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2월 25일 일요일

마이웨이를 봤습니다

마이웨이를  봤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꽤 볼만했습니다. 많은 분들이 지적하시는 것 처럼 연출상의 문제가 심각하고 사소한 고증 문제가 있기는 한데 참으면서 볼 정도는 됐습니다. 7광구 같은 졸작을 이미 경험했다 치더라도 예상외로 나쁘지 않은 영화였습니다. 좋은 영화라고 할 수 는 없겠지만 괜찮은 영화라고는 할 수 있겠습니다.

일단은 마음에 들지 않았던 요소부터 이야기 하겠습니다.

1. 주인공 김준식이 너무 평면적이고 매력이 없습니다. 그렇게 심한 고생을 하고 학대를 당한것 치고는 감정의 기복이 없어 보입니다. 캐릭터 자체는 나쁘지 않았던 것 같지만 묘사하는 방식이 영 마음에 들지 않더군요. 사실 일본군 병영이건 소련 포로수용소건 노르망디 해안이건 어디서나 줄구장창 마라톤 연습을 하는게 어색할 정도로 작위적이어서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다른 곳은 몰라도 소련 수용소라면 밥도 제대로 못 먹고 중노동에 시달렸을 텐데 달리기 할 기운이 남아있다니 너무 이상하지 않습니까. 이미 처음부터 완성되어 있던 인물이라는 점에서 연출이 아쉬웠습니다.

2. 판빙빙이 연기한 쉬라이라는 캐릭터는 너무 엉뚱해서 짜증이 났습니다. 쉬라이라는 인물을 삭제하고 대신 독일군 포로수용소나 이야기의 개연성을 강화시켜 줄 다른 부분을 넣는 것이 훨씬 나았을 것 같습니다. 중국 시장을 염두에 둔 것인지 억지로 ‘항일애국지사’를 집어 넣은게 굉장히 불편했습니다. 주인공을 두 사람으로 만든 지점에서 이미 해야 할 이야기가 산더미 같은데 뜬금없는 등장인물이 하나 더 튀어나오니 이야기의 흐름을 끊는 것 같아 불편했습니다.

3. 이야기의 진행이 매끄럽지 못합니다. 해야 할 이야기에 비해 시간이 부족하니 어쩔 수 없습니다. 16부작 정도 되는 TV용 드라마로 만들었다면 훨씬 괜찮은 이야기가 되었을 텐데 아쉽습니다. Das Boot처럼 TV용으로 따로 편집을 한다면 훨씬 좋을 것 같은데 그럴 가능성이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일단 노몬한에서 독소전쟁 까지는 어쨌거나 이야기가 그런대로 이어지는데 주인공 두 사람이 헤어진 뒤 갑자기 화면이 전환되면서 1944년의 프랑스로 이동하는게 그다지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4. 전투 장면의 연출이 매우 아쉽습니다. 처음의 1차 노몬한 전투는 상당히 스펙터클한 느낌도 들었고 매우 마음에 들었습니다. 그런데 다음의 2차 전투가 영 아쉽더군요. 압도적인 소련군의 전력과 일본군의 비인간적이고 무모한 전술을 비교하려는 시도는 나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나치게 전차와 인간의 대결에 집중한 것 같습니다. 컴퓨터 그래픽으로 합성한 전차들만 스크린을 가득 덮고 있으니 뭔가 비현실적인 느낌이 들었습니다. 중간 중간 소련 보병이라도 튀어나와 주었으면 덜 밋밋했을 것 같아서 아쉽습니다. 독소전쟁은 너무 애너미 앳 더 게이트의 느낌이 나는게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노르망디는 극적인 흐름을 위해서 다소 무리한 연출을 한 느낌이 듭니다. 상륙부대가 해안을 휩쓴 뒤 공수부대가 낙하하는 건 극적인 연출을 위해서 무리하게 집어넣은 장면이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듭니다. 이 외에도 황당한 요소가 많은데 영화이니 그냥 넘어가지요;;;;

5. 마라톤이라는 요소가 사건의 발단 외에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영화 도입부의 마라톤 장면도 일본의 폭압적인 성격을 보여주기 위해서 단순하게 묘사되어서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김준식이 계속해서 달리기 연습을 하는 것 말고는 마라톤이 이 영화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 요소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육상선수 출신의 주인공을 다룬 영화 ‘갈리폴리’에서는 달리기라는 요소가 영화의 막바지에 비극을 강조하는 요소로 잘 녹아들었는데 마이웨이에서는 그 점이 참 아쉽군요.

