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이탈리아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이탈리아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9년 1월 13일 일요일

이탈리아 사나이들이 ★고☆자★ 되는 이야기


주말 내내 미세먼지로 고통을 받으니 쓸데없이 잡생각만 많아 지는군요. 이탈리아 사나이들이 아두와 전투에서 고자되는 이야기를 트위터에서 꺼낸 김에 그 이야기가 실린 책의 일부를 번역해 봅니다.

**********

아두와에 어둠이 깔리면서 에티오피아군은 추격을 멈췄다. 덕분에 도망가던 이탈리아군의 일부는 곤경을 벗어날 수 있었다. 하지만 어떤 이탈리아인들에게는 어둠과 함께 풍경의 색이 바뀌면서 또다른 공포가 시작되었다.
에티오피아 병사들은 비에 젖어 눅눅한 전장 곳곳에 불을 질렀다. 수증기와 연기, 불꽃, 화염이 들판을 덮으면서 다시 주변이 환해졌다. 그리고 풀밭 사이에서 마치 유령 같은 형상들이 연기와 함께 일어나 화염 사이에서 비틀거리며 사지를 질질 끌면서 움직였다. 이런 으스스한 형상들이 긴 그림자를 드리웠다. 이 광경은 마치 저주받았거나 구원받지 못한 망자들이 땅속에서 일어선 듯 했다. 이들은 부상을 당했거나 죽은 척 하며 누워있던 이탈리아 병사들이었다. 화염을 피해 일어난 병사들은 포로들을 상대로 한 마지막 수확의 희생물이 되었다.1)
아두와의 전장 곳곳에 벌거벗겨진 시체가 널려 있었다. 전사자들의 시체를 벗기는 일은 명예롭지는 않아도 그 기원은 오래된 관습이었다. 이동하는 군대는 많은 자산을 함께 가지고 다녔다. 전사자의 시체를 뒤져 현금이나 다른 귀중품을 얻는 것은 흔한 일이었다.2) 전사자들에게서 벗겨낸 옷가지는 재활용하거나 다른 물품과 교환, 판매할 수 있었다. 무기도 마찬가지였다. 몇몇 국가의 군대, 특히 에티오피아 군과 같이 자원병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적의 시체를 터는게 병사들의 유일한 수입원이기도 했다. 이게 병사들에게 급여를 지급하는 방식이었다.
적군의 시체 자체도 용맹을 입증할 상징이었다. 알베르토 보츠트(Alberto Woctt) 대위는 다보르미다(Dabormida) 장군이 지휘한 여단 예하 제3아프리카보병대대 소속이었다. 그는 밤이 되자 아두와의 하늘에 뜬 밝은 달이 퇴각하면서 전사한 병사들의 시체를 비추었다고 회고했다. “사방에 훼손된 시체가 널려있었다. 밝은 달 빛 때문에 시체들은 소름끼칠 정도로 창백했다.”3) 문제는 전투중에 아무 곳에나 입은 상처가 아닌 경우였다. 전사자나 죽어가는 사람들의 고환을 잘라낸 것이었다.
부사관이었던 지오반니 테도네(Giovanni Tedone)는 같은 부대 소속의 어떤 병사가 겪은 고통을 목격했다. 테도네는 그 병사의 이름을 몰랐지만 죽어가던 그 병사가 그와 같은 베르사글리에리 부대 소속이라는 점은 알았다. 군복을 보고 알았던 건 아니다. 그 병사는 옷이 모조리 벗겨져 있었다. 그러나 그 병사는 테도네의 이름을 알고 물을 달라고 애원했다. 테도네는 그 병사에게 가까이 다가가서 살펴봤다. 그는 가슴, 다리, , 그리고 머리를 기병도에 맞아 부상을 입은 상태였다. 그 부상병은 최소한 체면 치레를 하려고 사타구니를 손으로 가렸다. 거세를 당해 입은 상처를 보여주지 않으려 한 것이다. 테도네는 그 병사에게 고환만 잘렸고 음경은 무사하다고 말해 주었다. 그는 거세당한 병사의 상처 부위에 작은 조각이 하나 붙어있었다고 기록했는데, 이것은 피에 젖지 않은 지방 덩어리로 추정된다.4) 이런 광경을 목격했던 사람들은 아직 살아있던 병사들도 거세로 인한 출혈 때문에 죽게 됐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테도네는 이런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적절한 조치를 취하면 거세를 해도 출혈이 크게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테도네는 가축 사육 기술을 예로 들어 거세에 대해 설명했다. “측면으로 두 번 칼집을 낸 다음 아래에서부터 위로 자르면 된다. 이정도면 충분하다.”
테도네는 포로가 되어 에티오피아군의 진영으로 끌려가 거세하는 광경을 목격했다. 그도 부상을 입고 의식을 잃었다. 깨어나 보니 그의 팔은 등 뒤로 묶여 있었다. 에티오피아 병사들은 테도네를 완전히 벌거벗겼는데, 그가 머리에 쓴 베르사글리에리 부대의 검은 깃털이 달린 헬멧은 예외였다. 테도네는 모욕감을 느꼈다. 머리 부분만 빼고 털이 뽑힌 수탉의 꼴 처럼 느껴진 것이다. 그 옆에서는 에티오피아군 병사 두 명이 피투성이 자켓을 포함한 테도네의 물건을 두고 다투는 중이었다. 테도네는 같은 부대의 병사들인 티발디(Tibaldi)와 스포르티글리오네(Sportiglione)가 벌거벗겨지고 상처를 입어 쇠약해진 상태로 피를 흘리며 땅바닥에 누워있는걸 발견했다. 두 사람은 테도네를 보더니 자신들도 같은 꼴이 될 거라고 생각했다. “에티오피아놈들이 우리도 거세하려고 한다!”5)
아두와 전투가 벌어지기 겨우 몇 달 전 에티오피아에 배치된 루이지 고즈(Luigi Goj)는 오로모 기병대에 항복해 포로가 됐다. 그는 에티오피아군 진영으로 가던 중 흑인과 백인들의 시체 무더기 속에서누군가가 부르는 소리를 들었다. “물 좀 주세요.” 고즈는 물을 달라고 한 사람이 이탈리아 군인이었고 심각한 상처를 입고 끔찍하게도 거세까지 당한것을 보았다.6)

유럽인들이 에티오피아와 처음 접촉한 이래로 전사자와 부상자의 고환을 자르는 행동은 악명을 떨쳤다. 거세는 노예 무역과 함께 아비시니아인의 야만성을 보여주면서 유럽인이 문명화의 사명을 띄고 있다는 주장을 정당화 하는 사례로 이용됐다.
유럽인들은 에티어피아와 접촉하면서 노예 무역을 폐지하고 적군의 고환을 자르는 관습을 철폐하는 것을 우선 순위에 놓았다. 1855년 테우드로스(Tewodros)가 즉위하자 영국 영사 월터 플로덴(Walter Plowden)은 에티오피아의 새 국왕이 이 두가지 문제를 진지하게 고려할 수도 있다는 내용을 본국에 자랑스럽게 보고했다. 그는 이렇게 썼다. “이와 같은 사실을 보고드리게 되어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 테우드로스는 카사이 공(Dejajmatch Kasai)을 무찌르고 오오베아이 공(Dejajmatch Oobeay)을 포로로 잡았습니다. 그는 마지막으로 남은 가장 강력한 경쟁자들을 무찌르고, 살라마 주교(Aboona Salama)와 에티오피아의 모든 성직자들의 추대를 받아 화려한 대관식을 열고 에티오피아 국왕으로 즉위했습니다.” 플로덴은 빅토리아 시대 영국인들의 화려한 문체로 이렇게 주장했다. 테우드로스는 노예 무역 폐지와 전사한 적의 시체를 야만적으로 훼손하는 두가지 관습을 폐지한다는 두가지의 위업을 이룩했습니다.”7) 플로덴의 생각은 아주 낙관적이었다는게 드러났다. 달리 말하면, 유럽인들은 테우드로스가 좋은 의도를 가지고 있다는건 파악했지만 그의 권한에 한계가 있다는걸 몰랐다. 칙령을 내리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였다. 칙령을 실제로 이행하는건 훨씬 어려운 문제였다. 테우드로스는 물론 요하네스, 그리고 메넬리크의 치세에 이르기까지 노예무역과 거세 관습은 지속됐다.
거세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었을까?8) 쉽게 대답하기는 어려운 문제다. 그리고 거세하는 관습은 전시에만 행해진 것도 아니었다. 에티오피아의 형법을 보면 구금하거나 징역에 처하는 일은 드물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실질적인 보상, 또는 상징적인 보상을 해야 했다. 예를들어 가족 중에 한 명이 살해를 당한 경우에는 살인자에 사형을 요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유족들이 구금을 요구할 경우에는 암바스(Ambas)라고 부르는 높은 언덕에 구름을 했다. 암바스는 경사가 급하고 등반이 매우 어려워 감금 장소로는 완벽한 지형이었다. 이곳에 가려면 매우 위험한 좁은 길을 따라 오르거나 정상에서 밑으로 떨어트린 밧줄을 잡고 올라가야 했다. 어거스투스 와일드(Augustus Wylde)의 기록에 따르면 간수직은 거세된 남자들이 맡았다고 한다. 간수를 하려면 거세를 해야 했다. 이렇게 하면 평생 직업을 얻을 수 있었다.9)
 하지만 군사적인 측면에서 보면 좀 다른 논리가 있었다. 남성성을 인정받으려면 전장에서 활약을 해야 했다. 에티오피아 남성들이 강한 전사이자 적을 잘 죽이는 인물이라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하는 관습이 머리카락을 땋는 것이었다. 전반적으로 에티오피아인에 우호적이었던 언론인 어거스투스 와일드는 아두와 전투가 끝난 뒤 에티오피아를 방문했을 때 아살라피 하일루(Asalafie Hailou)를 만난 일을 이렇게 기록했다. 그는 하일루는 에티오피아인에 대해 강한 적개심을 가지고 있었다고 솔직히 이야기했다. 하일루의 머리카락은 여러 가닥으로 땋은 뒤 머리 뒤쪽으로 넘겨 한 가닥으로 묶여있었다. 그의 동포들을 죽인 아비시니아인들의 머리 모양과도 같았다.”10)
거세를 하는 행위도 승리의 상징의 일종이었다. 가장 기본적으로 전사자의 고환을 자르는 것은 전리품을 얻는 동시에 용맹을 증명하는 행위였다.11) 단순히 머리카락을 땋은 것 만으로는 그의 용기를 증명할 수 없었다. 적의 신체 일부가 있으면 증거가 되었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적군의 고환을 자르는 것은 적의 귀를 자르거나 머릿가죽을 벗기는 일, 또는 손가락을 자르는 것과 같다. 적의 시체에서 일부분을 잘라내는 행동은 적의 신체를 완전히 정복했음을 생생하게 입증해 주는 증거가 된다. 적을 죽이지 않고서야 어떻게 이런 전리품을 얻을 수 있었겠는가?
그러나 고환을 자르는 것은 귀나 손가락을 자르는 것과는 차원이 달랐다. 고환은 남자에게서만 얻을 수 있었다.12) 그러므로 고환을 자르는 것은 단순히 전리품 이상의 보다 직접적인 행위였다. 고환을 자르는 행동은 죽은 적의 신체를 완전히 굴복시켰음을 상징했다. 또한 패배한 적군이 용맹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했다. 패배하면 용기가 없을 뿐 아니라 전사로서의 자질도 없음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거세는 전투에서 남성성을 입증하지 못한 자들에게 어울리는 것이었다.13)
거세하는 것은 미래에도 영향을 끼치는 일이었다. 단순히 발기를 하고 사정만을 하는데는 음낭과 고환이 핵심적인 기능을 하지 않는다. 거세를 하면 성인 남성을 불임으로 만들 수 있다. 거세당한 적은 살아남는다 해도 더 이상 번식을 할 수 없다. 즉 적을 거세하는 행동은 거세당한 적군 뿐만 아니라 그가 속한 집단 전체에 보내는 메시지인 셈이다.


주석
1) Chris Prouty, Empress Taytu and Menelik II: Ethiopia, 1883~1910(London: Ravens, 1986), 158.
2) 프랑스군은 1798~1801년 사이의 이집트 원정에서 전사한 맘루크들의 시체에서 약탈을 했다. 프랑스 병사들은 맘루크들이 금화를 비롯한 귀중품을 옷 속에 지니고 다닌다고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Paul Strathern, Napoleon in Egypt(New York: Bantam, 2007), 305를 참고하라.
3) Gian Carlo Stella, Battaglia di Adua, 1 marzo 1896:  memorie vive ed inedite di un ufficiale superstite(Parma: E. Albertelli, 1991), 91.
4) Giovanni Tedone, Angerà: I ricordi di un prigioniero di Menelik(Milan: Giordano, 1964), 28.
5) Tedone, Angerà, 25. 테도네는 이탈리아인 포로가 고환을 담아놓은 담요를 나르는 걸 거부했다가 처형당한 일도 목격했다. Angerà, 27.
6) Luigi Goj, Adua e prigionia fra I galla(Millan: Scuola Tip, Salesianan, 1901), 28. 프란체스코 프리스니아(Francesco Frisinia)Memorie di un prigioniero d’Africa(Reggio Calabria: P. Lombardi, 1899), 29에서 비슷한 광경을 이야기 했다.
7) Consul Plowden to the Earl of Clarendon, Massawa, 3 March 1855. In Parliamentary Papers, Correspondence Respecting Abyssinia, 1846~1868(London: Harrison and Sons, 1868), 146. Sven Rubenson, King of Kings: Tewodros of Ethiopia(Addis Ababa: Haile Selassie I University, 1966), esp.55도 참고하라.
8) 서아프리카에서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데 관한 해석 중 하나로는 Florence Bernault, “Body, Power and Sacrifice in Equatorial Africa,” Journal of African History 47(2006): 207~239를 참고하라.
9) Augustus Blandy Wylde, Modern Abyssinia(London: Methuen, 1901), 310.
10) Augustus Blandy Wylde, “An Unofficial Mission to Abyssinia,” Manchester Guardian, 24 May 1897, 5.
11) 유럽인들도 전사한 적의 머리를 자르는 것 처럼 전리품을 챙기는 것은 비슷했다. Edgar V. Winans, “The Head of the King: Museums and the Path to Resistance,” Comparative Studies in Society and History 36(1994): 221~241 그리고 David Thomas, Skull Wars: Kennewick Man, Archaeology and the Battle for Native American Identity(New York: Basic Books, 2000)을 참고하라.
12) “Lorsqu’on demande au Abyssiniens pourquoi ils coupent ce member plutôt qu’un autre, ils répondent sans hésiter que c’est là seilement ce qui caractérise ;’homme.” Edmond Combes and Maurice Tamisier, Voyage en Abyssinie, dans le pays des Galla, de Choa et d’Ifat: précédé d’une excursion dans l’Arabie-heureus, et accompagné d’une carte de ces diverses contrés(Paris: L. Desessart, 1838), 1:221~222를 참고하라.
13) 니콜라 다마토(Nicola d’Amato)는 이 행위를 이렇게 해석했다. Da Adua ad Addis-Abeba ricordi d’un prigioniero(Salerno: A. Volpe, 1898), 6.

