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1월 31일 수요일

민족인가, 국가인가? - 이종욱

오늘 이종욱의 "민족인가, 국가인가? 신라 내물왕 이전 역사에 답이있다"를 샀습니다. 아직은 대략 훑어본 상태인데 이거 생각보다 흥미로운 물건이더군요. 신라사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기존의 역사학이 정통론 세우기에 집중했다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언제부터인가 이런 이야기가 나올 것 이라고 생각했는데 발언 수위가 약간 센 편입니다. 앞으로 상당히 욕을 많이 먹을 것 같군요. 뭐, 다른 건 둘째 치고 민족주의가 국교가 된 대한민국에서 이런 책을 낸다는 건 좀 위험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한국 고대사쪽은 아는게 거의 없긴 하지만 근현대사 서적이 아니라 고대사 서적에서 이렇게 노골적으로 정치적 성향을 드러내는 사람은 별로 못 봤던 같습니다. 몇몇 구절에서는 지나치게 자신의 정치적 성향을 광고하고 있어서 찝찝하긴 하지만 들어볼 만 한 부분도 있습니다.

읽으면서 흥미 있었던 구절을 몇 개 발췌해 봅니다.

첫째, 그때나 지금이나 손진태가 말한 내용 가운데 국민이 곧 민족이라는 주장은 분명 잘못된 것이다. 남한과 북한이 분단되어 각기 서로 다른 국가가 들어선 상황에서 국민이 민족이라고 주장한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는 1945년 하나의 민족이 38도선을 경계로 남한과 북한으로 나뉘고, 1948년 남한과 북한에 각기 독립된 정부가 들어서며 한국인이 두 국가의 국민으로 나뉜 사실을 은폐한 것이다. 남한에 사는 사람들은 대한민국의 국민이고, 북한에 사는 사람들은 북한의 국민이 되었다. 지금도 대한민국에서는 한민족 두 국가의 상태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민족이라는 용어에 마비되어 국민과 민족을 구별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그 결과 “민족끼리” “우리끼리”라는 북한의 말에 놀아나고 있다. 그 결과 한 민족 두 국가의 현실에 있으면서도 민족과 민족공조라는 말에 꼼짝 못하고 정치적으로 이용당하고 있다.

146쪽

그런데 이러한 민족이 한국인의 신앙이 되기에 이르렀다. 한 가지 예만 들어보자. 1945년 일제의 패망과 더불어 한국은 38도선을 경계로 남한과 북한으로 나뉘었다.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남한 침공으로 벌어진 6.25전쟁 뒤 지금까지 휴전선을 경계로 남한과 북한은 군사적으로 대치하고 있다. 남한은 자유민주주의, 자본주위를 북한은 사회주의, 공산주의를 택했다. 남한과 북한은 서로 다른 이념(사상)과 체제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이념과 체제는 공존할 수 없는 것이다. 2002년 서해에서 북한 함정의 공격을 받아 한국 해군의 함정이 침몰하고 해군들이 전사한 전투가 있었다. 이는 이념과 체제를 달리하는 남한과 북한이라는 두 국가 사이에서 전쟁 상태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인들은 어떤 면에서 때로는 국가보다 민족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인다.

153쪽

그러나 남한과 북한이 택한 서로 다른 이념과 체제는 민족과는 다른 문제다. 1945년 해방 이후 남한은 자유민주주의, 자본주위를 북한은 사회주의, 공산주의를 국가의 이념과 체제로 택했다. 그런데 남한과 북한이 택한 서로 다른 이념과 체제는 하나로 합칠 수 없는 것이다. 더욱이 북한은 주체사상을 택하여 자주라는 이름으로 세계화를 거부하며 북한 인민들의 자유를 빼앗고 굶주리게 만들고 있다. 현재 이 세상에서 그처럼 인민의 자유를 빼앗고 굶주리게 만드는 폐쇄적인 나라는 찾아보기 어렵다. 우리들이 각별히 경계해야 할 사실은 그러한 주체사상으로 인민의 자유를 빼앗고 굶주리게 하는 체제의 전파다.

지난 60여년 동안 한국사학은 위와 같은 사실은 생각하지 않고 민족을 발명해 서로 다른 두 이념과 체제위에 놓고서 남한과 북한이 통일되어야 하는 이유로 삼았다. 현대 한국사학이 만든 민족사는 민족이 우선이고 국가(국민)에는 관심이 없었다. 어떤 면에서 현대 한국사학이 국가와 국민보다 민족이 먼저라는 역사 지식과 역사의식을 한국인들에게 주입한 것이다.

(중 략)

가상의 공동체로서 민족을 만든 현대 한국사학은 그러한 민족이 걸어가야 할 길까지 정해 놓고서 실제 역사는 그 길을 벗어났다고 비판하며 꾸중해 왔다.

(중 략)

대륙을 지배하던 고구려를 자랑스럽게 여기고, 당나라 군대를 끌어들여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신라를 반민족적 왕국으로 보는 것이 그 좋은 예다. 이러한 민족사는 과거의 이야기로 그치지 않는다는 점에 더 큰 문제가 있다. 현재의 정치, 군사적 상황을 이해하는 기준이 되는 것을 그대로 지나칠 수 없다.
6.25전쟁 이래 남한과 북한이 군사적으로 대치하는 상황에서 한국은 미국의 도움을 받아 북한의 남침 기도를 막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사학은 외세를 끌어들여 동족의 나라를 멸망시켰다며 신라를 반민족적 행위를 한 나라로 판정하는 역사 공식을 만들었다. 그러한 역사 공식은 6.25전쟁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UN군의 도움으로 북한의 남침을 막은 대한민국을 반민족적 행위를 하는 나라로 보도록 만든 것이다.

316~319쪽


이 양반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을 국민이 더 많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마도, 이 책에 대해 실린 기사에는 악플이 엄청 달렸겠지요.

2007년 1월 30일 화요일

[妄想大百科事典]강국(强國)

강국(强國)

실력이 별 볼일 없는 국가가 자국의 신통치 못한 상황을 호도하기 위해 국내선전용으로 사용하는 단어. 특히 이 단어는 한국에서 많은 시민을 낚았는데 이 단어가 공공연히 사용된 시기는 김대중 정부 이후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축구강국, IT강국, 바이오강국, 인터넷강국, 디지털강국, 벤처강국이 있으며 이와 유사한 단어로는 중심국가(中心國家)가 있다.

한편, 북조선에서 널리 쓰이는 강성대국(强盛大國)은 약간 길긴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강국과 같은 단어이다.

이 단어를 너무 좋아하게 되면 대한민국 육군이 일본에 상륙하기만 하면 열도를 정벌하느니 줄기세포 기술만 실용화 되면 연간 수십조원의 수익이 생기느니 하는 허무맹랑한 망상에 빠지게 되며 증세가 악화되면 현실 인식에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한국의 2006년 월드컵 16강 탈락이 FIFA의 음모라거나 황우석 줄기세포 파동이 CIA나 프리메이슨의 음모라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전문가들은 강국이라는 단어가 남발될수록 국가기능에 이상이 있는 징후이기 때문에 뉴스시간에 ○○강국 타령을 하면 그와 관련된 주식을 매각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하고 있다.

2007년 1월 29일 월요일

1차대전 이전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의 민족문제

Sonnet님이 쓰신 최근 레바논 현황에 대한 글을 보니 다음의 구절이 눈에 쏙 들어왔습니다.

레바논 정부군의 병사들은 각각 소속 종파를 찾아 탈영했다. 슈프 산악지대에서는 드루즈파가 팔랑헤당을 무참히 부수었다. 이스라엘군과 레바논 정부군이 지원하지 않으면 팔랑헤는 아무것도 아니라는 것이 만천하에 드러났다. 미 해병대가 재건한 레바논 정부와 정부군은 와해되고 있었다.


확실히 민족, 정파 구성이 복잡한 국가에서 멀쩡한 단일 통치체제를 확립하는 것은 어려운 과업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생각해 보면 이런 문제는 19세기 민족주의의 창궐 이후 여러 국가들을 엿 먹였지요.
근대 민족주의의 최대 피해자라면 역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연합제국과 오스만 제국을 꼽을 수 있을 것 입니다. 두 국가 모두 민족주의가 제국이 붕괴되는데 많은 영향을 끼쳤지요.

그래서 다인종으로 구성된 국가의 문제점을 언급할 때 많이 언급되는 사례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연합제국이 항상 끼는 것도 당연하다 하겠습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연합제국은 당장 큼지막한 덩어리로 쪼개더라도 독일인, 헝가리인, 폴란드인, 체코인, 슬로바키아인, 크로아티아인, 루테니아인 등으로 나뉘고 발칸 반도의 그저 그런(?) 민족들 까지 넣으면 더욱 더 골치가 아파집니다.
민족 구성이 복잡했던 덕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연합제국의 군대에서는 사용 언어가 명령어(Kommandosprache)와 직무어(Dienstsprache), 그리고 지휘 및 통신용 언어로 나뉘고 있었습니다. 제국의 신민들 중 상당수가 황제폐하가 사용하시는 Deutsch를 한마디도 할 줄 몰랐으니 당연한 결과였을 것 입니다.
명령어, 그리고 지휘 및 부대간 통신 언어는 독일어였지만 직무어는 민족별로 차이가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빈이나 짤즈부르크 등에서 편성되는 독일인 부대의 경우 명령어와 직무어가 모두 독일어 였지만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인 부대는 명령어는 독일어, 직무어는 헝가리어, 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Erwin A. Schmidl의 짧은 에세이, Die k.u.k Armee : intergrierendes Element eines zerfallenden Staates? 에는 1차대전 발발 전에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 참모부에서 각 부대별 사용 언어를 조사한 결과를 인용하고 있습니다.
이때의 조사에 따르면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의 각 연대 및 독립대대 중 단일 언어를 사용하는 부대는 142개 였고 2개의 언어를 사용하는 부대는 163개, 그리고 3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부대가 24개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런 경향은 국경지대, 혹은 민족별 접경지역에서 심했는데 예를 들어 프세미시우(Przemysl) 10보병연대는 연대 병력 중 47%가 루테니아어, 43%가 폴란드어, 10%가 기타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고 66보병연대는 46%가 슬로바키아어, 25%가 헝가리어(magyarische), 22%가 루테니아어, 7%가 기타언어를 사용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경우 부사관의 임무에는 병사들 간의 ‘통역’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고 하며 또 전쟁이전 임관한 장교들은 배치된 연대의 공식어를 배워야 했다고 합니다.

언어에 따른 지휘계통상의 문제가 기술적인 것 이었다면 민족주의는 그 자체로 아주 골치 아픈 물건이었습니다. 평화시에 입대한 직업군인 장교나 부사관들은 민족에 상관없이 황제에 충성하는 편 이었지만 전쟁이 발발하고 소집된 장교나 부사관들은 그렇지 못했습니다.
전쟁 기간 중 대학생이나 아비투어 합격자는 장교로 소집됐는데 이들 중 많은 수는 대학에서 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은 채 들어왔다는 점 입니다. 당연히 많은 수가 말도 안통하는 황제에게 충성할 생각을 가지고 있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대학생이나 아비투어 합격자의 20%가 유대인이었다는 점 도 문제였습니다. 유대인은 민족을 불문하고 경멸과 혐오의 대상이었죠. 유대인들이 장교로 충원되니 반유대정서를 가지고 있는 병사들이 어떤 반응을 보였을 지는 뻔 했습니다.

결국 이런 사회적인 문제는 군대의 편제, 교리, 장비 만큼이나 전쟁 초-중반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이 연달아 참패를 당하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러시아군의 공세가 개시되면 폴란드나 체코인 부대는 대규모로 항복해 버렸다고 하지요.

그러나 sonnet님의 중동문제에 대한 글들을 계속 보다 보니 21세기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대신 레바논같은 나라의 이야기를 하는 쪽이 더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어쨌든, 대한민국 군대에 민족문제가 없다는게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습니다. 지역 문제가 있다고는 해도 최소한 경상도 말이나 전라도 말이 서로 못 알아먹을 수준은 아니지 않습니까? 그럭저럭 균질적인 사회구성을 가진 덕에 이런 저런 문제가 많아도 국가가 유지되는게 아닐까 가끔씩 생각해 봅니다.

멋지다(?) 이란!

뉴욕 타임즈에 재미있는 기사가 실렸더군요.

Iranian Reveals Plan to Expand Role in Iraq

제법 능글능글하게 나오는군요. 이러다가 대한민국에 이란빠들이 생기지 말라는 법도 없겠습니다.

미국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매우 궁금하군요.

프랑스의 대미 군사원조 : 1917~1918

1917년 미국이 독일에 선전포고를 할 당시 미국의 전쟁 준비는 해군을 빼면 전혀 돼 있지 않았습니다. 국가 전체가 고립주의에 빠져 19세기 후반기 내내 전쟁에 대한 특별한 생각 없이 살고 있었으니 어쩔 수 없는 결과였습니다. E. Glaser는 1차 대전 당시 미국의 전시 동원체제에 대한 짧은 논문에서 미국의 군수공업위원회가 1918년 초까지도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E. Glaser의 논문 제목도 아예 Better late than Never입니다. ‘아예 안하느니 늦는게 낫다’ 정도…)

1917년, 퍼싱이 유럽 원정군을 1918년 6월까지 1백만 수준으로 증강시키고 최종적으로 2백만으로 증강시킨다는 계획을 전쟁부(Department of War)에 제출했을 때 미국 유럽 전선에 보낸 장비 중 현대적인 야포는 120문의 M1903 3인치 유탄포 뿐이었습니다. 그리고 사실상 미국에 제대로 된 군수공장이 드물다 보니 새로 개발하는 M1916 3인치 유탄포는 프랑스군의 75mm 포탄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 도중에 설계를 변경해야 했습니다. 결국 미국의 공장들은 프랑스로부터 75mm 유탄포의 생산면허를 도입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꾸게 됩니다. M1916을 양산할 수 있을 때 까지 기다리다간 전쟁이 끝날 판이었으니…

1차 대전이 끝난 뒤 미 육군 포병감 스노우(William J. Snow) 소장은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그러니, 전쟁 기간에 우리는 우리 군대에 대포를 보급할 능력도 없었고 보급하지도 못했다고 말해도 틀리진 않을 것이다."

