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6월 21일 화요일

아데나워, 그리고 동맹에 대한 잡담

요즘 읽고 있는 책 중에 Steven J. Brady의 Eisenhower and Adenauer : Alliance maintenance under pressure, 1953-1960이 있습니다. 이제 막 읽기 시작해서 진도가 별로 나가지 않았는데 앞 부분 부터 상당히 재미있습니다.

가장 먼저 눈길을 끄는 부분은 1953년 미국을 방문한 아데나워가 아이젠하워에게 한국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독일 의료인력을 제공하겠다고 제안한 부분입니다. 명목상으로는 의료인력 지원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간접적으로나마 미국의 동맹국으로서 군사적 기여를 하겠다는 의사 표명인 셈이지요. 사실 이때는 독일의 재무장 논의가 급물살을 타던 시점이라 이건 상당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무렵  기민당은 10만명 수준의 군대 창설을 논의하고 있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미국의 지원이 절실했고 쓸모있는 동맹이라는 점을 보여줄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아데나워는 이후 소련의 엉성한(???) 평화공세에도 불구하고 친미-친서방노선을 고수해 나갔습니다. 이것은 독일이 통일 된 뒤 돌아보니 결과적으로 매우 현명한 선택이 되었습니다. 당시에는 결과를 확신할 수 있는 사람이 없었겠지만. 2차대전 이후의 소련은 독일을 위험한 잠재 적국으로 보았기 때문에 독일을 중립화 해 실질적으로 무력화하려고 기도했습니다. 물론 아데나워같은 보수진영의 선수들은 이런 엉성한 속임수를 간단히 꿰뚫어 보았기 때문에 친미노선을 고수했지요.

그런데 재미있는 점은 요즘 중국이 한미동맹을 약화시키고 한국을 중립적으로 만들려고 기도하고 있다는 점 입니다. 역시나 흐루쇼프 이래의 엉성한 속임수인게 한눈에 보이는데 문제는 이런 조잡한 수작이 의외로 민족주의적인 진영에서 잘 먹히는 것 처럼 보이는 겁니다.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긴 합니다만 한미동맹이 존속하려면 한국 쪽에서 동맹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내줘야 합니다. 그런데 민족주의적인 진영은 이런 것 자체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지요. 한국전쟁 직후와 같이 대립구도가 명확한 상황에서는 동맹이 비교적 잘 기능했습니다만 냉전이 끝나고 표면적으로 평화가 정착된 지금 시점에서는 안보적 동맹이 제대로 돌아가기가 어렵습니다.

한 가지 더 재미있는 점은 흐루쇼프가 엉성한(?!?!) 평화공세를 시작했을 때 한국 내의 일부 민족주의적 지식인들은 이것을 새로운 변화의 전조로 받아들였다는 점 입니다. 그리고 1960년대에는 제3세계의 부상을 바라보면서 미국에 종속(?!?!)된 상태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조금씩 높아지기 시작했습니다. 현재의 한미동맹 구도에 비판적인 집단 중 일부는 바로 1960년대에 뿌리를 둔 지식인들이지요. 물론 저도 미래를 내다보는 재주가 없으니 예언은 할 수 없습니다만 과거 이러한 민족주의적 지식인들의 전망이 계속해서 빗나간 것을 생각한다면 이들의 주장이 별로 매력적이지 않은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댓글 22개:

  1. 민족주의자라는 자들 자체가 중국의 현재 동북공정-탐원공정의 지속진행문제와 통일후 지상에서의 중국과의 종체적인 국경분쟁 그리고 해상에서의 국경분쟁을 고려해본다면.. 그런소리 한다는거 자체가 민족주의자라고 볼수 있으려나 싶습니다.

    답글삭제
  2. 딱봐도 한반도 혹은 휴전선 이남에서의 우물안 개구리식의 고립주의 성향을 보인다는 것에 대해서 저는 상당히 비판적으로 보게되네요. 저도 아데나워와 같은 입장에서 당시 독일보다 사정이 나은 한국이 좀더 적극적으로 동맹국들과의 정치적 연루성을 결속시켜야한다는 입장입니다.