Raymond Jonas, The Battle of Adwa: African Victory in the Age of Empire, pp.221~224.

2017년 7월 8일 토요일

[번역글] 북아프리카 전선의 이탈리아군 전투력에 관한 몇가지 고찰

불법날림번역 한 편 나갑니다.


이 글은 War in History 22-4 (2015)에 실린 리처드 캐리어Richard Carrier의 “Some Reflections on the Fighting Power of the Italian Army in North Africa, 1940–1943”를 번역한 것 입니다. 이탈리아군은 학문 세계건 취미 분야건 간에 매우 인기없는 주제입니다. 그래서 참고할 만한 저작도 다른 군대에 비해 매우 적고 그 중에서도 이탈리아 사료를 활용한 연구는 더 적지요. 이 연구는 영국이나 독일 시각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탈리아군을 분석할때 빠지는 편견에 대해 지적하고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습니다.


**********


북아프리카 전선의 이탈리아군 전투력에 관한 몇가지 고찰


리처드 캐리어


북아프리카 전역이 시작된지 70년이 됐지만 여전히 이탈리아군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대중은 물론 영국과 독일의 학계에서 조차 북아프리카 전역은 영국군과 독일군의 대결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물론 이탈리아에서는 사정이 다르지만.)1)


대부분의 사람들은 1940년 6월 부터 1941년 2월까지 이탈리아군이 졸전을 거듭한 사실만 가지고 북아프리카 전역의 이탈리아군을 평가한다. 이탈리아군은 구식무기로 무장했고 형편없는 지휘관들이 이끌고 있었으며, 병사들은 전투 의지가 없었고 “툭하면 항복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2) 즉 이탈리아군은 전투력이 형편없었다는 뜻이다.3) 1940년 12월 부터 1941년 2월에 걸쳐 영국군이 북아프리카에서 처음 감행한 대규모 반격작전이었던 ‘콤파스 작전’때 이탈리아군이 당한 패배는 엄청난 규모였다. 133,000명이 영국군에 포로가 됐으며, 각종 야포 1,290문과 전차 400여대, 수천대의 차량이 노획됐다.4) 같은 기간 동안 영국군의 손실은 전사 500명, 부상 1,375명, 실종 55명에 불과했다.5) 이 참패로 ‘이탈리아군이 무능하다는 선입견이 확고하게 자리잡았다.’6)


두가지 요인이 무능한 이탈리아군 신화를 부채질 했다. 하나는 이탈리아군의 문헌과 공간사가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이른바 ‘롬멜 전설’이다. 첫번째 요소는 실비아 트라니Sylvia Trani와 피에르 파올로 바티스텔리Pier Paolo Battistelli의 최근 논문에서 다루었다.7) 그리고 이탈리아인이 아닌 연구자들이 이탈리아군의 2차대전 공간사를 거의 활용하지 않는다는 점도 덧붙이고 싶다. 이탈리아군 공간사는 이탈리아어로만 쓰여져 번역이 되지 않았다. 1940년 부터 1945년 사이의 이탈리아군에 관심을 가진 연구자라면 이탈리아군 총참모부 전사과Ufficio storico dello Stato maggiore dell’esercito에서 작성한 연구들을 반드시 읽어야 한다.8)  두 번째 요소인 ‘롬멜 전설’은 그의 군사적 천재성을 맹신하는 사람들에 의해 재생산됐다.9) 롬멜의 생애와 그의 군사적 능력을 다룬 책은 너무 많아 일일이 다 거론할 수 없을 정도다. 하지만 그 중에서 이탈리아 사료를 활용한 연구는 거의 없다.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롬멜 전사록』Rommel Papers만 가지고 이탈리아군의 군사적 능력을 평가한다.10)
영국과 미국 연구자들이 이탈리아군의 역할을 보다 균형잡힌 시각으로 평가하기 시작한지는 얼마 되지 않았다. 데이비드 프렌치David French는 이탈리아군에 대한 ‘수정주의적’ 관점을 이렇게 설명했다.


“영국군이 패배한 원인을 오직 독일의 우수한 전술과 군사조직 때문이라고 설명하는 것은 오류다. 롬멜이 1941~42년에 거둔 승리는 이탈리아군도 상당한 기여를 했다. 이탈리아군은 독일군 보다 훨씬 많은 병력을 투입했고 기갑전력도 독일군과 비슷한 규모였다. ”11)


프렌치의 지적은 이탈리아 역사가들이 30년 넘도록 주장한 내용을 반영하고 있다. 1941년 3월 부터 1943년 5월까지 이탈리아군은 전투병력과 지원병력을 포함해 평균 150,000명의 병력을 북이탈리아에 투입했다.12) 이 연구에서 주목하는 점은 이탈리아군의 전투력도 지속적으로 향상됐다는 점이다. 패디 그리피스Paddy Griffith는 1941년 2월 이후 ‘이탈리아군의 전투력에 있어서 르네상스와 같았다’고 평했다.13) 루시오 체바Lucio Ceva는 1941년 3월에 개시된 최초의 독일-이탈리아군의 연합작전 부터 이탈리아군은 ‘용맹하게 싸웠을 뿐 아니라 전술적으로도 유능했다.’고 주장했다. 조르지오 로샤트Giorgio Rochat는 북아프리카의 이탈리아군의 전반적으로 ‘훌륭하게 싸웠다’고 평가했다.14) 데니스 쇼왈터Dennis Showalter는 ‘아리에테 기갑사단의 전투력은 아프리카 군단에 속한 독일 기갑사단들에 견줄만 했다.’고 평가했다.15)  1942년 8월 영국군의 정보평가는 ‘이탈리아군의 전투력이 눈에 띄일 정도로 향상됐다’고 기록하고 있다.16) 1943년 4월, 알렉산더 장군은 엔피다빌Enfidaville 전투에서 이탈리아군과 독일군의 방어작전에 대해 ‘이탈리아군이 매우 잘 싸웠으며 독일군 보다도 나았다는 점이 주목할만 하다’고 평가했다.17)  


물론 독일군과 이탈리아군의 전투력이 대등하다는 소리는 아니다. 이탈리아 연구자들도 그런 주장을 할 정도로 바보가 아니다. 대부분의 독일군 부대가 이탈리아군 보다 전투력이 뛰어났다는 점은 모두가 인정한다. 독일군은 개전 초기에 경험을 축적했고 훨씬 우수한 장비를 대량으로 보유했으며 훈련체계도 우수했기에 대부분의 이탈리아군 부대에 비해 우수할 수 밖에 없었다.18) 게다가 보통 독일군 대대는 이탈리아군 대대보다 우수한 화력을 보유했다.19) 지그프리트 베스트팔Siegfried Westphal 장군도 이 점을 지적했다.


“이탈리아군이 우리 독일군 보다 뒤떨어지는 점은 무기와 장비외에도 여러가지이다. … 특히 이탈리아군의 전차, 대전차무기, 야포, 대공포가 낙후되어 있다. 이탈리아군의 야포 상당수는 1918년 가을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게서 노획한 것이다. 이탈리아군의 무선통신장비는 이동 중에는 수신조차 할 수 없다. … 그러니 우리보다 이탈리아군의 상황이 더 어려웠던 것이다. 이탈리아군의 전투력을 평가하면서 이 점을 항상 간과하는게 유감스럽다.”20)


그리고 ‘독일군이 이탈리아군 처럼 낡은 장비 조차 부족한 상태였다면 이탈리아군 보다 더 잘 싸우지 못했을 것이다.’고 확언했다.21) 그렇다면 이탈리아군은 어떻게 이렇게 본질적으로 열등한 상황에서 전투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을까?22)


이 연구의 목적은 이탈리아군의 전투력에 영향을 끼친 몇가지 요소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탈리아군은 영국군의 첫번째 공세에 완전히 전멸하지 않았고 이탈리아 제10군의 잔존병력은 전투력을 회복한 뒤 훨씬 더 효율적인 부대가 되었다.23) 1941년 부터 북아프리카에 증원된 부대들이 경험을 쌓으면서 학습곡선 효과가 나타났다. 그 결과 북아프리카의 추축군의 작전 능력, 때로는 그 승리의 원인을 설명하는데 있어 이탈리아군은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24) 물론 이에 관한 맥락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1941년 2월 독일군이 북아프리카에 도착하자 이탈리아는 더이상 대등한 지위에서 전쟁을 수행할 수 없었다. 이탈리아는 자신들이 벌인 전쟁을 더 이상 통제할 수 없었고 1943년 초 까지 롬멜이 사실상 북아프리카 추축군의 총사령관이었다.25) 이탈리아군에겐 대안이 없었고 결국 새로운 전쟁 방식에 맞춰 적응해야 했다. 이탈리아군은 새로운 방식에 적응할 준비도 되어 있지 않았고 훈련과 장비도 적절치 않았다. 1941~42년에 전개된 모든 대규모 작전은 롬멜이 목표를 설정하고 독일군과 이탈리아군을 지휘했다. 북아프리카의 이탈리아군 사령관이자 명목상 롬멜의 상관이었던 가리볼디Gariboldi 장군과 그의 후임자 바스티코Bastico 장군은 이런 현실을 달가워하지 않았다.26) 가리볼디와 바스티코, 그리고 참모장 감바라Gambara 장군은 롬멜이 지휘계통을 무시하는 것을 싫어했고, 또 롬멜이 군수보급문제를 과소평가한다고 생각했다.27) 결국 매사에 이탈리아군 탓을 한  롬멜 때문에 양측의 관계는 악화됐다. 작전단위에서는 사정이 조금 달랐다. 이탈리아의 군단장과 사단장급 지휘관들은 가끔씩 작전 수행 방식에 이견을 보였고 이로인해 마찰을 빚었다. 제20군단장 발다사레Baldassare, 진갈레스Zingales, 데 스테파니스De Stefanis, 트리에스테 사단장 라 페를라La Ferla, 파비아 사단장 프란체스치니Franceschini 등은 격렬한 작전의 템포, 보급 및 수송수단 부족, 부대의 전투 피로 등을 신경썼다. 이탈리아군 지휘관들은 롬멜 보다 이탈리아군 사단급 부대의 한계를 잘 알았기에 때로는 롬멜이 이탈리아군에게 지나친 요구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들은 일단 명령을 받으면 최선을 다했다. 이탈리아군 지휘관들은 전투력도 부족하고 숫적으로 열세인 이탈리아군을 용맹하고 적극적으로 지휘해 훨씬 좋은 장비를 갖추고 숫적으로 우세한 영국군에 맞섰다.28)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이탈리아군은 어디까지나 독일군을 보조하는 위치에 머물렀다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이런 주장은 몇가지 조건 하에서만 타당하다. 기동력이 필요한 공세작전이나 방어작전에서 아프리카 군단의 독일군 사단들이 중핵이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하지만 이탈리아군 기갑사단과 차량화 사단(아리에테, 리토리오, 트리에스테 사단)이 없었다면 롬멜이 승리를 거두진 못했을 것이다. 예를 들어 1942년 6월 11일의 비르 하케임Bir Hacheim 점령은 독일 제90경사단과 이탈리아 트리에스테 사단의 합동 작전으로 가능했다.29) 그리고 독일군이 소규모였기 때문에 방어작전에는 이탈리아군 보병사단을 주축으로 해야 했다. 1941년 여름 부터  크루세이더 작전때 까지 토브룩을 포위하는 임무는 대부분 브레시아, 트렌토, 볼로냐, 파비아 보병사단이 담당했다.30) 사실 롬멜은 항상 이탈리아군을 전투에 활용했다. 바르Barr는 이렇게 지적했다. ‘가잘라Gazala 전투 당시 롬멜은 약한 이탈리아군 보병사단을 현명하게 운용해서 영국군을 저지했다. 이탈리아군 보병사단은 영국군이 구축한 지뢰지대를 끼고 있어서 영국군이 공격하기가 힘들었다.’31) 토브룩을 두번째로 공격 할때 이탈리아군 보병사단이 수행한 측면 방어는 롬멜의 작전 계획에 필수적인 요소였다.32) 알람 엘 할파Alam el Halfa 전투 당시 폴고레사단 제10대대의 정찰대는 제6뉴질랜드 여단장 클리프톤을 생포했다.33)  제3차 엘 알라메인 전투 당시 추축군의 전투서열 대부분을 차지한 것은 이탈리아군 부대였다.34) 롬멜이 이탈리아군 없이 작전을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모든 이탈리아군 부대의 능력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고 이탈리아군의 전투력에 영향을 끼친 모든 요소를 살펴보는 것도 아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탈리아인이 아닌 연구자들이 무시한 복잡한 현상을 환기하려는 것이다.


