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베트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베트남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5월 5일 수요일

대답없는 메아리

다들 잘 아시겠지만 '미국의 소리(Voice of America)' 방송은 2차대전 당시 선전방송으로 출발한 이후 냉전을 맞으면서 서방측 선전공세의 선봉에 서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소리는 냉전 초기 부터 급진적 민족주의가 확산되고 있던 아시아를 향한 방송을 시작합니다. 특히 호치민이 이끄는 베트남 민족주의 집단이 프랑스를 엿먹이고 있던 프랑스령 인도차이나는 골치 아픈 화약고 였습니다. 이때문에 베트남어 방송은 1940년대 후반에 시작되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한가지 있었습니다.

1949년에 아시아지역을 순방한 미국 하원의원단은 트루먼 대통령에게 순방 보고서를 보냅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미국의 소리 베트남어 방송에 대해 이렇게 평가하고 있었습니다.

인도차이나에서는 미국의 소리 방송이 무용지물입니다. 인도차이나 전역에 걸쳐 라디오가 겨우 1만대 정도에 불과한데다 이중 대부분은 프랑스인들이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The Voice of America program in Indo-China are ineffective. There are only some 10,000 radios in the entire conuntry and large percentage of these are French owned.)

"Notes on Recent Observations of Conditions in the Far East"(1949. 11. 19), p.20, RG330 Secretary of Defense, Office, Administrative Secretary Correspondence Control Section Decimal File 1951, CD092 Far East to Greece Box. 229

아아. 대답없는 메아리여~

2008년 5월 17일 토요일

상상속의 베트남인

지난 3월에 sonnet 대인께서 베트남전이 전하는 이라크의 교훈이라는 재미있는 글을 써 주셨습니다. 좀 뒷북이긴 한데 저는 특히 이 부분이 가장 마음에 들었습니다.

우리에게도 불행하고 그들에게도 불행한 일이지만 그것은 진짜 이라크가 아니었다. … 잘못된 이라크 속에 뛰어든 우리 자신을 발견하고서도, 미국인들은 진짜 이라크인들은 우리 꿈 속의 이라크인들처럼 행동해야 하며 반드시 그럴 것이라고 고집스럽게 우겨댔다. 그 결과는 좌절과 낙담, 그리고 이라크인들의 '광기'에 대한 분노였다.

유감스럽게도 이런 태도는 지난 60년간 별로 변한 것 같지가 않습니다.

공산주의 위협에 대한 대응력 : 바오 다이(Bao Dai)의 지지세력들 중 상당수는 어떠한 형태의 제국주의에도 반대한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정부는 공산주의에 저항하고 있으며 미국의 군사 및 경제원조를 환영할 것으로 예상된다.
베트남 국민의 대부분은 현재 외부의 위협(중국)에 대항하는 것 보다는 프랑스의 간섭을 제거하는데 더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베트남 국민 대부분이 공산주의의 진정한 실체에 대한 지식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만족할 만한 정치적 해결이 이루어 진다면 베트남인 대부분은 중국을 혐오하기 때문에 중국(공산당)의 압박에 대항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1950년 3월 8일, 미국무부 Office of Intelligence Research Report No.5178-2

결과는 다들 잘 아시죠?

2006년 12월 27일 수요일

원숭이 꽃신의 모범사례 - 1974년의 남베트남군

이번 작통권 논쟁에 대한 어떤 분의 트랙백에 달린 sonnet님의 댓글을 보니 생각나서 올립니다.

그러나 이 작전의 성공은 얼마 가지 못했고 스바이 리엥(Svay Rieng) 전역은 남베트남 군의 마지막 대규모 공세가 됐다. 1974년은 남베트남 정부에 있어 치명적인 해가 되고 말았다. 티우의 “전 지역 절대 사수” 전략은 다른 두개의 요인과 결합해 남베트남의 운명을 결정짓고 만 것이다. 두 개의 요인은 미국의 원조 감소와 이에 따른 남베트남군의 사기 저하였다. 이 두개 요소는 결국 사이공 함락을 가져오고 주권국가로서의 남베트남을 붕괴시키고 말았다. 남베트남은 1975년에 붕괴했지만 사실 운명의 주사위는 이때 던져졌고 붕괴는 이미 시작된 것이었다.