    답글삭제
  3. Ya펭귄1:43 오후

    아아... 물론 서해의 지배권 같은 '아주 사소한 문제' 정도는 넘어가 주는 대인배적 마인드가 있어야  그런 류의 '민족주의'질을 잘할 수 있지요....

    답글삭제
  4. 아이아스9:07 오후

     제 아무리 똑같은 밑밥이라도 어느 쪽에는 먹히지만
    어느 쪽에는 잘 안 먹힌다는 진리가......

    답글삭제
  5. 박종민10:18 오후

    북한이라는 변수가 영원이 존재하는한 중국-북한을 축으로 하는 진영과 남한-미국이라는 축이 영원이 만날 수 밖에 없겠지요. 그런데 문제는 북한이라는 제방이 점점 금이 가고 있다는 겁니다.

    중극측도 이점을 직시하고 있을 터인데, 만약 작금의 상황이 계속이어져 북한이 절망적인 상황에서 붕괴하게 된다면, 중국측 제방이 먼저 허물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엄청난 수의 난민이 중국으로 쏟아져 들어가고, 한반도가 전쟁상황에 놓인다면, 통일국가를 천명한 남한측에서 북을 흡수통일할 수 있는 개연성이 점점높아져가고(물론 그 사이에 남 북한은 괴멸적 피해를 입겠지만, 어찌하든 통일 국가가 된다는 것에는 변화가 없겠지요.) 북한의 김정일 정권의 줄타기도 그 옵션이 점점 줄어드는 상황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갑작스런 유고가 그 시발점이 될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생각합니다.


    중극측도 이점을 의식헤 어떻게 하든 북한이라는 재방을 유지해서 남측과 미국이라는 국경선이 맏물리는 건 피하고자 하는 의도가 바로 밑에 깔려 있다고 봅니다. 북한이라는 방파제가 사라지고 맨몸으로 미국의 세력권과 마주한다면, 결국 구 소련처럼 군비경쟁의 촉발은 물론 신 냉전이라는 새로운 페러다임이 생겨나지나 않을지 가장 두려워 하는 거겠죠.

    아직은 중국이 미국을 1:1로 상대하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에라도 북한에대한 개방압박은 계속 이어질 수 밖에 없겠죠

    답글삭제
  6. 박종민10:34 오후

     하지만 문제는 김정일 위원장의 유고로 제2의 한국전이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두 진영간의 대리전으로 발전해서 양 세력의 중간에서 전쟁의 참화가 계속 이어지는 시나리오가 될 가능성도 참으로 높다는 것입니다.

    현대전이 아무리 장기전이 불가능한 체제로 나아간다 하더라도, 남 북한의 특성상 각 진영에 대한 무제한 섬멸전으로 가지 않으면 않된다는 내재적 문제가 잠복해 있다는 겁니다. 두 체제가 너무나 이질적이라 중간지대는 존재가 가능할 거 같지 않고, 따라서 세르비아 - 보스니아 내전처럼 인종적 학살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그와 비슷한 양상의 전쟁이 될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겁니다. 양측의 군비또한 다른 분쟁지역과는 차원이 다른 수준이구요.

    제가 걱정하는건 미국의 신속한 개입이 정말로 가능하겠는가 입니다. 아무리 우리가 우리의 역활( 우리와의 동맹이 미국의 국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키운다 하더라도, 미국이 전쟁을 벌여 얻는 이익과 같은 수준의 이익을 제공할 수 있겠는가 하는 겁니다. 자국에 이익에 충실할 수 밖에 없는 미 지도층이 전쟁에 반대하거나 무관심이라는 장애물을 뛰어 넘어 우리를 과연 도울 수 있을까하는 의구심 말이죠.

    미국이 주저하는 사이, 우리나라는 괴멸적 타격이 발생하게 될테고, 시간이 경과하면 결국 정치적, 경재적 자산은 다 소모가 되어 미국으로서는 계륵이 되어 개입하기도 그렇고, 개입하지 않기도 그런 상황이 오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답글삭제
  7. 박종민11:02 오후

    <img></img><img></img> <span><span>박종민</span><span></span><img></img></span>
    <span> 하지만 문제는 김정일 위원장의 유고로 제2의 한국전이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두 진영간의 대리전으로 발전해서 양 세력의 중간에서 전쟁의 참화가 계속 이어지는 시나리오가 될 가능성도 참으로 높다는 것입니다.  
     