지금이라면 꿈도 꿀 수 없는 일 이겠지만, 프랑스 정부가 미국의 딱한 사정을 보고 나서게 됩니다. 1917년 5월 22일, 조프레는 미국 전쟁성에 미육군의 병력 동원을 앞당기기 위해 미국이 필요로 하는 자동화기와 야포를 모두 프랑스 정부가 원조한다는 안을 제안했습니다.
또 같은 달 25일에 프랑스 정부는 미국 측에 1백만발의 75mm 포탄과 10만발의 155mm 포탄을 먼저 원조하고 그 다음으로 매일 3만발의 75mm 포탄과 6천발의 155mm 포탄을 원조하겠다는 제안을 하게 됩니다.

마침내 미국 정부는 1917년 6월 9일에 프랑스 측에 미국제 3인치, 6인치 유탄포 생산을 취소하고 그 대신 프랑스로부터 75mm, 155mm 유탄포를 원조 받겠다고 통보합니다. 당장 포탄부터 얻어 써야 할 판이니 대안이 없었던 것이죠.

결국 이 덕분에 오늘날 수많은 제 3세계 국가가 155mm를 주력 야포로 쓰고 있지요. 만약 미국이 원래 계획대로 3인치와 6인치 유탄포를 양산할 수 있었다면 오늘날 야포의 표준 구경은 6인치가 됐을 텐데 말입니다.

부족한 것은 대포 말고도 많았습니다.

1차 대전의 필수품, 기관총도 매우 적었던 것 입니다. 퍼싱은 기관총 부족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프랑스에 처음 도착한 사단들은 미국 본토에서 기관총 사용을 충분히 훈련 받지 못했고 많은 사단들은 프랑스에 도착하기 전 까지 기관총을 지급받지 못한 상태였다. 전쟁에 참전할 당시 각 사단은 기관총 92정만 보유했는데 실제 편제상으로는 기관총 260정과 자동소총 768정이 필요했다. 기관총이 부족해서 어떤 상황에 처하게 됐는지는 더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결국 퍼싱은 1917년 6월 21일, 프랑스에 기관총도 원조해 줄 것을 요청하도록 전쟁부에 문서를 보냈고 프랑스 정부는 즉시 미국에 기관총과 탄약 일체를 원조하겠다는 답신을 보냅니다.

항공기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J. H. Morrow. Jr의 The Great War in the Air에는 전쟁 발발당시 말 그대로 안습이었던 미 육군항공대의 비참한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미 미국은 1909년 이후 군사 항공에서 독일과 프랑스에 큰 차이로 뒤진데다가 전쟁이 발발한 이후 유럽의 항공기술이 급속히 발전해 미국으로서는 이 격차를 쉽게 줄이기가 어려웠습니다. 그 결과 당연하게도(?) 미국 육군항공대는 프랑스가 만든 비행기로 도배를 하고 맙니다.

그러나 미국은 프랑스에 철강, 화약 등을 지원했기 때문에 프랑스에 대해 저자세를 취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이미 미국은 1917년에 영국과 프랑스를 합친 것 보다 더 많은 무연화약을 생산했습니다. 그리고 이 차이는 1918년에는 더 벌어지지요. 프랑스 역시 자원이 부족한데다 장기간의 전쟁으로 자본이 거덜날 지경이었기 때문에 어떻게든 미국으로부터 많은 것을 얻어내려고 혈안이 돼 있었습니다. 이 때문에 미국측에 파격적인 선심공세를 퍼붓게 됩니다.

1차 대전기간 중 미육군이 프랑스와 영국으로부터 원조받은 장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프랑스 / 영국)

야포 : 3,532 / 160
열차포 : 140 / 0
탄약차(Caisson) : 2,658 / 0
박격포 : 237 / 1,427
자동화기 : 40,884 / 0
전차 : 227 / 26
항공기 : 4,874 / 258

R. Bruce, A Fraternity of Arms : America & France in the Great War, p.105

거의 대부분의 군 장비를 원조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나마 차량은 생산기반이 어느 정도 있었기 때문에 중화기 보다는 조금 나은 편이었다지요.

저런 일들이 불과 90년 전 일 이라는게 믿어지지 않을 때가 종종 있습니다. 저 때로부터 불과 30년 만에 경쟁자가 없는 절대 강국으로 떠오른 것을 보면 미국은 좋건 나쁘건 간에 역사상 유례가 없는 괴물 국가임에 틀림 없습니다.

2007년 1월 26일 금요일

[妄想大百科事典]박정희(朴正熙)

박정희(朴正熙, 1917~1979)

대한민국 건국이래 최고의 연예인.

그의 광적인 팬인 김재규에게 살해 당해 종종 존 레논과 비교되기도 하지만 실제 차지하는 위상은 엘비스 프레슬리에 가깝다. 역대의 어떤 연예인도 박정희의 인기를 뛰어 넘지 못했으며 단지 대한민국의 특정한 지역에서만 그 인기가 덜한 편이다.

박정희는 1961년 차지철 등과 함께 그룹으로 데뷔했으나 이후 솔로로 전향해 1963년 세종로 차트 1위를 석권한 이후 1979년 살해 당하기 까지 부동의 1위를 고수했다. 한때 슬럼프에 빠졌으나 1972년 제 3집 “유신헌법” 발표로 기적적으로 부활했으며 유신헌법은 아직도 국가보안법과 1위를 다투는 대한민국 연예사상 최고의 명반으로 기억되고 있다. 박정희 이후 이른바 군사독재 스타일이 한국 연예계를 강타해 전두환, 노태우까지 그 명맥이 이어졌으며 아직도 그 영향력이 남아있다.

박정희의 인기는 아직까지도 식지 않아서 그의 대표곡인 “혁명공약”, “국민교육헌장”은 아직까지도 애창되는 인기곡이다. 그러나 박정희의 최고 히트곡은 이승만의 작품인 “국가보안법”으로 박정희가 리메이크 한 이래 국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끈 것은 물론 국제적인 반향을 일으켰다. 이 곡은 아직도 꾸준히 리메이크 되고 있다는 점에서 종종 My Way에 비견되고 있다. 이후 국가보안법은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에 이르기까지 애창됐으며 아직까지도 삼류 연예인들에 의해 거듭 리메이크 되고 있다.

박정희의 딸인 박근혜는 가업을 이어 연예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역시 폭발적인 인기를 구가하고 있으나 한국의 마릴린 맨슨이라 불리는 이명박의 등장으로 현재 그 인기가 수그러 들고 있어 팬들의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한편, 박근혜는 한국의 마이클 잭슨으로 통하는 허경영으로 부터 구혼을 받은 전례가 있어 한국판 리사 프레슬리가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관측도 낳았으나 현재는 별다른 소식이 없다.

박정희의 아들로 한때 아버지의 뒤를 이을 차세대 유망주로 기대를 모은 박지만은 부친의 사후 그의 예술적 재능을 뛰어넘지 못한다는 절망감에 마약에 빠져드는 등 많은 이들을 안타깝게 했다. 현재 박지만은 마약으로 얼룩진 과거를 청산했으며 예능인의 꿈을 접고 사업에 매진하고 있어 훈훈한 감동을 안겨주고 있다.

박정희는 지역, 계층을 불구하고 인기를 구가하고 있으나 젊은 층에서는 인기가 덜한 편이다. 현재 한국의 연예계는 박정희의 뒤를 이을 수퍼스타를 기다리고 있으나 제 2의 박정희를 선언한 이인제 등 허접한 삼류들만 나오는 실정이다.

박정희의 라이벌로는 김대중이 꼽히고 있으나 실제 그 인기나 영향력에서 박정희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 연예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김대중의 인기가 박정희 보다 못한 이유로는 요절하지 못 했다는 점, 발표하는 작품들이 밋밋하고 자극적이지 않다는 점 등이 꼽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터운 팬 층을 갖춰 꾸준히 사랑 받고 있다.
한때는 김영삼도 박정희의 라이벌로 꼽혔으나 세종로 차트 1위에 오른 뒤 박정희의 아류로 전락해 그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 특히 국가보안법 표절은 한국 연예 역사상 최악의 사건으로 꼽힌다.

박정희의 인기는 아직까지 높기 때문에 그의 안티가 되는 것은 신상에 해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박정희는 특히 노년층, 장년층에 인기가 높기 때문에 어버이날에 박정희 찬가를 부르는 것은 가족의 화목에 큰 도움이 된다고 전문가들은 적극 권장하고 있다.

2007년 1월 24일 수요일

존 키건의 2차 세계대전사

“일본지명 읽기사전”을 사러 종로의 반디 앤 루니스에 갔다가 존 키건(John Keegan)의 2차 세계대전사를 훑어 봤습니다.

간략하게 몇 군데를 훑어 봤는데 번역은 꽤 읽기 편하게 잘 된 것 같습니다. 몇몇 군사 용어들, 예를 들어 우리가 흔히 쓰는 용어인 3호 돌격포를 “슈투크(StuG) 3호 자주포” 같은 식으로 옮겼는데 약간 어색하긴 해도 나쁘진 않은 것 같습니다. 이 책을 번역하신 류한수 님은 이미 이전에 리처드 오버리의 저작을 번역하신 바 있지요.
한국어로 된 2차 대전에 대한 전반적인 개설서로는 가장 좋은 책이라고 말 할 수 있을 것 같군요. 가격이 4만원에 달하긴 하지만 군사사 분야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즐겁게 읽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딱히 집에 2차 대전관련 서적이 없으신 분이라면 요즘 출판계도 어려우니 한 부 정도 집에 소장해 두셔도 나쁘진 않을 것 같군요.

그러나 아무래도 존 키건의 책이다 보니 아쉬운 부분이 많습니다.

이 책은 개설서이다 보니 1차 사료보다는 널리 알려진 2차 사료들에 의존해서 씌여졌는데 거의 대부분 영어권 국가의 서적을 참고했습니다. 그 때문인지 독소전쟁에 대한 기술은 상대적으로 애매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고 태평양 전쟁에 있어서도 일본측의 경우 비슷한 문제가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사실 키건에 대한 비판 중 가장 많은 것이 사료의 이용이 제한적이라는 것 입니다. 특히 영어권이 아닌 국가에서 나온 자료에서 그런 약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요.
제 개인적으로는 존 키건의 저작 중 The Face of Battle을 제외하면 아주 훌륭하다는 느낌을 주는 것은 없었습니다. 물론 키건은 주로 대중적인 군사사 서적을 집필하는 인물인 만큼 좀 전문적인 저작들과 비교하는 건 불공평 할 수도 있겠군요.
종합적으로 평가하면 매우 광범위한 내용을 잘 요약해 놓았고 2차 대전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기에는 훌륭한 책이지만 아쉬운 부분도 많다는 느낌입니다.

군사사에 많은 관심을 가진 사람으로서 좋은 책을 번역하느라 수고하신 번역자 분과 출판사에 감사하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추가 : Christopher Bassford가 키건의 A History of Warfare에 대해 비판한 꽤 재미있는 글이 하나 있는데 한번 읽어 보시지요.

2007년 1월 23일 화요일

주코프의 굴욕 : 1941년 6월 29일의 일화

주코프는 스탈린에게 직언을 하고도 스탈린 보다 오래 산 매우 드문 사람 중 한명입니다. 그러나 주코프가 스탈린에게 직언을 잘 했다고는 해도 최소한의 대가는 치뤄야 했습니다. 다음은 독소전 개전 초기에 두 사람간에 있었다는 일화입니다.

모스크바에서 민스크에 포위된 부대가 항복했다는 소식을 확실하게 확인한 것은 6월 29일 아침이었다. 스탈린은 이 소식을 듣자 격노했다. 민스크는 전략적으로는 별로 가치가 없었지만 연방의 슬라브 민족 공화국, 벨로루시아의 수도라는 점 때문에 국제적 대도시로 육성할 도시였다.(스탈린은 그루지야인 이었지만 짜르들이 그러했듯 슬라브 민족을 제국의 중핵으로 삼았다.) 스탈린은 시니컬한 인물이었지만 그 자신이 만들어낸 선전구호들을 그대로 믿어버리는 독재자적인 위험한 습성을 가지고 있었다. 스탈린은 민스크의 함락 소식에 리투아니아의 카우나스(Kaunas)나 우크라이나의 리보프(L’vov)가 함락당했을 때 처럼 슬퍼하지도 않았고 드네프르 강의 방어준비에 관심을 기울이지도 않았다. 스탈린은 그 대신 민스크의 함락이 매우 중대한 전략적 패배라고 간주하고 분노에 찬 목소리로 티모센코에게 전화를 걸었다.

“민스크에 도데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가?”

스탈린이 질문했다.

“아직 충분한 답변을 드리기 어렵습니다. 스탈린 동지.”

티모센코는 불안한 목소리로 대답했다. 티모센코가 대답을 주저한 것은 그의 잘못이 아니었다. 아직 파블로프가 항복했는지 확인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동지는….”

