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포로수용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포로수용소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1년 3월 20일 토요일

어떤 여가 활동

갓 소위로 진급한 보직 대기 장교들은 주데텐란트의 슈트라우빙(Straubung)에서 압도적인 물량과 병력을 가진 미군을 상대하게 됐다. 우리쪽은 저항해 봐야 희망도 없었고 미군이 우리 부대를 그냥 지나쳐 갔기에 싸울 필요도 없었다. 우리에겐 무기도 별로 없었다. 며칠 뒤 우리는 미군에게 항복했다. 미군은 우리를 그라펜뵈어(Grafenwöhr)에 있는 훈련장으로 이송했다. 그리고 포로들을 병과에 따라 분류했다. 미군 경비병들은 우리를 공정하게 대해줬지만 심문은 힘들었다. 식량은 부족하고 포로는 많아서 항상 굶주림에 시달렸다. 병사들은 잡지에 있는 벌거벗은 여자들의 컬러 사진을 돌려 보는게 낙이었다. 나는 이런 걸 처음 봤다. 나는 농부의 아들이고 추수철이 다가와서 금방 석방됐다. 1945년 6월 나는 석방되어 쾰른 근처에 있는 부모님의 농장으로 돌아갔다.


제505중전차대대 소속이었던 야콥 회게스(Jacob Höges)의 회고

Dale Richard Ritter, Charging Knights on the Eastern Front: The Combat History of schwere Panzer-abteilung 505 (Winnipeg: J. J. Fedorowicz, 2019), p.304.

2011년 12월 25일 일요일

마이웨이를 봤습니다

마이웨이를  봤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꽤 볼만했습니다. 많은 분들이 지적하시는 것 처럼 연출상의 문제가 심각하고 사소한 고증 문제가 있기는 한데 참으면서 볼 정도는 됐습니다. 7광구 같은 졸작을 이미 경험했다 치더라도 예상외로 나쁘지 않은 영화였습니다. 좋은 영화라고 할 수 는 없겠지만 괜찮은 영화라고는 할 수 있겠습니다.

일단은 마음에 들지 않았던 요소부터 이야기 하겠습니다.

1. 주인공 김준식이 너무 평면적이고 매력이 없습니다. 그렇게 심한 고생을 하고 학대를 당한것 치고는 감정의 기복이 없어 보입니다. 캐릭터 자체는 나쁘지 않았던 것 같지만 묘사하는 방식이 영 마음에 들지 않더군요. 사실 일본군 병영이건 소련 포로수용소건 노르망디 해안이건 어디서나 줄구장창 마라톤 연습을 하는게 어색할 정도로 작위적이어서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다른 곳은 몰라도 소련 수용소라면 밥도 제대로 못 먹고 중노동에 시달렸을 텐데 달리기 할 기운이 남아있다니 너무 이상하지 않습니까. 이미 처음부터 완성되어 있던 인물이라는 점에서 연출이 아쉬웠습니다.

2. 판빙빙이 연기한 쉬라이라는 캐릭터는 너무 엉뚱해서 짜증이 났습니다. 쉬라이라는 인물을 삭제하고 대신 독일군 포로수용소나 이야기의 개연성을 강화시켜 줄 다른 부분을 넣는 것이 훨씬 나았을 것 같습니다. 중국 시장을 염두에 둔 것인지 억지로 ‘항일애국지사’를 집어 넣은게 굉장히 불편했습니다. 주인공을 두 사람으로 만든 지점에서 이미 해야 할 이야기가 산더미 같은데 뜬금없는 등장인물이 하나 더 튀어나오니 이야기의 흐름을 끊는 것 같아 불편했습니다.

