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이덕일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이덕일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7년 2월 12일 월요일

이덕일, 텍스트 계의 김성모인가?

일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서점에 갔다가 또 이덕일씨의 “신작”, 그 위대한 전쟁이라는 물건을 봤습니다. 이건 뭐 김성모 화백도 아니고…. 대중적인 역사서를 표방하면서 책을 붕어빵 찍듯 찍어내는걸 보면 정말 이 양반도 궁극의 경지에 도달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학자들이 대중과의 소통을 위해 노력하는 것은 좋습니다. 글쓰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자신의 글을 몇 명 안되는 전문연구자들만 읽는 것 보다는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읽고 소통을 나눌 수 있기를 바랄 것 입니다. 하지만 대중과의 소통이 중요하다고 해서 농담 따먹기 수준으로 놀면 안되겠지요.

이덕일씨는 종종 언론을 빌려 폐쇄적인 학계가 자신을 인정하지 않는 것 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몇 명이나 믿을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덕일과 비슷한 문제를 하소연 하는 사람은 많습니다. 특히 자신의 전문 분야가 아닌 분야의 글을 쓸 경우 그 방면의 전문가들로부터 사이비 취급을 받게 되지요. 국내에도 번역된 “블랙 아테나”의 저자인 마틴 버날도 비슷한 이야기를 합니다.

(전략) 이집트학 전공자들은 잡다한 지식을 통해 어설프게 공부한 비전문가들이 이집트 연구에 뛰어드는 것을 매우 끔찍하게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매우 많은 수의 이집트학 전공자들은 나를 이런 어설픈 돌팔이로 분류하고 있다. 내가 미국 이집트학 연구센터(ARCE, American Research Center in Egypt)의 연례 세미나에 내 저작에 대한 토론을 위해 갈 때마다 누군가의 빈정거림을 듣게된다. “이야. 황당한 만화 같은 소리로군!”
Black Athena Revisited에 글을 기고한 학자들은 그나마 나의 연구에 대해 진지하게 대응하고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내 연구가 어설픈 돌팔이들, 특히 아프리카 중심주의자들을 선동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Martin Bernal, Black Athena writes back : Martin Bernal responds to his critics, (Duke University Press, 2001), p23

이덕일과 버날은 주류학계로부터 좋지 않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차이점이 하나 있습니다. 버날은 주류학계에서 진지하게 대응하는 연구를 하는 반면 이덕일은 완전히 무시당하는 잡글을 양산하고 있다는 점 입니다. 최소한 버날은 블랙아테나를 집필하기 위해서 해당 언어를 공부하는 열의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이덕일은 그야말로 무책임하게 환단고기 따위나 들먹이고 있지요.

서점에서 아마존 파괴의 직접적인 원흉을 대하고 나니 약간 기분이 좋지 않습니다. 이덕일 같은 돌팔이를 몰아내기 위해서는 관심을 끊어 버리는 게 상책이라는 생각 뿐 입니다.

2006년 12월 5일 화요일

어이쿠! 드디어 올 것이 왔구나!

21시를 조금 넘긴 시각, 급히 필요한 책이 있어 서점에 갔다가 이것을 보게 됐다.

그리고 저자명을 보는 순간...

드디어 올 것이 왔다는 느낌이었다.

예전 부터 이덕일씨의 저작에 대해서는 개인적으로 불만이 많았다. 물론 비싼 종이를 써 가며 책을 내는 이상 독자와의 소통이 매우 중요한 요소인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역사를 서술한다면 사료에 대한 접근과 취사선택, 비판에 엄격해야 하는데 이덕일씨의 저작은 그게 잘 안돼있다.

이번에 새로 나온 이 책은 그 모든 것의 결정판이다. 책 후반부에 환단고기와 규원사화를 인용해 치우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실소를 금치 못할 지경이었다. 분명히 이덕일씨는 사학과에서 전문적인 역사 글쓰기를 배운 사람이 맞을 텐데 어떻게 환단고기나 규원사화를 들먹일 수가 있단 말인가?

어떤 아는 사람이 이덕일씨는 전형적인 상업적 글을 쓰는 사람으로 팔리기만 하면 어떤 소재라도 쓸 것이라고 했는데 그 사람의 예상이 적중했다. 명색이 사학 전공으로 학위를 받은 사람이 환단고기를 들먹이는 종말적인 상황이 왔다.

맙소사.

2006년 9월 18일 월요일

9월 18일자 조선일보의 괴이한 기사...

오늘 어떤 사람에게서 조선일보에 이런 기사가 났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대중적인 책 내면 이단아 취급"

글쎄.. 내가 여기에 대해서 뭐라 말할 만큼 아는게 많진 않으나 기사 중에서 이 부분은 매우 수긍하기 힘들었다.

숭실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이덕일씨는 역사학 분야에서 베스트셀러를 내고 있지만 그의 책은 학계에서 거의 인용되지 않는다. 이씨는 “그런 경직성이 대학의 위기, 인문학의 위기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내가 봤을 때 이덕일씨의 책이 인용되지 않는 이유는 대중적이어서가 아니라 깊이가 없고 진지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상력으로 종이를 메우는 건 소설이지 역사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