스탈린은 무엇인가를 말하려다 그만뒀다. 그 자리에 동석한 몰로토프, 말렌코프, 미코얀, 베리야는 뭔가 말할 것을 찾느라 고민하고 있었다. 잠시 침묵이 흐른 뒤 스탈린이 말꼬를 텄다.

“나는 이 애매모호한 보고가 마음에 들지 않소. 즉시 참모부에 가서 각 전선군 사령부의 보고를 확인해 봐야 겠소.”

몇 분 뒤 소련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가진 다섯 사람이 총참모부의 황동으로 된 문을 열고 들어섰다. 경비를 서던 병사는 너무 놀라 말도 못한 채 얼어 붙었다. 다섯 사람은 아무말 없이 경비병을 지나쳐서 티모센코의 집무실이 있는 2층으로 올라갔다. 그들이 방에 들어섰을 때 티모센코는 주코프와 다른 여러명의 장군들과 함께 테이블 위에 상황도를 펴 놓고 토의를 하고 있었다.
스탈린이 나타나자 방안에 있던 모든 장군들이 부동자세를 취했다. 티모센코는 하얗게 질렸지만 어쨌건 스탈린에게 다가가 보고했다.

“스탈린동지. 국방인민위원회와 총참모부는 현재 전선의 상황을 분석 중이며 지시를 따르고 있습니다.”

스탈린은 한마디도 대꾸하지 않았다. 스탈린은 테이블로 가서 서부전선군 지구의 상황도를 찾았다. 스탈린은 서부전선군의 상황도를 찾은 뒤 아무 말도 하지 않고 한동안 지도를 뚫어져라 쳐다봤다. 마침내 스탈린이 장군들에게 고개를 돌렸다.

“좋소. 보고하시오. 우리는 현재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듣고 싶소.”

“스탈린동지. 시간이 부족해 아직 전선의 상황을 충분히 분석하지 못 했습니다. 많은 정보들이 아직 확인 못 한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종합된 것들은 매우 모호합니다. 보고를 드리기엔 정보가 부족합니다.”

스탈린은 격분했다.

“동지는 지금 내게 사실을 말하는 게 무서운 거 아니오! 동지는 벨로루시아를 잃었소. 이제 또 뭘 가지고 날 실망시킬 작정이오? 우크라이나는 어떻게 돌아가고 있소? 발트 3국은! 동지는 지금 지휘를 하는거요 아니면 그냥 몇 명 죽었나 숫자만 세고 있는거요?”

주코프가 끼어들었다.

“우리가 상황 분석을 마치도록 내버려 두시지요.”

베리야는 어이가 없다는 투로 물어봤다.

“우리가 방해가 됩니까?”

“각 전선군의 상황은 매우 심각하고 우리의 명령만 기다리고 있습니다."

주코프가 맞받아쳤다.

“베리야 동지. 명령을 내릴게 있다면 좀 도와주시지요?”

베리야는 불쾌한 어투로 대답했다.

“당의 지시가 있다면 그렇게 하겠소.”

주코프는 다시 대답했다.

“네. 그렇다면 당의 지시가 내려올 때 까지는 참모부가 알아서 하겠습니다.”

그리고 주코프는 그의 “보스”에게 말을 꺼냈다.

“스탈린 동지. 총참모부가 해야 할 가장 시급한 임무는 전선군 지휘관들을 돕는 것 입니다. 보고는 그 뒤에 하겠습니다.”

스탈린은 다시 분노를 터트렸다.

“먼저! 동지가 지금 우리를 대하는 태도는 큰 실수라는 걸 아시오! 두 번째로, 전선군 지휘관들을 어떻게 도울 건지는 지금부터 우리가 생각하겠소!”

스탈린은 독설을 쏟아 낸 뒤 다시 조용해 졌다. 장군들에게 발언할 것이 있으면 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러나 잠시 뒤, 주코프가 벨로루시아의 야전군 지휘관들과 통신을 완전히 회복하지 못했다고 대답하자 스탈린은 또다시 격분했다. 스탈린은 주코프가 아무 쓸모없는 인간이고 패배자라고 소리쳤다.
주코프는 눈물을 글썽이며 티모센코의 집무실에서 나갔다. 몰로토프가 주코프를 따라 나갔다. 잠시 뒤 주코프가 다시 티모센코의 집무실로 들어왔을 때 그의 눈가는 새빨갛게 돼 있었다.

스탈린은 그를 따라온 사람들에게 말했다.

“동지들, 돌아갑시다. 좋지 않은 상황에 여길 온 것 같소.”

스탈린은 총참모부 건물을 나서면서 침울하게 말했다.

“레닌은 우리에게 위대한 유산을 남겨줬소. 그런데 우리가 이걸 다 말아먹어 버렸구만.”

Constantine Pleshakov, Stalin’s Folly : The Tragic First Ten Days of World War II on the Eastern Front, (Houghton Mifflin), p.212-214

스탈린 동지의 일갈에 눈물을 글썽이는 우리의 불패의 장군. 정말 안구에 습기가 찹니다.

2007년 1월 21일 일요일

싱거운 위기(?) - 1887년 독일의 러시아 선제 공격계획

독일은 비스마르크의 뛰어난 외교력에 힘입어 1890년까지 러시아와 동맹을 유지해 나갈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1881년에 알렉산드르 3세가 즉위한 이후부터는 그 동맹이 다소 불안하게 유지됐습니다.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알렉산드르 2세는 독일과의 동맹을 중시한 반면 대슬라브주의자였던 알렉산드르 3세는 황태자 시절부터 공공연히 프랑스에 우호적이었습니다.

알렉산드르 3세의 즉위는 특히 독일 육군내에 러시아라는 새로운 가상 적국에 대해 경계를 가지게 만들었습니다. 알렉산드르 3세는 황태자 시절 터키와의 전쟁에서 직접 야전군을 지휘한 바 있었고 베를린회의에서 비스마르크에게 농락당했다는 반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알렉산드르 3세 즉위 이후 러시아는 터키와의 전쟁에서 드러난 육군의 문제점을 개혁하기 위해서 동원체제 개편, 신형 장비 도입에 박차를 가하는데 이것은 그대로 독일측에 불안감을 조성했습니다.

[이 시기 러시아의 육군 개혁에 대해서는 러시아 육군의 개혁 1880-1914을 참고 하시고.]

그리고 1887년 하반기부터 발칸반도, 특히 불가리아 문제 때문에 러시아에서는 반독, 반오스트리아 감정이 고조됐습니다.

일이 터진 것은 1887년 11월이었습니다. 독일 육군참모본부는 러시아가 비밀리에 병력동원을 시작했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이것은 발칸반도 문제 때문에 독일을 선제공격하기 위한 것이라고 판단을 내립니다. 몰트케는 러시아군의 공격 시기는 1888년 봄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비스마르크에게 참모본부의 정세분석을 보고합니다.

독일은 러시아군의 총 병력이 824,000명이고 동원체제의 개편으로 전쟁이 개시되면 2,424,800명의 예비군이 동원 가능할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었습니다. 몰트케는 러시아가 독일 전선에 투입 가능한 최대 병력을 약 250만 명 내외로 추산하고 있었는데 이것만 하더라도 제대로 동원만 되면 독일로서는 부담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특히 훈련이 개선된 점과 보병화기와 포병이 개선된 점, 그리고 폴란드와 러시아 내륙간의 철도망이 확대된 점은 독일측이 가장 큰 불안요인으로 꼽고 있었습니다. 독일 육군참모본부는 1882년에 러시아의 서부 철도망에 대해 비밀리에 조사를 실시해 폴란드의 철도 수송능력이 크게 향상됐다는 것을 파악했습니다. 러시아의 철도망 확충으로 병력 동원 시간이 어느 정도가 걸릴지 모른다는 점은 러시아와의 전쟁계획의 문제 중 하나였습니다.
그리고 독일의 가장 큰 동맹인 오스트리아-헝가리가 군사적으로 약체라는 점도 동부에서 전쟁이 발발할 경우 가장 큰 문제였습니다. 몰트케는 러시아도 오스트리아 육군, 특히 보병 전력이 형편없다는 점을 알고 있기 때문에 전쟁을 도발한다면 가능한 이른 시기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었습니다.

몰트케는 비스마르크에게 당장 병력 동원을 실시해 12월에서 1888년 1월 중으로 오스트리아와 연합해 러시아를 선제 공격하는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몰트케는 1884년에 이미 독일이 오스트리아와 러시아를 선제 공격한다면 러시아의 동원 체제가 갖춰지기 전에 병력 우세를 점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었습니다. 독일의 1885년 대 러시아 전쟁 계획은 제 4군(3개 군단, 4개 예비사단)과 제 3군(6개 군단, 5개 예비사단)으로 동원 개시 10일차에 국경을 돌파해 제 4군은 Kovno에 집결하고 있는 러시아군에 파쇄공격을 감행하고 제 3군은 Pulutsk 방면으로 공격하는 것 이었습니다. 이렇게 폴란드에 배치된 러시아군을 격파해 전선을 단축한 뒤 서부전선에서 프랑스를 무너뜨릴 때 까지 전략적으로 방어를 취하는 것이 1885년 계획의 기본적인 골격이었습니다.

그러나 비스마르크는 몰트케의 주장에 대해 1887년 체결된 오스트리아와의 동맹조약은 러시아가 오스트리아를 선제 공격할 경우에 효력을 발휘하도록 되어 있었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즉 독일이 러시아를 선제공격 할 경우 오스트리아는 동맹의 의무가 없었다는 점이고 독일 단독으로 러시아와 전쟁을 치루는 위험을 떠안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러시아와 전쟁을 하게 된다면 프랑스와도 전쟁을 하게 되는데 이렇게 양면 전쟁을 치루는 경우 프랑스 우선 전략에 따라 서부전선에 주력을 집결시켜야 하고 당연히 러시아에 대한 선제 공격은 근본적으로 불가능 하다는 결론이 내려졌습니다. 무엇보다 비스마르크는 러시아가 독일을 공격하는 일은 프랑스와 독일간에 전쟁이 발발할 경우에만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맹기간이 유효한 마당에 성급하게 러시아를 도발하는 것을 꺼렸습니다.

러시아에 대한 선제 공격은 정치적, 군사적으로 실행이 어려웠기 때문에 1887년 겨울의 전쟁 위기는 얼렁뚱땅 넘어가고 얼마 있지 않아 러시아가 비밀리에 병력을 동원하고 있다는 것도 잘못된 정보로 밝혀집니다.

1887년의 선제공격 계획은 이렇게 용두사미로 끝나 버렸습니다. 독일은 알렉산드르 3세의 즉위 이후 러시아와의 전쟁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고 판단합니다만 다행히도 알렉산드르 3세가 살아있을 때는 약간의 신경전을 제외하면 별다른 충돌이 없었습니다.

결국 1914년에 전쟁이 발발해 독일과 러시아 두 제국은 간판을 내리게 되긴 합니다만…

===================================

참고자료

Eric D. Brose, The Kaiser’s Army – The Politics of Military Technology in Germany during the Machine Age 1870-1918, Oxford University Press
Bruce W. Menning, Bayonets before Bullets : The Imperial Russian Army, 1861–1914, ndiana University Press
Konrad Kanis, Miliärführung und Grundfragen der Außenpolitik, Das Miliär und der Aufbruch in die Moerne 1860-1890, Oldenbourg
Terence Zuber, Inventing the Schlieffen Plan : German War Planning 1871-1914, Oxford University Press

2007년 1월 20일 토요일

한국전쟁기 한국노무단(KSC)의 편성

예전에 복사해 둔 UN 한국 민사지원사령부(UN Civil Assiatance Command, Korea) 문서군(RG 338, UN Civil Assiatance Command, Korea, 1951, box 18)를 보다 보니 한국전쟁 시기 노무사단의 편성에 대한 문서가 한건 들어있었습니다. 한국 전쟁기 한국 노무단은 고지에 대한 물자 보급 등 매우 중요한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이들의 역할에 비해 접한 자료는 단편적인 것 뿐이던 와중에 편제에 대한 자료가 있어서 꽤 반가웠습니다.

이 문서는 1951년 7월 14일자 문서로 민사지원단 사령부에 접수된 것은 1951년 7월 18일 11시로 돼 있습니다. 한국노무단(Korean Services Corps) 편성 명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략)

3. 한국노무단의 편성

a. 5군단 소속의 한국군 예비사단인 101, 103, 105사단을 한국노무단으로 편성해 각각 미 육군 1, 10 그리고 9군단에 배속시킬 것.

b. 현재 미 육군의 각 군단에 배속된 한국인 노무단은 해체해 새로 창설하는 한국노무단에 통합시킨다. 한국 노무단 창설을 위해 현재 있는 모든 노무단을 해체하는데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노무단은 초기 단계에서는 각 군단과 전투사단을 지원하는데 중점을 두되 점차 다른 지역의 육군 전투지원 활동을 보조하는데도 투입한다.

c. 현재 민간수송단(Civil Transport Corps)의 지위는 당분간 유지하되 제 8군사령부의 노무과(Labor Section)의 지휘하에 두고 민간수송단의 교체인원은 각 군단에 배속되기 전에 한국노무단 보충대에서 교육 받도록 하고 보급 절차는 이 문서의 규정에 따라 변경하는 것으로 한다. 장차 민간수송단을 한국노무단에 통합하는 것도 실행 가능할 것이다.

(중 략)

5. 편 성

a. 위와 같이 한국노무단 사령부는 별도로 편성하지 않는다.

b. 한국노무단은 사단 당 20,000명으로 편성된 3개 사단(101, 103, 105), 총원 60,000명으로 편성한다.

c. 한국 노무사단은 별첨 1과 같이 6개 연대로 편성한다.

