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Mig15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Mig15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1년 9월 6일 월요일

『6.25전쟁 미 공군 항공전사』가 다시 번역되었습니다

 


얼마전 공군본부에서 로버트 퍼트렐(Robert F. Futrell)The United States Air Force in Korea, 1950-1953을 다시 번역해서 6.25전쟁 미 공군 항공전사』라는 제목으로 간행했습니다. 이번 번역본은 1988년에 나온 개정판을 저본(底本)으로 하고 있습니다. 한국어판이 새로 나왔으니 이 책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조금 이야기 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이 책은 미국 공군의 작전을 연대기 순으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전형적인 공식 역사서의 틀을 따라가고 있지요. 그래서 전쟁의 주요 국면마다 미국 공군 수뇌부와 극동공군 사령부가 어떤 판단을 내리고 어떻게 행동했는지 파악하는데 유용합니다. 중요한 점은 이 책이 한국전쟁시기 공군의 작전을 다루고 있다는 점 입니다. 미국 공군은 1947년 육군에서 독립한 신생 병종입니다. 한국전쟁은 미국 공군이 독자적인 병종으로 수행한 첫 번째 전쟁입니다. 퍼트렐은 미국 극동공군이 극동군사령부 예하의 전력으로 통합작전의 틀 내에서 공군의 구상을 어떻게 관철시켰는지를 잘 서술하고 있습니다. 한국전쟁 초기 북한군 후방에 대한 항공차단작전 수행을 위해 근접항공지원을 더 선호한 육군지휘관들(맥아더와 워커, 알몬드)을 극동공군 사령관 스트레이트마이어 장군과 제5공군 사령관 패트리지 장군이 설득하는 과정이 대표적입니다. 미국 공군의 관점에서 집필된 공간사인 만큼 합동군이라는 체제하에서 자군의 논리를 어떻게 관철시켰는가를 중요시 하는 것 같습니다. 합동작전의 틀 내에서 미국 공군이 해군 및 해병항공대 전력과 어떻게 작전을 조율했는지 보여주는 점도 흥미롭습니다. 1951년 추계전역에서 해병대가 해병항공대의 근접지원을 독점하면서 육군에 비해 과도한근접지원을 받게 되자 육군의 리지웨이 장군이 형평성측면에서 문제를 제기한 점이 대표적입니다. 이 책은 합동군 체제인 미군의 일부인 미국 공군이 합동작전의 경험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잘 보여줍니다.

 

다음으로 흥미로운 점은 세계적 냉전하에서 한국전쟁의 위치를 보여주는 서술입니다. 저자는 미국 극동공군이 전쟁 발발 이전부터 상대적으로 전략적 우선순위가 낮은 동아시아에 배치되어 있었던 까닭에 충분한 전력을 갖추지 못하고 전쟁에 참여한 점을 지적합니다. 이런 문제점은 전쟁 내내 계속됐습니다. 저자가 잘 지적하고 있듯 유럽 주둔 미국공군의 증강이 최우선 순위였기 때문에 미국극동공군, 그 중에서도 한국전선을 담당한 미국 제5공군은 격전의 와중에서도 충분한 지원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 제5공군이 한국전선의 제공권을 장악하는데 문제가 없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미국 공군의 강력함을 과시하는 서술이 인상적입니다. 이건 분명한 역사적 사실이기도 하죠. 저자 퍼트렐은 미국 극동공군이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고 대안을 제시하면서 전쟁을 수행하는 과정을 흥미롭게 저술하고 있습니다. 비록 미국 공군의 공식 역사서이지만 서술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이 책에서 가장 재미있는 부분은 정치적으로 무승부를 낼 수 밖에 없었던 제한전에서 미국 공군이 실질적 승리를 거뒀음을 보여주려는 서술입니다. 미국의 압도적인 공군력이 공산측의 전쟁 수행 의지를 꺾은 것은 냉전 이후 스탈린과 김일성 회담 녹취록들이 공개되면서 설득력을 얻었습니다. 퍼트렐은 휴전회담이 진행되면서 공산측을 압박하기 위해 수행된 폭격작전이 어떤 성과를 거두었는지, 그리고 공산군이 이에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잘 서술하고 있습니다. 1952년 이후 중공군의 방공망이 강화되면서 미국 공군의 작전에 어려움이 있었음을 솔직히 인정하고 있습니다.(이 점은 중국측에서 자국의 승리를 주장할 때 내세우는 단골 소재이기도 합니다.) 물론 미국 공군이 이런 난관을 극복하고 폭격을 통해 공산측을 협상장으로 끌어냈음을 강조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것이 1951년 이후 미그 앨리에서 전개된 공중전의 양상입니다. 저자는 미국 공군이 실질적으로 승리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F-86MiG-15의 대결을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습니다. 전쟁 당시에도 유엔군은 승리하고 있음을 과시하기 위해 미국 공군의 F-86 부대가 공중전에서 거둔 전과를 선전의 소재로 적극 활용했습니다. 물론 미국 공군의 F-86이 공산군의 MiG-15에 대해 우세한 전과를 거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소련측 자료가 공개되면서 실제로 미국 공군이 생각한 것 만큼 압도적인 승리가 아니었던 게 드러났지요. 이렇게 미국측 자료에만 의존해 집필되다 보니 현재 시각에서 약간 부정확한 서술이 보이는건 아쉬운 점이라고 하겠습니다.

