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역사에 if를 대입하는 것을 꺼립니다. 재미있는 일이긴 한데 진지하게 하지 못하면 그냥 무의미한 말장난에 불과하니 말입니다. 좀
의미있는 if를 제시하려면 상당한 공부가 필요하지요. 그래서 저는 재미있기는 합니다만 if를 최대한 피합니다.
하세가와 츠요시의 Racing the Enermy : Stalin, Truman, and the surrender of Japan은
포츠담선언 직전 부터 일본이 무조건 항복을 수락하기 까지의 과정을 추적하는 흥미로운 저작입니다. 본문의 내용도 상당히 재미있게
서술되어 있지만 가장 흥미로운 점은 결론부분에 제시한 여러가지의 if 시나리오입니다. 포츠담선언의 내용과 형식에서 소련의
대일참전과 원자폭탄 투하 등 여러가지의 변수들을 고려한 if 시나리오들을 검토하고 있는데 상당히 재미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재미있는 것은 포츠담선언에 대한 if 시나리오 입니다. 저자는 포츠담선언에 관해서는 세가지의 가능성을 검토해보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미국이 포츠담선언문에 일본의 천황제 존속을 명시했을 경우이고 두 번째는 미국이 포츠담선언문에 무조건 항복을
명시하되 소련이 서명국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경우이며 마지막 세 번째는 미국이 포츠담선언문에 천황제 존속을 명시하면서 소련이
서명국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경우입니다. 저자는 이 세가지 경우에 대해 다음과 같은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미국이 포츠담선언문에 천황제 존속을 명시했을 경우입니다. 실제로 이것은 미국 상당수의 미국 외교관들과 군인들의 지지를
받은 안이기도 합니다. 저자는 이 경우에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를 제시합니다. 먼저 미국이 천황제 존속을 명시하더라도 일본 국내의
주전파들이 항복을 받아들이는 것은 가능성이 매우 낮았을 것이라고 봅니다. 다만 천황제 존속이라는 조건 때문에 히로시마에 첫번째
원자폭탄이 투하되었을 경우 주전파가 급속히 힘을 잃고 일본이 항복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었을 것으로 파악합니다.
그
러나 이 시나리오는 미국의 대중여론은 물론 정책 결정권자인 트루먼이 무조건항복을 원했기 때문에 실현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트루먼이 진주만 기습으로 인한 확실한 ‘복수’를 위해 무조건 항복을 선호했으며 결정적으로 원자폭탄을 실전에 사용하기를 원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두
번째는 미국이 포츠담선언문에 무조건 항복을 명시하되 소련이 서명국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일본이 소련을
통해 미국과 교섭하려는 희망을 완전히 잃어버리게 되지만 그래도 주전파로 인해서 원자폭탄이 투하될 때 까지 싸움을 계속할 것 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천황제의 존치문제 때문에 원자폭탄이 투하되더라도 주전파가 논의를 주도할 가능성이 높으며 결국에는 실제 역사와
마찬가지로 소련의 참전은 불가피 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립니다.
세
번째는 미국이 포츠담선언문에 천황제 존속을 명시하는 한편 소련도 서명국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경우입니다. 포츠담선언에 관한 if
시나리오 중 가장 재미있는 시나리오 입니다. 이 경우는 천황제를 유지하는게 가능한데다가 소련의 참전도 확실해 지기 때문에 주전파가
설자리가 없어진다는 변수가 있습니다. 저자는 주전파에서 육해군을 유지하는 것 같은 세부적인 조건을 제시할 수도 있겠지만 영향력은
미미하리라 봅니다. 물론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투하될 때 까지도 주전파를 압도하지 못할 가능성은 있으나 이 경우에는 일본의
항복이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그러나 이것은 트루먼과 번즈가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추구하고 있었으며 스탈린 또한 동아시아에서 이권을 획득하기 위해 참전을 갈망하고 있었기 때문에 실현가능성이 가장 낮다고 결론을 내립니다.
저자는 이렇게 세가지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것들이 왜 실제로는 실현되기 어려웠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if 시나리오를 제시하면서
이것을 통해 실제 역사가 왜 그러한 방향으로 흘러갈 수 밖에 없었는지를 말하고 있는 것이죠. 꽤 흥미로운 서술 방식입니다.
