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인도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인도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1월 21일 토요일

[번역글] 우크라이나 전쟁 : 전차 문제에 대한 인도 육군의 침묵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군이 졸전을 하면서 러시아제 무기를 도입한 국가들도 많은 고민을 하는 듯 합니다. 특히 전쟁 초 러시아군이 전차를 대량으로 상실하자 또다시 러시아 전차의 성능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인도 육군은 러시아제 전차를 대량으로 운용하고 있어서 인도 내에서도 러시아 전차의 성능 문제가 논의의 대상이 되는 듯 합니다. 2022년 12월 21일에 공개된 카르티크 보마칸티의 글이 이 문제를 다루고 있어서 번역을 해 보았습니다. 이 글의 필자는 러시아 전차의 성능 보다는 러시아군의 작전 수립 및 작전 수행 능력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


우크라이나 전쟁 : 전차 문제에 대한 인도 육군의 침묵


카르티크 보마칸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전차의 역할에 대한 분석과 논평이 쏟아져나오고 있다. 전차에 관한 대부분의 논의는 러시아 기갑 부대의 막대한 손실이 전차라는 무기체계가 한계에 봉착했는가를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다. 러시아 지상군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약 1,400대의 전차를 상실한 걸로 추정된다. 이 추정치에 따르면 러시아군의 전차 손실 중 상당수는 부분적인 파손, 승무원의 전차 유기, 우크라이나군의 노획으로 인한 것이다. 러시아 기갑부대의 졸전이 이어지는 가운데 인도 육군은 러시아군의 전차 손실에 대해서 공식적으로는 아무런 입장을 내놓고 있지 않다. 또한 인도 육군의 편제에 전차가 적합한지 또는 부적합한지를 분석한 내용도 공개하지 않고 있다.

단 하나의 전쟁만 가지고 전투 효율성을 추론하는 것은 심각한 오류의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인도의 한 분석가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군 기갑부대의 형편없는 작전 수행을 보고는 인도 육군 기계화 전력의 90%에 해당하는 전차를 감축하는게 좋겠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또한 인도육군 북부사령부의 사령관을 지냈던 데핀데르 호다(Deepinder Hooda) 중장도 이 의견을 지지했다. 심지어 그는 이런 발언까지 했다. "히말라야 산맥의 좁은 고갯길에서는 대전차 미사일 발사기 하나로도 전차 연대 1개의 발을 묶어놓을 수 있다." 전차가 시대에 뒤떨어졌다거나 아예 전차의 시대는 끝장이 났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평가해야 한다. 그리고 인도 육군이 공식적으로 입장을 내놓지 않는데에도 책임이 있다. 인도 육군이 고려해야 할 문제는 두가지다. 현재 러시아 기갑부대의 주축을 이루고 있는 T-72 전차와 T-90 전차의 기계적 성능과 이번 전쟁에서 러시아군이 전차를 전술적-작전적으로 형편없이 운용한 것이 러시아 기갑부대의 성과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끼쳤는가이다. 드론과 재블린 같은 새로운 대전차 무기가 등장하기는 했어도 전차와 대전차무기의 경쟁은 새로운 현상이 아니다. 사실 전차도 경계 및 정찰 목적으로 드론을 운용할 수 있다.

먼저 러시아군 전차가 파괴된 원인이 T-72와 T-90 전차의 성능 문제이므로 인도 육군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전차의 역할을 재고해야 한다는 주장은 충분히 입증되지 않았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지금까지의 성과는 전차를 완전히 퇴출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입증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인도의 주요한 경쟁 상대인 파키스탄과 중국은 러시아제 전차나 러시아의 기술적 영향을 받은 전차를 운용하고 있다. 인도군이 운용하는 전차와 인도의 적국이 운용하는 전차는 비슷한 수준이므로 순수하게 기술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인도군의 T-90과 T-72에 대해서 파키스탄과 중국의 전차가 우세하고 보기는 어렵다. 러시아군은 T-72와 T-90 뿐만 아니라 T-80도 대량으로 투입했다. T-80 또한 다른 러시아제 전차와는 다른 높은 연료 소비량과 연료 종류로 인한 승무원의 방기와 노획 등으로 많은 손실을 냈지만 전투에서 격파된 숫자는 많지 않다.