 

미국 공군의 입장을 대변하는 저작이다 보니 전쟁 기간 중 미국 공군의 폭격으로 발생한 민간인 피해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을 하지 않습니다. 이런 문제점은 김태우의 『폭격』 같은 연구들이 나오면서 극복됐습니다. 민간인 피해를 외면하는 점은 이 책이 냉전시대에 미국 군부의 입장을 대변해 집필됐다는 한계를 적나라하게 보여줍니다. 다행스럽게도 오늘날 우리는 이런 문제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런 몇가지 단점이 있지만 훌륭한 저작이라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오래전에 집필되어 현재의 시각에서는 다소 아쉽지만 그럼에도 오늘날에도 충분히 읽을만한 가치가 있는 책 입니다. 다만 비매품으로 간행되었다 보니 편하게 구하지 못하는 점이 단점입니다.


2009년 12월 2일 수요일

모스크바 용팔이

한국전쟁당시 중국이 무기 구입을 위해 소련에 대표단을 파견했을 때 다음과 같은 일이 있었다고 합니다.

중국공군은 제4차 전역(1951년 1월 25일~1951년 4월 21일)에서 비로소 대규모로 투입되기 시작했으며 그 뒤로 중국인민해방군은 한국전쟁에 총 10개 전투기사단(총 22개 사단 중)을 순환체제로 투입했다. 소련측은 처음에는 충분한 숫자의 MiG-15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MiG-9만 판매하려했다. 중국측이 구식화된 MiG-9로는 미국의 최신예 항공기들을 상대할 수 없다고 항의하자 소련 당국자들은 중국측이 소련제 무기를 깎아내린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스탈린은 이 문제를 보고 받자 중국측이 372대의 MiG-15를 구입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 중국과 소련의 협력관계는 시간이 흐를수록 굳건해져갔으며 그것은 저우언라이가 1960년에 스탈린은 한국전쟁이 진행되어 가면서 중국에 대한 의심을 거두었다고 말하게 할 정도였다.

Goncharov, Lewis and Xue, Uncertain Partners : Stalin, Mao, and the Korean War,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3, p.201

아마 당시 중국측의 불평에 발끈했다는 소련측 담당자도 MiG-9가 F-86의 상대가 된다고는 믿지 않았을 겁니다. 중국 대표단과 소련측 간에 오고간 대화의 녹취록이 있다면 꽤나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2009년 6월 11일 목요일

관대한 스탈린 동지

스탈린 동지의 관대함(???)을 엿볼수 있는 일화 하나입니다.

기묘하게도 스탈린이 중국에 대해 소련으로부터 무기와 장비를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대부에 동의한 뒤 중국이 이것을 환불하는 문제와 환불 방법에 대한 문제는 공식적으로 제기되지 않았다. 그 결과, 상환은 이루어 질 때도 있었고 그렇지 않을 때도 있었다. 중국은 무기 도입 비용의 상당부분을 지불했으나 어떤 경우에는 스탈린이 그 부담을 덜어주기도 했다.