미군의 철수는 남베트남군의 증강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인들으로서는 결코 채울 수 없는 공백을 만들었다. 1969년 베트남에는 미군과 남베트남군을 합쳐 22개 사단이 있었지만 1974년에는 남베트남군 13개 사단 뿐이었다. 반면 남베트남에 침투한 북베트남군은 1969년 352개 대대였으나 1974년 초에는 646개 대대로 증강됐다. 즉 양군의 전력 비율은 북쪽에 유리하게 기울었으며 그것도 계속해서 격차가 벌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은 미군의 철수로 항공지원이 격감한 것이었는데 남베트남으로서는 이것을 어찌 할 도리가 없었다. 항상 미국의 공군력에 의존해 왔기 때문에 이것이 없어지자 그 결과는 치명적이었다. 아이러니하게도 닉슨의 베트남화 정책은 남베트남군에게 미국식으로, 즉 공중기동, 강력한 항공화력지원, 막대한 보급지원하에서 싸우는데 익숙하게 만들어 버렸다. 이제 남베트남군은 항공지원, 탄약, 장비, 보급품 부족에 시달리면서 과거에 배운 방식대로 싸워야 했다. 이미 북베트남과의 전쟁은 결정적인 단계에 접어들었기 때문에 남베트남군대는 미국의 원조가 격감한 상황에 맞춰 전력 구조와 작전 개념을 개편할 여유가 없었다.

(중략)

1974년이 되자 우물도 바닥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미국의 군사원조는 1972-73년 회계연도에 22억 달러였으나 1973-74년 회계연도에는 그 절반도 안되는 9억6400만 달러로 격감했다. 1974년 초 사이공 DAO(Defense Attache Office)의 머레이 소장은 마틴 주월대사에게 장차 닥칠 붕괴를 모면하기 위해서 티우와 남베트남군 장군들에게 제한된 원조에 맞춰 전쟁을 수행하는 것을 권고하도록 말했다. 마틴 대사는 머레이 소장에게 이것이 정치적으로 너무 민감한 사안이기 때문에 절대로 이 문제가 밖으로 새 나가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언뜻 보기에는 남베트남 정부는 전쟁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원조를 받은 것 처럼 보였다. 남베트남 정부는 ENHANCE와 ENHANCE PLUS 계획에 따라 7억5300만 달러에 상당하는 항공기, 헬리콥터, 전차, 야포, 그리고 기타 장비를 원조 받았다. 그러나 많은 장비들은 남베트남군의 요구에 미달하거나 또는 남베트남측이 유지할 능력이 없었다. 결과적으로 미국측도 인정했듯 많은 장비가 “방치된 채로 고철이 되어가고” 있었다. 더욱 불행하게도 남베트남 측은 미국이 막대한 장비를 원조해 줬기 때문에 여기 필요한 예비부품과 연료, 탄약을 계속해서 원조해 줄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비록 군 수뇌부는 원조 감소 때문에 물자 절약을 시도했지만 일선 지휘관들은 계속해서 미국으로부터 배운 방식대로 싸우고 있었다. 남베트남군 지휘관들은 화력 및 항공지원으로 대표되는 기존의 기본 전술과 작전 개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지침이 전혀 먹히지 않았다. 남베트남군 지휘관들은 탄약과 연료가 확보대는 대로 모조리 소모해 버렸다. 1974년 초가 되자 물자는 고갈되고 보급 체계는 회복 불능으로 붕괴됐다. 남베트남은 기존에 미국의 우산 밑에서 누리던 모든 것이 부족했다. 그 결과 베트남군의 전투력은 급감했고 사기도 함께 저하됐다. 1974년 중순, 포병 탄약이 크게 부족해 지자 주요 작전이 장애에 부딛히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중부 고원지대의 포병 포대들은 미군이 주둔할 때는 하루 평균 100발의 탄약을 소모했으나 1974년에는 하루 평균 4발로 줄어들었다. 1974년 여름이 되자 남베트남군 보병은 한달에 불과 85발의 소총탄을 지급받는 실정이 됐다. 수류탄과 기타 공용화기 탄약의 지급도 줄어들었다. 무전기의 배터리도 부족했기 때문에 통신도 제대로 할 수 없었다.
연료의 부족은 전투력과 기동력을 저하시켰다. 연료의 부족으로 남베트남군은 보유한 차량과 장비의 55%만 운용할 수 있었고 또 운용하는 것 자체도 작전단위에서 제한 되었다. 남베트남군의 트럭 중 50%가 연료 및 부품 부족으로 보관상태에 있었다. 당시 남베트남 제 1군단의 한 장군은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연료가 부족해 구급차의 운용도 지장을 받고 있다. 부상병을 수송하기 위해서 2½톤 트럭 한대로 구급차 네 대를 견인해야 했다.”

남베트남 해군은 연료가 부족해 메콩강 삼각주에서 작전하는 부대의 절반을 해체해야 했다. 남베트남 공군은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연료와 예비부품 부족으로 헬리콥터 및 수송기의 가동률은 50~70%까지 줄어들었다.

