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나폴레옹전쟁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나폴레옹전쟁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1년 9월 4일 일요일

클라우제비츠, 마키아벨리 그리고 중립

2차대전기 독일의 군사동맹이 가진 문제점을 연구한 군사사가 디나도Richard L. DiNardo는 프로이센-독일의 군사이론가들은 동맹을 맺고 싸우는 것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디나도의 연구에서 흥미로운 점은 그런 사례의 하나로 클라우제비츠를 들고 있습니다.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에서는 동맹국과의 연합작전에 대해 큰 비중을 두고 있지 않다는 것 입니다.1)

그런데 프로이센-독일의 군사이론에서 군사 동맹이 큰 관심을 받지 못 한 것과 클라우제비츠를 연계 시키는 것은 타당하다고 할 수 있을까요?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렸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전쟁론』에서는 동맹국과의 연합작전을 소홀히 취급하고 있긴 하지만 그것은 클라우제비츠가 외교에 대해 무관심 했던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클라우제비츠 연구자 중 한 명인 베아트리체 호이서Beatrice Heuser는 클라우제비츠의 외교에 대한 시각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사상가의 한 사람으로 마키아벨리를 꼽습니다. 실제로 클라우제비츠가 남긴 글에서 마키아벨리의 영향을 찾아볼 수 있는 부분이 많으며 마키아벨리의 저작에 대해 찬사를 아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클라우제비츠는 『군주론』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21장은 모든 외교관의 규범이라 할 수 있다. 이를 따르지 못하는 이들은 안타깝기 그지없다.”2)

클라우제비츠가 극찬한『군주론』의 21장은 그 유명한 ‘외교적 중립’의 문제점에 대해 다루고 있는 장입니다. 마키아벨리는 21장에서 인접한 두개의 강국이 충돌할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어느 한 편에 서서 참전하는 것이 최상의 선택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클라우제비츠는 자신이 경험한 현실 때문에 더욱 더 마키아벨리에 주목했을지도 모릅니다. 프로이센은 1805년 오스트리아와 러시아가 프랑스와 싸우고 있을 때 중립으로 남아있었습니다. 그리고는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동맹국이 남지 않았던 1806년이 되어서야 전쟁에 끼어들었고 그 결과는 굴욕적인 패전이었습니다.

클라우제비츠가 『전쟁론』에서 외교적인 부분을 비중있게 다루지 않은 것은 약간 이해하기가 어려운 부분입니다. 하지만 클라우제비츠가 마키아벨리를 높게 평가한 것을 보면 굳이 외교적인 측면은 쓰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한 것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1) Richard L. DiNardo, Germany and the Axis Powers : From Coalition to Collapse,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5), pp.5~6
2) Beatrice Heuser, Clausewitz lesen!, (Oldenbourg Verlag, 2010), p.9

2009년 7월 5일 일요일

프랑스혁명-나폴레옹전쟁기의 보병창

배군님이 쓰신 17세기 스웨덴군 병종과 전술에 대한 글을 읽고 곁다리로 씁니다. 배군님의 글에 보병창에 대한 언급이 있기에 프랑스혁명-나폴레옹전쟁 시기의 보병창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해 보겠습니다.

프랑스군은 17-18세기에 군사기술에서 많은 혁신을 이룩하면서 다른 유럽국가들에게 큰 영향을 끼칩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총검(Bayonet)’의 도입이었습니다. 총검의 도입으로 보병들은 소총만을 장비하고도 충격력과 화력을 동시에 이용해 전투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어떤 군사사가는 수발총과 총검의 도입으로 유럽 군대가 오스만투르크로 대표되는 비유럽 군대에게 확고한 전술적 우위를 차지하게 됐다고 지적하기도 합니다.[Black, 1995, p.101] 총검이 차지하는 지위가 높아진 결과 보병창이 차지하는 지위는 점차 낮아져 17세기 말에는 사실상 프랑스군에서 퇴출되게 됩니다.