2012년 6월 29일 금요일
2012년 6월 24일 일요일
이것이 자본주의!!!
“음. 옛날(소련시절) 나 정도의 지위에 있는 인물이라면 모스크바로 전화를 걸어서 전차 50대가 필요하다고 말하면 됩니다. 그러면 답이 오지요. ‘알겠습니다, 상장동지, 언제까지 보내드리면 되겠습니까?’ 요즘은 내가 모스크바로 전화를 걸어 전차 50대가 필요하다고 하면 거기서는 이렇게 답할겁니다. ‘알겠습니다. 상장님, 비용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러시아 레닌그라드 군관구 사령관 셀레즈네프 상장이 영국군 장성 개리 존슨(Garry Johnson)에게.
Jan Hoffenaar and Christopher Findlay (eds.), Military Planning for European Theatre Conflict during the Cold War : An Oral History Roundtable Stockholm, 24–25 April 2006, (Center for Security Studies, ETH Zurich, 2007), p.124
러시아 레닌그라드 군관구 사령관 셀레즈네프 상장이 영국군 장성 개리 존슨(Garry Johnson)에게.
Jan Hoffenaar and Christopher Findlay (eds.), Military Planning for European Theatre Conflict during the Cold War : An Oral History Roundtable Stockholm, 24–25 April 2006, (Center for Security Studies, ETH Zurich, 2007), p.124
2012년 6월 18일 월요일
독일 기갑사단의 보급부대 운용 - 북아프리카의 제15기갑사단 사례
국내에도 번역본이 출간된 『보급전의 역사』덕분에 군사사에 관심을 가진 많은분들이 2차대전기 군수보급문제에 대해 이해를 넓힐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보급문제를 주로 거시적인 작전단위에서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보급부대의 편성같은 세부적인 문제도
다루지만 어디까지나 본문의 맥락을 끊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한을 하고 있지요.
그러고보면 2차대전기 독일군의 사단급의 전술단위에서 보급문제를 다루는 독립적인 글을 찿는 것은 더 어려운 일 같습니다. 제가 읽어본 글 중에서는 스톨피R. H. S. Stolfi가 German Panzers on the Offensive의 127쪽에서 131쪽까지 독일 제15기갑사단의 보급부대 운용을 짤막하게 다룬 절이 그에 해당하는 것 같습니다. 분량은 많지 않지만 아프리카 전선의 사단급 보급부대 편성과 운용을 잘 설명해 놓아 이해하기가 쉽고 유용합니다. 그 내용을 정리해 보지요.
제15기갑사단의 보급부대는 제33보급대대Panzer-Divisions-Nachschubführer 33였습니다. 이 부대는 대대급 부대로 북아프리카로 출동할 당시 총 12개의 보급대Kolonne와 사단의 예비전차를 수송하는 40톤급 제33보충전차수송대Panzer-Ersatzteil-Kolonne 33, 그리고 3개 정비중대Kraftwagen-Werkstatt-Kompanie로 편성되었습니다. 그리고 북아프리카에서 새로 2개 보급대가 추가되어 제33보급대대는 총 14개 보급대를 예하에 두게 됩니다. 각 보급대는 30톤의 수송능력을 갖추고 있었는데 제8~제11 수송대는 연료운반, 제13~제14 수송대는 물을 운반했습니다. 일반적으로 1개 보급대는 10대의 트럭으로 편성되었는데 독일군이 차량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서 각 보급대의 수송능력에 맞춰 차량이 배치되는 경우도 흔했던 모양입니다. 한편 사단 군수참모부도 보급품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보급대대와 함께 움직였습니다. 또한 무전기를 탑재한 3대의 통신트럭과 차량화된 8문의 20mm 대공포와 37mm 대전차포가 배치되어 기관총 14정에 불과한 보급대대의 빈약한 방어능력을 보충했습니다. 이 외에도 자체적인 방어능력을 갖추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는데 1942년 2월에는 아프리카 기갑군이 각 수송대의 수송용 차량은 2명이 탑승하여 한명이 자체 방어를 담당하도록 명령을 내렸습니다.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보급부대를 호위하는 것은 꽤 어려운 문제였습니다. 영국군의 정찰부대나 영국군에 고용된 현지인들의 습격은 물론 공습이 다반사였습니다. 게다가 유동적인 전선 상황 때문에 영국군의 전차부대와 마주치는 최악의 경우도 일어났으니 말입니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1941년 기준으로 37mm 대전차포 정도면 영국군의 장갑차는 물론 부실한 순항전차들도 제한적으로 상대할 수 있었다는 점 이었습니다. 심지어 20mm 대공포의 철갑탄으로 영국군 순항전차의 측면을 노려 격파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하는군요. 그리고 뒤에는 박격포를 장비한 차량화보병 1개 소대가 추가되었고 경우에 따라 노획한 영국군의 중장비를 배속시키기도 했습니다.