다음으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군의 저항을 과소 평가해서 키이우를 신속히 점령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때문에 침공 초기 단계에서 러시아 기갑부대는 많은 피해를 입었다. 러시아군은 다른 모든 것 보다 신속한 기동과 은밀성, 혹은 기밀 유지에 최우선 순위를 두었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러시아군은 많은 전차를 잃었다. 이와 유사한 사례로는 1965년의 인도-파키스탄 전쟁 당시 파키스탄 기갑 부대가 기밀 유지와 은밀성을 통한 기습 효과를 노리다가 막대한 피해를 입은 일이 있다. 더 중요한 사실은 전쟁 초기에 황급하게 이루어진 작전에도 불구하고 양측의 군대는 군 지휘부의 무능함에도 불구하고 본국 정부의 압박을 받지 않았다는 점이다. 최소한  1965년 전쟁을 연구하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전문가들은 이 점에 동의한다.

그러므로 전차의 형편없는 성능이 아니라 형편없는 지휘 때문에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 1965년 전쟁 당시 주요 기갑전이었던 유명한 "아살 우타르(Asal Uttar)"  전투를 보면 파키스탄 육군은 미국제 패튼 전차를 보유하고 있어 인도 육군의 구형 센추리온을 기술적으로 압도하고 있었다. 하지만 파키스탄 제1기갑사단은 9월 9일과 10일에 인도군이 운하의 제방을 무너트려 형성된 습지대를 정면으로 공격하는 한심한 짓을 했다. 그래서 파키스탄군 전차들은 앉아있는 오리 같은 꼴이 됐다. 어떤 유명한 파키스탄 연구자는 이렇게 설명했다. "파키스탄 전차병들이 버리고 도망간 멀쩡한 전차가 많았다. 9월 11일 오전 파키스탄 제4기병연대장과 12명의 다른 장교들이 포로가 됐다. 인도군은 파키스탄 전차 75대를 격파했다고 주장했다. 아살 우타르 전투에서 인도군의 피해는 센추리온 1대와 셔먼 4대에 불과했다." 현재 러시아군도 이때의 파키스탄군 처럼 형편없는 전술과 보병ㆍ포병ㆍ공군과의 제병 협동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 때문에 많은 수의 전차를 그냥 버려버렸다. 그러므로 파키스탄군이 보전협동을 제대로 하지 못한 점과 오늘날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나타나는 것 처럼 러시아군이 제병협동 작전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점이 기갑 부대의 형편없는 성과의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러시아군이 많은 전차를 상실한 가장 큰 요인은 군수지원이라고 볼 수 있다. 전차는 군수지원 소요가 큰 무기체계이다. 러시아군이 너무 많은 축선에서 공세를 하는 바람에 러시아군의 보급선은 매우 길어지고 취약해졌다. 우크라이나군은 노출된 러시아군의 보급선을 타격했다. 이때문에 러시아군은 전차를 제대로 운용할 수 없었다.

1971년의 인도-파키스탄 전쟁 당시 인도군 푸네 기병연대(Poona Horse)가 투입된 바산타르(Basantar) 전투에서 인도 육군이 승리한 가장 큰 원인은 하누트 싱(Hanut Singh) 이라는 지휘관이 작전상 매우 과감하고 능동적인 결단을 내렸기 때문이다. 싱이 지휘하는 전차부대는 지뢰 지대를 통해 진격했다. 같은 해에 있었던 롱게왈라(Longewala) 전투도 공지협동작전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롱게왈라 전초기지에서 인도 육군이 고수방어를 하는 동안 인도 공군이 공세 작전을 수행해 파키스탄군 제22기병연대의 전차와 제38발루치 연대의 보병에 막대한 타격을 가해 파키스탄군의 진격을 저지했다. 이 전투에 투입된 파키스탄군 전차 부대는 오늘날 우크라이나에 투입된 러시아군 처럼 군수지원이 형편없었다.

