 보여주는 것인지 문제를 제기하는 점도 주목할 만 합니다.

마지막으로 도록의 말미에는 두 편의 짧은 논문이 실려 있습니다. 정관박물관의 이현주가 쓴 「삼국시대 찰갑제작의 전개과정」과  울산문화재연구원의 오광섭과 부산대학교 박물관의 박준현이 쓴 「삼국시대 판갑의 연구 현황과 과제」 두 편 입니다. 이현주의 글은 한반도 고대 갑주의 발전 과정을 시기별로 설명하고 있는 글이고, 오광섭과 박준현의 글은 한국의 고대 갑주 연구사를 정리한 글 입니다.

도판과 해설 모두 충실한 훌륭한 도록이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김해박물관 매점에 연락해서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이런 훌륭한 책은 많은 분들이 보셨으면 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