    현대전이 아무리 장기전이 불가능한 체제로 나아간다 하더라도, 남 북한의 특성상 각 진영에 대한 무제한 섬멸전으로 가지 않으면 않된다는 내재적 문제가 잠복해 있다는 겁니다. 두 체제가 너무나 이질적이라 중간지대는 존재가 가능할 거 같지 않고, 따라서 세르비아 - 보스니아 내전처럼 인종적 학살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그와 비슷한 양상의 전쟁이 될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겁니다. 양측의 군비또한 다른 분쟁지역과는 차원이 다른 수준이구요.  
     
    </span>

    답글삭제
  8. 박종민11:03 오후

      
    <span> 하지만 또다른 문제는 설사 김정일 위원장의 유고로 제2의 한국전이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두 진영간의 대리전으로 발전해서 양 세력의 중간에서 전쟁의 참화가 계속 이어지는 시나리오가 될 가능성도 참으로 높다는 것입니다.  
     
    현대전이 아무리 장기전이 불가능한 체제로 나아간다 하더라도, 남 북한의 특성상 각 진영에 대한 무제한 섬멸전으로 가지 않으면 않된다는 내재적 문제가 잠복해 있다는 겁니다. 두 체제가 너무나 이질적이라 중간지대는 존재가 가능할 거 같지 않고, 따라서 세르비아 - 보스니아 내전처럼 인종적 학살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그와 비슷한 양상의 전쟁이 될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겁니다. 양측의 군비또한 다른 분쟁지역과는 차원이 다른 수준이구요.  
     
    제가 걱정하는건 미국의 신속한 개입이 정말로 가능하겠는가 입니다. 아무리 우리가 우리의 역활( 우리와의 동맹이 미국의 국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키운다 하더라도, 미국이 전쟁을 벌여 얻는 이익과 같은 수준의 이익을 제공할 수 있겠는가 하는 겁니다. 자국에 이익에 충실할 수 밖에 없는 미 지도층이 전쟁에 반대하거나 무관심이라는 장애물을 뛰어 넘어 우리를 과연 도울 수 있을까하는 의구심 말이죠.  
     
    미국이 주저하는 사이, 우리나라는 괴멸적 타격이 발생하게 될테고, 시간이 경과하면 결국 정치적, 경재적 자산은 다 소모가 되어 미국으로서는 계륵이 되어 개입하기도 그렇고, 개입하지 않기도 그런 상황이 오지 않을까 걱정입니다.</span>

    답글삭제
  9. 박종민11:05 오후

      
    <span> 하지만 문제는 김정일 위원장의 유고로 제2의 한국전이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두 진영간의 대리전으로 발전해서 양 세력의 중간에서 전쟁의 참화가 계속 이어지는 시나리오가 될 가능성도 참으로 높다는 것입니다.  
     
    현대전이 아무리 장기전이 불가능한 체제로 나아간다 하더라도, 남 북한의 특성상 각 진영에 대한 무제한 섬멸전으로 가지 않으면 않된다는 내재적 문제가 잠복해 있다는 겁니다. 두 체제가 너무나 이질적이라 중간지대는 존재가 가능할 거 같지 않고, 따라서 세르비아 - 보스니아 내전처럼 인종적 학살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그와 비슷한 양상의 전쟁이 될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겁니다. 양측의 군비또한 다른 분쟁지역과는 차원이 다른 수준이구요.  </span><span></span><span></span><span></span><span>제발 이러한 걱정이 쓸데없는 기우이기를 바랍니다. 최소한 우리나라의 지도층이 이런 문제에 대한 대비라도 좀 해놓고 있기를 바랍니다.</span>

    답글삭제
  10. 박종민11:07 오후

    <span> 하지만 문제는 설사 김정일 위원장의 유고로 제2의 한국전이 일어난다고 하더라도, 두 진영간의 대리전으로 발전해서 양 세력의 중간에서 전쟁의 참화가 계속 이어지는 시나리오가 될 가능성도 참으로 높다는 것입니다.  
     