마지막으로, 가장 결정적이며 주관적이고 역동적인 변수는 부대의 사기이다. 설사 의도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중요하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연구하는 많은 관찰자들이 놓친 중대한 요소는 바로 러시아군 사기가 낮았기 때문에 러시아군 전차 부대의 지휘관과 병사들의 작전 수행 능력이 떨어졌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전차를 비판하는 인도인들은 인도 육군이 T-72 전차와 T-90 전차의 퇴역을 서두르지 않고, 고지대의 기갑 작전을 위한 국산 경전차 개발을 추진하는데 속도가 붙지 않는다 하더라도 받아들여야 한다. 하지만 인도 육군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 지상군의 작전 수행에 대한 여러 논의들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인도 육군의 편제에서 전차의 역할이 무엇인가에 관해서도 공개적으로 확실한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

2014년 8월 10일 일요일

2차대전기 미영 연합군의 전차 손실에 대한 통계 :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 - (7)



지루하게 늘어지는 ORO-T-117 요약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보고서의 부록C인 “Land Mines Warfare” 부분입니다. 본문에서 간략하게 다룬 지뢰 활용에 대한 연구를 따로 다루고 있는데 부록 중에서 양이 가장 많아 Part 1과 2로 나뉘어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부록C의 Part 1을 정리하겠습니다.

Part1은 크게 다섯부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북아프리카전역, 지중해전역, 북서유럽전역, 동남아시아전역, 태평양전역입니다.

먼저 북아프리카 전역은 총 1,718대의 격파된 영국군 전차가 분석 대상입니다. 이중 15%가 지뢰에 의해 격파되었다고 하는데 이것을 다시 연도별로 세분화하면 1941년에는 전체손실의 7%, 1942년에는 전체손실의 17%, 1943년에는 전체손실의 23%가 지뢰에 의해 격파된 것으로 집계됩니다. 추축군이 방어로 돌아설수록 지뢰에 의한 손실이 늘어나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복합적인 원인으로 손실 처리된 전차 중 약 2%가 지뢰와 연관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미군은 손실 표본 118대 중 16%, 프랑스군은 손실 표본 39대 중 23%를 지뢰에 의해 잃은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특히 사막지형에서 지뢰의 사용이 매우 유용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1)

지중해 전역에서는 주로 포Po강 이남에서 지뢰에 의한 전차 손실이 높았고 포강 이북에서는 다른 대전차병기에 의한 손실이 높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탈리아 전선에서 미군 손실 표본 588대 중 23%, 영국군은 손실 표본 728대 중 25%, 캐나다군은 손실 표본 567대 중 16%를 지뢰에 의해 잃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여기에 복합적인 원인 중 지뢰가 포함된 경우, 또는 손실원인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지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를 합산하면 전체 손실의 30%정도가 지뢰에 의한 것이 아닐지 추측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향은 표본의 숫자가 72대로 훨씬 적은 시칠리아 전선과도 비슷합니다. 시칠리아 전선에서 지뢰에 의한 손실은 25%로 추산된다고 합니다. 이탈리아 전선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차의 기동이 제한되는 지형이었기 때문에 독일군이 지뢰를 사용하는데 용이했으며 이것이 북서유럽 전역에 비해 지뢰에 의한 손실이 높았던 원인이라고 지적합니다.2)