3. 이야기의 진행이 매끄럽지 못합니다. 해야 할 이야기에 비해 시간이 부족하니 어쩔 수 없습니다. 16부작 정도 되는 TV용 드라마로 만들었다면 훨씬 괜찮은 이야기가 되었을 텐데 아쉽습니다. Das Boot처럼 TV용으로 따로 편집을 한다면 훨씬 좋을 것 같은데 그럴 가능성이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일단 노몬한에서 독소전쟁 까지는 어쨌거나 이야기가 그런대로 이어지는데 주인공 두 사람이 헤어진 뒤 갑자기 화면이 전환되면서 1944년의 프랑스로 이동하는게 그다지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4. 전투 장면의 연출이 매우 아쉽습니다. 처음의 1차 노몬한 전투는 상당히 스펙터클한 느낌도 들었고 매우 마음에 들었습니다. 그런데 다음의 2차 전투가 영 아쉽더군요. 압도적인 소련군의 전력과 일본군의 비인간적이고 무모한 전술을 비교하려는 시도는 나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전차와 인간의 대결에 집중한 것 같습니다. 컴퓨터 그래픽으로 합성한 전차들만 스크린을 가득 덮고 있으니 뭔가 비현실적인 느낌이 들었습니다. 중간 중간 소련 보병이라도 튀어나와 주었으면 덜 밋밋했을 것 같아서 아쉽습니다. 독소전쟁은 너무 애너미 앳 더 게이트의 느낌이 나는게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노르망디는 극적인 흐름을 위해서 다소 무리한 연출을 한 느낌이 듭니다. 상륙부대가 해안을 휩쓴 뒤 공수부대가 낙하하는 건 극적인 연출을 위해서 무리하게 집어넣은 장면이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듭니다. 이 외에도 황당한 요소가 많은데 영화이니 그냥 넘어가지요;;;;

5. 마라톤이라는 요소가 사건의 발단 외에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영화 도입부의 마라톤 장면도 일본의 폭압적인 성격을 보여주기 위해서 단순하게 묘사되어서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김준식이 계속해서 달리기 연습을 하는 것 말고는 마라톤이 이 영화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 요소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육상선수 출신의 주인공을 다룬 영화 ‘갈리폴리’에서는 달리기라는 요소가 영화의 막바지에 비극을 강조하는 요소로 잘 녹아들었는데 마이웨이에서는 그 점이 참 아쉽군요.

이런 부분들이 개선되었다면 더 볼만한 영화가 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래도 대작 답게 볼만한 부분도 많았습니다. 나름 돈 값은 했다는 생각도 드는군요. 이 영화에서 마음에 들었던 부분을 조금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1. 공동주연 중 한명인 오다기리 조가 연기한 하세가와 타츠오는 영화를 통해 큰 변화를 겪는 인물이어서 ‘마라토너 김준식’에 비해 훨씬 좋은 캐릭터였습니다. 지나치게 과장된 면이 있기는 하지만 군인인 할아버지에 대한 동경과 조선인에 대한 증오로 뭉쳐 전쟁을 열망하게 된 청년이 고통스러운 현실에 직면해 내면의 변화를 일으키면서 인간적으로 성장해 가는 설정은 뻔하지만 나름대로 좋았습니다. 특히 소련 포로수용소가 묘사된 부분은 이 배우의 매력을 잘 살려준 것 같습니다. 주인공 다운 인물이었습니다.

2. 조연으로 나온 배우들이 괜찮습니다. 김인권이 연기한 안똔은 이 영화에서 가장 현실적으로 보이는 인물입니다. 김준식과 이 인물을 합쳤다면 영화가 훨씬 좋지 않았을까 싶네요. 영화에서 가장 극단적으로 무너진 인물인데 이 인물 덕분에 소련 포로수용소 장면이 이 영화를 통틀어 가장 볼만한 부분이 되었습니다. 김인권이 조연으로 나온 영화를 보면서 그다지 주목한 일이 없었는데 이 영화에서는 상당히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타츠오의 부관으로 나온 소좌도 분량은 짧지만 인상 깊은 인물입니다. 가족을 그리워 하며 나무인형을 다듬는 소박한 모습이나 비극적으로 사망하는 장면은 지나치게 작위적이고 영화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인간성’ 때문에 집어넣은 것 같지만 충실히 제 역할을 해 준 것 같습니다. 타츠오를 인간적으로 성장하게 하는 인물 중 한 명이었다는 점에서 후하게 평가하고 싶습니다. 어떤 배우인지 궁금해서 네이버나 다음의 영화 정보를 뒤져봤는데 정보가 없더군요.
그리고 천호진은 짧게 등장했지만 정말 좋습니다. 짧게나마 이 배우를 보여준 감독께 감사. 이 배우는 무슨 역을 해도 잘 어울리는것 같습니다. 별로 중요한 역할은 아니지만 천호진의 연기를 본 것 만으로도 9천원 중 천원 이상의 가치는 되었습니다.