(후 략)

이 문서의 별첨 1에 따르면, 노무사단의 편성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사단총원 : 장교 1,064명, 부사관 및 사병 18,936명

사단본부
-사단본부중대 : 장교 18명, 부사관 및 사병 168명
-사단헌병중대 : 장교 4명, 부사관 및 사병 112명
-사단의무대 : 장교 6명, 부사관 및 사병 27명

노무연대(사단 당 6개 연대) : 장교 167명, 부사관 및 사병 3,122명
-연대본부 : 장교 8명, 부사관 및 사병 101명

노무대대(연대 당 3개 대대) : 장교 53명, 부사관 및 사병 1,005명
-대대본부 : 장교 5명, 부사관 및 사병 53명

노무중대(대대 당 4개 중대) : 장교 12명, 부사관 및 사병 238명
-중대본부 : 장교 4명, 부사관 및 사병 26명

노무소대(중대 당 4개 소대) : 장교 2명, 부사관 및 사병 53명


문서 상으로는 처우가 일반 육군과 동일하게 돼 있어서 크게 나쁘진 않아 보입니다. 기혼자의 경우 쌀을 시장 가격의 절반 가격에 살 수 있도록 한국정부가 보장하도록 돼 있고 장교 이상은 한달에 10,000원의 추가 수당을 받을 수 있도록 돼 있습니다. 노무사단의 계급별 월급여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습니다.

소장 : 66,000원
준장 : 60,000원
대령 : 56,100원
중령 : 51,300원
소령 : 46,500원
대위 : 38,100원
중위 : 35,700원
소위 : 33,300원
준위 : 32,100원
상사 : 26,100원
중사 : 24,300원
하사 : 6,600원
병장 : 6,000원
상병 : 4,500원
일병 : 3,600원
이병 : 3,000원

노무사단의 급여는 노무사단이 배속된 미군 군단장이 책임지도록 되어 있습니다.

노무단 사병의 개인 지급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모포 : 1인 당 1매
작업모 : 1인 당 1개
속옷하의 : 1인 당 2벌
자켓 : 1인 당 1벌
신발 : 1인 당 1켤레
양말 : 1인 당 2켤레
바지 : 1인 당 1벌
속옷상의 : 1인 당 2벌
우의 : 1인 당 1벌
식기 : 1인 당 2개
젓가락 : 1인 당 2개

흥미로운 점은 이 문서에는 노무사단의 주력 장비인 “지게”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다는 점 입니다. 어디로 간 걸까요?

귀차니즘의 압박으로 중간에 생략한 부분이 더러 있는데 읽으시는 분들께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2007년 1월 17일 수요일

[妄想大百科事典]코카콜라 고고학(Cocaeology)

코카콜라 고고학(Cocaeology)

코카콜라(Coca Cola)와 고고학(Archaeology)의 합성어. 단일 유물을 단일 민족과 연계시키는 논리 부재의 민족주의적 돌팔이 고고학(?)을 비꼬는 단어.

이 단어는 모처에서 구석기를 전공중인 H모 씨가 2005년 인터넷에서 비파형동검이 출토된 지역은 모두 고조선의 영역이었다는 논리 부재의 주장을 접한 뒤 "그럼 코카콜라 병이 출토되는 지역은 모두 미국 영토인가?"라고 빈정거린데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정설이다.

특정 유물이 교역의 결과, 또는 전쟁의 결과 광범위하게 확산될 수 있다는 점은 초등학생 수준의 논리력 만으로도 쉽게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족의 찬란한 과거를 꿈꾸는 정박아들은 성인이 된 후에도 이런 초보적인 논리에 기반한 사고를 하지 못하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이것은 민족 바이러스로 두정엽이 제 기능을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민족 바이러스로 인한 논리력 상실은 특별한 치료법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간혹 자연 치유되는 경우가 있어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17-18세기 프랑스 군대와 여성

중세부터 근대 초기까지 유럽 각국의 군대는 엄청나게 많은 숫자의 민간인을 달고 돌아다녔습니다. 여기에는 군대에 식료품을 납품하는 상인, 장인, 그리고 대포를 조작하는 기술자(17세기 이전까지 대포는 민간인 기술자가 발사하는 게 일반적이었습니다. 체계적으로 포병을 양성한건 프랑스가 최초라고 하지요), 약간의 거지와 건달, 그리고 잡일을 거들거나 매춘을 하는 여성이 포함됐습니다. 16-17세기 유럽 군대를 연구한 저작들을 보면 이 시기의 군대에는 전투원의 1.0~1.5배 정도의 민간인이 따라 다녔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 대부분이 여성은 아니더라도 상당한 숫자였을 것 이라는게 군사사가들의 공통적인 견해입니다.(G. Parker나 J. Lynn등등) 17세기 중반까지도 여성들은 전투 부대를 따라다니며 식사 준비, 빨래, 간호 등의 일을 했습니다. 문제는 이들의 숫자가 너무 많다 보니 예산을 무지막지 잡아먹었다는 점 입니다.

프랑스 군대도 이 점에서는 다른 유럽 국가의 군대들과 비슷했습니다. 루이 14세 때까지 프랑스군 병사들은 허드렛 일을 거들 하인(goujats)를 거느리는 것을 법으로 허가 되었다고 합니다. 하사관 정도면 두 명 까지 거느릴 수 있었다는군요. 이 경우 여자를 데리고 있는 사례가 간혹 있었던 모양입니다. 뭐, 빨래도 해주고 밤일도 해준다면야 나쁠게 없겠죠. 여기에 외국인 용병들은 가족을 달고 오는 경우가 종종 있었고 이들은 부대를 졸졸 따라 다녔습니다. 한 독일인 부대는 부대와 같은 숫자의 가족을 달고 왔다는 이야기도 있죠.
루이 14세는 부대비용 절감을 위해 전투 부대에 딸린 여자의 숫자를 줄여보려 노력했습니다만 이걸 완전히 근절하지는 못 했습니다. J. Lynn에 따르면 루이 14세가 요단강을 건너간지 한참 지난 1772년의 기록에 프랑스군 전체에 걸쳐 보병 1개 대대당 15명에서 20명 정도의 여성이 잡일에 종사했던 것으로 나와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여성들은 빨래 같은 잡다한 일을 담당했기 때문에 야전 지휘관들은 여자들이 전쟁터로 따라 오는 것을 좋게 봤다지요.
잡일을 거드는 여성 외에 vivandieres라고 불리는 여성 잡상인(?)들도 꽤 많았다고 합니다. 부대를 졸졸 따라다니며 술, 담배를 판매했다고 하는군요. 술과 담배는 병사들에게 필요한 물건이었기 때문에 이들 잡상인들은 부대 주둔지 내에 천막을 치고 영업을 할 수 있는 권리를 야전 지휘관들로부터 보장 받았습니다.

프랑스 정부는 병사들의 결혼에 부정적이었습니다. 일반 사병들은 결혼하는 것이 자유로웠지만 대신 결혼할 경우 진급에 불이익을 받았습니다. 월급도 아까운데 거기다가 입을 더 보태는게 좋게 보일리는 없었겠지요. 특히 탈영을 방지하기 위해서 주둔지의 여성들과 결혼하는 것은 다른 지역 여성과의 결혼보다도 엄격하게 금지됐습니다. 장교도 비슷한 규정을 적용 받았다고 하지요. 기혼자는 모병 대상에서 엄격히 걸러졌기 때문에 루이 14세 재위 기간 동안 프랑스 육군에서 기혼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5% 내외에 불과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30년전쟁 시기인 1630~40년대의 프랑스군에서 기혼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40%~45% 정도로 추정되는 것과 비교하면 태양왕 시기에 기혼자 비중이 얼마나 떨어졌는가를 짐작할 수 있을 것 입니다. 그러나 결혼 자체는 엄격하게 통제가 됐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혼을 할 경우에는 군인 가족의 복지에 일정한 혜택이 주어졌다고 합니다. 프랑스 정부는 1706년에 병사의 아내와 자녀들에게 부대 관사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규정을 만듭니다.

이 밖에 전투원으로 참여한 여성들의 이야기도 있는데 이건 꽤 재미있는 이야기이니 따로 다루는게 좋을 것 같군요.

2007년 1월 15일 월요일

묵공 - 밋밋한 부대찌개 같은 영화

지난 주말에는 ‘묵공’을 봤습니다.

‘완벽한 공성전’ 어쩌고 하는 광고 문구 보다는 안성기 아저씨가 나오고 또 원작 만화 자체도 꽤 재미있게 봤기 때문에 개봉 전부터 굉장히 호기심을 끌던 영화였습니다.

그러나 영화를 보고 나니 아쉬운 부분이 많이 남습니다. 물론 열심히 만들었고 볼거리도 그럭 저럭 많긴 합니다만… 전체적인 느낌은 마치 밋밋한 부대찌개 같았습니다. 먹을건 많이 들어가 있는데 맛은 밋밋한. 그냥 그럭 저럭 볼만한 영화더군요.

가장 큰 문제는 감독이나 편집자의 역량 문제인 것 같습니다.
영화 내내 긴장감이라곤 끌어내지 못하니 재미가 없을 수 밖에요. 조나라의 10만 대군이 조그만 성 하나를 공격하러 온다는데 그다지 긴박한 느낌을 가질 수 없었습니다. 이건 거의 감독의 자질 문제가 아닌 듯 싶더군요. 비슷한 예가 될 지는 모르겠지만 반지의 제왕 두번째 편의 헬름 협곡 전투는 압도적인 적에게 포위당한 긴박감을 잘 묘사했습니다. 그런데 묵공에서는 함락당하면 주민들이 모두 몰살당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긴박감을 전혀 느낄 수 없었습니다. 그냥 적이 오니 싸우고 그래서 이겼다는 것 말고는 모르겠더군요.
그리고 영화 중간에 혁리가 조나라 진영을 염탐하러 갔다가 추격 당하는 부분에서도 갑자기 어두운 밤에서 환한 대낮으로 건너 뛰는 등 편집자의 재능을 의심케 하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등장 인물들은 많고 조연들도 저마다 한마디씩 해대는데 이걸 제대로 이어 붙이지 못하니 영화는 산만하고 엉덩이는 아파왔습니다.

두번째 문제는 주인공의 압도적인 지략입니다. 그의 라이벌(?)이 되야 할 조나라의 ‘명장’이라는 항엄중은 일방적으로 두들겨 맞기 때문에 굉장히 맥빠지는 대결이 이어집니다. 첫번째 공격은 나름대로 재미있었으나 그 뒤로는 밋밋한 전개가 계속되더군요. 영화 마지막 장면에서도 혁리는 완전히 절망적인 상황을 어처구니 없이 뒤집어 버립니다. 도데체 언제 지하에 갱도를 다 파 놓았다는 것인지.
적을 가지고 놀 정도로 압도적인 능력을 가진 주인공은 잘 묘사하기가 힘듭니다. 잘못하면 너무 일방적인 이야기가 이어지기 때문에 재미가 없지요. 묵공은 바로 이런 문제점을 고스란히 드러내더군요. 주인공이 너무 뛰어나 적장 항엄중을 압도하고 있기 때문에 긴장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습니다. 이런 이야기에서는 위기의 완급조절이 필요한데 그런게 전혀 없이 일사 천리로 이야기가 진행되니 뭐…

여기에 더해 시나리오를 쓴 사람의 자질도 약간 의심스럽더군요. 주연 배우들 외에도 조연들도 비중이 제법 큰데 비중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한 것 같았습니다. 이 때문에 이야기가 산만하고 엉덩이가 쑤시는데 일조를 했습니다. 주인공들의 이야기가 이어지다가 갑자기 조연들이 튀어나와 극의 흐름을 끊더군요. 조연들에 대한 불필요한 묘사 보다도 혁리와 항엄중의 대결에 집중했다면 훨씬 볼만한 영화가 됐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야기 진행의 밋밋함을 제외하면 그럭 저럭 영화였습니다. 초반의 전투장면은 인민해방군을 엑스트라로 동원해서 규모가 크고 제법 전쟁하는 분위기를 느끼게 해 줍니다. 쓸데 없이 날아다니는 액션이 없다는 점도 장점이라고 할 수 있겠군요.

전체적으로 매우 밋밋한 영화였습니다. 또 보고 싶진 않군요.

2007년 1월 14일 일요일

붉은군대의 간부 계급체계 : 1919~1941

1. 적백내전기~1935년

붉은군대의 군 계급체계는 적백내전과 2차 대전을 거치면서 여러 차례 개편됐습니다.

레닌과 많은 혁명가들은 전문적인 장교집단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전쟁인민위원이었던 트로츠키는 붉은군대를 차별 없는 “사회주의”적인 군대로 만드는데 주력했습니다. 역시 차별의 대표적인 상징은 “계급”이 될 수 밖에 없었지요.

그 결과 붉은군대는 기존의 계급제도와 장교(Офицер)라는 명칭을 폐지하는 대신 직위별 호칭과 “지휘관(Командир)”이라는 명칭을 도입했습니다. 직위별 호칭 제도는 부사관과 장교계급의 상징성을 없애는 것이 목표였고 혁명 이후 도입돼 1924년에 그 기틀이 잡혔습니다.

직위별 호칭 제도는 군 간부의 호칭을 계급대신 “중대지휘관”, “연대지휘관”등 직위에 따라 불렀습니다. 물론 제국 시절부터 군대물을 먹은 장교들은 여기에 대해 불만이 많았지만 시절이 시절인지라 어쩔 수 없이 따라야 했다지요.