롬멜의 1942년 하계공세에서 가잘라 방어선을 둘러싼 전투가 유동적으로 전개됨에 따라 독일군 보급부대는 다양한 위협에 스스로 대처해야만 했습니다. 보급대는 후방에 위치한 기갑군 물자집적소에서 최전방의 사단집적소로 끊임없이 물자를 실어날라야 했습니다. 그런데 독일군은 가잘라 방어선을 조기에 분쇄할 수 없었기 때문에 보급로가 비르 하케임Bir Hacheim을 끼고 우회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영국군은 이 길게 늘어진 보급로를 수시로 타격했으니 독일군으로서는 환장할 일이었겠지요. 저자인 스톨피는 이러한 상황이 마치 해전의 유동성과 같았다고 평가하는데 저도 괜찮은 비유라고 생각합니다.
그러고보면 2차대전기 독일군의 사단급의 전술단위에서 보급문제를 다루는 독립적인 글을 찿는 것은 더 어려운 일 같습니다. 제가 읽어본 글 중에서는 스톨피R. H. S. Stolfi가 German Panzers on the Offensive의 127쪽에서 131쪽까지 독일 제15기갑사단의 보급부대 운용을 짤막하게 다룬 절이 그에 해당하는 것 같습니다. 분량은 많지 않지만 아프리카 전선의 사단급 보급부대 편성과 운용을 잘 설명해 놓아 이해하기가 쉽고 유용합니다. 그 내용을 정리해 보지요.
제15기갑사단의 보급부대는 제33보급대대Panzer-Divisions-Nachschubführer 33였습니다. 이 부대는 대대급 부대로 북아프리카로 출동할 당시 총 12개의 보급대Kolonne와 사단의 예비전차를 수송하는 40톤급 제33보충전차수송대Panzer-Ersatzteil-Kolonne 33, 그리고 3개 정비중대Kraftwagen-Werkstatt-Kompanie로 편성되었습니다. 그리고 북아프리카에서 새로 2개 보급대가 추가되어 제33보급대대는 총 14개 보급대를 예하에 두게 됩니다. 각 보급대는 30톤의 수송능력을 갖추고 있었는데 제8~제11 수송대는 연료운반, 제13~제14 수송대는 물을 운반했습니다. 일반적으로 1개 보급대는 10대의 트럭으로 편성되었는데 독일군이 차량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서 각 보급대의 수송능력에 맞춰 차량이 배치되는 경우도 흔했던 모양입니다. 한편 사단 군수참모부도 보급품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보급대대와 함께 움직였습니다. 또한 무전기를 탑재한 3대의 통신트럭과 차량화된 8문의 20mm 대공포와 37mm 대전차포가 배치되어 기관총 14정에 불과한 보급대대의 빈약한 방어능력을 보충했습니다. 이 외에도 자체적인 방어능력을 갖추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는데 1942년 2월에는 아프리카 기갑군이 각 수송대의 수송용 차량은 2명이 탑승하여 한명이 자체 방어를 담당하도록 명령을 내렸습니다.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보급부대를 호위하는 것은 꽤 어려운 문제였습니다. 영국군의 정찰부대나 영국군에 고용된 현지인들의 습격은 물론 공습이 다반사였습니다. 게다가 유동적인 전선 상황 때문에 영국군의 전차부대와 마주치는 최악의 경우도 일어났으니 말입니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1941년 기준으로 37mm 대전차포 정도면 영국군의 장갑차는 물론 부실한 순항전차들도 제한적으로 상대할 수 있었다는 점 이었습니다. 심지어 20mm 대공포의 철갑탄으로 영국군 순항전차의 측면을 노려 격파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하는군요. 그리고 뒤에는 박격포를 장비한 차량화보병 1개 소대가 추가되었고 경우에 따라 노획한 영국군의 중장비를 배속시키기도 했습니다.