프랑스군이 처음으로 총검을 사용한 것은 1642년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프랑스-네덜란드 전쟁(1672-1678)에서는 프랑스군이 처음으로 대규모 총검돌격을 실시해 총검의 전술적 위력을 과시합니다.[Lynn, 1999, p.60] 프랑스군의 대대전술대형을 보면 총검의 도입에 따라 보병창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0년전쟁기 프랑스군의 보병대대는 소총병과 창병의 비율이 1:1이었습니다. 그러나 1650년경에는 그 비율이 2:1로 역전되고 프랑스-네덜란드전쟁에서 대규모의 총검이 사용된 직후인 1680년에는 3:1로, 그리고 9년전쟁 기간 중인 1695년에는 4:1이 되다가 1705년에는 창병이 완전히 사라집니다.[Lynn, 1997, p.476] 이미 9년전쟁(1688-1697) 기간 중 일부 보병대대는 전체가 소총병으로 편성된 경우도 있었으며 루이 14세는 9년전쟁 종결 뒤 모든 보병의 기본 장비를 화승총에서 수발총으로 바꾸고 총검을 장비하도록 명령했습니다.[Lynn, 1997, p.472]

이렇게 해서 18세기로 들어오면 프랑스군에서 보병창은 완전히 퇴출됩니다. 기병을 상대로 유용하다는 점 때문에 일각에서 보병창을 부활시키자는 의견도 나오긴 했습니다만 시대가 시대인 만큼 실제로 보병창이 다시 사용되는 일은 없었습니다.

혁명이 일어나기 전 까지는 말이죠.

마침내 프랑스혁명이 터지고 얼마 지나지 않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을 상대로 전쟁이 발발하자 혁명정부는 대규모 모병을 시작합니다. 1792년까지는 혁명의 정신에 입각해 자원병 모집이 주를 이루었으나 전쟁이 임박하자 사정이 달라집니다. 정부가 목표로 한 30만명의 육군을 자원병으로만 만든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언제나 그렇지만 혁명 이념 같은 추상적 문제에 목숨을 내거는 사람이 많을 리는 없으니 말입니다. 혁명정부는 1793년 봄부터 강제 모병으로 전환했는데 어찌나 성과가 좋았는지 여름이 오기 전에 30만명을 모으는데 성공합니다. 비록 혁명정부가 목표로 한 75만명은 달성하지 못했지만 프랑스군은 60만 대군으로 불어납니다.[Forrest, 2003, p.12] 사실 당시의 기준이건 현대의 기준이건 60만은 엄청난 대군이었습니다. 프랑스의 적들 중에서 이 정도의 대군을 동원할 수 있었던 국가는 당시에는 전무했습니다.

그런데 대군을 만든 것 까지는 좋았는데 중요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소총이 부족했던 것 입니다.

당시 프랑스의 대표적 조병창인 파리 조병창의 연간 소총 생산량은 9천정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군대는 갑자기 60만명으로 불어나 버렸으니 문제가 보통 심각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사태가 이렇게 되자 혁명정부는 땜빵용 무기를 찾았고 그것은 의외로 멀리 있지 않았습니다.

보병용 무기로 다시 창을 지급하는 것 이었습니다.

프랑스 혁명정부는 1792년 보병창을 다시 보병의 정식 장비로 부활시키기로 결정합니다. 전쟁부 장관 세르방(Joseph Servan)은 보병에게 창을 지급하라는 명령을 내리면서 명령서에 다음과 같은 구절을 삽입했다고 합니다.

“마침내 자유로운 인민들이 이 무기를 다시 사용할 때가 왔다. (창은) 이미 혁명의 무기로 영광을 얻었으며 이제는 승리의 무기가 될 때이다!”

John A. Lynn, ‘French Opinion and the Military Resurrection of the Pike, 1792-1794’, “Military Affairs” Vol.41 No.1(Feb, 1977), p.1

립서비스로는 나쁘지 않았지만 그렇다 해도 총이 없어 창을 들어야 한다는 사실이 변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혁명정부의 일각에서는 창을 다시 쓰는 것도 그리 나쁜 선택은 아니라고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18세기 내내 프랑스의 많은 군사이론가들은 프랑스군이 사격에서 프로이센과 영국을 앞서는 것은 어렵다고 생각했습니다. 대신 총검에 의존하는 충격 전술은 프랑스군에게 잘 맞는 방식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었습니다. 삭스(Maurice de Saxe) 원수가 대표적인 인물이지요. 삭스 원수는 보병창을 다시 사용할 것을 주장하기 까지 했습니다. 삭스 원수 외에도 많은 군사이론가들이 충격전술을 중심으로 하는 보병전술을 옹호했습니다.[Lynn, 1977, p.2]