혁명 이후의 간부 계급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분대지휘관(Командир отделения)
소대부지휘관(Помощник Командир взвода)
중대선임부사관(Старшина роты)
소대지휘관(Командир взвода)
중대지휘관(Командир роты)
대대지휘관(Командир батальона)
연대지휘관(Командир полка)
여단지휘관(Командир бригады)
사단지휘관(Начальник дивизии)
야전군지휘관(Командующий армией)
전선군지휘관(Командующий фронтом)

보시면 군단지휘관이 빠져있는데 내전기의 야전군 규모는 1차 대전 당시의 군단 수준을 약간 밑도는 수준이었습니다. 마치 독소전쟁 초반인 1941년 말부터 1942년 말 처럼 야전군 사령부가 직접 사단을 지휘하는 형태였기 때문에 군단지휘관이라는 계급이 필요가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내전이 끝난 뒤 1924년에 정립된 직위별 호칭 제도는 군대의 직위를 1등급부터 14등급까지 구분했는데 다음과 같았습니다.

초급지휘관
1등급 : 분대지휘관(Командир отделения) / 반지휘관(Командир звена)
2등급 : 소대 부(副)지휘관(Помощник Командир взвода) / 중대 선임부사관(Старшина роты)

중급지휘관
3등급 : 소대지휘관(Командир взвода)
4등급 : 중대 부지휘관(Помощник Командир роты) / 독립소대지휘관(Командир отдельного взвода)
5등급 : 중대지휘관(Командир роты)
6등급 : 대대 부지휘관(Помощник Командир батальона) / 독립중대지휘관(Командир otdel’noy roty)

고급지휘관
7등급 : 대대지휘관(Командир батальона, 약칭 Комбат)
8등급 : 연대 부지휘관(Помощник Командира полка) / 독립대대지휘관(Командир отдельного батальона)
9등급 : 연대지휘관(Командир полка, 약칭 Компол)

상급지휘관
10등급 : 사단 부지휘관(Помощник Командир дивизии) / 여단지휘관(Командир бригады, 약칭 Комбриг)
11등급 : 사단지휘관(Командир дивизии, 약칭 Комдив)
12등급 : 군단지휘관(Командир корпуса, 약칭 Комкор)
13등급 : 야전군 부지휘관(Помощник командующего армией) / 군관구 부지휘관(Помощник командующего округа) / 전선군 부지휘관(Помощник командующего фронтом)
14등급 : 야전군지휘관(Командующий армией, 약칭 Комарм) / 군관구지휘관(Командующий округом) / 전선군지휘관(Командующий фронтом)

2. 1935년~1941년

소련은 1930년대 중반까지 적백내전기 트로츠키가 확립한 체계를 유지했습니다.

그러나 1930년대부터 군 병력이 증가하고 또 전문적인 장교집단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적백내전 시기에 확립된 제도로는 계속해서 팽창하는 군대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없다는 사실이 명백해 졌습니다. ‘평등한’ 계급 내에서 직위만 가지고 지휘를 한다는 게 생각 만큼 비효율 적이었고 가뜩이나 생활수준도 열악한 장교들에게 권위 없이 책임만 지워놓고 있으니 잘 돌아가는게 좀 비정상 이었겠지요.
마침내 국방인민위원회는 1935년 9월 22일 직위별 호칭제도를 폐지하고 계급 제도를 부활시켰습니다.
그러나 공산당 정치국은 장군 계급에 대해서는 직위별 호칭제도를 계속 유지하도록 했고 특수 병과의 경우 직위별 호칭제도를 계속 유지해 1935년의 계급제도는 뭔가 어정쩡한 형태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1935년 도입된 붉은 군대의 장교 계급 체계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소위(Лейтенант)
중위(Старший лейтенант)
대위(Капитан,)
소령(Майор)
대령(Полковник)
여단지휘관(Комбриг)
사단지휘관(Комдив)
군단지휘관(Комкор)
2급 야전군지휘관(Командарм 2-го ранга)
1급 야전군지휘관(Командарм 1-го ранга)
소비에트연방원수(Маршал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1935년 개편안에 따른 특수 병과의 계급 체계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소위급
: 2급 군기술관(Воентехник 2-го ранга)
2급 기술-보급관(Техник-интендант 2-го ранга)
보조군의관(Военфельдшер)
보조수의관(Военветфельдшер)
하급군법무관(Младший военный юрист)

중위급
: 1급 군기술관(Воентехник 1-го ранга)
1급 기술-보급관(Техник-интендант 1-го ранга)
상급보조군의관(Старший военфельдшер)
상급보조수의관(Старший военветфельдшер)
군법무관(Военный юрист)

대위급
: 3급 공병관(Военинженер 3-го ранга)
3급 보급관(Интендант 3-го ранга)
군의관(Военврач)
수의관(Военветврач)
상급군법무관(Старший военюрист)

소령급
: 2급 공병관(Военинженер 2-го ранга)
2급 보급관(Интендант 2-го ранга)
2급 군의관(Военврач 2-го ранга)
2급 수의관(Военветврач 2-го ранга)
2급 군법무관(Военный юрист 2-го ранга)

대령급
: 1급 공병관(Военинженер 1-го ранга)
1급 보급관(Интендант 1-го ранга)
1급 군의관(Военврач 1-го ранга)
1급 수의관(Военветврач 1-го ранга)
1급 군법무관(военный юрист 1-го ранга)

여단지휘관급
: 여단공병지휘관(Бригинженер)
여단군수관(Бригинтендант)
여단군의관(Бригнврач)
여단수의관(Бригветврач)
여단법무관(Бригвоенюрист)

사단지휘관급
: 사단공병지휘관(Дивинженер)
사단군수관(Дивинтендант)
사단군의관(Дивврач)
사단수의관(Дивветрач)
사단법무관(Диввоенюрист)

군단지휘관급
: 군단공병지휘관(Коринженер)
군단군수관(Коринтендант)
군단군의관(Корврач)
군단수의관(Корветврач)
군단법무관(Корвоенюрист)

2급 야전군지휘관급
: 야전군공병지휘관(Арминженер)
야전군군수참모(Арминтендант)
야전군군의관(Армврач)
야전군수의관(Армветврач)
야전군법무관(Армвоенюрист)

한편, 1935년 이후의 군 정치위원 계급 체계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소위급 : 하급군정치원(Младший политрук)
중위급 : 군정치원(Политрук)
대위급 : 상급군정치원(Старший политрук)
소령급 : 대대정치위원(Батальонный комиссар)
대령급 : 연대정치위원(Полковой комиссар)
여단지휘관급 : 여단정치위원(Бригадный комиссар)
사단지휘관급 : 사단정치위원(Дивизионный комиссар)
군단지휘관급 : 군단정치위원(Корпусной комиссар)
2급 야전군지휘관급 : 2급 야전군정치위원(Армейский комиссар 2-го ранга)
1급 야전군지휘관급 : 1급 야전군정치위원(Армейский комиссар 1-го ранга)

새로 개편된 계급체계에는 소비에트연방원수 계급이 신설됐는데 부존늬, 예고로프, 보로실로프, 블뤼헤르, 투하체프스키가 1935년 11월 20일자로 소연방원수로 임명됐습니다.

1937년 8월 20일에는 소위의 바로 아래에 준위(Младший лейтенант), 준기술관(Младший воентехник) 계급이 신설 됐습니다.

계급제도는 다시 1940년 5월 7일 개편됩니다. 이 개편의 특징은 마침내 붉은군대에 “장군”과 “제독”의 호칭이 다시 도입됐다는 것이었습니다. 1940년 새로 도입된 장군 호칭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여단지휘관 -> 해당 계급 없음
사단지휘관 -> 소장(Генерал-майор)
군단지휘관 -> 중장(Генерал-лейтенант)
2급 야전군지휘관 -> 상장(Генерал-полковник)
1급 야전군지휘관 -> 대장(Генерал армии)

그리고 같은 해 11월 2일에는 중령(Подполковник) 계급과 이에 준하는 상급대대정치위원(Старший батальонный комиссар) 계급이 새로 신설됐으며 부사관 계급의 직위별 호칭이 폐지됐습니다. 이렇게 1940년에 확립된 계급 체계는 전쟁 기간 중 부분적인 변화를 제외하면 큰 변동 없이 유지됐습니다.

1940년 장군(Генерал) 호칭이 도입됨에 따라 직위별 호칭제도는 폐지됐습니다. 그렇지만 20년 가까이 계속된 직위별 호칭제도의 잔재는 1945년 종전 시 까지도 계속 남아 고참 병사들의 경우 장교들을 기존의 직위별 호칭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1941년 독일과의 전쟁이 발발한 뒤 계급체계의 변화 중 특기할 만한 것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1942년에는 장교 호칭이 통일 되면서 특수병과에 남아있던 직위별 호칭이 폐지됐으며 같은해 10월에는 이중지휘체계가 폐지되면서 정치위원의 계급이 없어졌습니다.
마지막으로, “장교”라는 호칭이 1943년부터 공식적으로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로서 트로츠키가 구상했던 “사회주의적 군대”의 잔재는 완전히 청산되고 소련의 장교단은 전문적인 군인집단으로, 사회의 엘리트 층을 구성하게 됩니다.

2007년 1월 13일 토요일

자이툰의 굴욕?

라이스 아줌마가 11일 상원 외교위원회에서 의원들과 격전을 벌이는 걸 CNN 웹사이트에서 봤는데 안스럽기 짝이 없더군요.

특히나 Chuck Hagel (공화당, 네브라스카) 의원의 질문에서 “이라크 전체”가 내전 상태는 아니라고 강변하는 데선 말 그대로 안구에 습기가 차오를 지경이었습니다. Russell Feingold (민주당, 위스콘신) 의원의 질문에는 이라크는 장기적인 중동 정책을 좌우할 시험대 이므로 성공해야 한다고 강변했는데 별로 가능성은 없어 보이는군요.

그런데 Barbara Boxer (민주당, 캘리포니아) 의원이 영국군의 철군 계획을 언급하면서 라이스 아줌마를 갈구기 시작할 때였습니다. Boxer 의원은 “우리만 혼자 남게 생겼습니다. 사태가 악화되면 어떤 나라가 이라크에 남겠습니까?”라고 하면서 ‘영국 다음으로 많은 병력을 파병한 폴란드, 세번째로 많은 병력을 보낸 호주’에 대해 이야기 하더군요.

아아! 이게 무슨 개무시란 말입니까! 의원님. 특별히 하는 일은 없지만 자이툰 부대도 숫자가 꽤 많아요!

무시 당하는게 하루 이틀이 아니라지만 이거 욕먹어 가며 수천명 보내놨는데 존재 자체도 관심을 안 가져 주는군요.

2007년 1월 12일 금요일

천하무적(?) 미 해병대

어느 나라나 해병대는 드센 모양입니다.

다음의 이야기는 그레나다 침공당시 미국인 대학생들을 구출하러 출동했던 슈워츠코프(Norman Schwarzkopf, 당시 소장)가 해병대에 헬리콥터 지원을 요청했을 때 있었던 일이라고 합니다.

“그 명령은 따를 수 없습니다.”

“이봐, 지금 무슨 소릴 하는건가?”

“우리 해병대는 육군을 해병대의 헬리콥터에 태울 수 없습니다.”

“이봐, 대령. 지금 상황 파악을 못 한 모양인데 우린 수행해야 할 임무가 있다. 인질로 잡힌 학생들을 지금 당장 구출해야 한단 말이다. 지금 해병대 전투 병력은 그렌빌을 확보하러 이동 중이고 해병대 헬리콥터는 바로 지금 여기 있지 않나? 학생들을 당장 구출하려면 해병대 헬리콥터로 레인저를 수송해야 한단 말이다.”

“지금 헬기를 투입하겠다면 해병대를 동원하겠습니다. 우리 해병대가 학생들을 구출하면 되지요.”

그 해병 대령은 완강히 저항했다.

“그럼 해병대를 투입하려면 시간이 얼마나 걸리나?”

그 대령은 내 눈을 똑바로 쳐다보면서 대답했다.

“최소 24시간 입니다.”

“내 말 똑똑히 들어라, 대령. 이건 메칼프(Joseph Metcalf) 제독의 지시에 따라 소장인 내가 대령인 너에게 직접 명령하는 것이다. 내 명령을 따르지 않는다면 군법회의에 회부할 줄 알아라.”

해병대 대령은 그제서야 내 명령을 따르기로 했다.

Dale R Herspring, The Pentagon and the Presidency : Civil-Military Relations from FDR to George W. Bush p.289, Norman Schwarzkopf, It doesn’t take a Hero, p.246에서 재 인용


육군 소장에게 대드는 해병대 대령이라.

뭔가 구린 보고서 - "히틀러 보고서"의 쿠르스크 전투 부분

스탈린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이야기 하는 것이 스탈린에게 올라가는 보고서는 베리야, 또는 그 아래 단계에서 상당히 손을 많이 본다는 것 입니다. 왜냐? 다 아시겠지만 우리의 강철의 지도자 동무의 심보가 뒤틀리면 피보는 사람이 얼마나 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1949년에 작성돼 스탈린에게 제출된 “히틀러 보고서”의 영어판을 읽어 보게 됐습니다. 이것 역시 스탈린 동무에게 올라 가는 것이라 그런지 뭔가 구린 냄새가 곳곳에서 나더군요.

예를 하나 들어 보겠습니다. 쿠르스크 전투에 대한 부분입니다.