3. 자잘한 디테일이 마음에 듭니다. 저는 홍보에서 강조한 노몬한이나 노르망디 전투 보다는 영화 초반에 묘사한 1930년대 경성이 꽤 마음에 들었습니다. 강제규 감독은 태극기 휘날리며에서 1950년대의 서울을 묘사한 바 있는데 그 당시 보다 이 도시를 훨씬 더 잘 다룬 것 같습니다. 중간 중간 스쳐지나가는 사소한 배경을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했습니다.  
삭제된 장면 중에는 베를린을 다룬 부분도 있는 듯 한데 그것도 아쉽군요. 공간적으로 풍부한 느낌이 들어 좋았습니다. 주인공 중 한 명인 오다기리 죠는 끝내 런던까지 가는군요.

4. 영화에서 이야기 하고자 하는 인간성의 회복 문제는 지겹도록 반복되지만 그럼에도 전쟁영화에 가장 잘 맞는 주제 같습니다. 엉성하게 민족의 비극 타령이나 하는 영화들에 비하면 훨씬 낫지요. 연출이 부실해서 안타깝지만 영화에서 이야기 하고자 하는 주제는 나쁘지 않았습니다. 다 알지만 속아주고 싶은 그런 느낌입니다.


이 영화는 현재 기대에 못 미치는 흥행성적을 거두고 있습니다. 사실 저도 다른 분들에게 적극적으로 권하지는 못하겠습니다. 어딘가 엉성한 부분도 있고 영화적인 완성도가 썩 높다고 할 수도 없지요. 하지만 지나치게 저평가되는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최소한 별 한개짜리 영화는 아닙니다) 저는 영화를 볼 때 열심히 만들었다는 느낌이 들면 좀 더 후하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마이웨이도 그런 영화입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시간이 허락한다면 한 번 더 극장에서 볼 생각이 있습니다. 감독판으로 재개봉 할 수 있다면 좋겠군요.

2011년 3월 24일 목요일

2차대전 당시 소련에 수용된 전쟁포로의 사망률

소련의 수용소라면 당장 떠오르는 것은 열악한 생활환경과 가혹한 중노동입니다. 소련의 강제수용소를 다룬 이야기 중 가장 잘 알려진 솔제니친의 수용소군도의 내용만 보더라도 아름다운 모습이라곤 전혀 떠오르지 않지요.

2차대전 당시 소련은 총 3,777,290명의 포로를 잡았다고 합니다.1) 국적별로 세분화 하면 대략 다음과 같았다는군요.



국적
숫자
독일
2,389,560
오스트리아
156,682
헝가리
513,767
루마니아
201,800
이탈리아
48,957
핀란드
2,377
기타
464,147
G. F. Krivosheev, Soviet Casualties and Combat Losses in the Twentieth Century(Greenhill Books, 1997), p.277


그리고 이 중에서 꽤 많은 수의 포로가 고향땅을 밟지 못하고 사망했습니다. 소련 정부가 모든 포로를 송환한 뒤 1956년에 정리한 기록에 따르면 송환된 포로와 사망한 포로의 숫자는 다음과 같았다고 합니다.(집계 방식의 문제인지 위에서 인용한 자료와는 포로 숫자에서 조금 차이가 납니다.)



국적
포로 총계
송환된 포로
사망한 포로
독일
2,388,443
2,031,743
356,687
헝가리
513,766
497,748
54,753
루마니아
187,367
132,755
54,602
오스트리아
156,681
145,790
10,891
이탈리아
48,957
21,274
27,683
폴란드
60,277
57,149
3,127
체코슬로바키아
69,977
65,954
4,023
프랑스
23,136
21,811
1,325
유고슬라비아
21,830
20,354
1,468
네덜란드
4,730
4,530
199
핀란드
2,377
1,974
403
벨기에
2,014
1,833
177
룩셈부르크
1,653
1,560
92
스페인
452
382
70
덴마크
456
421
35
노르웨이
101
83
18
기타
3,989
1,062
2,927
포로 총계
3,486,206
3,006,423
518,480
Stefan Karner, “Die sowjetische Hauptverwaltung für Kriegsgefangene und Internierte. Ein Zwischenbericht” , Vierteljahrshefte für Zeitgeschichte 42-3(1994), s.470.