    현대전이 아무리 장기전이 불가능한 체제로 나아간다 하더라도, 남 북한의 특성상 각 진영에 대한 무제한 섬멸전으로 가지 않으면 않된다는 내재적 문제가 잠복해 있다는 겁니다. 두 체제가 너무나 이질적이라 중간지대는 존재가 가능할 거 같지 않고, 따라서 세르비아 - 보스니아 내전처럼 인종적 학살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그와 비슷한 양상의 전쟁이 될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겁니다. 양측의 군비또한 다른 분쟁지역과는 차원이 다른 수준이구요.  
    </span><span>제발 이러한 걱정이 쓸데없는 기우이기를 바랍니다. 
    </span>

    답글삭제
  11. 길 잃은 어린양7:03 오전

    희한하게도 미국을 반대하는 사람들 중 일부는 중국을 좀 다르게 보더군요. 저도 이해는 안갑니다.

    답글삭제
  12. 길 잃은 어린양7:03 오전

    희한한 일이지요.

    답글삭제
  13. 길 잃은 어린양7:05 오전

    중요한건 중국이지요. 동독이 쉽게 붕괴한 것은 소련이 손을 놨기 때문인데 중국은 북한을 쉽게 놓을 생각이 없으니 말입니다.

    답글삭제
  14. 민족주의가 아니라 그냥 반미이념가에 불과하지요.

    답글삭제
  15. POL soldier10:22 오전

    그들의 민족주의는 민족주의가 아니라 반서방 반미주의일 뿐이죠. 

    답글삭제
  16. BigTrain1:31 오후

    존 루이스 개디스의 "새로 쓰는 냉전의 역사"에서도 소련의 독일 중립화/무력화 시도를 심도있게 다루더군요. 물론 실패로 돌아갓습니다만..

    역사적으로 봐도 통일된 중국이 군사적 제국주의 노선을 타는 게 반복돼왔는데 시사인 등 일부 잡지에 글을 쓰는 민족주의적 지식인들은 뭔 생각으로 중국을 대안으로 보는 지 모르겠습니다. 

    답글삭제
  17. 길 잃은 어린양11:32 오후

    예. 사실 그런 발상은 세상을 선악의 이분법으로 놓고 미국을 악으로 규정한 뒤 나머지 세계를 그 반대에 놓지 않는 이상 불가능한 발상이지요. 그런데 이게 또 골때리는게 이런 발상이야 말로 그런 부류의 사람들이 입만 열면 비난하는 냉전논리라는 겁니다;;;;

    답글삭제
  18. 이준님9:35 오전

    1. 아루래도 소련이 독일에 한 짓을 본다면 독일국민들에게는 소련에 대한 믿은이 없어질 건 뻔한 일이겠지요. 바꾸어 말하면 한국전쟁 당시 중국군이 쇼와 시대의 일본군이 지나에서 했던 일 같은 일을 마구잡이로 벌였다던가 하면 우리나라 지식인들도 아무리 반미가 좋아도 친중까지는 가기어렵듯이요. 50년대 일본군의 참전을 기를 쓰고 이승만이 말렸던거나 같은 이치겠지요.

    2. 80년대 양산된 미-소 전쟁을 다룬 여러 작품(일리터리 스틸러부터 포스트 아포칼립스 장르까지)에서도 소련의 목적은 독일의 멸망이나 공산화보다는 차라리 "자신의 말을 잘 듣는  중립화 국가"인걸 보면 나름 역사와 전통이 있나봅니다.(물론 Red Army라는 작품을 제외하고는 전부 실패 내지는 지구멸망이라는게 결말이지만요)

    답글삭제
  19. 길 잃은 어린양12:27 오전

    2. Red Army라는 작품은 소련이 승리하는 이야기인가요? 그렇다면 꽤 재미있을 것 같군요.

    답글삭제
  20. 아텐보로2:27 오후

    민족주의자들중 일부는 인권침해라면 게거품을 물면서도 중국의 천안문사태나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인권침해에는 신경을 안쓰는가 봅니다.

    답글삭제
  21. 길 잃은 어린양10:23 오후

    이중잣대지요.

    답글삭제
  22. 동감입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