1974년 중순, 남베트남군 제 3군단장 팜 꾸옥 투안(Pham Quoc Thuan) 장군은 물자 부족이 미친 영향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1973년 4/4분기에… 연료 및 탄약 보급은 3/4 분기의 30% 수준, 1972년 4/4분기의 60% 수준에 불과했다. 1974년 1/4분기가 되자 보급은 30% 더 줄어들었고 2/4분기에는 20%가 더 줄어들었다… 1973년 초 3군단은 하루 평균 전술항공지원에 200소티를 할당받았으나 1973년 말이 되자 80소티로 줄어들었고 1974년 전반기에는 30소티에서 최대 60소티 정도가 됐다. 항공지원의 감소는 항공기가 부족해서 그랬던 것이 아니라 연료, 폭탄, 탄약이 줄어들었기 때문이었다.”

남베트남군은 확보하고 있는 전 지역을 사수하기 위해 최대의 화력을 사용했기 때문에 사태는 더욱 더 악화일로를 걸었다.


James H. Willbanks, abandoning Vietnam : How America left and South Vietnam Lost its War, p.201-203


한국의 사정은 남베트남 보다는 많이 나아 보이지만 이번 전작권 환수 문제에서 드러났듯 꽃신이 없으면 못할 일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전시작전권을 서둘러 돌려 받아야 할 타당한 이유가 무었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물론 전시작전권은 우리의 권리이니 돌려받는 것이 원칙적으로는 옳다는데는 이견이 없습니다. 하지만 그게 지금 당장 시급한 사안인지는 의문이군요.

2006년 11월 21일 화요일

뭔가 궁색한 강대국

닉슨은 브랙퍼스트(Breakfast) 작전 실시 3일전인 3월 13일에 국방장관 레어드(Melvin R. Laird)와 만나 레어드의 남베트남 철군안에 대해 논의했다. 레어드는 휠러(Earl G. Wheeler) 대장과 함께 사이공에서 에이브럼스(Creighton W. Abrams, Jr) 대장 및 MACV 참모진을 만나 철군문제에 대해 논의하고 막 워싱턴에 도착한 참이었다. 베트남의 미군 지휘관들은 이미 1년 전부터 철군에 대해서 생각하고는 있었지만 워싱턴으로부터 명확한 지침은 받지 못했고 그에 대한 계획도 세우지 않고 있었다. 베트남에 파견된 장성들은 철군은 북베트남과 상호 철수를 위한 협상의 일환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에이브럼스 대장은 신속한 철군안에 찬성하는 대신 평정작전의 진도, 남베트남군의 강화, 적의 공격 완화 등 세가지 점이 개선돼야 철군이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레어드는 이 의견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동의했지만 닉슨 행정부의 집권 초기 내에 철군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정치권의 요구에 더 중점을 두고 있었다. 레어드는 에이브럼스에게 “새 행정부에게 주어진 시간이 다하기 전에(재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 3개월, 6개월, 9개월, 기왕이면 3-4개월 안에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레어드는 온건파가 아니었고 존슨 행정부 보다 더 강력한 군사적 대응을 선호했지만 그는 무엇보다 미국내의 정치적 동향에 민감했고 워싱턴이나 사이공에서 논의되고 있는 강경책은 실제로 실행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점도 잘 알고 있었다. 레어드는 남베트남에서 군사적 승리를 거두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닉슨의 베트남 정책은 잘해봐야 전쟁의 베트남화를 통해 남베트남군이 미국의 철수에 따른 공백을 메꿀 수 있도록 육성하고 북베트남과 미국의 상호 철군을 이끌어 내는데 그칠 것이었다. 그러나 레어드는 남베트남 군의 전투력을 강화하는 것 보다 지속적으로 작전을 펼치는 MACV의 기본적인 방침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또 북베트남과의 협상이 신속히 진행될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도 회의적이었다. 레어드는 이 점을 고려해 키신저의 협상 진행이나 에이브럼스의 견해와 상관없이 철군 계획을 세우기로 결심했다. 레어드는 1968년 까지만 해도 워싱턴의 그 누구도 고려하지 않고 있던 점진적인 일방적 철군을 기본 방침으로 결정했다. (후략)

Jeffrey Kimball, Nixson's Vietnam War, p.137~138


천자국의 굴욕.

럼즈펠드가 이라크를 쳐들어 갈 때 자신이 저것과 비슷한 상황에 처할 것이라고 생각 했을까?

미국의 베트남화는 결국 돈만 잡아먹은 실패작이 됐다. 오늘 워싱턴포스트에는 이라크군 재건이 뭔가 꼬여가고 있다는 요지의 기사가 하나 떴다. 이라크는 정치상황도 복잡하게 꼬여버렸으나 베트남보다 더 지독한 진창이라고 해야 하나?

사족 하나 더

위의 기사에서 이 부분은 정말 웃겼다.

Some of the American officers even faulted their own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task.

"If I had to do it again, I know I'd do it completely different,"

reported Maj. Mike Sullivan, who advised an Iraqi army battalion in 2004.

"I went there with the wrong attitude and I thought I understood Iraq and the history because I had seen PowerPoint slides, but I really did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