2차대전이 끝난 직후 소련의 사회경제적 상황은 말 그대로 최악이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얼마전 까지 총부리를 들이댔던 나라의 포로들에게 좋은 대접을 해줄 여유가 있을리 없었습니다. 2008년에 썼던 “독일장교 비더만의 소련 포로수용소 생활”이라는 글에서 간단히 다뤘지만 특히 1945~46년 겨울에는 엄청난 숫자의 포로가 사망했습니다. 사정이 조금 나아지는건 1946년 하반기 이후였다고 하지요.

어쨌든 위에서 인용한 통계에 따르면 포로 생활 중 사망한 포로의 비율은 14.9%입니다. 좀 놀라운 것은 유독 이탈리아인 포로만 엄청나게 사망했다는 것 입니다. 생환된 숫자가 사망자 보다 더 적다는게 충격적이지요. 이탈리아 포로의 사망률은 56.5%로 다른 나라를 뛰어넘는 엄청난 규모입니다.2) 아마도 이탈리아군 포로의 대부분이 1942~43년 겨울 전역에서 생포되었기 때문에 그렇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비슷한 시기 스탈린그라드에서 생포된 포로 9만여명 중 겨우 6천여명 만이 살아돌아온 것과 비교할 수 있겠군요.3) 이탈리아가 1943년 항복한 뒤에는 포로의 대우가 개선되었다는 이야기도 있긴 합니다만 일단 사망률 자체가 덜덜덜한 수준이니별로 와닫지는 않는군요.
정작 가장 고생을 많이 했을 것 같은 독일군 포로의 사망률은 평균적인 수준입니다. 물론 최악이라고 할 수 있는 스탈린그라드의 포로들을 제외한다면 말입니다. 여기에 소련이 1945년에 본국으로 끌고 가지 않고 독일 내에서 석방한 포로들을 더한다면 사망률은 조금 더 내려가지 않을 까 생각됩니다.



1)  G. F. Krivosheev, Soviet Casualties and Combat Losses in the Twentieth Century(Greenhill Books, 1997), p.277
2) Stefan Karner, “Die sowjetische Hauptverwaltung für Kriegsgefangene und Internierte. Ein Zwischenbericht” , Vierteljahrshefte für Zeitgeschichte 42-3(1994), s.470.
3) Guido Knopp, Die Gefangenen,(Wilhelm Goldmann Verlag, 2005), s.72

2009년 5월 24일 일요일

대박

스탈린그라드 전투가 종결된 직후, 내무인민위원장 베리야는 스탈린에게 다음과 같은 보고서를 보냈습니다.

소비에트연방 내무인민위원회의 전쟁포로국에는 전쟁 발발 이후부터 2월 3일 현재까지 관할 수용소와 전선의 임시수용소에 19만6515명의 포로가 등록되어 있습니다.

포로수용소 내 : 86,894명
전선임시수용소 내 : 78,951명
보건인민위원회 소속 병원 내 : 11,995명
수용소, 전선임시수용소로 이송 중 : 8,477명
수용소, 이송 중 탈진 또는 질병의 결과로 사망한 자 : 10,198명

이 밖에 각 전선군 및 야전군사령부의 집계중인 보고에 따르면 1만6천명의 포로가 내무인민위원회 관할의 전선임시수용소로 이송 중 입니다.
포로수용소에 수용된 포로 중 16,059명의 포로는 노동에 투입하고 있습니다.

포로수용소에 수용된 포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장교 2,448명
부사관 18,243명
사병 66,203명

장교 : 장군 4명, 대령 23명, 중령 31명, 소령 68명, 대위 330명, 중위 141명, 소위 625명, 사관후보생 1,078명, 상선단 장교 6명, 기타 간부 141명

이 밖에 돈 전선군 사령부의 보고에 따르면 전선군 관할지역의 포로 중 장교가 2,500명이고 이 중 장군이 24명 입니다.

Leonid Reschin, Feldmarschall Friedrich Paulus im Kreuzveröhr 1943-1953, Bechtermünze Verlag, 1996/2000, s.38

스탈린그라드 전투 한 번으로 포로로 잡은 독일군 장교의 숫자가 전쟁이 시작된 뒤 1년 반 동안 잡은 독일군 장교의 숫자보다 많습니다. 게다가 장군은 여섯배!

그야말로 대박 입니다. 보고서를 읽는 스탈린 동지도 꽤나 흐뭇하셨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