북아프리카 전역에 참전한 이탈리아군을 이해하는데 있어 전투력Fighting Power라는 개념은 중요하다. 전투력이라는 개념은 마르틴 판 크레벨트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군과 독일군을 비교한 유명한 연구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35) 판 크레벨트는 전투력을 “군대가 전투를 수행 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정신력, 지적능력, 조직적 기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신적인 측면을 총체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정의했다.36) 데이비드 프렌치는 영국군에 대한 연구에서 “군대의 전투 역량은 전투력을 만들어 유지하는 능력이다. 이것을 구성하는 요소는 세가지이다. 개념, 물질, 그리고 사기이다.”37)


두 사람의 전투력에 대한 정의는 부분적으로 사기 및 정신적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 일반적인 선입견과 달리 북아프리카 전역의 이탈리아군의 사기는 항상 바닥을 치지 않았다. 심지어 보병사단들의 사기도 늘 엉망은 아니었다.38) 물론 이탈리아 병사들의 일상은 고난의 연속이었다. 식량 부족, 불결한 위생상태, 수송수단 부족, 그리고 본국으로 휴가를 가는 일이 거의 불가능했기 때문에 사기에 악영향을 끼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전투의 결과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훨씬 근본적인 것이었다. 제10군의 참패의 주 원인은 낮은 사기가 아니었다. 오코너의 영국군이 승리한 원인은 “영국군이 사막의 특수한 환경에 훨씬 더 잘 대처했기 때문이었다.”39) 체바Ceva는 이탈리아군의 열세는 전투 방식과 교리의 문제라고 평가했다.40) 1941년 봄 아리에테 사단과 트렌토 사단 등 새로운 부대의 도착과 함께 훈련이 강화되자 상황이 바뀌었다. 결정적인 해였던 1942년에는 전투로 인한 피로가 사기에 영향을 끼치는 주된 요인이 됐다. 토브룩 전투의 승리 이후 지칠대로 지친 제20군단은 1942년 6월 24일 비르 엔바Bir Enba에서 진격을 중단했다. “아리에테 사단은 고작 600명의 보병과 전차 10대, 야포 15문 밖에 없으며, 트리에스테 사단은 병력 1,500명, 전차 4대와 야포 24문 뿐이다. 리토리오 사단은 병력 1,000명과 전차 30대, 그리고 야포 11문 뿐이다.”41) 엘 알라메인에 투입된 제21군단은 결전 직전에 지원병력까지 포함해서 고작 12,000명 뿐이었다.42)  이후 북아프리카 전역이 종결된 1943년 5월까지 이탈리아군의 사기는 주로 작전의 승패에 따라 등락을 반복했다.43)


이 연구는 전투력을 적을 상대해 전투를 지속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이 최소한도의 정의는 세가지 추론에 기반한다. 첫 번째는 전쟁 또는 전역이 치러지는 전 기간에 걸쳐 적을 상대해 전투를 지속하기 위해서 모든 부대가 동일한 능력을 발휘하는 군대는 없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전투력을 측정하는 것은 특정한 상황에서 한 부대의 질적인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지 양적인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세 번째는 전투력은 실전에서 명확히 드러나지만 근원은 평시로 거슬러올라갈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 세가지 추론을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것은 전투력이 승리의 동의어는 아니라는 점이다. 판 크레벨트와 밀레트, 머레이 등은 군사적 효율성Military Effectiveness(이는 전투역량Combat Capability와 전투력Fighting Power를 아우르는 개념이다.)과 승리 사이에는 복잡한 관계가 있다고 지적했다.45) 즉, 이 연구의 목적은 이탈리아군과 독일군이 북아프리카에서 패배한 원인을 규명하는 게 아니다.


이 논문은 이탈리아군의 전투력을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세가지 요인을 가지고 규명할 것이다. 무기, 훈련, 그리고 전장의 우발 변수(기습의 역할과 독일군의 존재 여부)이다. 이탈리아군의 무기에 대해서는 다른 연구자들이 논의한 바 있다. 그러나 이탈리아군의 훈련은 거의 주목받지 못한 요인이다. 매우 꼼꼼한 연구자 조차 이탈리아군 사단의 훈련의 중요성을 올바로 파악하지 못하고 “형편없는 장비와 부실한 훈련을 받은 이탈리아군 부대”에 대해 논했다.46) 이런 경향이 이어져 온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이탈리아군 문서, 이탈리아군의 공간사, 이탈리아 연구자들의 저술을 읽지 않고서는 이탈리아군의 훈련이 발전하고 변화해간 과정을 확실히 알 수 없는 것이다. 이탈리아군의 무기, 훈련, 그리고 전장의 우발적 변수를 모두 고려해야 3년간의 전역에서 영국군에 맞서싸운 이탈리아군의 역량을 다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다. 물론 다른 요인들도 이탈리아군의 성과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무솔리니가 그리스를 침공하고 소련에 파병을 했기 때문에 리비아의 이탈리아군은 수천대의 차량과 현대식 야포를 보급받지 못했다. 사드코비치와 체바는 그리스와 소련전선에 보급된 장비들이 북아프리카에 보급됐다면 이탈리아군의 전투력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확신한다.47) 또한 독일-이탈리아 공군의 지속적인 약화와 1942년 여름과 가을 이후 영국공군의 우위는 추축군의 전투 능력을 감소시켰다.48) 이 두가지 요인들은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다른 요인들도 전투력에 영향을 끼치지만 이 연구에서 다루는 범위를 벗어난다.



I. 전투력과 무기


이탈리아군의 전투력이 제2차세계대전 전기간에 걸쳐 낮았던 원인으로는 무기 문제가 자주 꼽힌다.49) 이 글에서는 이탈리아군의 무기체계를 체계적으로 다루지 않는다. 여기서 다루기에는 방대한 주제이다. 그러나 이탈리아군이 항상 기술적으로 열등감을 느꼈다는 시각은 재검토가 필요하다.50) 당연히 이탈리아측 사료를 봐야 이 점을 알 수 있다.


이탈리아군 병사는 보통 만리허-카르카노Mannlicher-Carcano 1891년식 소총을 지급받았다. 이 소총은 6.5mm와 7.35mm 구경 두 종류가 있었다. 물론 이 총은 영국군의 리 엔필드Lee-Enfield 마크3이나 마크4 만큼 좋은 총은 아니었지만 전투력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51) 진짜 문제는 보병부대에 기관단총이 부족했다는 점이다. MAB38이 양산되어 보급되고 있었고 호그스Hoggs와 위크스Weeks는 이 총을 높이 평가했다.52) 그러나 이 총의 생산량이 많지 않았고 보병부대에 보급되지 않았다는 점은 이해하기 어렵다.53) 이 총은 보병부대가 아니라 이탈리아령 아프리카 경찰대PAI, Polizia dell’Africa Italiana, 공수부대, 헌병대carabinieri 등이었다.54) 이 기관단총은 분당발사속도가 500발에 달했다.55) 보병부대에 보급됐다면 보병분대와 소대의 화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근접전 능력을 높였을 것이다. 다른 나라의 군대는 전쟁이 지속되면서 보병부대에 반자동화기와 자동화기를 대량으로 보급했지만 이탈리아군은 그러지 않았다.
보병의 경기관총과 중기관총, 박격포, 수류탄의 성능은 들쑥날쑥했다. 브레다 30 경기관총은 나쁜 무기는 아니었지만 성능은 원래 기대했던것 이하였고 영국군의 브렌 경기관총만 못했다. 그러나 피아트 35 중기관총은 괜찮은 평을 받았고 브레다 37과 브레다 38 기관총은 영국군의 기관총과 대등했다.56) 물론 이탈리아군의 기관총은 독일군의  MG34나 MG42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이탈리아군 보병의 박격포는 45mm 브리시아 경박격포와 81mm 박격포 두 종류였다. 브리시아 경박격포는 사용하기가 쉽고 가벼워서 보병부대의 호평을 받았다. 하지만 위력은 약했다. 81mm 박격포는 우수한 성능을 가졌다. 분당 발사속도도 브리시아 경박격포 보다 높았고(분당 18발 이상. 브리시아 경박격포는 분당 8~10발) 사거리도 4,000미터나 됐다.57) 1940년 기준으로 이탈리아군은 세 종류의 수류탄을 사용했고 폭약의 양은 각각 150~200그램 사이였다. 그러나 로샤트의 평에 따르면 이탈리아군의 수류탄은 습기등에 취약했다고 한다.58) 그리고 1940년 여름 부터 일부 부대는 대전차포 부족 때문에 급조한 대전차 수류탄 등을 사용했다고 한다.59) 이탈리아군은 항상 대전차포가 부족했기 때문에 결국 급조 대전차 수류탄 등의 무기는 표준 장비가 됐다. 이런 무기의 효용성은 사용하는 조건과 훈련 수준에 좌우됐다. 모든 병사가 “급조한 대전차 무기를 사용할 용기와 결단력,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감각을 가지지는 못했다.”60)


 1940년 당시 65/17과 47/32 두 종류의 포가 보병 화력지원과 대전차용으로 사용됐다. 65/17은 제1차 세계대전때 채용된 무기였다. 1940년에도 아직 700문이 남아있었다. 이 대포는 특히 차량에 탑재했을때 효율적인 대전차 무기였다.61) 47/32는 1930년대 중반에 채용됐으며 그때만 해도 최고 수준의 대전차포였다.62) 이 포는 65/17보다 훨씬 가볍고(47/32의 무게는 265kg인데 65/17은 570kg이었다.) 명중율이 높은데다 조작하기도 쉬웠다. 하지만 문제는 차량 견인을 염두에 두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래서 북아프리카의 거친 지형(모래나 자갈밭 같은)에서도 사람이 직접 끌고 다녀야 했다.63) 이 무기들은 모두 갈수록 대전차 성능이 떨어지게 됐지만, 어쨌든 북아프리카 전역 전기간에 걸쳐 사용됐다. 1941년 부터 1942년에 걸쳐 미제 전차들이 북아프리카에 등장하자 47/32의 대전차 성능은 갈수록 미흡해졌고 이탈리아군 보병들은 영국군 전차를 격파하거나 기동불능으로 만들기 위해 500미터 이하의 근거리에서 사격을 해야 했다. 그래도 어려우면 사단 포병급의 야포를 투입해야 했다.64)
이탈리아군 포병은 그 전문성으로 좋은 평가를 받아왔지만 영국군을 상대하는데는 어려움을 겪곤 했다.65) 1940년 당시 이탈리아군 포병은 기술적으로 열세한 상태였다. 몬타나리에 따르면 이탈리아군은 총 7,970문의 야포를 보유했는데 이 중 1930년 이후 생산된 것은 고작 246문에 불과했다.66) 예를들어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사용했던 100/17 14년식 곡사포는 북아프리카 전역 전 기간에 걸쳐 사용됐다. 이 포는 신뢰성이 높았지만 사거리가 9km에 불과했다. 영국군의 25파운드포는 사거리가 12km였다.67) 그리고 100/17과 75/27 곡사포는 바퀴가 낡아빠져 장거리를 견인하면 버틸 수 없었기 때문에 일정거리 이상은 아예 트럭에 실어서 움직여야 했다.68) 1930년대 말 현대적이고 훨씬 강력한 야포를 개발하려는 움직임이 있었고 이탈리아 기업들은 실제로 좋은 무기들을 내놓았다. 37년식 75/32와 39년식 90/53 곡사포가 대표적이었다. 하지만 이탈리아의 무능한 관료제와 기술적인 논쟁, 그리고 군부의 결단력 부족으로 인해 실제 생산량은 얼마 되지 않았다.69)  게다가 이 얼마 안되는 현대식 야포조차 생산되는 대로 보급되지를 못했다. 체바의 연구에 따르면 북아프리카 전선에 보급된 신형 야포는 고작 26문이었다고 한다.70) 결국 사단과 군단 포병은 북아프리카 전역 전기간에 걸쳐 영국군의 야포보다 사거리가 훨씬 짧고 위력도 약한 구식 야포를 사용했다. 이로인한 결과는 복잡했다. 예를들어 1941년 4월의 제1차 토브룩 전투에서 이탈리아군 포병은 “쓸만한 야포가 없어서” 영국군 포병을 제압할 수 없었다.71) 하지만 파르디 소령의 부대는 100/17 야포를 효율적으로 운용해 배틀액스 작전 당시 할파야 고개를 훌륭하게 방어했다.72)