혁명정부도 이러한 주장의 영향을 받았고 1791년의 전술교범도 충격전술을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혁명전쟁시기 근거리 일제 사격 후의 총검돌격은 일반적인 전술이 되었습니다. 전쟁 발발 직전 소총 부족에 직면한 혁명정부의 입장에서 보병창을 다시 사용하는 것은 꽤 매력적인 대안으로 보였습니다. 총검전술에 의한 충격을 강조하는 전술을 사용하는 입장이니 보병대대를 소총병과 창병의 혼성 편제로 만드는 것도 그리 나쁜 선택은 아니었던 것 입니다. 총검 자체가 소총을 보병창의 대용으로 만들기 위해 나온 물건이니 말입니다. 국민의회 의원이었던 카르노(Lazare Carnot)는 전쟁이 발발한 직후인 7월 25일 의회에 출석해 보병창이 근접전에 있어 매우 유용한 무기라는 연설을 했습니다. 의회는 카르노의 주장을 받아들여 군사위원회에 보병대대 편제를 소총병과 창병의 혼성편제로 하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합니다.[Lynn, 1977, p.3]

군사위원회는 소총병과 창병을 한 개 대대로 편성하는 방안이 위험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의회의 방안에 부정적이었습니다. 그러나 대규모 모병 계획이 시작되면서 보병창의 도입은 피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자코뱅과 같은 과격파들은 대규모 ‘정규군’은 민주적 정부를 위협할 수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시민의 자발적 참여에 기반한 군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창은 그 군대에 적합한 무기였습니다. 일단 군대로 끌고 왔으면 손에 뭔가를 쥐어주긴 해야지요. 혁명정부는 1792년 8월 1일, 50만 자루의 창을 생산하는 결정을 내립니다.[Lynn, 1996, p. 190]

이미 혁명정부가 보병창의 사용을 공식적으로 발표하기 전부터 지방에서는 의용군 모집과 함께 자발적으로 창 생산이 시작됐습니다. 전선으로 나가는 의용군 대대들은 대부분 창으로 무장하고 나갔다고 하지요. 전선에서 다시 소총을 받기는 했지만. 매우 드물긴 하지만 후방 사단의 경우 1개 사단 전체가 창으로 무장한 경우도 있긴 했다고 합니다.[Lynn, 1996, p. 190] 그러나 혁명정부가 전시 생산을 독려하면서 소총생산이 급증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파리 조병창의 경우 연간 생산량이 9천정 밖에 되지 않았지만 전시동원이 시작되자 1793년 9월부터 1794년 10월까지 14만5천정의 소총을 생산하는 기염을 토합니다. 이 조병창은 생산이 절정에 달했을 때는 하루에 600정을 만들었다고 합니다.[Forrest, 2003, p.18]

보병창의 옹호론자들은 프랑스군의 소총부족이 해소된 1794년 이후에도 기병전에 유용하다는 이유로 창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시계를 거꾸로 돌리지는 못 했습니다.

한편, 나폴레옹 전쟁이 진행되던 와중에 프로이센도 보병창을 다시 사용하게 됩니다. 역시 소총이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프로이센은 1806년 전쟁에서 프랑스에게 완패 당한 뒤 병력을 4만2천명으로 제한당하는 굴욕을 겪었습니다. 샤른호르스트(Gerhard von Scharnhorst)의 주도 하에 재무장을 추진하고 있었지만 프로이센의 공업생산력은 프로이센군의 요구 사항을 따라가지 못했습니다. 1803년에 채택된 신형 노타드 소총(Nothard Gewehr)은 1806년 전쟁이 발발할 때 까지 겨우 7개대대만이 장비하는데 그쳤고 이 소총을 생산하는 쉬클러(Schikler) 조병창(슈판다우와 포츠담 두 곳에 공장을 둔)의 생산능력으로는 4만2천명의 프로이센군에게 노타드 소총을 보급하는데 최소 6년에서 8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Showalter, 1972, p.367] 결국 프로이센군의 대부분은 계속 1782년형 보병총(Infanterie-gewehr M1782)으로 무장하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프랑스의 감시 때문에 기존의 조병창에서 조약이 규정한 한도 이상의 소총을 생산하는 것도 문제였습니다. 대안으로 프랑스의 감시가 느슨한 실레지엔(Schlesien)에 새로운 조병창을 건설하는 방안이 추진되었습니다. 프랑스군이 1809년 이후 점령지에서 철수하면서 프로이센의 소총 생산은 탄력을 받아 1809년 1월부터 1810년 3월 까지 44,329정의 소총이 생산됩니다. 여기에는 1809년에 채택된 M1809가 포함되었습니다.[Showalter, 1972, p.371-372]

프로이센군은 1811년 까지 95,180정의 소총을 확보했습니다. 그러나 이 정도 수량으로는 전시 동원으로 소집될 병력을 완전히 무장 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영국에게서 소총 6만정의 원조를 약속 받고 별도로 오스트리아로부터 5만정의 소총을 구매합니다. 동시에 실레지엔에 건설한 조병창의 확대를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나폴레옹이 러시아에서 쪽박을 차면서 문제가 심각해 졌습니다.