롬멜의 1942년 하계공세에서 가잘라 방어선을 둘러싼 전투가 유동적으로 전개됨에 따라 독일군 보급부대는 다양한 위협에 스스로 대처해야만 했습니다. 보급대는 후방에 위치한 기갑군 물자집적소에서 최전방의 사단집적소로 끊임없이 물자를 실어날라야 했습니다. 그런데 독일군은 가잘라 방어선을 조기에 분쇄할 수 없었기 때문에 보급로가 비르 하케임Bir Hacheim을 끼고 우회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영국군은 이 길게 늘어진 보급로를 수시로 타격했으니 독일군으로서는 환장할 일이었겠지요. 저자인 스톨피는 이러한 상황이 마치 해전의 유동성과 같았다고 평가하는데 저도 괜찮은 비유라고 생각합니다.
2012년 6월 17일 일요일
당분간은 비공개 블로그로 운영하려 합니다
얼마전에 업무때문에 만난 분이 제가 블로그를 운영한다는 소문을 들으신 모양입니다. 제 블로그 주소를 물어보시길래 순간 "망했다!"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순간 제 블로그에 별 생각없이 끄적인 글들이 생각났기 때문입니다. 블로그가 오프라인 생활에도 영향을 끼칠수 있다는 생각을 하니 운영방침을 바꿔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앞으로는 글조심(!)을 하며 살도록 하겠습니다.
당분간은 자주 들러주시던 분들께만 제한적으로 공개하면서 운영하려 합니다. 앞으로는 근대군사사와 관련된 글을 중심으로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그게 골치도 덜 아프고 쓸데없는 걱정을 할 필요도 없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런식으로 운영하는게 제 개인적으로도 훨씬 유익할 것 같습니다. 온라인에서 관심있는 이야기나 하면서 적당히 낄낄거릴 생각으로 블로그를 만들었으니 앞으로도 쭈욱 그런 식으로 나갈 생각입니다.
당분간은 자주 들러주시던 분들께만 제한적으로 공개하면서 운영하려 합니다. 앞으로는 근대군사사와 관련된 글을 중심으로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그게 골치도 덜 아프고 쓸데없는 걱정을 할 필요도 없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런식으로 운영하는게 제 개인적으로도 훨씬 유익할 것 같습니다. 온라인에서 관심있는 이야기나 하면서 적당히 낄낄거릴 생각으로 블로그를 만들었으니 앞으로도 쭈욱 그런 식으로 나갈 생각입니다.
2012년 6월 11일 월요일
프랑스 정치제도에 대한 공부를 해야 겠습니다
요즘 읽는 책 중에 전간기 프랑스의 국방안보정책을 다룬 Eugenia C. Kiesling의 Arming against Hitler : France and The Limits of Military Planning이 있습니다. 매우 재미있는 책인데 제가 프랑스 현대사와 정치제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서 이해가 어려운 부분이 많네요. 특히 국방관련법안에 대한 내용을 읽다보면 조금씩 혼란이 일기도 합니다. 프랑스의 의회제도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다보니 이런 것 같습니다. 중요한 조직이나 기구에 대해서는 저자가 주석을 달아 간략하게 해설을 해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사항들은 프랑스 현대사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가진 독자를 상정하고 써서 그런지 설명이 부족하군요. 다행히 인터넷으로 검색을 해 보니 『프랑스 제3공화국 헌정체제』라는 책이 눈에 들어옵니다. 시간이 되는대로 한번 찾아 읽어봐야 겠습니다.
2012년 6월 9일 토요일
반디앤루니스 종각점에서 Inside Hitler's High Command를 특가판매중입니다
귀가하는 길에 책을 한권 살까해서 반디앤루니스 종각점에 잠깐 들렀습니다. 그런데 외국서적 코너를 지나가다 보니 할인행사를 하고 있더군요. 그중에 책 한권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Inside Hitler's High Command 페이퍼백판이 특가판매도서에 들어있더군요.