많은 연구자들이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이탈리아군의 가장 큰 약점으로 기갑차량을 꼽는다.73) 1940년 당시 이탈리아군이 보유한 전차는 CV-33/35 준전차(L/33, L/35로도 불렸다.)와 M11/39 중형전차였다.74) 리비아의 이탈리아군은 324대의 L/33, L/35와 15대의 다른 장갑차량을 보유하고 있었다.75) L3 계열의 한계는 금방 드러났고 1940년 6월~7월의 첫 전투 직후 이탈리아가 보유한 M11/39 전체가 북아프리카에 보급됐다.76)  M11/39는 차체에 37mm포를 장착했고 무전기가 없었다. 이 전차도 성능에 한계가 있어서 1940년 12월 생산이 중단됐다. 1940년 10월 신형 M13/40 전차가 북아프리카에 배치됐다. 그 무렵 북아프리카의 이탈리아군이 보유한 전차는 454대였다. M13/40은 47/32 대전차포를 포탑에 탑재했고 8mm 기관총 4정이 실려있었다. 최초 생산분은 무전기가 없었고 1941년 중반이 되어서야 모든 M13/40이 마렐리Marelli RF1 무전기를 탑재할 수 있었다.77) 이 전차의 개량형이 1941년과 1942년에 배치됐다. M14/41은 훨씬 강력한 엔진을 탑재했고 M15/42는 디젤엔진 대신 가솔린 엔진을 탑재하고 훨씬 강력한 47/40 전차포를 장착했다.78)
M13/40과 그 개량형인 M14/41, M15/42는 북아프리카 전역 전 기간에 걸쳐 이탈리아군 기갑전력의 핵심이었다.79) 하지만 이 전차들의 본질적인 문제점은 해결할 수 없었다. 방어력은 약하고 엔진 출력은 낮았다. 47/32 전차포는 무난한 위력으로 1941년만 해도 영국군 전차를 상대할 수 있었다.80) 하지만 개량형인 47/40 전차포는 M15/42에만 장착됐으며 이 전차는 1941년 부터 1943년까지 고작 220대만 생산됐다.81) 기계적 신뢰성은 조금 다른 문제다. 이탈리아군 기갑부대가 사막 환경에 적응하는데는 시간이 걸렸다.(오일 및 에어 필터, 기타 등등) 이탈리아군은 전차 수송차량, 회수차량, 정비부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깨달았다. 몬타나리에 따르면 이탈리아군 기갑부대는 1941년 중에 심각한 기계적 결함에 점진적으로 대처해 나갔다고 한다.82)
연구자들은 M13 계열 전차를 형편없다고 평가하고, 이탈리아군 참전자들 중에도 일부는 비판에 동의한다. 그런데 영국군이 이탈리아군의 전차를 평가한 보고서는 꽤 흥미롭다.83) 1941년 11월 말에 개시된 크루세이더 작전 중 오킨렉 장군은 “이탈리아군은 전차를 대규모로 투입하고 있으며 우리가 예상한 것 보다 훨씬 뛰어나다.”84) 1942년 1월 그는 다시 이렇게 평가했다. “과거 우리는 이탈리아군의 M13전차는 아무데도 쓸데없다고 평가했다. 이제 이탈리아군은 과거의 전훈을 반영해 M13을 훌륭하게 운용하고 있으며 전투의 결과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85) 1942년 8월 영국군의 군사정보 보고서는 M13/40이 “훌륭한 기술적 신뢰성을 갖추었다.”고 평가했다.86) 이러한 평가는 중요한 점을 제대로 지적했다고 할 수 있다. 전차의 성능은 일정부분 승무원의 자질과 훈련 상태에 좌우되며, M13 전차의 효율성은 이탈리아군 전차병들에게 달려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1942년 봄 차체에 75mm포를, 포탑에 37mm포를 탑재한 미제 M3 그랜트 전차가 등장했고 뒤에는 M4 셔먼까지 나타났다. 이제 이탈리아군 전차병들이 활약할 기회는 더 줄어들었다.
더 강력한 기갑차량이 절실하게 필요해졌다. 1942년 초 부터 1943년 5월에 걸쳐 이탈리아 육군은 북아프리카 전선에 신형 기갑차량을 투입했다. 75/18 자주포(세모벤테)였다. 세모벤테를 완벽한 무기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그래도 많은 향상이 이루어졌다.87) 세모벤테는 1940년에 개발에 들어간 M13/40 차체 기반의 포탑이 없는 차량이었다.88)  M40 75/18의 특징은 세가지였다. 차체가 낮았고 무전기를 장비했으며 주포는 강력한 75mm포였다. 세모벤테는 M13이나 M14와 함께 운용되어 강력한 화력 지원을 해주었다. 세모벤테의 지원을으로 이탈리아군 전차는 약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1942년초 세모벤테를 장비한 부대가 아리에테 사단의 제132포병연대에 배속되어 1942년 7월 초의 작전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89) 중형전차와 마찬가지로 세모벤테도 개량형이 등장했다. 하지만 이탈리아군에게는 안타깝게도 초기 생산이 지연된데다 생산량도 많지 않아 세모벤테의 효과는 제한적이었다.(M40 75/18은 1941년에 60대만 생산됐고 M41 78/15는 1942년에 162대만 생산됐다.)90)
이탈리아 육군의 여러 문제점 중에서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1940년 시점에서 현대적인 정찰장갑차를 거의 갖추지 못했다는 점이다. 독일군은 이 문제점을 빨리 간파했다.91) 이탈리아는 오랫동안 리비아를 식민지배했지만 탐색과 장거리 정찰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전쟁이 일어나기 전에는 정찰장갑차 개발이 지체됐고 1939년이 돼서야 시제품이 나왔다. 1940년 6월 10일 이후 영국군이 리비아를 습격하기 시작하자 이탈리아군은 대응할 수단이 없었다.92) 40년형 장갑차AB40, Autoblindo 40의 생산은 1941년 2월에 시작되어 1941년 10월이 돼서야 아프리카에 처음 배치됐다.93) 1942년 5월 기준으로 북아프리카에 배치된 정찰장갑차는 AB40과 AB41을 합쳐 고작 93대에 불과했다. 정찰장갑차는 제20군단의 차량화부대에 최우선적으로 배치되어 수색부대가 사용했다. 물론 세모벤테와 마찬가지로 이탈리아군의 정찰장갑차도 문제가 있었다. 카시아 도미니오니Caccia Dominioni는 정찰 장갑차의 포탑이 영국군의 철갑탄을 막아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94) 하지만 전반적으로는 우수한 차량이었고 이탈리아군이 절실히 필요로 하던 정찰 및 정보수집 임무에 적합했다.95) AB41의 주무장인 20mm기관포는 영국군의 경장갑차량을 대부분 격파할 수 있었고 연료를 한번 채우면 400km를 주행할 수 있어 호평을 받았다.96)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된 정찰장갑차 중에서 최고를 꼽으라면 AB41을 들 수 있을 것이다.97)


이탈리아 육군의 장비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봤지만 이것만 가지고 단순히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 하지만 두가지 점은 지적할 수 있다. 첫번째는 이탈리아군이 사용한 무기의 성능이고, 두번째는 수량이다. 1940년 6월 기준으로 이탈리아군 보병부대는 대전차무기가 부족하다는 약점이 있었고 이탈리아군 기갑부대는 영국군 전차보다 뒤떨어지는 L3과 M11/39를 장비했다는 약점이 있었다. 그리고 제대로 된 정찰장갑차가 없다는 점은 심각한 약점이었다. 포병의 경우 영국군 포병의 사거리에 밀리기는 했지만, 그래도 구식 야포들을 제대로 활용했다. 하지만 이탈리아의 빈약한 공업력으로는 구식 무기를 개량하고 신무기를 충분히 생산할 수 없었으므로 1941년 말로 접어들면서 상황은 더 나빠졌고 1942년에는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됐다. 예를들어 영국군 기갑부대는 처음에는 순항전차와 보병전차를 운용하다가 미제 그랜트, 나중에는 셔먼을 도입하는 등 질적으로 급격한 향상을 경험했다. 하지만 이탈리아군은 그럴수가 없었다.98) 이탈리아군의 기갑전력 열세는 갈수록 심각해졌다. 대전차 무기의 경우, 보병부대는 전쟁이 시작됐을때 47/32를 장비하고 있었다. 그리고 1943년 튀니지에 배치된 이탈리아군의 대전차포도 똑같은 물건이었다. 한동안은 일선의 장병들이 고안한 대응책으로 무기 부족을 보완할 수 있었다.  이탈리아군은 여러 종류의 야포를 차량에 실어 기동력과 화력을 강화했다. 예를들면 100/17을 란시아 3 RO 트럭에 탑재하거나, 65/17을 노획한 모리스 픽업에 탑재한 것 등이다.99) 이런 임시변통은 제법 효과가 있었지만 한계도 있었다.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싸운 군대 중 이탈리아군 처럼 기술적 정체에 시달린 군대는 없다.
그리고 이탈리아군 총사령부와 산업계는 무기를 대량으로 보급해 질적 열세를 만회할 능력도 없었다. 기술적 열세를 물량으로 만회하는 방법이 있다. 앞서 살펴보았듯 이탈리아군은 47mm 대전차포 조차 부족해 대전차 전술을 근접육박공격에 의존해야 했다. 이탈리아 산업계는 90/53 양용포 같은 우수한 무기를 생산하기는 했으나 대량생산은 하지 못했다. 세모벤테, 정찰용장갑차, 75/46 대공포도 마찬가지 사례이다. 이탈리아군의 무기는 질과 양 모두 만족스러운 수준이 못됐다. 북아프리카전선의 이탈리아군은 무기와 장비 부족에 시달리는 경우가 흔했고, 무솔리니가 아무 생각 없이 그리스와 소련 전선에 자원을 낭비하는 바람에 더욱 더 고통을 받았다. 소련전선에 투입된 이탈리아 제8군은 16,000대의 차량과 수천대의 오토바이를 장비했다.100)
이탈리아군이 질과 양 모두 떨어지는 장비로 3년 가까이 싸움을 계속했다는건 놀라운 일이다. 전쟁이 지속될 수록 이탈리아군 장비의 열세는 두드러졌고 이탈리아 병사들은 갈수록 기술적 열등감에 시달렸다.101)  이탈리아군 사단은 독일군이나 영국군 사단보다 규모가 작아서 화력도 그만큼 떨어졌다. 몬타나리에 따르면 1942년형 편제의 이탈리아군 보병사단은 병력 7,000명, 경기관총 146정, 81mm 박격포 18문, 트럭 142대로 구성됐다. 반면 1941년형 편제의 영국군 보병사단은 병력 17,300명, 경기관총 819정, 81mm 박격포 56문, 트럭 1,999대를 보유했다.102) 1942년 7월 롬멜이 이탈리아군 부대 사이에 독일군 부대를 배치하기로 한 결정은 이탈리아군의 낮은 화력 때문이었다.103) 지그프리트 베스트팔 장군이 지적한 것 처럼 독일군이나 영국군이라도 이탈리아군 수준의 무기와 장비를 갖췄다면 특별히 더 잘 싸우지 못했을 것이다.



II.전투력과 훈련


1940년 7월 북아프리카 전역에 투입된 대부분의 이탈리아군 부대는 훈련도가 형편없었다.104) 영국군이 이 사실을 파악하는데는 시간이 걸렸다. 윌리엄 ‘스트래퍼’ 고트Willaim ‘Strafer’ Gott는 앤소니 이든Anthony Eden에게 이렇게 말했다. “이탈리아군이 겁쟁이라는 소리는 엉터리입니다. 그들은 그저 사막전에 맞는 훈련을 받지 못했을 뿐이었습니다.”105) 전쟁 이전 이탈리아군의 훈련은 질과 양 모두 부족했다.106) 게다가 이탈리아가 항복할 때 까지도 기초훈련 체계는 규정 미만의 낮은 수준이었다.107) 폴고레 사단, 몬테 체르비노 사단, 사보이아 사단 같은 소수의 부대는 아주 높은 훈련수준과 준비태세를 갖췄지만 대부분의 이탈리아군 부대의 훈련수준은 형편없었다.108) 이탈리아군 최고 수뇌부는 훈련 부족 문제를 인지했지만 시정하지는 못했다. 몇몇 우수한 자질을 갖춘 장교들이 상황을 개선할 수는 있었지만 이런 임시변통은 한계가 있었다.


1940년 6월 리비아에 주둔하고 있던 부대들의 전투 준비태세는 낮았다. 장병들은 전쟁 이전의 분위기에 젖어있었고 막연히 낙관적인 예측만 했다. 프랑스령과 영국령 식민지로 부터 양면 공격을 받을 것이란 예측에서 방어전략을 채택했고, 이탈리아군 수뇌부는 리비아 주둔군이 이를 수행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탈리아군 지휘관들은 실제 전투는 그저 식민지 치안활동의 규모가 더 커지는 수준이라고 생각했다.109) 1939년 부터 1940년 6월 28일 사망할때 까지 리비아 주둔군 사령관이었던 이탈로 발보Italo Balbo 원수와 그의 후임자인 로돌포 그라치아니Rodolfo Graziani 원수는 주로 병력을 증강하고 더 많은 물자를 보급받는데 신경을 썼을 뿐이다.110) 하지만 리비아 주둔군 사령관들이나 이탈리아 총참모장 바도글리오 원수는 이탈리아군이 사막의 기갑전에 대응하도록 준비할 역량이 없었다.111)  1939년 9월에 작성된 한 보고서는 전반적인 상황이 만족할 만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전반적인 전투력 향상을 위해서는 ‘더 나은 리더쉽, 훈련 강화, 사기와 규율을 강화할 방책’을 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112) 결국 이탈리아 제5군과 제10군의 장병 236,000은 기갑차량을 동반한 기동작전, 대전차전, 정찰 훈련을 거의 받지 못했다.113) 대부분의 사단은 수송수단이 부족해 대부분의 경우 걸어다녀야 했다. 그리고 영국군에 대항해 차량으로 보병을 수송하는 훈련도 수행되지 않았다. 결국 훈련은 받지 못하고 실전이 닥쳐서야 임시방편으로 대응했다.114) 리비아 주둔군은 1,477문의 각종 화포를 보유했지만 대부분의 부대는 화포가 부족했고 특히 대전차포 부족이 심각했다.115) 1940년 6월 초 알바니아에 있던 첸타우로 기갑사단을 북아프리카로 증원하려던 계획은 ‘시간 부족’으로 취소됐다.116) 체바와 쿠라미에 따르면 리비아에 있던  소수의 기갑부대는 L3을 장비하고 있었고 특별한 훈련을 받지도 못했다.117) 리비아에 M11/39가 도착했을때 전차병 중 이 무기를 제대로 알고 운용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118)
이후 북아프리카 주둔군의 훈련은 기회가 있을때 마다 간헐적으로 전선의 직후방이나 전선에서 작전의 템포에 맞춰 이루어졌다. 실전에서 얻은 교훈이 총사령부가 발행하는 새로운 공식 훈련 규정과 교범에 반영되었다. 최고사령부 또한 전선의 상황을 잘 이해했고 다른 부서들도 노력을 기울였지만 이탈리아 본토에서 편성된 부대의 훈련은 여전히 부실했다.119) 트리에스테 차량화사단의 예를 들어보자. 이 사단은 1941년 봄 나폴리에 주둔하면서 북아프리카로 이동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 하지만 출항을 앞두고서야 일련의 훈련을 실시했을 뿐이었다.120) 결국 트리에스테 사단의 장교와 병사들은 리비아에 도착한 1941년 8월 말 부터 9월 초에 걸쳐 전투 준비를 해야 했다. 이건 좋은 상황이 아니었다. 트리에스테 사단은 크루세이더 작전 기간 중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부대였다. 이 사단은 1941년 11월 15일 부터 12월 28일까지 총원 10,809명 중 8,609명을 잃었다.121) 트리에스테 사단은 이런 격전을 치를 준비가 안돼 있었다.
대전차전 준비태세 부족과 기갑부대의 낮은 전술 수준은 이탈리아군의 치명적인 단점이었다. 전장에서 전차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반영한 새 교범은 1941년 7월 말에야 각 부대에 배포됐다.122) 하지만 심각한 문제가 산적해 있었다. 아리에테 사단은 실전경험이 전무했다. 그리고 장비는 여전히 구식 경전차와 중형전차였다. 보병부대는 대전차 전술을 대부분 47/32 대전차포에 의존했다. 아리에테 사단이 아프리카에 도착했을때 이 부대의 장병들은 동기부여가 되어 있었다. 하지만 이미 아프리카에 배치되어 있던 브레시아, 볼로냐, 파비아, 사보나 보병사단과, 그리고 사브라타 보병사단의 잔존병력은 사정이 달랐다. 콤파스 작전에서 영국군에게 참패를 당한 뒤 이탈리아 보병부대는 영국군에 열등감을 느껴 사기가 곤두박질 쳤다. 1941년 봄 실전 경험에 따라 조직 재편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로마의 총사령부도 이를 승인해 시행되었다. 이탈리아 제10군의 참패와 독일군의 증원으로 북아프리카의 이탈리아군 지휘관들은 새로운 작전 환경에 맞춰 전투서열과 사단 규모를 고쳐나갔다. 훈련 소요와 방식도 검토를 거쳐 모든 현역사단에 적용했다. 하지만 장비와 유능한 교관이 부족해 항상 좋은 성과를 낼 수는 없었다. 영국군은 로마의 군 관료조직으로 부터 자유로운 북아프리카의 이탈리아군은 필요에 의해 조직 개편과 훈련 혁신을 이뤄냈다고 분석하고 이를 일종의 ‘혁신의 천재성’이 작용한 것이라고 평가했다.123)