이런 부분들이 개선되었다면 더 볼만한 영화가 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래도 대작 답게 볼만한 부분도 많았습니다. 나름 돈 값은 했다는 생각도 드는군요. 이 영화에서 마음에 들었던 부분을 조금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1. 공동주연 중 한명인 오다기리 조가 연기한 하세가와 타츠오는 영화를 통해 큰 변화를 겪는 인물이어서 ‘마라토너 김준식’에 비해 훨씬 좋은 캐릭터였습니다. 지나치게 과장된 면이 있기는 하지만 군인인 할아버지에 대한 동경과 조선인에 대한 증오로 뭉쳐 전쟁을 열망하게 된 청년이 고통스러운 현실에 직면해 내면의 변화를 일으키면서 인간적으로 성장해 가는 설정은 뻔하지만 나름대로 좋았습니다. 특히 소련 포로수용소가 묘사된 부분은 이 배우의 매력을 잘 살려준 것 같습니다. 주인공 다운 인물이었습니다.

2. 조연으로 나온 배우들이 괜찮습니다. 김인권이 연기한 안똔은 이 영화에서 가장 현실적으로 보이는 인물입니다. 김준식과 이 인물을 합쳤다면 영화가 훨씬 좋지 않았을까 싶네요. 영화에서 가장 극단적으로 무너진 인물인데 이 인물 덕분에 소련 포로수용소 장면이 이 영화를 통틀어 가장 볼만한 부분이 되었습니다. 김인권이 조연으로 나온 영화를 보면서 그다지 주목한 일이 없었는데 이 영화에서는 상당히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타츠오의 부관으로 나온 소좌도 분량은 짧지만 인상 깊은 인물입니다. 가족을 그리워 하며 나무인형을 다듬는 소박한 모습이나 비극적으로 사망하는 장면은 지나치게 작위적이고 영화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인간성’ 때문에 집어넣은 것 같지만 충실히 제 역할을 해 준 것 같습니다. 타츠오를 인간적으로 성장하게 하는 인물 중 한 명이었다는 점에서 후하게 평가하고 싶습니다. 어떤 배우인지 궁금해서 네이버나 다음의 영화 정보를 뒤져봤는데 정보가 없더군요.
그리고 천호진은 짧게 등장했지만 정말 좋습니다. 짧게나마 이 배우를 보여준 감독께 감사. 이 배우는 무슨 역을 해도 잘 어울리는것 같습니다. 별로 중요한 역할은 아니지만 천호진의 연기를 본 것 만으로도 9천원 중 천원 이상의 가치는 되었습니다.

3. 자잘한 디테일이 마음에 듭니다. 저는 홍보에서 강조한 노몬한이나 노르망디 전투 보다는 영화 초반에 묘사한 1930년대 경성이 꽤 마음에 들었습니다. 강제규 감독은 태극기 휘날리며에서 1950년대의 서울을 묘사한 바 있는데 그 당시 보다 이 도시를 훨씬 더 잘 다룬 것 같습니다. 중간 중간 스쳐지나가는 사소한 배경을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했습니다.  
삭제된 장면 중에는 베를린을 다룬 부분도 있는 듯 한데 그것도 아쉽군요. 공간적으로 풍부한 느낌이 들어 좋았습니다. 주인공 중 한 명인 오다기리 죠는 끝내 런던까지 가는군요.

4. 영화에서 이야기 하고자 하는 인간성의 회복 문제는 지겹도록 반복되지만 그럼에도 전쟁영화에 가장 잘 맞는 주제 같습니다. 엉성하게 민족의 비극 타령이나 하는 영화들에 비하면 훨씬 낫지요. 연출이 부실해서 안타깝지만 영화에서 이야기 하고자 하는 주제는 나쁘지 않았습니다. 다 알지만 속아주고 싶은 그런 느낌입니다.


이 영화는 현재 기대에 못 미치는 흥행성적을 거두고 있습니다. 사실 저도 다른 분들에게 적극적으로 권하지는 못하겠습니다. 어딘가 엉성한 부분도 있고 영화적인 완성도가 썩 높다고 할 수도 없지요. 하지만 지나치게 저평가되는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최소한 별 한개짜리 영화는 아닙니다) 저는 영화를 볼 때 열심히 만들었다는 느낌이 들면 좀 더 후하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마이웨이도 그런 영화입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시간이 허락한다면 한 번 더 극장에서 볼 생각이 있습니다. 감독판으로 재개봉 할 수 있다면 좋겠군요.

댓글 11개:

  1. 공작 등푸른 돼지11:42 오후

    맞습니다. 아직까지는 이정도 규모의 영화를 국내 실력으로는 소화할 수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지적하신 것처럼 스토리가 이어지지 않는 부분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큰 줄기는 잡았는데 세부적인 부분에서 삐거덕 한다는 느낌이 잘 들었습니다. 두 주인공을 라이벌 구도로 설정한 것은 식상하기는 하지만 무난한 구도였고 조연들이 이를 잘 받쳐 줬지요. 그런데 라이벌 중 한쪽에만 지나치게 이야기가 쏠렸다는 느낌입니다. 장동건은 주인공이 되어서 아무것도 안하는 병풍이 되어버렸으니...