북서유럽전선에서 지뢰로 인해 격파된 연합군 전차의 비율은 지중해 전역에 비해 낮습니다. 미군은 전체 표본의 18%, 영국군은 전체 표본의 26%, 캐나다군은 전체 표본의 12%를 지뢰에 의해 상실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북서유럽전역에서 지뢰로 인한 손실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손실된 원인이 불명인 전차중 상당수가 지뢰로 인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3)
북서유럽전선의 손실 사례 중에서 미 제1군의 전차 손실원인을 분석한 자료는 지뢰에 의해 격파된 전차가 어떤 부위를 격파당했는지를 집계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전체 표본 중에서 지뢰에 의해 격파된 전차는 167대인데 격파된 전차들은 지뢰에 의해 435군대의 피격 흔적이 남았다고 합니다. 지뢰에 의한 피격 흔적을 보면 현가장치와 바퀴 부분이 361건으로 전체의 83.2%, 차체가 39건으로 15.8%, 그리고 포탑이 5건으로 전체의 1%입니다. 지뢰에 의해 피격된 전차 중 전소된 것은 전체의 10%이고, 지뢰에 의해 차체 내부까지 관통이 된 경우는 전체의 15%라고 합니다.4)


미 제1야전군의 전차손실 중 지뢰에 의한 손실내역

영국군이 조사한 통계 중에는 영국군 전차를 격파한 지뢰의 종류를 분석한 통계가 있습니다. 1946년 1월에 작성된 보고서 “A Survey of Casualties Amongst Armoured Units in Northwestern Europe”이 원출처라고 하는데 표본이 많지는 않지만 참고는 할만한 통계입니다.

표1. 영국군 전차를 격파한 독일군 지뢰의 종류
지뢰 종류
격파된 전차
전체 표본에서 차지하는 비율(%)
Riegel Mine 43
18
23
Teller Mine
2
3
Riegel Mine 혹은 Teller Mine
4
5
기타 지뢰(목함지뢰 등)
3
4
지뢰 형식 불명
50
65
[표 출처: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C, p.57, Table XXVIII]

흥미로운 점은 라인강을 도하한 이후에는 지뢰로 인한 손실이 줄어든다는 점 입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두가지 원인을 제시하고 있는데 첫번째는 독일 내에서 싸운다는 점 때문에 독일 민간인의 희생을 우려해서 독일군이 지뢰 사용을 제한했다는 설명이고, 두번째는 라인강 도하 이후 연합군이 신속하게 진격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지뢰를 매설하는 것이 어려웠을 것이라는 설명입니다.5)

동남아시아 전선의 사례는 1945년 2~5월 인도군 제225여단이 미얀마로 일본군을 추격하는 과정에서 집계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225여단이 상실한 전차 중 20%가 지뢰에 의한 것으로 집계되는데 서유럽에서 독일군이 사용한 지뢰 보다는 위력이 낮았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6) 

태평양 전선에서는 지뢰에 의한 손실이 가장 높게 나타납니다. 미육군과 미해병대의 전차 손실 표본 775대 중에서 30%가 지뢰에 의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타로 집계된 손실 중 상당수가 지뢰로 기동 불능이 된 상태에서 보병의 근접 공격에 격파된 것이라고 합니다. 특히 필리핀 전역에서 지뢰로 인한 손실이 높았다고 하는군요. 다만 태평양 전선은 기갑전이 매우 드물었다는 특성을 감안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7)



주석
1)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C, p.53.
2)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C, pp.53~54.
3)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C, p.54.
4)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C, p.55.
5)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C, p.56.
6)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C, p.57.
7)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C, pp.57~58.

2013년 4월 20일 토요일

2차대전기 미영 연합군의 전차 손실에 대한 통계 :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 - (2)

이번 포스팅은 지난번에 올렸던 ‘2차대전기 미영 연합군의 전차 손실에 대한 통계 :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의 후속입니다. 지난번 글에서는 보고서에 실린 전반적인 경향을 보여드렸으니 이번부터는 세부적인 내역을 보여드리려 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각 전역별 상세 통계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실수로 비전투손실Misc-Non Enermy Weapon을 빠트려서 이번에는 포함시켰습니다. 전반적인 경향은 지난번 포스팅에서 간략히 말씀드렸으니 이번 포스팅에서는 통계만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표에서 HE로 표기한 것은 독일군의 경우 판처파우스트/판처슈렉입니다.