하지만 여전히 북아프리카에 증원된 부대와 인력은 전투 준비가 안돼있거나 충분하지 못했다. 그러니 임시 방편을 찾아야 했다. 1941년 리비아에 모든 병과의 훈련소centri di istruzione가 설립됐다. 바르체Barce에는 보병과 전투 공병 훈련소가, 엘 아비아르El-Abiar에는 포병 훈련소가, 파라 마라Fara Mara, 데르나Derna, 아인 엘 가잘라Ain El-Gazala에는 전차병 훈련소가 설립됐다.124) 이외에도 다른 전문병과(무전병, 운전수, 정비병 등)의 훈련소도 설립됐다. 목표는 단순했다. 보충병을 실전 부대에 배치할 준비를 하고, 전투로 소모된 부대를 재편성하는 것 이었다. 새로 설립된 훈련소들은 아프리카에 갓 도착한 병사들이 사막전의 환경에 익숙해지도록 해줬다. 이탈리아군의 훈련소와 이 훈련소가 1941~42년간에 걸쳐 발전한 과정을 추적한 연구자는 거의 없기 때문에 관련 정보가 부족하다. 홈스Homs 근교의 빌라지오 코라디니Villagio Corradini에 위치한 북아프리카 전차교육사령부comando del centro d’instruzione carristi in A.S.의 경우 1942년 3월 경 30명의 장교와 50명의 부사관, 340명의 사병으로 편성됐다. 이 전문인력은 이탈리아에서 갓 도착한 수백명의 조종수, 포수, 기관총사수, 무전수를 교육시켰다.125)
 전차교육사령부가 전차병의 전투력을 얼마나 향상시켰는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전차병이 이곳에서 교육받았는지는 확실치 않지만 기량을 향상시킨 것은 틀림없다. 콤파스 작전 당시 1940년 12월 9일 말레티 집단gruppo Maletti의 괴멸과 1941년 2월 7일 베다 폼Beda Fomm 전투에서 이탈리아 전차부대가 괴멸된 원인으로는 기술적 결함(무전기 부재 등)과 형편없는 전술이 꼽히지만 불과 2주전 메칠리Mechili 전투에서 바비니Babini 여단은 “대응력과 주도권을 쥐려는 감각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았다.126) 이당시 이탈리아 전차병들은 영국군의 무기와 전술에 대해 아는 바가 없었다. 그리고 1941년과 1942년의 작전을 겪으면서 점진적으로 발전을 해 나간게 사실이다. 1942년 2월에 작성된 전차부대와 정찰장갑차부대의 전투보고서들을 보면 이탈리아군도 연합군과 그 전술에 대해 많은 점을 배웠음을 알 수 있다.127) 예를들어 영국군 전차는 1,500m에서 사격을 시작하며 규정과 달리 기동중 사격을 하는게 이탈리아군과 큰 차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영국군의 사격은 예상보다 명중율이 낮아서 이탈리아군 전차병들은 1,000m 이내에서 사격을 시작해 M13에 장착된 47mm포의 제한된 성능을 최대한 발휘했다. 이 점을 감안하면 전차교육사령부는 단순한 훈련기관이 아니라 실용적인 지식을 전수하는 교육기관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탈리아군은 실전부대가 전장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통해 기술적 열세를 극복하고 전투력을 향상시켰다. 실전부대가 훈련을 실시하는 일정은 작전의 템포에 좌우됐다. 아리에테 사단과 파비아 사단의 사례가 이를 잘 보여준다.128) 1941년 2월 말 부터 3월에 걸쳐 아리에테 기갑사단은 보전포 합동 작전 능력을 위해 일련의 훈련을 실시했다.129) 그리고 롬멜의 첫 번째 공세작전에 아리에테 사단도 참가했다. 아리에테 사단이 휴식과 재편성 시간을 가지게 된 것은 7월이 되어서였다. 이 사단은 8월에 다시 최근의 실전경험을 반영해 장병들의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훈련을 실시했다.130)
1941년 9월 기동군단CAM, Corpo d’Armata di Manovra이 작전을 개시하자 그 선봉은 아리에테 사단이 맡았고 당시 막 북아프리카에 도착한 트리에스테 사단과 트렌토 차량화보병사단이 이를 지원했다. 이탈리아군 기동부대가 진정한 기갑전의 멘탈리티를 개발하게 된 것은 이때가 시작이었다. 작전이 중단되면 각 사단은 재편성과 훈련을 실시했다. 비르 엘 고비Bir el Gobi 전투에서는 아리에테 사단과 지오바니 파시스티Giovanni Fascisti 사단, 시디 레제그Sidi Rezegh 전투에서는 트리에스테 사단이 활약을 했고 크루세이더 작전에서는 정찰부대가 용맹하게 싸웠다. 하지만 차량의 부족과 무전기의 낮은 성능 등 장비 부족이 기동군단의 효율성을 떨어트렸다.131) 이런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롬멜은 1942년 1월의 반격작전에 기동군단을 전면적으로 투입했다. 이때 기동군단의 군단장은 감바라 장군에서 진갈레스 장군으로 교체되어 있었고 사단의 전투서열은 아리에테 사단과 트리에스테 사단으로 구성됐다. 이탈리아 기동군단은 독일 기갑사단들을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롬멜은 이탈리아 기동군단의 성과에 크게 만족했으며 반격적전의 성공에 기뻐했다.132) 1941년의 전투 경험과 훈련 기회는 아리에테 사단과 트리에스테 사단이 효율적인 기동부대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1942년 3월 10일 기동군단은 제20군단으로 개칭되었고 제3차 엘 알라메인 전투까지 모든 전투에 투입됐다. 어떤 부대의 전투력이 높아진 계기를 파악하는 것 보다는 그 부대가 전투에서 보여준 성과를 파악하는게 더 쉽다. “제20차량화군단의 장교와 병사들은 적절한 훈련을 받았고 동기부여도 잘 되어 있었다.”는 평가를 받았다.133)
보병부대들도 전장에서 훈련을 실시했다. 1941년 가을 이탈리아군 총사령부는 훈련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고 전투력 강화를 위해 엄격하게 인력을 선발했다.134) 파비아 보병사단은 일련의 격렬한 훈련을 실시했다.135) 예를들어 제27보병연대의 병사들은 훈련 계획에 따라 체력과 전장 기동능력 향상, 65/17 야포와 화염병 등을 활용한 대전차 훈련을 했다. 파비아 사단이 토브룩 공격부대로 선정되자 이와 같은 작전에 필요한 기초적인 공격 전술을 교육할 필요성이 생겼다.136) 그러나 파비아 사단의 교육 계획은 영국군이 1941년 11월 18일 공세에 나서면서 중단됐다. 파비아 사단은 제21군단에 소속되어 용맹하게 싸웠지만 큰 손실을 입었다. 1941년 11월 15일 기준으로 파비아 사단의 병력은 6,383명이었는데 12월 말 까지 2,983명을 잃었다.137) 롬멜도 파비아 사단의 훈련 계획이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했다.138) 1942년 초 파비아 사단과 다른 보병사단들은 1942년형 편제로 개편됐다. 1942년형 편제는 보병사단의 대전차 무기를 대폭 증가하는 등 화력 강화에 중점을 둔 편제였다.139) 1942년 1월부터 2월 초에 걸쳐 서부 키레나이카를 탈환한 뒤 파비아 사단은 새로운 사단편제에 맞춰 훈련 계획을 시행했으며 사격 훈련과 전초진지 방어 전술을 중점적으로 교육했다.140)  
훈련은 두가지 요소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번째는 무기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법을 가르쳐 보병부대의 화력을 강화하려는 시도였다. 이탈리아군 장교들은 많은 병사들이 올바른 사격 방법을 모르고, 수류탄이나 박격포를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을 파악했다. 그리고 장교를 포함한 보충병력들은 상당수의 장비를 사용할 줄 몰랐다. 그래서 기회가 있을때 마다 사격 훈련을 정시적으로 실시했다. 두 번째는 대전차 훈련이 가장 중요한 훈련이 되었다는 점이다. 이탈리아군 부대들은 초기의 작전에서 적 전차에 맞설 전술과 용기가 부족했다. 보병부대의 경우 대전차전 능력은 전투력의 핵심적인 요소였다. 1941년 10월 북아프리카 총사령부Comando Superiore Africa Settentrionale는 『적 기갑차량I mezzi corazzati nemici』 이라는 제목의 교범을 발행 배포했다. 이 교범은 영국군 전차의 약점과 함께 근거리에서 보병 무기를 활용해 이를 공격하는 여러가지 방법을 설명하고 있었다.141) 병사들은 경험을 통해 졸로투른Soloturn 20mm 대전차총은 경장갑차량만 격파할 수 있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47mm 대전차포를 근거리(종종 500m 이하)에서 적 전차의 약점에 쏘는 것 이었다. 임시변통의 수단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발보 원수는 1940년 여름에 많은 병사들이 적 기갑차량을 급조 폭발물이나 화염병, 수류탄을 가지고 공격한다고 지적하고 이를 장려했다.142) 앞서 설명했듯 북아프리카 전역에서는 그 한계에도 불구하고 여러 종류의 급조한 대전차수류탄이 대량으로 사용됐다.
이런 조치를 통해 이탈리아군 부대, 특히 전투력이 떨어지는 보병사단들은 성과를 거두었고 방어 작전에서 전투력을 회복할 수 있었다. 1942년 7월 22일 트렌토 사단의 제61보병연대와 독일군 제200경보병연대의 합동 방어작전에서 추축군은 텔 엘 마흐 하드Tel el Makh Khad 계곡을 점령하려는 오스트레일리아군을 격퇴했다.143) 롬멜은 트렌토 사단 제61보병연대 제3대대의 장병들의 성과를 격찬했다.144) 3차에 걸친 엘 알라메인 전투 중 이탈리아군 보병부대가 방어하는 제1선의 전초진지는 특히 야간 작전에서 그냥 우회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대규모 전초진지를 점령하지 못하면 연합군에게 전술적인 수렁이 됐다.145)


전장에서 실시하는 훈련은 1941~42년 기간에 필수적인 조치였다. 1차사료들은 이탈리아군 장성과 고급 지휘관들이 이런 훈련을 매우 진지하게 생각했음을 보여준다.146) 전투의 패배는 모든 이탈리아군 부대가 완벽한 준비를 갖추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제21군단 소속으로 엘 알라메인 북부 전선에 배치된 사브라타 보병사단의 2개 보병대대와 3개 포병단은 1942년 7월 10일 텔 엘 에이사Tel El Eisa 전투에서 오스트레일리아군에 압도당했다.147) 사브라타 보병사단은 1941년 2월 베다 폼 전투에서 괴멸되어 같은해 재편성됐다. 그리고 1942년 롬멜의 춘계공세에 참가했다. 텔 엘 에이사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은 “사막전의 역사상 유례없는 대규모의 포격”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싸웠다.148)  아리에테 기갑사단 같이 경험이 많은 부대도 좋지 않은 성과를 거둔 경우가 있다. 편제 미달 상태였던 아리에테 사단(제8 베르사글리에리 연대는 수백명 남짓한 규모였으며 제132전차연대는 가동가능한 M13 8대, 제132포병연대는 야포 40문 뿐이었다.)은 1942년 7월 3일 자정에  루세이와트Ruseiwat 계곡 남쪽으로 이동해 04시경 ‘깊은 우물’이라고 부르는 지점에 도착했다.149) 하지만 곧 아리에테 사단 장병들은 좋지 않은 지점에 도착했음을 알게 됐다.150) 이탈리아군은 곧 제2뉴질랜드사단의 웨어Weir 종대를 비롯한 부대들로 부터 사격을 받기 시작했다. 오전 10시 전투가 종료됐을때 아리에테 사단은 병력 531명, 포 36문, 트럭 55대를 잃었다.151) 사단 병력의 일부는 후퇴에 성공해 재편성에 들어갔지만 이날 패배의 여파는 제20군단 전체를 뒤흔들었다.152)
같은 맥락에서, 1942년 7월 제1차 엘 알라메인 전투가 끝난 뒤 제20군단장 데 스테파니스 장군은 예하 사단장들에게 손실과 전투 피로에도 불구하고 보충병들을 적절하게 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임무라고 지적했다.153) 경험이 풍부한 고참병의 존재는 새로 도착한 신병들의 준비태세에 중요한 요인이었다. 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초급 장교와 부사관의 숫자는 가용한 무기와 탄약, 작전의 템포와 전투 손실에 좌우됐다. 전투 손실은 컸다. 1942년 9월 30일까지 이탈리아군은 북아프리카에서 전사 7,881명, 부상 11,192명, 실정 13,226명 등 32,299명의 손실을 입었다.154) 제3차 엘 알라메인 전투의 패배는 이탈리아군에 치명적인 타격을 주었다. 971명 전사, 933명 부상, 15,552명 포로라는 손실을 입은 것이다.155) 몬타나리는 이후 퇴각하는 과정에서 손실이 더 늘어났다고 지적했다. 독일군과 이탈리아군을 합쳐 9,000여명 전사, 15,000명 부상, 35,000명의 포로가 생긴 것이다. 영국군의 손실도 컸다. 영국군은 13,560명을 잃었다.156)
엘 알라메인 전투 이후 리비아와 튀니지에 증원된 모든 이탈리아군 부대의 전투력을 유지하는 것은 더 어려워졌다. 경험이 풍부한 고참병의 다수를 잃었고 경험이 풍부한 부대들은 전멸하거나 편제가 무너질 정도의 타격을 받았다. 여기에 전투 경험이 없는 병사와 새로 편성된 부대들은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었다.157) 하지만 1943년 초 아프리카 전역의 최종 단계에서도 메세 장군은 보충병력의 준비태세 향상을 위해 훈련소를 운용했다.158) 참전자들의 증언은 훈련이 작전의 효율성을 담보하는 핵심 요소였음을 알려준다.159)  



III.전투력과 전장의 우발 변수


이탈리아 군인들이 적과 싸우고 전투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역량은 가지고 있는 무기를 적절히 사용해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능력에 있다. 하지만 기습의 역할과 북아프리카의 독일군이라는 피할 수 있었던 두가지 환경의 산물도 이탈리아군의 전투력에 영향을 끼쳤다.