1943년 6월, 히틀러는 쿠르스크 전투를 준비하기 위해서 오버살츠베르크에서 동 프로이센의 “늑대굴”로 돌아갔다. 그리고 그 무렵 터키군 총참모부의 사절단이 방문했다. 터키 사절단은 독일 국방군 총사령부의 초청을 받아 독일을 방문했다. 독일측은 동부전선에 배치된 독일군의 위용을 과시하기 위해 터키 사절단에게 쿠르스크 공세를 위해 하리코프-벨고로드 지구에 집결한 독일 기갑부대의 기동훈련을 참관하도록 했다. 터키 사절단은 이 기동훈련을 참관한 뒤 늑대굴로 돌아와 히틀러를 접견했다. 터키 사절단은 히틀러와 다과를 하기에 앞서 카이텔, 요들과 함께 많은 대화를 나눴다. 터키 사절단은 히틀러를 접견한 뒤 독일 국방군 총사령부의 초대를 받아 프랑스를 방문했다. 히틀러는 터키 사절단과 대화를 나눈 뒤 매우 즐거워했다.

“터키인들은 믿을 수 있을 거야. 하리코프에서 우리 기갑사단의 기동을 참관한게 저들에게 깊은 인상을 준 것 같아.”

터키 사절단은 프랑스에 도착해 서부전구 총사령관 룬트슈테트 원수의 환대를 받았다. 히틀러는 룬트슈테트에게 터키 사절단이 동부 전선의 기갑사단들로부터 받은 깊은 인상을 활용할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대서양 방벽에서 가장 방어 준비가 잘 갖춰진 지역만 보여주도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터키 사절단은 Cap Gris Nez에 있는 해안포대 “프리츠 토트”를 방문했다. 터키 사절단은 노획한 야포로 만든 해안 포대는 볼 수 없었다.

1943년 7월 5일, 벨고로드-쿠르스크-오룔 지구에서 공세가 개시됐다. 공세 첫날 히틀러는 그의 부관들에게 자이츨러로부터 전황 보고가 안 들어왔는지 확인하도록 닥달했다. 그날 오후 12시 30분, 자이츨러는 직접 보고를 하기 위해 히틀러를 찿았다. 히틀러는 자이츨러에게 흥분된 어조로 물었다.

“자이츨러. 쿠르스크의 전황은 어떤가?”

자이츨러는 전황에 대해서 모호한 어투로 얼버무렸다. 자이츨러는 현재 전황이 단편적으로 들어와 있다고 대답했다. 러시아군이 매우 완강히 저항하고 있다는 것 이었다. 그리고 한 마디를 덧 붙였다.

“기습의 효과는 전혀 없었습니다.”

히틀러는 자제력을 잃었다.

“페르디난트! 페르디난트 부대를 당장 투입하란 말이다! 어떤 희생이 따르더라도 전선을 돌파해야 한다!”

7월 6일, 자이츨러는 보병과 공병들이 러시아군의 방어선을 여전히 돌파하지 못했으며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그리고 그 뒤 기갑부대가 투입됐다. 히틀러는 격분했다. 히틀러는 기갑사단들을 예비대로 두고 피해가 어떻든 간에 보병과 공병 부대가 소련군의 방어선을 완전히 뚫기 전 까지는 투입하지 말 것을 명령했었다. 예비대 투입은 돌파구가 열린 다음에 할 계획이었다. 히틀러는 거듭해서 집중적인 타격을 입혀야 한다고 말했다. 이때 히틀러는 마치 열병을 앓는 사람 처럼 보였다. 히틀러는 매 시간 마다 자이츨러에게 러시아군의 방어선이 얼마나 뚫렸는지, 그리고 그의 히틀러 사단이 얼마나 진격했는지 등을 물어봤다.

그리고 며칠 되지 않아 자이츨러는 공세가 완전히 돈좌됐다고 보고했다. 독일군은 방어로 돌아섰고 일부 지구에서는 소련군이 공세를 시작했다. 페르디난트와 티거 전차는 방어진지에 배치된 대전차포와 T-34에 연달아 격파됐다. 히틀러는 사실을 직시하는 것을 거부했다. 히틀러는 주먹으로 탁자를 치며 소리쳤다.

“이건 다 내 명령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야!”

귄세는 히틀러의 명령을 받고 아돌프 히틀러 사단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출발했다. 귄세는 벨고로드에서 히틀러 사단 지휘관인 제프 디트리히를 만났다. 귄세는 착륙하기 전에 하늘에서 소련군의 강력한 방어선과 곳곳에 널려있는 독일 전차와 자주포의 잔해를 볼 수 있었다. 디트리히는 귄세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가 진격 할 수 있었던 것은 겨우 10km였네. 하지만 피해가 너무 엄청났어. 작전을 시작할 때 내 사단은 150대의 전차를 가지고 있었는데 지금은 전투에 투입 가능한 게 20대도 되지 않네. 보병의 손실도 매우 큰 상태야. 다른 사단들의 상황도 이보다 나을게 없어. 러시아군의 방어선이 얼마나 종심 깊게 구축됐는지 아는가? 동 프로이센에 돌아가서 말로 보고하는건 쉽겠지. 그러나 여기서는 다르다네. 우리는 돌파를 하지 못했어.”

다음날 저녁 귄세는 동 프로이센으로 돌아갔다. 귄세가 보고를 위해 히틀러를 방문하자 히틀러는 피곤하다는 제스쳐를 취하며 말했다.

“잊어 버리게. 나도 알아. 디트리히 조차 실패했군. 나는 이번 공세로 전세를 완전히 뒤집으려고 했어. 러시아군이 이렇게 강하다니 도저히 믿기지 않는군.”

Ed. Henrik Eberle and Matthias Uhl, The Hitler Book, p.117~119

이미 쿠르스크 전투에 대한 연구를 많이 접하신 분들은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잘 아실 것 입니다.

먼저 디트리히의 이야기를 보시죠.

“내가 진격 할 수 있었던 것은 겨우 10km였네. 하지만 피해가 너무 엄청났어. 작전을 시작할 때 내 사단은 150대의 전차를 가지고 있었는데 지금은 전투에 투입 가능한 게 20대도 되지 않네. 보병의 손실도 매우 큰 상태야. 다른 사단들의 상황도 이보다 나을게 없어. 러시아군의 방어선이 얼마나 종심 깊게 구축됐는지 아는가? 동 프로이센에 돌아가서 말로 보고하는건 쉽겠지. 그러나 여기서는 다르다네. 우리는 돌파를 하지 못했어.”


이제는 잘 알려져 있지만 SS 2기갑군단은 그다지 큰 피해를 입지 않았습니다. 쿠르스크 전투 기간 중이나 그 이후에도 전투 투입 가능한 전차가 20대 이하로 떨어진 사단은 없었지요.

그리고 그 다음. 히틀러의 이야기를 보시죠.

“잊어 버리게. 나도 알아. 디트리히 조차 실패했군. 나는 이번 공세로 전세를 완전히 뒤집으려고 했어. 러시아군이 이렇게 강하다니 도저히 믿기지 않는군.”


독일측이 쿠르스크 전투를 통해 일거에 전세의 역전을 노렸다는 것은 전형적인 소련의 해석입니다. 소련은 1970년대 까지도 독일군은 쿠르스크의 돌출부를 분쇄한 뒤 모스크바로 총 공세를 가할 계획이었다고 제멋대로 역사를 서술했습니다. 독일측의 의도는 쿠르스크 돌출부를 분쇄해 소련군의 주력 기동부대를 섬멸하고 전선을 단축해 방어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 이었지 더 큰 도박판에 올인 하자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주로 귄세 등 히틀러의 측근들의 증언을 토대로 만들어 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증언 자체의 신뢰도는 둘째 치고 내용 자체에 구린 구석이 많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스탈린의 입맛에 맞춰 주기 위해 많은 부분에 손을 댄 것 같습니다. 신뢰도가 매우 떨어지는 구술 자료집이라고 판단되는군요.

2007년 1월 11일 목요일

투하체프스키 - 가끔 지나치게 높게 평가되는 장군

이상하게도 역사에 관심을 가진 분 들 중에서는 특정 인물을 지나치게 과대 평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차 대전과 관련된 인물 중 한국에서 괴이할 정도로 과대평가 되는 인물을 몇 명 꼽아 보면 롬멜, 주코프 등이 있는 것 같습니다. 여기에 좀 더 추가하면 투하체프스키 정도가 되겠군요.

투하체프스키는 그의 비극적 최후 때문인지 몰라도 실제 능력 이상으로 과대 평가됐다는 생각이 자주 듭니다. 특히 독소전 초기의 패배는 투하체프스키가 있었다면 없었을 것이라는 주장은 난감하기 그지없습니다. 엄밀히 말해서 독소전 초기의 대 패배는 소련의 구조적인 문제가 가장 큰 원인이었지 지휘관들이 특출나게 무능해서 그랬던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투하체프스키가 필요 이상으로 높게 평가되는 것은 그가 독소전 이전에 죽어서 2차 대전에서 능력을 검증받을 일이 없었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제가 인터넷에서 읽었던 국내의 투하체프스키에 대한 글 중에는 투하체프스키가 살아 있었다면 독소전쟁 초반에 독전대 같은 무자비한 방법을 쓰지 않고 군대를 지휘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었습니다. 글쎄요?

제가 자주 우려먹는 책에서 한 구절을 인용해 보겠습니다.

(전략)

소련 정부는 진압작전을 위해서 투하체프스키를 지휘관으로 임명했다. 사기저하로 와해 상태에 빠진 제 7군을 대신해 간부후보생에서 선발된 인원이 공격을 지휘하게 됐다. 참모대학을 졸업한 디벤코, 페드코, 우리츠키가 페트로그라드에 배치됐다. 제 10차 전당대회에서 선출된 대표단은 정치 공작을 준비하기 위해 동원했다.

투하체프스키의 공격은 3월 7일 새벽에 시작됐다. 공격 부대는 간단한 위장을 한 채 해안포대의 지원을 받으며 반란군의 진지를 향해 돌격했다. 크론슈타트에 배치된 야포와 기관총은 빙판을 따라 공격해오는 진압군을 분쇄해 버렸다. 공격부대의 제 2파도 반란군의 야포에 큰 피해를 입자 병사들은 돌격 명령을 거부하기 시작했다. 간부들은 권총으로 병사들을 위협해서 겨우 앞으로 내몰 수 있었다. 바르민의 증언에 따르면 보르쉐프스키는 병사들이 빙판위에 있는 작은 보트의 뒤에 엄폐하고 움직이지 않자 병사 중 두 명을 끌어내 그 자리에서 총살해 버리고 공격을 명령했다. 이렇게 되자 진압군에 소속된 병사들 중 일부는 반란군에 합류해 버렸다.

투하체프스키는 자신의 첫번째 공격이 실패로 돌아가자 3월 17일, 방법을 바꿔 공격을 재개했다.

John Erickson, The Soviet High Command : A Military-Political History, 1918-1941, p.122


이 글은 비록 짧고 단편적인 글 이지만 투하체프스키 역시 내전과 그 이후의 혼란기에는 다른 소련 지휘관들과 마찬가지로 저런 과격한 방식에 의존했음을 잘 보여줍니다. 사실 저런 전술단위의 문제는 그야말로 하급 지휘관들과 병사들의 자질 문제에 달려 있는 것이지 고급지휘관의 역량이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아마 투하체프스키가 독소전 발발 당시 까지 살아 있었더라도 붉은 군대 자체가 구조적인 결함 상태를 못 벗어났다면 그 역시 신통한 활약을 펼치긴 어려웠을 겁니다. 갑작스레 두 세 단계씩 진급한 중간 간부들에 기본적인 교육도 받지 못하고 임관된 초급 장교들, 그리고 훈련 부족의 사병들로 만들어진 군대를 가지고 실전경험이 풍부하고 잘 훈련된 독일군을 맞아 참패를 모면했다면 그건 정말 놀라운 일이었겠지요. 하지만 과연 1941년에 어떤 고급 지휘관이 그런 능력을 가지고 있었을까요?

투하체프스키는 분명히 매우 유능한 군인이긴 하지만 국가와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까지 뒤바꿀 정도로 뛰어난 사람은 아니었습니다. 아니, 그런 사람이 있다면 인간이 아니라 신이라고 불러도 되겠지요.

역사 문제를 인식하는데 특정 인물에 절대적인 지위를 부여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 아닌가 합니다.

블러드 다이아몬드 - 막장인생 디카프리오

이 어린양은 오늘 업무상 약속 하나가 취소돼 버리자 그 시간을 어떻게 쓸 것인가 잠시 생각하는 척 하다가 바로 극장으로 갔습니다. 극장에서 시간이 맞는 영화를 찾아 보니 디카프리오가 나오는 "블러드 다이아몬드"가 있더군요. 예고편에서 신나게 총질을 해 대던게 기억이 나는지라 보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전에 봤던 에드워드 즈윅(Edward Zwick) 감독의 “The Last Samurai”는 누군가와 함께 보기에 심히 민망할 정도로 난감한 작품이었는데 “블러드 다이아몬드”는 그 보다는 훨씬 나았습니다. 생각해 보니 “Glory” 이후로 본 즈윅 감독의 작품들은 다 하나같이 뭔가 민망한 구석이 있었습니다.

“Legend of the Fall”은 폼은 나는데 도데체 뭐하러 저런 이야기를 길게 늘어놓는지 이해할 수 없는 영화였고 “Courage under Fire”는 별 볼일 없는 이야기를 비비꼬는지라 참고 보기가 힘들었습니다. 물론 그 중에서 최고의 걸작은 “The Last Samurai”가 되겠군요.