      삭제
  2.  사방에서 주구장창 틀어주는 예고편도 그렇고 보신 평을 읽어보니 왠지 '태극기 휘날리며'의 재림같은 느낌이 듭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이야기 구성은 좋은 점수를 주기 어렵지만 영상적인 면에서는 태극기 휘날리며 보다 진보한 측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삭제
  3. 제 후기에 적어주신 댓글의 댓글에도 썼지만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치는 안똔이 가혹한 현실에서 있을 법한 개연성있는 캐릭터로 느껴지더군요. 말씀하신 것 처럼 김준식이 수용소에서 안똔처럼 흑화되었으면 좀더 그럴 듯 하게 다가왔을 법 합니다(동생이 살해당한줄알고 북으로 넘어가 폭주해버린 태극기에서처럼). 이번 장동건의 연기는 안ㅅㄱ나 차ㅇㅍ의 무미건조한 캐릭터를 떠올리게 해서 많이 답답했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예. 저도 주인공을 별로 매력적이지 못하게 묘사한게 이 영화의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삭제
  4. 이준님8:56 오전

    1. 사실 한/일 관계라던가 시대가 지났기 때문에 준식/타츠오의 우정 부분은 그렇게 나쁘지만은 아니라고 봅니다. 40년대는 당연히 상상할수도 없지만서도 70년대 이후만 가도 독일 혹은 일본 병사와 연합군 병사와의 선의의 경쟁이나 나름 우정을 다룬 작품은 꽤 많거든요. 한국은 다만 좀 특이한 경우라서 늦는게 문제지만 한두번 정도는 다룬다고 나쁭 건 없습니다. 뭐 동일논리라면 북한인과의 우정도 다루는게 맞듯이요

    문제는 꽤 괜찮은 주제임에도 그걸 소화할수 있는 능력이 상당히 부족했다는 점이지요. 나름 괜찮고 이국적인 재료를 어디서 구했는데 요리사가 재료에 대한 공부가 부족해서(아니 그쪽 업계에서 재대로 재료를 손질할 사람이 부족해서) 요리가 생각보다 맛이 없다고나 할지 뭐 그렇습니다.(아예 돼지밥은 아니고 나름 칭찬할 부분은 있지만요)

    2. 동일소재를 다룬 조정래의 오. 하느님의 소설의 설정이나 이야기 구성은 오히려 이 영화가 낫습니다. 오. 하느님이 영화화되었다면 그건 진짜 재난이지요.

    3. 노몬한 부분이 보병도 없이 그렇게 된건 일본 영화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상당히 참조했음이 분명한 일본 영화 전쟁과 인간에서도 비슷하게 탱크만 수두룩하게 나와주지요.(아. 거기는 아예 일본은 알보병만 나오는군요) 

    4. 안똔 캐릭터는 솔직히 주인공이 하기가 어려운 캐릭터는 사실입니다. 감독도 초기에는 안똔과 준식을 합치는 것을 고려했고 태극휘에서도 장동건의 전향도 있긴한데... 사실 태극휘의 그 일때문에 감독이 그냥 안똔이라는 캐릭터를 새로 만들었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1. 아직도 현재진형인 남북관계에서도 화해를 이야기 하는데 한일간에 그런 이야기를 못할 이유도 없지요. 말씀하신 대로 소재는 괜찮은데 제대로 다루지 못한 것 같습니다.

      2. 『오 하느님』을 보니 조정래는 많이 게을러진 것 같더군요.

      삭제
  5. 노몬한 전투에서부터 속이 울렁거리기 시작해서 결국 소련군 포로수용소에서 견디지 못하고 나왔습니다.
    하루종일 멀미 휴유증에 시달리고 나니 내용도 디테일도 기억이 잘 안나네요.
    다른 건 잘 모르겠고 연출적으로 카메라 좀 덜 흔들었으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전쟁장면뿐만 아니라 병영과 포로수용소 등 쉴 새 없이 나오는 싸움박질에서의 카메라 흔들림 때문에 시각이 도무지 쉬지를 못해서...

    답글삭제
  6. 아 ㅋ 그 소좌 양반은 하나다 마나부라고 (浜田学) 일본 사극이나 드라마에선 조연으로 꽤 자주 나오는 나름 연기파;; 조연입니다.

    전 이양반 예전 NHK 사극 무사시나 공명의 갈림길에서 봤는데 공명의 갈림길은 왜 그 형님 좋아하시는 나카마유키에 나오잖아요..ㅎ 하다나 이양반 거기거 나카마 유키에의 남편인 토사번주 야마우치  카즈토요의 후다이(대대로 충성하는 가신) 가신으로 나옵니다.ㅋ

    열심히 주인하고 마님(나카마 유키에) 봉공해 주인이 토사 일국의 다이묘가 되어 본인도 출세했는데 토사 현지세력 반란때 죽는 역이라 더 기억이..ㅋ

    답글삭제
    답글
    1. MJ님께 충성하기 위해 유키짱을 버렸음. ㅋㅋㅋ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