첫번째 우발 변수인 기습은 북아프리카 전역의 첫 8개월 동안 이탈리아군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1940년 6월 10일 이탈리아의 참전 직후 영국군은 리비아의 이탈리아군에 대한 공세를 개시해 국경 전 지역에 걸쳐 침투작전을 전개했다. 발보 원수는 휘하 장병들이 용기를 가지고 대처했다고 평가했지만, 이탈리아군은 방어를 취하면서 주도권을 쥐지 못했다.160) 9월 초 그라치아니 원수가 제한적으로 이집트를 침공했을때도 정보 수집 작전은 체계적으로 수행하지 못했다. 2개월 뒤 이탈리아 제10군은 차후 작전 준비를 능동적으로 하지 않고 있었다. 시디 엘 바라니에서 110km 가량 떨어진 마트루흐Matruh가 그라치아니 원수의 다음 목표였지만 그는 실제로 행동을 주저하며 시간만 끌었다. 1940년 10월 15일 그라치아니는 로마의 총참모장 바도글리오 원수에게 장문의 편지를 보내 항공 정찰 결과 영국군이 종심 깊은 방어선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161) 10월과 11월에 이탈리아 군사정보국SIM, Servizio Informazioni Militare는 영국군이 공세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정보를 보냈지만 그라치아니와 그의 정보참모들은 이 보고서를 묵살했다.162) 그 이후의 역사는 모두가 잘 알고 있다. 1940년 12월 9일, 훌륭한 준비과정을 거쳐 콤파스 작전이 시작됐다. 이탈리아군은 완벽하게 기습을 당했다. 작전 초기는 이탈리아군이 크게 불리했다. 시디 엘 바라니 함락과 이곳을 둘러싼 방어선의 붕괴로 부정적인 심리가 퍼져나갔다. 패전이 임박했고 영국군 전차, 특히 마틸다를 격파하는건 불가능하다는 미신이 퍼져나갔다. 겨우 3일 동안 38,000명의 이탈리아군이 항복했다.163) 1941년 2월 초 베다 폼 전투에서는 키레나이카로 부터 퇴각하던 제10군의 잔존병력이 영국군으로 부터 기습을 당했고 여기에 형편없는 기갑전술과 조직력 부재가 더해져 영국군이 승리를 거두었다. 하지만 1941년 겨울 이후 기습은 더 이상 이탈리아군의 전투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결정적 요인이 아니었다. 이탈리아군은 실전경험과 훈련을 통해 전술적 기습을 극복할 수 있었고 이 점은 크루세이더 작전 초기에 잘 나타났다.164) 1941년 하반기와 1942년에 과거와 다른 차원의 정찰 능력을 가지게 된 이탈리아군 부대가 많았다. 예를들어 아리에테 사단의 니차 카발레리아Nizza Cavalleria 수색대와 트리에스테 사단의 수색대는 크루세이더 작전 기간 중 활발하게 작전을 했으며, 트리에스테 사단 수색대는  제1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대활약을 했다.165) 여기에 독일군과 이탈리아 정보부대의 협력과 활발한 항공정찰도 큰 기여를 했다.166) 카이로 주재 미국대사관 무관 펠러스 대령이 본국에 보낸 전문을 이탈리아 군사정보국이 감청한 것은 이탈리아군의 전투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은 아니나, 롬멜이 1942년 1월 부터 6월까지의 작전을 수행하는데 큰 기여를 했고 특히 토브룩 함락 이후 패주하는 영국 제8군을 추격했을때 큰 도움이 됐다.167)


두 번째 우발변수는 북아프리카의 독일군이 끼친 영향이다. 영국군 정보당국은 이탈리아군의 능력이 개선된 주 원인은 “독일군이 이탈리아군의 편제와 전술에 영향력을 높여가고 있기 때문임이 확실하다.”고 평가했다.168)  오킨렉 장군은 “독일군 때문에 이탈리아군, 특히 기갑부대의 사기가 높아진게 분명하다.”고 추정했다.169) 이런 추론은 합리적으로 보이지만 입증하는 것은 어렵다. 왜냐하면 관련된 1차 사료와 2차 사료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탈리아군의 패배에서 회복해 자신의 전투력에 대한 확신을 가지게 된 원인이 독일군의 지원일 가능성은 높다.170) 롬멜의 활력적이고 단호한 리더쉽이 끼친 영향은 보다 입증하기가 쉽다. 1941년 3월 초 롬멜은 이탈리아군의 역량이 심각한 상태이며 특히 아리에테 사단의 경우 정찰 능력 부재로 심각하다고 평가했다.171) 당시 롬멜의 상관이었으며 북아프리카 추축군 총사령관이었던 가리볼디 장군은 이 평가를 불쾌하게 생각했지만 롬멜의 분석은 성과가 있었다. 이탈리아군의 사단장급 지휘관들은 롬멜을 비롯한 독일 장교단과 효율적인 관계를 만들었다.172) 3주 뒤 아리에테 사단과 브레시아 사단은 롬멜의 지휘하에 추축군의 1941년 첫 공세에 참가했다. 이 작전의 성공으로 이탈리아군의 사기는 높아졌다. 아리에테 사단과 브레시아 사단은 훈련 부족과 장비 부족 등의 문제를 겪고 있었지만 전투 의지를 되찾고, 설욕전을 통해 이탈리아의 자부심을 되찾았다.
독일군의 영향은 보다 실용적인 방식으로 영향을 끼쳤다. 1941년 봄 부터 여름에 걸쳐 독일군은 이탈리아군과 정보 교환을 실시했다. 카펠라노와 피그나토는 양측의 정보협력이 이탈리아군에 큰 도움이 됐고 특히 훈련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지적했다.173) 이탈리아군은 독일군의 전투보고서를 입수해 이를 통해 연합군의 무기와 전술을 분석할 수 있었고, 영국군의 야전교범 등의 문서를 비롯해 포로심문 보고서까지 얻었다.174) 예를들어 이탈리아군 문서보관소에는 독일군이 노획해 이탈리아어로 번역한 크루세이더 작전에 참가한 영국 제22전차여단의 전투 방식과 전술을 분석한 문서, 영국 제13군단의 제1기갑사단과 제4인도군 사단의 야간작전 보고서 등이 있다.175) 이런 정보는 이탈리아군이 특히 대전차 전투에 있어 새로운 훈련과 전술을 도입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 이를 통해 이탈리아군은 자국군이 사용하는 무기를 더욱 신뢰할 수 있게됐다. 마틸다 전차로 인한 충격과 공황은 사라졌다.
독일군이 이탈리아군의 전투력에 끼친 또다른 영향은 전투단gruppi tattici 운용이다. 카펠라노와 피그나토는 독일군으로 부터 배운 체계적인 전투단 편성은 전술단위에서 중요한 혁신이었다고 지적한다.176) 전투단은 다른 병과의 부대를 임시로 함께 묶은 편제로 보통 보병, 포병, 공병, 정찰장갑차, 전차, 대전차 부대로 구성됐다. 이탈리아군의 전투 기록에는 전투단 운용을 통해 독일군과의 합동작전이 더욱 용이해 졌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많다. 영국측 사료도 이탈리아군의 전투단 운용에 관해 “이론상의 편제와 다른 특수한 환경에 맞춰 편성된 다수의 임시 편제를 운용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언급한다.177) 이미 1941년 4월 초에 작성된 영국군 문서는 이탈리아군이 모방하는 능력이 있음을 지적했다. “이탈리아군은 필요하다면 임시변통의 수단을 취할 수 있는 유연한 조직력을 보여주고 있다.”178)
1941년 3월 말 추축군의 반격이 시작되기 이전 부터 롬멜은 특수한 임무를 위해 전투단이나 이탈리아군의 ‘종대’같은 임시 편제를 활용했다.179) 몬타나리는 전투단 같은 편제를 만들어 운용하는 것은 독일군의 훈련 체계와 장비가 바탕이 되어야 했지만, 훈련과 장비 수준이 떨어지는 이탈리아군은 긴급한 작전 상황에서 임시변통으로 이런 조직을 만들어야 했다고 지적한다.180)  그렇지만 전투단 운용은 최소한 두가지 이유에서 이탈리아군의 전투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첫 번째는 전투단 운용을 통해 많은 이탈리아군 부대가 독일의 전술 및 작전 노하우를 알게 됐으며 이를 모방하려는 의욕을 고취했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대부분의 이탈리아군 사단은 충분한 훈련과 장비를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오직 소수의 정예 연대나 대대, 중대만이 전투단으로 편성됐다는 점이다. 산타마리아Santamaria 소령, 파브리스Fabris 중령, 몬테무로Montemurro 대령 같은 유능한 장교의 지휘하에 이탈리아군 전투단은 점차 독일군의 존경을 얻을 수 있었다. 몬테무로 대령은 종대 및 전투단 운용으로 명성을 떨쳤다. 몬테무로 대령이 지휘한 종대는 1941년 4월 초 메칠리 점령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롬멜은 이 전공을 기려 몬테무로 대령에게 2급 철십자 훈장을 수여했다. 북아프리카 전선의 이탈리아군 중 최초였다.181)


IV.이탈리아식의 전투력?


이탈리아군은 거의 3년동안 북아프리카에서 싸웠다. 제2차대전 중 이탈리아가 가장 오랫동안 싸운 전역이다. 그 과정에서 이탈리아군 26개 사단이 전멸했고182) 12,000명이 전사했다.183) 1940년 6월 부터 1941년 2월 초에 이르는 첫 10개월간의 전투에서 이탈리아 제10군은 거듭되는 영국군의 공세에 완전히 패배했다. 시디 엘 바라니의 패배의 결과에 대한 롬멜의 논평은 옳다. “영국군의 승리는 이탈리아군을 완전히 마비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탈리아군은 바르디아와 토브룩의 거점으로 도망쳐 영국군이 다음에 어떻게 움직일지를 기다리는 처지다.”184) 바르디아 요새와 수비대 45,000명은 1941년 1월 5일 항복했고, 1월 23일에는 토브룩 요새와 수비대 22,000명이 항복했다.185) 두 요새의 함락은 영국군의 작전 준비가 완벽한 기습을 달성해서 일어난 것이 아니다. 단지 이탈리아군이 전쟁을 포기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이며, 북아프리카 전역 전 기간을 걸쳐 이탈리아군의 전투력과 사기가 바닥을 쳤던 대표적인 사례이다.
하지만 이탈리아군은 살아남아 비록 한계는 있으나 효율적인 전투부대가 되었다. 일부 부대는 다른 부대들 보다 더 효율적이었다. 이탈리아군이 추축군의 승리에 기여한 것은 거의 잊혀졌지만 결코 무시할 수 없다.186) 앞서 살펴본 것 처럼 이미 1941년 3월에 아리에테 기갑사단과 브레시아 보병사단은 롬멜 휘하의 병력 25,000명 중 16,000명을 차지했으며 키레나이카 탈환에서 활약했다.187) 1941년과 1942년, 1943년의 주요 전투에서 대부분의 이탈리아군은 영국군을 상대로 잘 싸웠다. 이탈리아군의 인명손실, 특히 전사자는 종종 독일군과 비슷한 수준이었다.188) 1942년 초 바르디아나 할파야 고개 전투와 같이 이탈리아군은 독일군과 마찬가지로 항복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을때에만 항복했다. 1942년 11월 6일 폴고레 사단의 잔존병력인 장교 200명과 사병 3,000명이 항복한 이유는 전투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더이상 싸우는게 무의미했기 때문이다.189) 롬멜은 이탈리아군을 이렇게 평가했다.