한국어판보다도 압도적으로 싼 9,000원의 가격에 팔리는데서 놀랐습니다. 제가 10여년전에 초판본을 샀던 가격과 비교하면 3분의 1쯤 되는 것 같습니다. 오늘 오후에 제가 갔을땐 여섯권이 쌓여있었는데 장기간 재고로 있었던 모양입니다. 매우 훌륭한 연구서이고 재미도 있습니다만 좋은 한국어판이 나온 마당이라 정가대로 판매했다면 특별히 원서를 선호하는 분들이 많지 않은 한 잘 팔리지 않았을 듯 싶습니다. 그런데 9,000원이라는 가격은 꽤 놀랍군요. 이 책에 관심있으신 분이라면 매우 좋은 가격에 매물이 나왔으니 이 기회를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한국어판보다도 압도적으로 싼 9,000원의 가격에 팔리는데서 놀랐습니다. 제가 10여년전에 초판본을 샀던 가격과 비교하면 3분의 1쯤 되는 것 같습니다. 오늘 오후에 제가 갔을땐 여섯권이 쌓여있었는데 장기간 재고로 있었던 모양입니다. 매우 훌륭한 연구서이고 재미도 있습니다만 좋은 한국어판이 나온 마당이라 정가대로 판매했다면 특별히 원서를 선호하는 분들이 많지 않은 한 잘 팔리지 않았을 듯 싶습니다. 그런데 9,000원이라는 가격은 꽤 놀랍군요. 이 책에 관심있으신 분이라면 매우 좋은 가격에 매물이 나왔으니 이 기회를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2012년 6월 7일 목요일
바그라티온 작전 당시 독일중부집단군 소속 사단급 부대들의 기갑 및 대전차전력
지난번에 썼던 글, 후퇴전에서 기갑부대의 전차 손실에 대한 잡상 - 바그라티온 작전의 독일 제4, 5기갑사단의 경우에서 말씀드린 대로 바그라티온 작전 당시 독일군의 기동부대 운용에 대한 글을 조금씩 쓰는 중 입니다. 쓰다보니 자료가 없어서 막히는
부분이 많아서 진도가 더딥니다. 그런데 자료를 다 모을때 까지 기다리다간 언제 다 쓸지 모르겠군요. 부족한 것 투성이이니
말입니다.
이 글에서는 완전하지는 않지만 대략 정리가 된 사단급 부대들의 통계만 올려봅니다. 중전차대대와 돌격포여단, 독립 대전차대대Panzerjäger-Abteilung의 통계는 아직 집계가 완료되지 않아서 일단 제외했습니다. 아마 돌격포여단과 독립 대전차대대의 전력에 대한 집계가 끝나면 원래 계획했던 바그라티온 작전 당시 독일군의 기동부대 운용에 대한 글을 본격적으로 쓸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실 바그라티온 작전당시 독일군의 사단급 부대들의 전력을 집계하는 것은 독립부대들에 비하면 월등히 수월한 일입니다. 그래서 일단은 현재 정리된 사단급 부대의 전력을 올려보려 합니다. 원래는 기갑차량만 집계를 하려 했는데 마더와 같은 자주대전차포를 집계에 넣자니 견인 대전차포들을 넣지 않는게 애매해서 모두 집계를 하기로 했습니다.
참고한 자료들이 집계한 날자가 일치하지 않아서 애매하기는 하지만 1944년 6월 20일에서 22일 사이에 독일 중부집단군 소속 사단들의 기갑 및 대전차 전력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사실상 바그라티온 작전에 크게 참여하지 않은 독일 제2군은 제외했습니다. 아래의 표에서 자주대전차포로 표기한 것은 대부분 마더이고 中대전차포는 대부분 50mm Pak38, 重대전차포는 대부분 75mm Pak40 입니다.
1. 육군본부 및 중부집단군 직할 예비대
[Gerd Niepold, Mittlere Ostfront Juni ‘44, (Mittler&Sohn, 1985), p.35; Rolf Hinze, Der Zusammenbruch der Heeresgruppe Mitte im Osten 1944, (Motorbuch Verlag, 1980), p.282; Kamen Nevenkin, Fire Brigades : The Panzer Divisions 1943-1945, (J.J.Fedorowicz, 2008), p.464]
1번 표에서 20기갑사단의 대전차포 보유현황은 1944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 바그라티온 작전개시당시의 현황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 합니다. 기갑척탄병사단 펠트헤른할레와 제14보병사단의 기갑차량 보유대수는 1944년 6월 20일 기준으로 작전개시 당시의 숫자와 큰 차이는 없을 것 입니다. 자주대전차포와 견인식대전차포의 통계는 위에 적은 힌체의 저작에서 인용한 것 입니다.