프로이센은 즉시 전쟁에 참전하긴 했는데 1792년의 프랑스와 마찬가지로 동원 능력에 비해 확보한 소총이 부족했습니다. 프로이센은 전쟁에 참전할 당시 65,675명의 예비군만을 확보한 상태여서 추가로 12만명의 향토방위군(Landwehr)을 더 소집하려 했습니다.[Rothenberg, 1980, pp.192-194] 그런데 소총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여서 1813년 4월에 새로 편성한 7개 예비군 연대는 병력 5,000명 중 소총을 가진 병사가 912명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예비군도 이 지경이라 긴급히 소집된 향토방위군 대대는 소총병과 창병을 혼합 편성하라는 명령을 받습니다.

결국 프로이센의 문제를 해결해 준 것은 영국 등 외국의 원조였습니다. 동프로이센의 향토방위군은 러시아로부터 1만5천정의 프랑스 소총을 지원받아 무장을 할 수 있었으며 폼메른의 경우는 영국, 스웨덴으로부터 무기를 공급받을 수 있었습니다. 외국의 원조 중 가장 결정적인 것은 영국이었는데 영국 정부는 프로이센이 전쟁에 참전하자 5월부터 10월까지 총 10만 정의 소총을 원조합니다. 결과적으로 프로이센군은 1813년 9월까지 잡다한 소총을 긁어 모아 27만5천정의 소총을 확보하는데 성공합니다.[Showalter, 1972, p.377-378]

표준화는 물 건너 갔지만 나폴레옹의 군대를 상대로 창질을 하는 것 보다는 백 배 나았을 겁니다.


참고문헌
Jeremy Black, ‘A Military Revolution? A 1660-1792 Perspective’, The Military Revolution Debate, Westview, 1995
Alan Forrest, ‘La patrie en danger :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First Levée en masse’, The People in Arms : military Myth and National Mobilization since the French Revolu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John A. Lynn, ‘French Opinion and the Military Resurrection of the Pike, 1792-1794’, “Military Affairs” Vol.41 No.1(Feb, 1977)
John A. Lynn, The Bayonets of the Republic : Motivation and Tactics in the Army of Revolutionary France 1791-94, Westview, 1996
John A. Lynn, Giant of the Grand Siécle : The French Army 1610-171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John A. Lynn, The Wars of Louis XIV 1667-1714, Longman, 1999
Denis E. Showalter, ‘Menifestation of Reform : The Rearmament of Prussian Infantry, 1806-13’, “The Journal of Modern History” Vol.44 No.3(Sep, 1972)

2009년 1월 5일 월요일

Napoleon's Last Victory and the Emergence of Modern War - by Robert M. Epstein

Ladenijoa님이 트라헨베르크(Trachtenberg)계획에 대한 글을 써 주셔서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대 나폴레옹 필살전법 - 트라헨베르크 플랜

약간 아쉬운 점 이라면 나폴레옹 전쟁 후기의 전투들이 1807년 이전의 전투들과 성격 면에서 크게 달라졌다는 점을 설명해 주셨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것 입니다. 1813년 뤼첸(Lützen)바우첸(Bautzen)에서 프랑스군은 수적으로 열세한 동맹군에 대해 거의 비슷하거나 더 많은 인명손실을 입으면서도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 했습니다. 나폴레옹이 1805년과 1806년에 오스트리아-러시아와 프로이센을 상대로 거둔 눈부신 승리들은 나폴레옹의 전성기 실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입니다. 나폴레옹은 저 두 전역에서 동맹군을 상대로 적의 주력을 섬멸하는 결정적인 승리를 거둠으로서 외교적으로 크게 유리한 강화조약을 체결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1807년의 아일라우(Eylau)전투를 시작으로 해서 프랑스군이 전장에서 보여준 압도적인 우위는 조금씩 사라지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1809년의 바그람(Wagram)전투는 나폴레옹의 승리로 끝나기는 했지만 이제 프랑스군이 언제나 전술적으로 동맹군을 압도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줬습니다.

그렇다면 1805년 이후 어떤 변화가 있었기에 동맹군이 전장에서 프랑스군과 거의 대등하게 싸울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한 것일까요?