당연한 이야기인지 아닌지 모르겠지만 즈윅 감독은 백인 이외의 집단의 이야기를 다루더라도 주인공은 항상 백인을 썼습니다. “Glory”, “The Last Samurai” 그리고 “블러드 다이아몬드”도 남의 공적인 용무에 끼어드는 백인이 주인공이었지요.
그래도 좀 나아진 점은 갈수록 주인공이 망가진 인물이라는 점 입니다. “Glory”의 주인공은 백인 주류사회의 상류층 인사이지만 “The Last Samurai”의 주인공은 백인 주류사회의 일원이긴 했으나 현재진행형은 “폐인”이었지요. 그리고 “블러드 다이아몬드”에서는 드디어 아주 비열하기 짝이 없는 인생막장의 백인이 당당히 주인공으로 등장했습니다. 아. 물론 그래도 아리따운 여주인공은 그나마 정상적인 인간으로 나왔군요.

디카프리오는 꽤 마음에 듭니다. “The Departed” 보다는 이번 영화에서 더 마음에 드는 연기를 보여줬습니다. 이런 교훈적인(?) 영화에서 주인공 마저 모범적인 백인이었다면 영화가 이정도로 재미있진 않았을 것 같습니다. 디카프리오가 연기한 백인 용병은 철저하게 자기 중심적이고 비열한 근성을 가진 인물입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픽션의 등장인물이지요. 어찌보면 “The Dogs of War”의 주인공 샤농의 영향을 받았을 지도 모르지요. 주인공은 매우 시니컬한데다 잘생긴걸 빼면 정나미 떨어질 짓만 골라합니다. 물론 마지막에 회개(?)하고 새사람이 되긴 합니다만 모범적인 마무리를 위해서는 어쩔 수 없지요.

어쨌거나 즈윅 감독은 폼 잡는걸 좋아하는지 영화의 마지막에도 교훈적인 메시지를 자막으로 넣어서 관객에게 보여줍니다.

아이고 감독님 고맙습니다. 만약 미래의 마누라가 다이아반지를 해달라고 조르면 감독님 영화를 보여주겠습니다.

아.또 하나. 제니퍼 코넬리를 스크린으로 보는 것은 꽤 즐거웠습니다. 이 아줌마는 나이를 먹은 뒤 짝퉁 데미 무어 같은 느낌을 풍기지만 여전히 매력적인 배우입니다.

2007년 1월 9일 화요일

다시 읽은 영웅시대에서 가장 슬펐던 부분

며칠 전 이준님 블로그에 올라온 글을 읽고 꽤 오랫만에 이 책을 읽었습니다. 고등학교 때 읽고 처음 읽은 것이다 보니 제데로 기억 나는게 없어 새로 읽는것과 거의 마찬가지더군요.

개인적 취향이 그런지는 몰라도 주인공인 동영이 나오는 부분은 지루했던 반면 동영의 부인과 어머니가 나오는 부분은 매우 재미있었습니다. 다른 분들의 말씀 처럼 부역자 가족이 겪는 고통을 가슴에 와닫게 잘 묘사했다는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그런지 소설에서 가장 슬펐던 부분은 동영의 어머니가 죽어가면서 정인에게 마지막 유언을 남기는 부분이었습니다.

니는 하나님이나 잘 섬기그라. 예수 믿는 거 꼭 잊지 마래이. 지금 세상 보이 그 귀신이 제일로 힘 있는 것 같다. 그 많은 양놈들 면면이 잘 봐주이 내 새끼들이라꼬 왜 안 봐 줄로? 조상 귀신은 내한테 맽기고 니는 참말로 예수한테 복받는 사람 돼야 한데이. 아아들도 모도 예배당에 데리가는 거 잊지 말고....

하권 631쪽


이 부분을 읽으면서 무엇인가 막연히 계속해서 떠올랐든데 구체적으로는 표현을 못 하겠군요.

후반부에 길게 실린 동영의 노트는 불필요한 사족 같고 별다른 느낌이 없었습니다.

정말 오랫만에 이문열의 작품을 읽어 본 것 같습니다. 이참에 황제를 위하여 같이 예전에 재미있게 읽었던 것들을 다시 읽어 봐도 좋을 것 같군요.

2007년 1월 8일 월요일

강아지 살해의 추억

카린트세이님 이글루에서 들고양이의 죽음에 대한 글을 읽고 보니 생각나는 일 입니다.

예전에 차를 타고 산길을 넘어가던 중에 일어난 일 입니다. 도로가 좁은 곳이라 운전을 조심해서 해야 하는데 커브를 도는 중 강아지 한마리가 나타났습니다. 문제는 바로 반대편에서도 차가 달려오고 있던 것이었지요. 강아지는 도로 한가운데서 어찌할 줄 모르고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제가 탄 차가 덜컥! 하는 느낌이 나더군요.

하필이면 강아지는 제가 탄 차에 깔려 죽은 것 이었습니다. 뒤에 다른 차들이 따라오고 있으니 멈출수도 없는 노릇이고 그냥 달려야 했지요.

비명횡사한 강아지가 조금만 똘똘했으면 도로 반대편으로 뛰어가 살았을 텐데 말입니다.

한국의 모병제 논의에 대한 짧은 생각

노무현 대통령의 “군대가서 썩는다”는 발언은 지난 연말 최고의 히트작 이었습니다. 현직 대한민국 최고의 강태공 노무현 대통령답게 이 발언을 통해 수많은 월척을 낚았지요. 노무현 대통령의 발언은 구조적으로 한계를 보이기 시작한 한국의 “국민개병제”에 대한 대안으로 “모병제”가 꾸준히 논의되고 있는 와중에서 튀어 나왔다는 점에서 더 흥미 있었습니다.

한국의 “모병제”에서 가장 흥미로운 점은 스스로를 “진보적”이라고 자처하는 사람들이 모병제에 대해 더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는 점 입니다. 그리고 더 흥미로운 점은 이 “진보적”인 사람들이 내세우는 논의는 미국의 자유주의자들의 논의와 유사하다는 점이지요.
닉슨의 참모 중 하나였던 밀튼 프리드먼은 시장경제의 원리를 가지고 징병제를 공격했던 대표적 인사입니다. 프리드먼은 “국민개병제”로 만들어진 군대는 노예의 군대라고 조소하기도 했습니다.(이건 프리드먼이 국민 개병제의 정치적 의미를 모르거나 알면서도 무시했다는 이야기죠)
당시 모병제에 찬성하는 시장주의자들은 모병제를 실시하더라도 육군이 필요로 하는 병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군대의 효율도 보장될 것이라고 선전했습니다. 그러나 미군은 모병제를 실시한 직후부터 심각한 인건비 상승과 효율 저하에 시달렸습니다. 1968년 미군은 320만명의 병력에 320억달러(국방비의 42%)의 인건비를 지출했지만 징병제 폐지 2년차인 1974년에는 병력 220만에 439억달러(국방비의 56%)의 인건비를 지출했습니다. 직업군인의 증가로 이에 필요한 부대비용(특히 가족 부양에 필요한)이 급증했고 전반적인 급여가 증가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었습니다.

정치적 논의가 활발한 유럽의 경우는 “진보” 또는 “좌파”로 자처하는 인사들이 “국민개병제”를 옹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J. Erickson의 기념비적인 저작, The Soviet High Command는 혁명 초기 소련에서 전개된 국방제도의 골격에 대한 공산당내 좌우파의 논의를 잘 다루고 있습니다. 소련의 공산당 좌파들은 9차 전당대회에서 “전문화된 군대”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트로츠키에 대해 군사력이 민중으로부터 괴리될 경우 그 군사력은 민중을 압제하는 도구가 된다고 주장하며 민병대 체제를 소련 군사력의 근간으로 삼을 것을 주장했습니다.
진보적 지식인들이 모병제나 전문적인 군인 집단에 거부감을 가졌던 이유는 19세기 초 까지도 용병으로 이뤄진 직업군대가 민중을 억압하는 수단으로 사용됐던 유럽의 역사에 기인합니다. V. G. Kiernan이 여러 사례를 들어 잘 지적했듯 절대 왕정시기 주로 외국인으로 만들어진 용병군대는 국민을 억압하는 도구였습니다. 프랑스 혁명 당시 고용주인 부르봉 왕가에 충성하며 시민들을 상대로 최후까지 항전한 스위스 용병들의 이야기는 슬프기도 하지만 역으로 뒤집어보면 용병군대가 얼마나 절대권력의 이익에 충실히 복무하면서 국민을 짓밟았는가를 잘 보여줍니다. 절대왕정의 성립과정에서 중앙 권력에 의한 무력 장악이 중요한 과정이었다는 것은 정치사가들의 공통적인 견해이죠. 유럽의 진보적 지식인들은 이런 역사적 전통이 있었기 때문에 국민개병제에 긍정적이었습니다.

그리고 시장 경제 원리에 따라 모병제를 도입한 미국의 군대가 과연 모든 조건에서 잘 돌아가고 있는가 하면 그런 것도 아닙니다.
닉슨은 선거운동 기간에 모병제가 사실상의 용병제라는 국민개병제 옹호자들의 주장에 대해 미국의 모병제는 미국 시민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했지만 현재 미국은 모병율 저하로 시민권이 없는 영주권자까지 모병 범위를 확대하고 있으며 날이 갈수록 병사 일인당 소요되는 인건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비용 대 효용은 날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지요. 미국은 꾸준히 모병에 따른 인건비 증가와 병력 확충의 어려움에 따른 전쟁 수행능력 부족을 겪고 있습니다.
모병제로 움직이는 이라크의 미군은 징병제로 움직였던 40년 전 베트남의 미군과 마찬가지로 비정규전 하에서 어려움에 봉착해 있습니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교리와 전술의 문제입니다. 모병제로 만들어지는 오늘날의 미군은 분명히 강력하고 매우 우수한 군대입니다. 하지만 이라크에서는 여전히 40년 전 징병제 시절과 마찬가지의 문제에 봉착해 있습니다. 모병제가 만능이 아님을 직접 보여주고 있는 것 입니다. 모병제로 만들어진 군대도 적절한 교리와 전술이 없다면 국민개병제로 이뤄진 군대만도 못 한 것이 현실입니다. 즉 뒤집어 말하면 합리적으로 운영 되고 적절한 교리와 전술이 있다면 국민개병제로 만들어진 군대도 충분히 잘 움직일 수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지금 한국의 국민개병제가 수많은 문제점을 노출 시키고 있고 비능률적이라고 혹평 받는 것은 운영 방식이 잘못된 것이지 국민개병제가 모병제보다 나쁜 제도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현재 한국은 국민개병제로 인한 여러 가지 폐해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굳이 제가 이야기 하지 않더라도 많은 분들이 군대를 다녀오셨기 때문에 그 폐해를 경험적으로 잘 아실 것 입니다. 하지만 폐해가 많다고 하더라도 모병제 말고도 현재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은 더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자칭 진보들은 모병제냐 징병제냐의 단순한 이분법적 논지만 전개하고 있습니다. 답답할 따름입니다.

사족 하나 더. 모병제로 이뤄진 군대가 국민개병제로 이뤄진 군대보다 더 우수하다면 극도로 우수한 전투력을 보여줬던 2차대전기의 독일 국방군은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핸슨 볼드윈 같은 초기의 미국 모병제 지지자들은 국민개병제의 비효율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독일의 “전격전”을 그 예로 들었습니다. “전격전”을 수행한 독일의 군대는 국민개병제로 만들어진 군대였다는 점을 생각하면 정말 웃기는 일 이지요.

국내에서 진보로 자처하는 인사들의 모병제 논의가 단순히 겉멋만 잔뜩 든 언어유희에 불과한 것 같다는 느낌이 드는 것은 비단 저 혼자만은 아닐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칭 진보들이 시장논리를 만병통치약인 양 전면에 내세우고 시민의 정치적 권리와 군사력이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에 대해 무관심 한 것을 어떻게 봐야 할까요? 물론 시장의 논리도 중요하며 많은 경우 사회에 유익한 작용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결코 만병통치약은 아닙니다.

2007년 1월 6일 토요일

1차 대전 발발당시 이탈리아의 재정문제

세계대전 기간의 이탈리아라고 하면 뭔가 부실하다는 이미지가 지배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인지는 몰라도 뭘 읽던간에 이탈리아에 대한 부정적인 부분만 눈에 잘 들어오더군요. 예전에 읽은 책에서 1차 대전기 이탈리아의 전시 재정 문제에 대해 언급한 부분을 조금 옮겨 봅니다.

이탈리아는 경제 성장에 힘입어 1897-98, 1910-11 회계연도에 재정 흑자를 달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11년의 리비아 침공과 지올리티(Giovanni Giolitti)의 사회 개혁은 국가 재정을 적자로 돌려놓았다. 이탈리아는 1915년에야 참전했지만 1914년부터 전쟁에 대비해 군비 증강을 하면서 재정 적자 구조가 더 악화됐다. 즉, 이탈리아는 전쟁에 참전하기 3년 전부터 사실상 전시 경제 상태에 있었던 것이다. 이탈리아는 프랑스나 독일과 비슷하게 전쟁 이전 쌓인 채무가 재정을 심하게 압박하는 상황에서 전쟁에 돌입했다.