2. 제3기갑군 소속사단
[Rolf Hinze, Der Zusammenbruch der Heeresgruppe Mitte im Osten 1944, (Motorbuch Verlag, 1980), pp.278~280]
2번표는 모두 힌체의 저작에서 인용한 것 입니다. 이 표에는 제3기갑군 소속 보병사단들에 돌격포가 배치되어 있지 않았다고 되어 있는데 한번더 확인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D분견군단Korps-abteilung D의 대전차포는 모두 95보병사단에서 지원된 전력이라고 합니다.
3. 제4군 소속사단
[Gerd Niepold, Mittlere Ostfront Juni ‘44, (Mittler&Sohn, 1985), p.35; Rolf Hinze, Der Zusammenbruch der Heeresgruppe Mitte im Osten 1944,
(Motorbuch Verlag, 1980), pp.281~283, Bernd Hartmann, Geschichte des
Panzerregiments 5 1935~1943 und der Panzerabteilung 5 1943~1945, (2002)]
제4군은 바그라티온 작전이 개시될 당시 중부집단군에서 가장 강력한 전력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중부집단군이 보유하고 있던 480대의 돌격포 중에서 246대가 제4군에 집중되어 있었다고 하지요. 돌격포여단 외에도 보병사단들 상당수가 돌격포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제25기갑척탄병사단의 전력에 대한 서술에서 인용한 니폴트는 6월 20일에 자주대전차포 10대가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고 힌체는 16대가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5기갑척탄병사단은 제5전차대대에 돌격포 45대외에 3호 지휘전차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바그라티온 작전이 개시될 당시 정확한 보유대수를 아직 확인하지 못했는데 완편된 상태에서는 3대의 3호 지휘전차를 보유하는 것이 정상이므로 일단 그렇게 정리했습니다.
4. 제9군 소속사단
[Rolf Hinze, Der Zusammenbruch der Heeresgruppe Mitte im Osten 1944, (Motorbuch Verlag, 1980), pp.283~286]
바그라티온 작전이 개시될 즈음 제102보병사단은 보유하고 있던 돌격포들을 상급부대인 제55군단의 직할로 차출당했습니다.
이 표도 완전히 정리된 것이 아니라서 다른 자료를 구하는대로 수정을 할 예정입니다. 다음에는 작전 기간 중 증원된 기갑전력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혹시나 통계를 정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으면 중전차대대와 돌격포여단, 중대전차대대 선에서 정리를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글을 쓰려고 합니다.
이 글에서는 완전하지는 않지만 대략 정리가 된 사단급 부대들의 통계만 올려봅니다. 중전차대대와 돌격포여단, 독립 대전차대대Panzerjäger-Abteilung의 통계는 아직 집계가 완료되지 않아서 일단 제외했습니다. 아마 돌격포여단과 독립 대전차대대의 전력에 대한 집계가 끝나면 원래 계획했던 바그라티온 작전 당시 독일군의 기동부대 운용에 대한 글을 본격적으로 쓸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실 바그라티온 작전당시 독일군의 사단급 부대들의 전력을 집계하는 것은 독립부대들에 비하면 월등히 수월한 일입니다. 그래서 일단은 현재 정리된 사단급 부대의 전력을 올려보려 합니다. 원래는 기갑차량만 집계를 하려 했는데 마더와 같은 자주대전차포를 집계에 넣자니 견인 대전차포들을 넣지 않는게 애매해서 모두 집계를 하기로 했습니다.
참고한 자료들이 집계한 날자가 일치하지 않아서 애매하기는 하지만 1944년 6월 20일에서 22일 사이에 독일 중부집단군 소속 사단들의 기갑 및 대전차 전력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사실상 바그라티온 작전에 크게 참여하지 않은 독일 제2군은 제외했습니다. 아래의 표에서 자주대전차포로 표기한 것은 대부분 마더이고 中대전차포는 대부분 50mm Pak38, 重대전차포는 대부분 75mm Pak40 입니다.