한 가지 사례를 들면 스탈린은 중국이 인민군 2개 사단(1950년 초 북한군에 합류한 2개의 조선계 사단과는 별도로)에 장비를 제공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소련이 전쟁 중 공급했던 64개 사단 분량의 장비 가격 중 20개 사단 분의 가격을 면제해 주었다. 중국은 나머지 무기에 대한 비용은 분할해서 지급했다. 모든 차관은 연간 10억 위안의 비율로 상환되어 1965년 말에는 모두 청산되었다.

중국 공군의 항공기들은 제4차 전역(1951년 1월 25일-4월 21일)에서 처음으로 실전에 투입되었으며 그 후 인민해방군은 (총 22개 중) 10개 전투기사단을 교대로 전쟁에 투입했다. 초기에 소련 당국자들은 소련군의 장비에 MiG-15가 대량으로 도입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에게는 MiG-9 전투기만을 판매하는데 동의했다. 중국측이 구식인 MiG-9 전투기는 미군의 최신예 항공기에 상대가 되지 않는다고 항의하자 소련 당국자들은 중국측이 소련제 무기를 무시한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이 문제가 마침내 스탈린에게 까지 알려지자 스탈린은 중국에게 372대의 MiG-15를 판매하도록 지시했다.

Sergei N. Goncharov, John W. Lewis, Xue Litai, Uncertain Partners : Stalin, Mao, and the Korean War,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3, p.201

사실 스탈린 동지를 찬양하려는 것은 아니고 그냥 땜빵 포스팅입니다.;;;;;

2007년 8월 19일 일요일

중국 항공박물관

중국 항공박물관은 꽤 전시물이 많은 편이지만 교통이 불편했습니다. 먼저 버스로 베이징 외곽의 샤허까지 나간 뒤에 샤허에서 버스를 갈아타야 하는데 샤허까지 나가려면 보통 버스를 두 번 갈아타거나 택시를 잡아타야 했습니다.

그리고 버스에서 내린 뒤 수백미터를 더 걸어들어가야 합니다.

이 썰렁한 건물이 매표소입니다. 원래 입장료는 50원인데 해방군 창군 80주년이라고 2원에 들여보내주더군요.

야외 전시물의 상당수가 중국제 Mig-19였습니다. 다양한 파생형이 전시되어 있더군요. Mig-19가 너무 많아 박물관이 아니라 퇴역장비 폐기장인것 같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Mig-19 떼샷!



실내 전시관은 과거에 격납고(?)로 쓰이던 곳에 위치해 있었습니다. 좋은 전시물이 많았는데 이상하게 사진이 제대로 안 찍혀서 쓸만한 사진을 별로 못 건졌습니다.


역시 박물관에는 모형이 있어야 합니다. 왜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Bf-109와 P-38 같은 2차대전 항공기 모형이 있더군요.


그리고 라이벌인 F-86과 Mig-15입니다. F-86은 당연히 노획한 것일리는 없고 파키스탄 공군이 기증한 기체입니다.




국민당 공군이 사용한 I-16과 플라잉 타이거즈의 P-40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P-40은 실물크기 목업이더군요.




격추당한 대만공군 U-2의 잔해입니다.



다시 야외 전시장으로 나갔습니다.

여기서 마오 주석과 저우언라이 동지의 전용기를 구경하는 광영(???)을 누렸습니다.

마오주석 전용기입니다. 마오주석 전용기는 한 대가 더 있더군요.

주은래 동지 전용기입니다.

야외 전시실의 전시물 상당수는 보존 상태가 엉망이었습니다. 대부분 이 85mm 대공포와 비슷하게 녹이 잔뜩 슬어 있더군요.


레이더 같은 대형 장비도 있었습니다.



야외 전시실의 전시물도 굉장히 방대했습니다. 너무 많아 제대로 구경도 못하고 사진도 조금 밖에 찍지 못 했습니다. 나중에 다시 가면 그때는 사진을 많이 찍을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