“전우로서, 그리고 최고사령관으로서 7월 초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이 패배한 이유는 결코 이탈리아 병사의 책임이 아니라고 말하고 싶다. 모든 이탈리아 장병, 특히 차량화부대 장병들은 이탈리아군이 지난 100년간 달성한 것을 아득히 초월하는 업적을 세웠다. 우리는 이탈리아 장군과 장교들을 인간으로서, 그리고 군인으로서 존경한다.”190)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패배해 리비아로 후퇴하는 과정에서 이탈리아군 지휘관들은 피스토이아Pistoia, 라 스페치아La Spezia, 트리에스테 보병 사단과 지오바니 파시스티 기갑사단으로 효율적인 전투서열을 재건해야 했다.191) 트리에스테 사단과 지오바니 파시스티 사단은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살아남은 잔존병력으로 편성했고 피스토이아 사단은 여름에, 라 스페치아 사단은 11월에 도착해 후방에 예비대로 있었다. 트리폴리타니아를 포기하고 튀니지로 퇴각했어도 이탈리아군의 전투는 끝나지 않았다. 1942년 12월 말 기준으로 30,000명의 이탈리아 보병이 일선에 있었다.192) 1943년 5월 추축군이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완전히 패배했을때 튀니지에서 포로로 잡힌 독일군이 이탈리아군 보다 더 많았다는 사실은 아이러니 하다.193)
북아프리카 전역의 이탈리아군의 업적에 대한 역사는 아직 씌여지지 않았지만 한가지 사실은 확실하다. 이탈리아군의 학습곡선은 매우 급격히 상승했다. 일부 부대는 다른 부대보다 준비 상태가 좋았지만, 대부분의 부대는 전장에서 효율적인 부대로 재편되었다. 아리에테 기갑사단과 트리에스테 차량화사단 같은 특수한 부대들은 독일군의 작전 템포를 따라잡기 위해 훈련을 하고 변화해야 했다. 1942년 여름 토브룩이 함락된 이후 북아프리카에 도착한 폴고레 공수사단은 동기부여가 잘 되어 있었고 훈련 상태도 우수했지만, 사막환경에서 보병으로 싸우는 법은 새로 익혀야 했다. 파비아 사단같이 형편없는 장비와 부족한 차량을 장비한 보병사단들의 변화양상도 주목해야 한다. 이탈리아 보병은 3년에 걸쳐 발전이 없는 장비를 가지고 싸워야 했으며 북아프리카에 도착한 신무기는 많지 않았다. “이탈리아식의 전투력”은 매우 특수하다. 처음에는 사막전 훈련을 제대로 받지 못한 군대가 갈수록 구식이 되어가는 장비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법을 배워나갔다.  이러한 변화는 많은 보병, 전차병, 포병, 공병이 초기의 문제점을 시정해 가면서 이룩했다.194) 연합군은 방대한 양의 무기와 날이 갈수록 향상되는 기술적 우세를 가졌지만 이탈리아군은 오직 배우고 응용하고 창의력을 발휘하는 수 밖에 없었다.