1. 서유럽전역에서 미영연합군의 기갑차량 손실(1942~1945)

표본
포격
지뢰
HE
박격포
기타
비전투
원인불명
미군
1944
2579
1051
375
236
16
95
292
514
미군
1945
1678
687
239
176
9
48
224
295
영국군
1944
1103
621
293
56
7
50
21
55
영국군
1945
582
308
126
123
0
17
0
8
캐나다군
1942
30
19
0
0
0
2
5
4
캐나다군
1944
473
161
37
14
4
12
66
179
캐나다군
1945
342
99
37
32
4
17
112
41
[표 출처 :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1]


2.북아프리카전역에서 미영연합군의 기갑차량손실(1941~1943)

표본
포격
지뢰
HE
박격포
기타
비전투
원인불명
미군
1942
72
23
1
0
0
1
12
34
미군
1943
205
36
18
0
0
13
14
124
영국군
1941
413
357
30
0
1
25
0
0
영국군
1942
1123
884
188
0
1
49
1
0
영국군
1943
182
140
42
0
0
0
0
0
프랑스군
1943
39
30
9
0
0
0
0
0
[표 출처 :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1]


3. 시실리 전역에서 미영연합군의 기갑차량손실(1943)

표본
포격
지뢰
HE
박격포
기타
비전투
원인불명
미군
1943
58
10
2
0
0
5
4
37
영국군
1943
31
23
7
0
0
1
0
0
캐나다군
1943
20
6
9
0
0
1
4
0
[표 출처 :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1]


4. 이탈리아 전역에서 미영연합군의 기갑차량 손실(1943~1945)

표본
포격
지뢰
HE
박격포
기타
비전투
원인불명
미군
1943
55
18
8
0
0
1
17
11
미군
1944
471
180
87
12
3
22
103
64
미군
1945
159
26
42
25
0
14
30
22
영국군
1943
128
60
39
0
1
3
6
19
영국군
1944
652
309
118
47
12
17
18
131
영국군
1945
115
57
25
12
0
4
0
17
캐나다군
1943
73
21
18
0
2
3
22
7
캐나다군
1944
631
146
72
10
2
12
246
143
캐나다군
1945
15
3
3
2
0
0
5
2
[표 출처 :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1]



다음은 태평양-아시아 전역의 통계입니다. 꽤 재미있는게 태평양전역의 경우 개별 전투별로 상세한 통계를 작성해 놓았습니다. 아마 지리적인 기준으로 통계를 작성한 듯 싶은데 그 덕분에 태평양쪽은 꽤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5. 버마 전선에서 영연방군의 기갑차량 손실(1945)

표본
포격
지뢰
HE
박격포
기타
비전투
원인불명
영연방군
1945
102
64
19
9
0
3
0
7
[표 출처 :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1]


6. 태평양 전선에서 미군의 기갑차량 손실(1942~1945)

표본
포격
지뢰
HE
박격포
기타
비전투
원인불명
미해병대
과달카날
5
3
1
0
0
1
0
0
미해병대
부갱빌
2
2
0
0
0
0
0
0
미해병대
타라와
33
6
0
0
2
2
23
0
미해병대
사이판
38
2
3
0
0
5
17
11
미해병대
뉴브리튼
5
0
1
0
0
0
4
0
미육군
솔로몬-콰잘레인
9
1
0
0
0
0
8
0
미해병대
뉴기니
3
0
0
0
0
0
3
0
미해병대
42
12
9
0
0
2
10
9
미해병대
티니안
15
4
5
0
0
6
0
0
미육군
필리핀
145
40
58
0
2
25
11
9
미해병대
이오지마
137
44
40
0
5
10
30
8
미육군
오키나와
239
93
55
0
5
67
19
0
미해병대
오키나와
136
54
42
0
1
27
12
0
[표 출처 :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