오늘 이야기 하고 자 하는 엡스타인(Robert M. Epstein)의 ‘Napoleon's Last Victory and the Emergence of Modern War’는 바로 이 주제를 다루고 있는 저작입니다. 저자인 엡스타인은 1809년의 바그람(Wagram)전투를 분석해 이 전역을 기점으로 나폴레옹 전쟁은 물론 근대전쟁의 성격도 변화했다고 주장합니다.
엡스타인이 주목하는 점은 이 전역에서 나폴레옹이 승리하기는 했지만 더 이상 결정적인 승리는 거두지 못했다는 점 입니다. 나폴레옹은 1805년과 1806년의 전역에서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에 일방적인 대승리를 거두면서 외교적으로 유리한 협상을 이끌어 낼 수 있었습니다. 두 전역에서 동맹군은 항상 결전장에서 프랑스군에게 주력이 격멸되는 참패를 당했습니다. 그런데 1809년 전역에서는 나폴레옹이 똑 같은 승리를 달성할 수 없었던 것 입니다.
엡스타인은 그 원인으로 1805년 이후 동맹군도 프랑스와 동일한 군제개혁에 성공한 점을 사례로 들고 있습니다. 오스트리아와 러시아는 이 전역 이후로 프랑스를 모방한 군-군단-사단-여단으로 이어지는 지휘체계를 완성합니다. 러시아군은 1807년의 아일라우 전투 당시 불완전한 군단-사단체제로 전투에 참여했지만 1809년까지 전쟁을 준비할 기회가 있었던 오스트리아는 군단-사단체제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루어 냅니다. 그리고 이러한 개혁을 실험할 기회가 1809년에 찾아옵니다.

※ 초기 프랑스군의 사단편제에 대해서는 예전에 글을 한 편 썼습니다.
-> 프랑스군의 사단편제 : 1763~1804

1809년 전역은 나폴레옹에게 있어서 자신의 적이 이전과는 크게 달라졌다는 점을 깨닫게 해 주었습니다. 바그람 전역의 초반인 아스페른-에슬링(Aspern-Essling)전투에서는 나폴레옹이 직접지휘하고도 승리를 거두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뒤이은 결전인 바그람 전투에서도 프랑스군은 오스트리아군을 후퇴시키긴 하지만 수많은 인명피해를 내고도 적의 주력을 격멸하는데 실패하고 맙니다.

저자인 엡스타인은 1809년 전역이 본격적인 근대전쟁의 막을 열었다고 결론을 내립니다. 이전의 전역에서 나폴레옹은 한 차례의 전역에서 결전을 이끌어내 적을 무너뜨렸지만 1809년 전역에서는 그럴 수가 없었습니다. 오스트리아군도 군단-사단 체제로 개편되면서 프랑스군이 과거에 누리던 전략적 기동의 우위는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나폴레옹은 과거 한 개 군으로 편성되어 느리게 이동하던 적을 상대로 군단단위로 분산된 부대를 신속하게 전개해 전략적으로 포위, 결전으로 이끌어내는데 성공했습니다. 그러나 이제 나폴레옹의 적들도 군단단위로 기동하게 됨으로서 프랑스군의 이러한 기동성의 우위가 사라집니다. 그리고 이렇게 군단단위로 넓은 전장에 산개해 이동함으로서 군단단위의 산발적인 교전의 가능성이 늘어나고 중앙의 사령부에서 전장을 통제하기가 더 어려워 졌습니다. 모든 장군들이 나폴레옹과 같은 천재일 수는 없었습니다. 1813년의 독일전역은 나폴레옹 전쟁으로 시작된 근대적 전쟁의 여러 측면을 잘 보여주었습니다. 이제 프랑스군과 동맹군은 단 한차례의 결전으로는 무너뜨릴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해 졌습니다. 나폴레옹은 여전히 뤼첸, 바우첸, 그리고 드레스덴 등지에서 승리를 거두었지만 그 어느 것도 결정적인 승리가 아니었습니다. 나폴레옹은 결전을 기대하면서 라이프치히에서 동맹군과 싸웠지만 이 전투는 양측 모두에 끔찍한 인명손실을 입힌 소모전으로 끝나고 말았습니다. 1813~14년의 전역에서 나폴레옹은 계속해서 전술적 승리를 거둘 수 있었지만 프랑스군은 점진적으로 소모되어 갔으며 이것은 나폴레옹의 전략적 패배로 이어집니다.

저자인 엡스타인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 있습니다.

“나폴레옹은 자신이 창조했지만 이해할 수 는 없었던 전쟁의 역동성에 의해 타도된 것이다.”

분량도 많지 않고 재미있게 쓰여져서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책입니다. 근대 이후의 전쟁사에 관심을 가지신 분들은 한번 읽어 보시길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