Hew Strachan, Financing the First World War, p.92

이탈리아는 1914년 8월 까지도 양호한 재정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1915년 4월 참전하기 전부터 외환보유고가 감소하고 있었다. 전쟁 발발로 주요 교전국들의 수입이 증가하면서 이탈리아는 처음으로 수출이 수입을 능가하게 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 교역 규모는 감소했으며 얼마 안되는 무역 흑자 조차 비가시적인 부문의 손실을 메꾸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탈리아의 주요 외화 획득 수단이었던 관광산업은 전쟁 발발과 동시에 붕괴돼 버렸다. 더 심각했던 것은 해외의 이탈리아 이민자들이 본국으로 송금하는 외환의 감소였다. 1913년에 해외 거주자의 본국 송금은 8억2800만 리라 였는데 1915년에는 4억9700만 리라로 격감했으며 1913년의 화폐 가치로 계산하면 3억9000만 리라에 불과했다. 가장 크게 감소한 것은 미국으로 부터의 송금이었으며 이로 인한 적자는 대미 수출에서 발생한 흑자를 압도하고 있었다. 이탈리아 정부는 1915년 가을부터 미국 시장에 국채를 유통시켰으나 이탈리아 국채는 다른 교전국의 국채보다 인기가 없었고 1915년 10월까지 2500만 달러를 판매하는데 그쳤다.

ibid p.185


어떻게 이런 나라가 1930년대까지 강대국 대접을 받았는지 이해를 못 하겠습니다.

잘 아시다 시피 전쟁 이전 이탈리아가 가장 재정적으로 의존하던 국가는 프랑스였습니다. 이탈리아가 영국과 프랑스 측에 설 수 밖에 없었던 가장 큰 원인이 프랑스가 이탈리아의 재정에 미치는 영향 때문이었다고 하죠. 그리고 전쟁이 발발한 다음 프랑스가 재정적으로 곤란에 빠지자 영국이 그 위치를 차지하고 마침내는 미국에 의존하게 됩니다.

남의 돈이 없으면 전쟁도 못 하면서 강대국 시늉을 해야 되는 국가라니, 너무 슬프지 않습니까?

2007년 1월 5일 금요일

R. Reese의 소련 장교 집단 구분

제가 자주 울궈먹는 러시아 군사사 연구자인 Reese는 건국 초기 소련의 장교집단을 크게 세 그룹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보리스 샤포쉬니코프”로 대표되는 “순수한 전문 군인 집단”입니다. 리즈는 이 집단에 바실레프스키와 충격군 이론의 제창자인 트리안다필로프, 스베친 등을 포함 시키고 있습니다. 이 집단의 특징은 주로 짜르 체제에서 영관급 정도의 계급에 고급 군사교육을 받았으며 정치적 성향을 가지지 않아 군대는 당의 도구라는 관점에 충실하고 당의 의사결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려는 시도를 하지 않았다는 것 입니다. 이 중 스베친은 공산당에 가입은 하지만 당 내에서 어떤 요직도 노리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는 “미하일 투하체프스키”로 대표되는 “준 전문 군인 집단”입니다.
리즈는 이 준 전문 군인 집단은 공산당에 가입한 비중이 높으며 당의 정치 활동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투하체프스키는 당과 국가 정책에 영향력을 끼치려는 시도를 많이 했습니다. 그 덕에 레닌그라드 군관구로 좌천(?) 당하기도 하고 끝내는 골로 가지요.
이 집단에는 야키르, 초창기 전차 개발에 공헌한 칼렙스키, 아이데만, 우보레비치 등이 포함됩니다. 이들 집단의 특징은 1차 대전 당시 주로 부사관, 위관급 장교로 참전했으며 정치와 신기술에 관심이 많았다는 점 입니다. 혁명 직후 공산당에 가입한 경우가 많으며 투하체프스키와 우보레비치, 야키르는 당 중앙위원까지 올라가지요. 칼렙스키는 나중에 통신위원장으로 정부 요직을 차지합니다.

세 번째 집단은 보로실로프로 대표되는 “비 전문 군인 집단”입니다.
이 집단은 주로 스탈린이라는 든든한 정치적 “빽”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이고 대부분 농민출신에 고등 군사교육이 부족했던 편 입니다. 여기에는 독소전 초기 키예프 피박의 주인공인 부존늬 같이 능력이 의문시되는 인사들이 대거 포진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스탈린이 전문 군인 집단을 매우 불신했기 때문에 보로실로프 집단은 스탈린의 비호 하에 상당한 입지를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재미있는 점 하나는 21세기의 미국인 리즈의 분석은 혁명 당시 보로쉴로프의 구분과 비슷하다는 것 입니다. 보로쉴로프는 1920년대 초 붉은 군대의 장교 집단을 1. 노동계급 출신의 "혁명적 지휘관"과 2. 짜르 체제에서 하급 간부였던 혁명적 농민 출신의 지휘관, 3. 짜르 체제의 엘리트 군 간부 출신 지휘관으로 구분했습니다.
약간 억지스럽긴 해도 리즈의 구분과 보로쉴로프의 구분이 얼추 비슷하게 맞아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또 Reese의 연구가 흥미로운 점은 John Erickson이 The Soviet High Command에서 장교집단을 “전문 군인 집단”과 “비 전문 군인 집단”으로 구분한 것에서 좀 더 세분화를 시도했다는 점 입니다. 즉 전문 직업군인 집단을 다시 “순수한” 직업군인 집단과 “정치 지향적” 직업군인 집단으로 구분 함으로서 1937년의 군 숙청에서 왜 투하체프스키 집단이 집중적으로 거덜이 났는가를 좀 더 잘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샤포쉬니코프와 바실레프스키는 정치 불개입과 당의 명령에 대한 복종에 충실했기 때문에 스탈린과 충돌할 일이 거의 없었고 자신들의 업무 범위 내에서 일정한 자율성을 인정 받을 수 있었습니다. 반면 투하체프스키 집단은 당의 중공업화에 찬성하면서도 군대가 차지하는 비중을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당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려고 했고 스탈린 세력의 불쾌감을 자극합니다.

그 후의 결론은 다들 잘 아시지요?

2007년 1월 4일 목요일

포도주에 대한 추억

제가 자주 가는 커피집에 '신의 물방울'이란 만화가 한 세트 들어왔습니다. 한번 훑어 보니 꽤 재미있더군요. 요리왕 비룡이나 식신이 생각나는 장면이 많았습니다. 뭐, 사실 포도주 마실일이 별로 없다보니 포도주가 정말 그런가 싶기는 하더군요. 나중에 돈 좀 생기면 싼 포도주 몇 병 사 놓고 과연 보르도의 숲이나 타지마할이 나타나는지 시험해 볼 생각입니다.

이 만화에서 가장 재미있었던 부분은 캘리포니아산 포도주가 언급되는 에피소드였습니다. 캘리포니아산 포도주하면 생각나는 추억이 하나 있기 때문입니다.

그 주인공은 백포도주입니다. 정확히 이름은 기억이 안나는 군요.

베를린에 있을 때 였습니다. 반찬을 사러 나갔다가 2유로도 안되는 아주 싼 캘리포니아산 백포도주가 있길래 얼씨구나 하고 샀지요. 그리고 그날은 반찬거리가 많아서 아주 신나게 저녁을 해 먹을 수 있었습니다. 멕시코식 양념이 된 돼지고기 스테이크에 인디카종 쌀로 지은 밥, 여기에 으깬 감자를 얹어 놓고 마지막으로 포도주를 따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포도주 따개를 사지 않은 것 이었습니다.

밥상 다 차려 놓았는데 술이 없다니. 이거 정말 난감하지 않습니까!

고심 끝에 포도주의 코르크를 칼로 후벼 파 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부분은 젓가락으로 끌어서 병을 따는데 성공은 한 것이죠.

문제는 뭘 가지고 포도주 병을 막느냐 였습니다.

잠시 생각한 뒤 그냥 한병 다 마시고 잠자리에 들었습니다.

좀 무식하게 먹은게 아닌가 싶은데 그래도 꽤 맛있더군요. 즐거운 일이 많던 때라 그런지 모든게 다 좋았다는 느낌입니다. 제 기억력의 오류인지 모르겠는데 아직도 그때 그 맛이 잊혀지지 않는것 같네요.

4일자 중앙일보 기사

오늘자 중앙일보에 아주 흥미로운 기사가 하나 났습니다.

북한 파워 그룹 대해부 <상> 권력 지도가 바뀌었다


권력서열에서 인민군의 약진이 두드러 지고 있다는 내용이군요. 인민군 고위 간부들은 노동당원을 겸하고 있으니 당내 서열도 당연히 높아졌겠지요. 아주 흥미로운 현상입니다.
50-60년대에 군대에 대한 당의 장악력을 철저히 하기 위해서 군 간부들을 두들겼던 것과 비교하면 더욱 재미있습니다. 선군정치 타령을 줄기차게 해 대더니만 결국 이런 결과가 나오는군요.

스탈린 동무의 경우 군대의 목소리가 커질 것 같으면 적절한 선에서 손을 봐 주는 것으로 유명했습니다. 쓸데없이 목소리를 높였던 투하체프스키가 골로 간 것이나 허파에 바람이 들어가 건방을 떨던 주코프가 좌천된 것이 대표적이죠.

그러나 북한은 90년대 중반 지방당 조직이 붕괴된 이후 군대에 대한 의존이 커지고 있어 군대의 목소리가 계속 커지더라도 이들을 손본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앞으로도 이런 추세가 더 강화될 것 같은 찝찝한 느낌이 드는군요.

두 번째로 재미있는 것은 유학파가 줄어들고 김일성 대학 출신이 우세를 보이는 가운데 만경대 학원 출신이 조금 늘었다는 점입니다. 단순히 보면 국내파로 권력 핵심부를 채우고 있는 것 같은데 이들은 별로 개혁 개방에 관심이 없을 것 같아 보이는군요.

2007년에는 대선도 있는데 과연 저 양반들이 어떤 대남정책을 펼칠지 별로 즐겁지 않은 호기심이 당깁니다.

2007년 1월 3일 수요일

고전 교육의 중요성?

카이사르가 남긴 유명한 말이라면 많은 분들이 VENI, VIDI, VICI를 떠올리실 것 입니다. 영어로는 I came, I saw, I conquered로 번역하는 모양이더군요. 유명한 문구라서 그런지 요즘도 여러 매체에서 인용, 또는 패러디 하고 있습니다. 고전을 패러디 하는 것은 일반적인 농담보다 더 재미있고 교육적(???)이라는 점에서 저 자신도 꽤 좋아하는 편입니다.

그런데 The Pentagon and the Presidency를 보다 보니 웨드마이어도 이 구절을 시니컬하게 패러디한 적이 있더군요.

그 사연은 대략 이렇답니다.

1943년 1월 카사블랑카 회담에서 미국측은 영국과 전쟁 수행 방침을 놓고 토론을 벌였는데 준비가 덜 된 미국에 비해 영국이 시종일관 우세를 보였고 그 결과 이탈리아 공격이 결정됐다고 합니다. 미국, 특히 육군은 프랑스 상륙을 통한 제 2전선 조기구축을 강력히 원하고 있었기 때문에 영국측 안이 채택된데 대해 매우 불쾌하게 생각했다고 합니다.

회담 결과 웨드마이어는 이렇게 빈정거렸다는군요.

"왔노라, 들었노라, 정복당했노라.(We came, We listened and We were conquered)"

고전 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패러디가 아닐 수 없습니다.

결론 : 올 한해도 어린양의 미리견사, 해동명장전, 망상문학관은 계속됩니다. 하하하.

후세인보다는 이민영?

조금 전에 서울에 돌아왔습니다.

후세인이 교수형에 처해진 이후의 소식은 지방에 다녀오느라고 챙기질 못했습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고속버스에서 틀어주는 뉴스에서는 이라크와 후세인 관련 소식은 짤막하게 처리하고 이민영의 이혼에 대해서는 큼지막하게 다루더군요. 약간 의아했습니다. 과연 이민영의 이혼이 한국인들에는 이라크 정국보다 더 중요한 뉴스일까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최소한 중동에서 난리가 나면 원유가격에 영향을 미치니 경제적으로는 이민영의 이혼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일인건 틀림 없는데 말이죠. 뭐, 이민영 이혼이 더 시청율을 끌어올릴 수 있는 모양입니다.

이런걸 보면 TV 뉴스의 기능에 대해 실망을 하게 됩니다.
시청율이 중요하다는 건 이해하지만 그래도 명색이 공영방송씩이나 돼가지고 연예인 이혼을 이라크 문제보다 크게 다루다니요. 과연 바보상자라는 별칭이 어울린다 하겠습니다. 어차피 이민영의 이혼은 스포츠 신문같은 곳에서 심층분석(?)할텐데 공영방송이 아까운 공중파를 그런 곳에 낭비하는 이유를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2007년 1월 1일 월요일

Dea-In-Bae aller Länder, vereinigt euch!

2007년에도 본 어린양의 재미없는 블로그에 꾸준히 들러주시는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어쩌다가 이 무익한 블로그에 오시는 분들을 위해서 방명록을 하나 달아 놓을까 합니다.

※2007-11-08 : 저는 지독하게 게으른지라 생판 모르는 익명으로 질문하는 사람들에게는 답을 하지 않습니다. 귀찮습니다. 제 대답을 원하시거든 최소한 블로그 주소 하나 정도는 다십시오.

※2007-08-15 : 댓글과 관련해서 아주 어이없는 일이 있었습니다. 통신체를 사용하거나 전혀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말도 안되는 리플은 답글도 달지 않을 것이고 무조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2007-05-09 : 제 블로그에 오시는 분 들 중에서 블로그의 피드 주소를 모르겠다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구글 블로그는 이전 까지 atom피드만 지원하다가 요즘은 RSS피드도 제한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제 블로그의 피드 주소는 대략 이렇습니다.

http://panzerbear.blogspot.com/rss.xml
http://panzerbear.blogspot.com/atom.xml

※2007-04-06 : 트랙백을 위해 Haloscan을 설치한 관계로 기존에 작성해 주신 댓글은 표시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