주석
1) 영어권에서 제2차 세계대전 시기의 이탈리아군을 연구한 학자는 극소수이다.  맥그레거 녹스MacGregor Knox, 브라이언 설리반Brian R. Sullivan, 제임스 사드코비치James J. Sadkovich, 그리고 제2차세계대전 시기 특히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이탈리아가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일깨워준 다른 연구자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한다.
2) Niall Ferguson, ‘Prisoner Taking and Prisoner Killing in the Age of Total War: Towards a Political Economy of Military Defeat’, War in History XI (2004), p. 170.
3) Mark Johnston, Fighting the Enemy: Australian Soldiers and Their Adversaries in World War II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pp. 12–14.
4) Lucio Ceva, Storia delle forze armate in Italia (Turin, UTET, 1999), p. 296.
5) I.S.O. Playfair, The Mediterranean and the Middle East, vol. I, The Early Successes against Italy (to May 1941) (Uckfield, East Sussex, Naval and Military, 2004), p. 362.
6) Paddy Griffith, World War II Desert Tactics (Oxford, Osprey, 2008), p. 17.
7) Silvia Trani and Pier Paolo Battistelli, ‘The Italian Military Records of the Second World War’, War in History XVII (2010), pp. 333–51.
8) 이중 영어로 번역된 연구는 겨우 한편 뿐이다. 당연히 엘 알라메인 전투를 다루는 내용이다. Mario Montanari, The Three Battles of El Alamein, June–November 1942 (Rome, Ufficio storico dello Stato maggiore dell’esercito [이하 USSME], 2007)를 참고하라.
9) 여러가지 롬멜 전설과 관련해서는 Dennis Showalter, Hitler’s Panzers: The Lightning Attacks that Revolutionized Warfare (New York, Berkley Caliber, 2009), pp.148–9를 참고하라.
10) 롬멜과 이탈리아군의 능력 부족에 관한 상이한 시각에 관해서는 James J. Sadkovich, ‘Of Myth and Men: Rommel and the Italians in North Africa, 1940–1942’, International History Review XIII (1991), pp. 284–313를 참고하라.
11) David French, Raising Churchill’s Army: The British Army and the War against Germany, 1919–1945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pp. 218–19. 프렌치가 사드코비치와 설리반의 연구를 주로 인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12) Giorgio Rochat, Le guerre italiane 1935–1943: Dall’impero d’Etiopia alla disfatta (Turin, Einaudi, 2005), p. 322.
13) Griffith, World War II Desert Tactics, p.17.
14) Ceva, Storia delle forze armate, p. 304; Rochat, Le guerre italiane, pp. 320, 321, 350.
15) Showalter, Hitler’s Panzers, p. 155; Niall Barr, Pendulum of War: The Three Battles of El
Alamein (London, Pimlico, 2005), p. 67.
16) General Staff Intelligence, G.H.Q., Middle East Forces, Brief Notes on the Italian Army:
August 1942 (London, Military Library Research Service Books, 2006), p. 5.
17) Harold Alexander, ‘The African Campaign from El Alamein to Tunis, from 10 August, 1942 to 13 May 1943’,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5 February 1948, no. 38196, p. 879.
18) Archivio, Ufficio storico dello Stato maggiore dell’esercito (hereafter AUSSME), Comando Supremo, I reparto-Ufficio Operazioni, Scacchiere Africa, I-3, 8, 4, 14 July 1942.
19) Giovanni Messe, La mia armata in Tunisia: Come finì la guerra in Africa (Milan, Mursia, 2004), p. 267. 이탈리아군 보병사단과 기갑사단의 규모는 독일군이나 영국군 사단 보다 작았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20) Siegfried Westphal, ‘Notes on the Campaign in North Africa’, RUSI Journal CV/617
(1960), p. 72.
21) Ibid., p. 72.
22) Giorgio Rochat, L’esercito italiano in pace e in guerra: Studi di storia militare (Milan, Istituti Editoriale di Bibliofilia e Reprints, 1991), p. 241. 11장, ‘Lo sforzo bellico 1940–1943: Analisi di una sconfitta’, pp. 241–61, 그리고 Lucio Ceva, Africa settentrionale 1940–1943, negli studi e nella litteratura (Rome, Bonacci, 1982), pp. 20–1, p. 23를 참고하라.
23) 1941년 2월 12일 기준으로 리비아 서부에 배치된 이탈리아군은 약 50,000명이었다. 여기에는 제10군의 잔존병력, 제5군, 기타 부대, 그리고 새로 도착한 아리에테 기갑사단이 포함되어 있다. Mario Montanari, Politica e strategia in cento anni di guerre italiane, vol. III, Il periodo fascista, tome II, La seconda guerra mondiale (Rome, USSME, 2007), p. 303.
24) 이 기간 중 영국군과 교전한 경험이 없는 병력과 부대는 같은 방식으로 역량을 개선할 기회가 없었다. 예를들어 1941년 2월 15일 기준으로 거의 50,000명이 트리폴리 방어선에 배치되어 있었다. Mario Montanari, Le operazioni in Africa settentrionale, vol. II, Tobruk, Marzo 1941 –Gennaio 1942 (Rome, USSME, 1993), p. 18를 참고하라.
25) Bernd Stegemann, ‘The Italo-German Conduct of the War in the Mediterranean and North Africa’, in Militärgeschichtliches Forschungsamt (Research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ed.,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vol. III, The Mediterranean, South-East Europe, and North Africa, 1939–1941 (Oxford, Clarendon, 1995), p. 657.
26) 1941년 2월 12일 가리볼디 장군이 그라치아니의 후임으로 도착했다. 같은해 7월 19일 가리볼디는 다시 바스티코로 교체됐다.
27) 할더 상급대장도 이탈리아군 지휘관들을 비슷하게 평가했다. Stegemann, ‘Italo-German
Conduct’, p. 675를 참고하라.
28) 이탈리아 장교와 병사에 대한 롬멜의 우호적인 발언은 Basil Liddell Hart, ed., The Rommel Papers (New York, Da Capo, 1953), p. 261을 참고하라.
29) Liddell Hart, Rommel Papers, pp. 195, p. 222; Mario Montanari, Le operazioni in Africa settentrionale, vol. III, El Alamein, gennaio–novembre 1942 (Rome, USSME, 2006), pp.250–6; and Salvatore Loi, ‘Aggredisci e vincerai’: Storia della Divisione motorizzata ‘Trieste’ (Milan, Mursia, 1983), pp. 46–8.
30)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 pp. 347–9.
31) Barr, Pendulum of War, p. 64.
32) Reinhard Stumpf, ‘The War in the Mediterranean Area, 1942–1943: Operations in North Africa and the Central Mediterranean’, in Militärgeschichtliches Forschungsamt (Research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ed.,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vol. VI, The Global War (Oxford, Clarendon, 2001), p. 696.
33)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I, p. 605; Liddell Hart, Rommel Papers, p. 281.
34)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I, p. 706, Barr, Pendulum of War, p. 276, and Stumpf, ‘War in the Mediterranean Area’, pp. 775–6은 추축군 전투서열에 대한 정보가 동일하다.
35) Martin van Creveld, Fighting Power: German and U.S. Army Performance, 1939–1945
(Westport, Greenwood, 1982).
36) Ibid., p. 3.
37) French, Raising Churchill’s Army, p. 11.
38) 북아프리카 주둔 이탈리아군의 사기에 관해서는 Bianca Ceva, Cinque anni di storia italiana 1940–1945, da lettere e diari di caduti (Milan, Edizioni di Comunità, 1964), pp.114–85를 참고하라.
39) French, Raising Churchill’s Army, p. 212.
40) Ceva, Africa settentrionale, p. 19.
41)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I, p. 367.
42) Ibid., p. 820.
43) 예를들어 지오바니 파시스티 사단의 검은셔츠대원 리카르도 베두스치의 발언을 참고하라. Ceva, Cinque anni, pp. 135–7.
44)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2010).
45) Van Creveld, Fighting Power, p. 3, and Allan R. Millet and Williamson Murray, eds, Military Effectiveness, vol. I, The First World War (Boston, Unwin Hyman), 1988, p. 3.
46) Barr, Pendulum of War, p. 68.
47) James J. Sadkovich, ‘The Italo-Greek War in Context: Italian Priorities and Axis Diplomacy’, Journal of Contemporary History XXVIII (1993), tables 1 and 2, p. 441, and Lucio Ceva, ‘La campagna di Russia nel quadro strategico della guerra fascista’, in Guerra mondiale: Strategie e industria bellica 1939–1945 (Milan, FrancoAngeli, 2000), pp. 102–27.
48) I.S.O. Playfair, The Mediterranean and Middle East, vol. III, British Fortunes Reach Their Lowest Ebb (September 1941 to September 1942) (Uckfield, East Sussex, Naval and Military, 2004), pp. 335, 381.
49) 장비 획득과 군수산업 역량에 대해서는 Fortunato Minniti, ‘Il problema degli armamenti nella preparazione militare italiana dal 1935 al 1943’, Storia contemporanea IX (1978), pp. 5–61, and a German perspective, Gerhard Schreiber, ‘Political and Military Developments in the Mediterranean Area, 1939–1940’, in Militärgeschichtliches Forschungsamt (Research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ed., Germany and the Second World War, vol. III, The Mediterranean, South-East Europe, and North Africa, 1939–1941 (Oxford, Clarendon), 1995, pp. 62–98를 참고하라.
50) 보다 균형잡힌 관점은 Mario Montanari, L’esercito italiano alla vigilia della 2a guerra mondiale (Rome, USSME, 1993), pp. 240–61를 참고하라.
51) 카르카노 소총의 성능에 대한 상이환 관점은 Brian R. Sullivan, ‘The Italian Soldier in Combat, June 1940 – September 1943: Myths, Realities and Explanations’, in Paul Addison and Angus Calder, eds, Time to Kill: The Soldier’s Experience of War in the
West (London, Pimlico, 1997), p. 184, and Montanari, L’esercito italiano, pp. 240–1를 참고하라.
52) Ian V. Hoggs and John Weeks, Les armes légères du XXe siècle (Paris, Éditions De Vecchi, 1979), pp. 81–6.
53) Rochat, Le guerre italiane, p. 189.
54) Ibid., p. 189. PAI의 MAB 38 획득에 대한 내용은 Piero Crociani, La Polizia dell’Africa Italiana, 1937–1945 (Rome, Ufficio Storico della Polizia di Stato, 2009), pp. 56–7를 참고하라.
55) Giulio Benussi, Armi portatili, artiglierie e semoventi del Regio esercito italiano, 1900–
1943: Tratto da manuali originali dell’epoca (Milan, Intergest, 1975), pp. 34–5.
56) Montanari, L’esercito italiano, p. 242.
57) Benussi, Armi portabili, pp. 57–9.
58) Ibid., pp. 57–9; Rochat, Le guerre italiane, p. 189.
59) Filippo Cappellano and Nicola Pignato, Andare contro i carri armati: L’evoluzione della
difesa controcarro nell’esercito italiano dal 1918 al 1945 (Udine, Gaspari, 2007), p. 283.
60) Ibid., p. 301.
61) Ibid., pp. 32–3.
62) Ibid., p. 38, Montanari, L’esercito italiano, p. 244.
63) Comitato per la storia dell’artiglieria italiana, ed., Storia della artiglieria italiana, parte
V, dal 1920 al 1945, vol. XVI, L’artiglieria italiana nelle operazioni belliche: dal 1920 al
1945 (Rome, Biblioteca d’artiglieria e genio, 1953), p. 207.
64) Cappellano and Pignato, Andare contro i carri armati, p. 38.
65) The National Archives, UK [TNA], WO 106/2753, North Africa Lessons Learned.
66) Montanari, L’esercito italiano, p. 252. For a complete list of all guns available in June 1940, see pp. 253–4.
67)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I, p. 708.
68) Ibid., p. 708.
69) Rochat, Le guerre italiane, pp. 189–90. 강력한 대전차무기, 예를들어 75/32 등을 대량 생산할 수 없었던 이유에 대해서는 Cappellano and Pignato, Andare contro i carri armati, pp. 152–4를 참고하라.
70) Ceva, ‘La campagna di Russia’, p. 117.
71)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 p. 134.
72) Ibid., pp. 242, 261.
73) 이 주제에 관해서는 Lucio Ceva and Andrea Curami, La meccanizzazione
dell’esercito fino al 1943, tomo I (Rome, USSME, 1994), and Nicola Pignato and Filippo Cappellano, Gli autoveicoli da combattimento dell’esercito italiano, volume secondo,
1940–1945 (Rome, USSME, 2002); also, the authoritative work of Filippo Cappelleno and Pier Paolo Battistelli, Italian Medium Tanks, 1939–45 (Oxford, Osprey, 2012)를 참고하라. 이탈리아 인이 아닌 연구자의 관점은 Richard M. Ogorkiewicz, Armor: A History of Mechanized Forces (New York, Praeger, 1960), pp. 237–49를 참고하라.
74)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L3을 개량하고 개조해 사용한 사례는 Filippo Cappellano and Pier Paolo Battistelli, Italian Light Tanks, 1919–1945 (Oxford, Osprey, 2012), pp. 34–41를 참고하라.
75) Mario Montanari, Le operazioni in Africa settentrionale, vol. 1, Sidi El Barrani, giugno
1940 – febbraio 1941 (Rome, USSME, 1990), p. 463.
76) L3은 결함투성이였지만 1941년 말 까지도 전투에 사용됐다. 일부는 화염방사전차로 개조됐고 일부는 기관총을 철거하고 졸로투른 20mm 대전차총을 달았다. Cappellano and Battistelli, Italian Light Tanks, pp. 16, 34–6.
77) Ceva and Curami, La meccanizzazione dell’esercito, p. 315; Cappellano and Battistelli,
Italian Medium Tanks, p. 11.
78) 이탈리아군의 중형전차에 대해서는 Pignato and Cappellano, Gli autoveicoli da combattimento, pp. 239–82를 참고하라.
79) 이탈리아 중형전차의 점진적 개량은 Cappellano and Battistelli, Italian Medium Tanks, pp. 8–17, 46–7를 참고하라.
80) M13이 독일 3호전차에 비해 뒤떨어진 점은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 p. 275.
81) Cappellano and Battistelli, Italian Medium Tanks, p. 33.
82)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 p. 82.
83) Griffith, World War II Desert Tactics, p. 25; Paolo Caccia Dominioni, Alamein, 1933–1962
(London, George Allen & Unwin, 1966), p. 43.
84) Claude J.E. Auchinleck, ‘Operations in the Middle East from 1st November 1941 to 15
August 1942’,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3 January 1948, no. 38177, p. 313.
85) Ibid., p. 314.
86) General Staff Intelligence, Brief Notes, p. 86.
87) Ceva and Curami, La meccanizzazione dell’esercito, p. 432.
88) 세모벤테의 특징에 관해서는 Cappellano and Battistelli, Italian Medium Tanks, pp. 19–21를 참고하라.
89) Comitato per la storia dell’atiglieria italiana, ed., Storia della artiglieria italiana, parte V,
dal 1920 al 1943, vol. XV, L’evoluzione dei concetti d’impiego, del tiro, della tecnica e dei
materiali (Rome, Biblioteca d’artiglieria e genio, 1953), p. 522.
90) Ceva and Curami, La meccanizzazione dell’esercito, p. 433.
91) Hans-Otto Behrendt, Rommel’s Intelligence in the Desert Campaign, 1941–1943 (London, William Kimber, 1985), p. 14.
92) Andrew L. Hargreaves, ‘The Advent, Evolution, and Value of British Specialist Formations in the Desert War, 1940–43’, Global War Studies VII (2010), pp. 7–61.
93) Ceva and Curami, La meccanizzazione dell’esercito, p. 418; Pignato and Cappellano, Gli
autoveicoli da combattimento, p. 127.
94) Caccia Dominioni, Alamein, p. 31.
95) AUSSME, Missione in Africa Settentrionale del Colonnello Bizzi, marzo 1942, N-1157, 12.
96) Pignato and Cappellano, Gli autoveicoli da combattimento, p. 133.
97) Sadkovich, ‘Of Myth and Men’, p. 290.
98) 영국 전차의 다양함에 대해서는 Griffith, World War II Desert Tactics, p. 7, 그리고 Barr, Pendulum of War, pp. 57–61를 참고하라.
99) Ceva and Curami, La meccanizzazione dell’esercito, pp. 404–18; also Comitato per la storia dell’artiglieria italiana, Storia della artiglieria italiana, parte V, vol. XVI, p. 543.
100) Costantino De Franceschini, ed., Le operazioni delle unità italiane al fronte russo (1941–1943), 3rd edn (Rome, SMEUS, 2000), p. 631.
101)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College Park, Maryland, T 821, roll 23,
964, Note sulle operazioni in Africa dall’agosto 1942 al gennaio 1943, April–August 1943.
102)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I, p. 707.
103) 이 문제에 관해서는 Italian perspective, ibid., pp.670–2.
104) Lucio Ceva, La condotta italiana della guerra: Cavallero e il Comando supremo 1941/1942 (Milan, Feltrinelli, 1975), p. 64.
105) Andrew Roberts, The Storm of War: A New History of the Second World War (London,
Penguin, 2010), p. 122.
106) Rochat, L’esercito italiano, pp. 256–7.
107) 전쟁 이전의 훈련은 Ministero della Guerra, Comando del Corpo di Stato Maggiore,
Manuale di regolamenti per i corsi allievi ufficiali di complemento (Rome, Edizioni Le
Forze Armate, 1940), pp. 789–91를 참고하라.
108) Rochat, L’esercito italiano, p. 256.
109) 1940년 6월 이전 제10군 사령관이었던 구이디 장군은은 이 관점에 동의하지 않았다. AUSSME, Diario storico, Comando della 10a armata, N-306, 14 November 1939를 참고하라.
110) AUSSME, Comando Supremo, Ufficio Operazioni Esercito, Scacchiere Africa, I-4, 9, 9 [no date].
111) Nicola Pignato, ‘Prime esperienze italiane di guerra corazzata in Africa Settentrionale’, in Fortunato Minniti, ed., Quaderno 1999: Società italiana di storia militare (Naples, Edizioni
Scientifiche Italiane, 2003), p. 96.
112) AUSSME, Diario Storico, Ministero dell’Africa italiana, Memoria per il Duce, Preparazione militare e colonizzazione in Libia, N-1337, 25 September 1939.
113)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 p. 20.
114) AUSSME, Diario storico, Comando Supremo Africa settentrionale, settembre/ottobre 1940, ‘Relazione Comando XXIII Corpo d’Armata, 8 ottobre 1940’, N-306.
115)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 pp. 20–1.
116) AUSSME, Diario storico, Ministero della Guerra, Gabinetto, N-2148, 2 and 6 June 1940.
117) 전쟁 전에 파리아니 장군은 카라치올로 장군에게 훈련을 지나치게 많이 하지 말라는 취지로 말을 했다. Ceva and Curami, La meccanizzazione dell’esercito, p. 290.
118) Ibid., p. 308.
119) Ceva, La condotta italiana, pp. 72–3, 151–2, 161–4.
120) Danilo Ciampini, ‘La fanteria motorizzata tra modello ed esperienze: La Trieste in Africa
Settentrionale 1941–1942’, in Fortunato Minniti, ed., Quaderno 1999: Società italiana di
storia militare (Naples, Edizioni Scientifiche Italiane, 2003), p. 163.
121)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 p. 738.
122) Cappellano and Pignato, Andare contro i carri armati, p. 123.
123) TNA, WO 208/4551, Revised Notes on Italian Army, part 1, 1943.
124)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 p. 316, and also Cappellano and Pignato, Andare contro i carri armati, pp. 183–4.
125) AUSSME, Comando Superiore Forze Armate Africa settentrionale, Stato Maggiore, Nuovo ordinamento del ‘Centro Carristi’, F-9, 69, 4, 12 March 1942.
126) Ceva and Curami, La meccanizzazione dell’esercito, pp. 315–17.
127) AUSSME, Comando Superiore Forze Armate Africa settentrionale, Stato Maggiore, Notizie circa l’impiego dei carri e autoblinde in A. S., F-9, 69, 4, 25 April 1942.
128) Ciampini, ‘La fanteria motorizzata’, p. 163.
129) AUSSME, Diario Storico, Comando divisione corazzata Ariete, N-2, 390, 1, annex 14, 26 February 1941; annex 20, 3 March 1941; annex 66, 25 March 1941.
130) AUSSME, Diario Storico, Comando divisione corazzata Ariete, N-5, 904, annex 21, 21
August 1941.
131)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 pp. 761–2. 크루세이더 작전 당시 이탈리아군의 성공적인 방어 작전은 Sadkovich, ‘Of Myth and Men’, pp. 298–9를 참고하라.
132)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I, pp. 18, 53.
133) Barr, Pendulum of War, p. 68.
134) AUSSME, Comando Supremo, I Reparto, I-4, 29, 1, 24 October 1941.
135) AUSSME, Diario Storico, Divisione Pavia, N-899, annex 347, 29 October 1941.
136) Ibid., annex 33, 22 October 1941.
137)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 p. 738.
138) Comitato per la storia dell’artiglieria italiana, Storia della artiglieria italiana, parte V, vol.
XVI, p. 501.
139)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 pp. 739, 756.
140) AUSSME, Diario Storico, Divisione Pavia, N-913, annex 386, 1 February 1942.
141) Cappellano and Pignato, Andare contro i carri armati, p. 129.
142) AUSSME, Balbo to Comando Supremo, Bollettini operativi, III Trimestre 1940, N-1335,
19 June 1940.
143)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I, p. 520.
144) Ibid., p. 500; also Caccia Dominioni, Alamein, p. 82.
145) 예를 들어 Barr, Pendulum of War, p. 141를 참고하라.
146) AUSSME, Diario Storico, Divisione Pavia, N-913, annex 40, 27 February 1942.
147)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I, pp. 460, 464, and Barr, Pendulum of War, p. 106.
148) Barr, Pendulum of War, pp. 106–7.
149)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I, p. 444.
150) Ibid., p. 444.
151) Ibid., p. 446.
152) Ibid., p. 448. 또 Barr, Pendulum of War, p. 91도 참고하라.
153) AUSSME, Comando del XX Corpo d’Armata, Stato Maggiore, H-5, 40, 17, 31 July 1942.
154)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I, p. 636.
155) Barr, Pendulum of War, p. 404.
156)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I, p. 838.
157) Stumpf, ‘War in the Mediterranean Area’, p. 814.
158) Messe, La mia armata, pp. 225–6.
159) Lucio Ceva, ‘The North African Campaign, 1940–43: A Reconsideration’, Journal of
Strategic Studies XIII (1990), pp. 98–9.
160) AUSSME, Balbo al Ministero della Guerra, SIM, Bollettini operativi, III Trimestre 1940,
N-1335, 20 June 1940. 영국 관점은 I.S.O. Playfair, The Mediterranean and the Middle East, vol. 1, The Early Successes against Italy (Uckfield, East Sussex, Naval and Military, 2004), p. 119.
161) Antonello Biagini and Fernando Frattolillo, eds, Diario storico del Comando Supremo, vol. II, 1.9.1940–31.12.1940, tome II, Allegati (Rome, USSME, 1988), pp. 97–9.
162) Cesare Amé, Guerra segrata in Italia 1940–1943 (Milan, Edizioni Bietti, 2011), pp. 58–9.
163) Flavio Giovanni Conti, I prigionieri di guerra italiani 1940–1945 (Bologne, Il Mulino,
1986), pp. 11–12.
164) Ceva and Curami, La meccanizzazione dell’esercito, p. 449, and Robert Jars, Les campagnes d’Afrique 1940–1943 (Paris, Payot, 1957), p. 74.
165) Caccia Dominioni, Alamein, pp. 79, 86; also Loi, ‘Aggredisci e vincerai’, pp. 25–6.
166) Behrendt, Rommel’s Intelligence, p. 65, and Jars, Les campagnes, p. 56.
167) Amé, Guerra segrata in Italia, pp. 106–16; Behrendt, Rommel’s Intelligence, pp. 145–6;
Barr, Pendulum of War, pp. 20–1.
168) General Staff Intelligence, Brief Notes, p. 5.
169) Auchinleck, ‘Operations in the Middle East’, p. 314.
170) Ceva, Africa settentrionale, p. 28.
171)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 p. 29.
172) 아리에테 기갑사단장 에토레 발다사레 장군의 경우가 특히 중요하다.
173) 이탈리아 문헌에서는 독일군 부대나 교관이 이탈리아군 부대의 훈련을 감독한 증거가 없다.
174) Cappellano and Pignato, Andare contro i carri armati, p. 189.
175) 둘 다 AUSSME, F-9, 69, 4 [no date].
176) Cappellano and Pignato, Andare contro i carri armati, p. 163.
177) TNA, WO 208/4551, Revised Notes on the Italian Army, Part 1, 1943.
178) TNA, WO 201/2792, Revised Notes on the Italian Army, chapter XVIII, April 1941.
179)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 p. 97.
180) Ibid., p. 97.
181) Ibid., p. 109.
182) Ceva, Africa settentrionale, p. 9.
183) 여기에 더해 4,776명이 행방불명 됐다. 통계는 Istituto Centrale di Statistica, Morti e dispersi per cause belliche negli anni 1940–45 (Rome, Istituto Centrale di Statistica, 1957), p. 22에서 인용.
184) Liddell Hart, Rommel Papers, p. 93.
185)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 pp. 279, 314.
186) Rochat, Le guerre italiane, p. 350.
187)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I, p. 80.
188) 크루세이더 작전 시기의 손실은 Stegemann, ‘Italo-German Conduct’, p. 751.
189) Mario Montanari, Le operazioni in Africa settentrionale, vol. IV, Enfidaville, novembre
1942 – maggio 1943 (Rome, USSME, 1993), p. 17.
190) Liddell Hart, Rommel Papers, p. 261.
191) 1942년 12월 1일의 전투서열은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V, p. 126.
192) Stumpf, ‘War in the Mediterranean Area’, p. 815.
193) 콘티에 따르면 튀니지 전역에서 이탈리아군의 손실은 약 100,000명이었다. 반면 몬타나리는 약 90,000명으로 추산한다. Conti, I prigionieri, p. 20, Montanari, Le operazioni, vol. IV, p. 550.
194) Ceva and Curami, La meccanizzazione dell’esercito, p. 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