1. 육군본부 및 중부집단군 직할 예비대
3호전차
|
4호전차
|
돌격포
|
자주
대전차포
|
中
대전차포
|
重
대전차포
| |
20기갑사단
|
7
|
83
|
28?
|
5?
| ||
기갑척탄병사단 FHH
|
11
|
26
|
4
|
12
| ||
14보병사단
|
8
|
31
| ||||
707경비사단
|
1
|
6
|
1번 표에서 20기갑사단의 대전차포 보유현황은 1944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 바그라티온 작전개시당시의 현황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 합니다. 기갑척탄병사단 펠트헤른할레와 제14보병사단의 기갑차량 보유대수는 1944년 6월 20일 기준으로 작전개시 당시의 숫자와 큰 차이는 없을 것 입니다. 자주대전차포와 견인식대전차포의 통계는 위에 적은 힌체의 저작에서 인용한 것 입니다.
2. 제3기갑군 소속사단
3호전차
|
4호전차
|
돌격포
|
자주
대전차포
|
中
대전차포
|
重
대전차포
| |
군직할대 및 기타
| ||||||
95보병사단
|
8
|
21
| ||||
201경비사단
|
?
|
?
| ||||
9군단
| ||||||
252보병사단
|
7
|
14
|
21
| |||
D분견군단
|
12
|
21
| ||||
53군단
| ||||||
246보병사단
|
14
|
21
| ||||
4공군야전사단
|
17
|
19
| ||||
6공군야전사단
|
19
|
21
| ||||
206보병사단
|
17
|
21
| ||||
6군단
| ||||||
197보병사단
|
11
|
20
| ||||
299보병사단
|
9
|
22
| ||||
256보병사단
|
10
|
9
|
15
|
2번표는 모두 힌체의 저작에서 인용한 것 입니다. 이 표에는 제3기갑군 소속 보병사단들에 돌격포가 배치되어 있지 않았다고 되어 있는데 한번더 확인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D분견군단Korps-abteilung D의 대전차포는 모두 95보병사단에서 지원된 전력이라고 합니다.
3. 제4군 소속사단
3호전차
|
4호전차
|
돌격포
|
자주
대전차포
|
中
대전차포
|
重
대전차포
| |
군직할대 및 기타
| ||||||
286경비사단
| ||||||
27군단
| ||||||
78돌격사단
|
31
|
18
|
?
|
?
| ||
25기갑척탄병사단
|
3
|
45
|
16(10)
|
8
|
26
| |
260보병사단
|
5
|
25
| ||||
39기갑군단
| ||||||
110보병사단
|
6
|
4
|
22
| |||
337보병사단
|
10
|
8
|
22
| |||
12보병사단
|
10
|
7
|
22
| |||
31보병사단
|
10
|
?
|
?
| |||
12군단
| ||||||
18기갑척탄병사단
|
2
|
32
| ||||
267보병사단
|
9
|
2
|
22
| |||
57보병사단
|
6
|
18
|
제4군은 바그라티온 작전이 개시될 당시 중부집단군에서 가장 강력한 전력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중부집단군이 보유하고 있던 480대의 돌격포 중에서 246대가 제4군에 집중되어 있었다고 하지요. 돌격포여단 외에도 보병사단들 상당수가 돌격포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제25기갑척탄병사단의 전력에 대한 서술에서 인용한 니폴트는 6월 20일에 자주대전차포 10대가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고 힌체는 16대가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5기갑척탄병사단은 제5전차대대에 돌격포 45대외에 3호 지휘전차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바그라티온 작전이 개시될 당시 정확한 보유대수를 아직 확인하지 못했는데 완편된 상태에서는 3대의 3호 지휘전차를 보유하는 것이 정상이므로 일단 그렇게 정리했습니다.
4. 제9군 소속사단
3호전차
|
4호전차
|
돌격포
|
자주
대전차포
|
中
대전차포
|
重
대전차포
| |
35군단
| ||||||
134보병사단
|
9
|
2
|
22
| |||
296보병사단
|
4
|
22
| ||||
6보병사단
|
10
|
4
|
21
| |||
383보병사단
|
4
|
21
| ||||
45보병사단
|
10
|
18
| ||||
41기갑군단
| ||||||
36보병사단
|
7
|
6
|
21
| |||
35보병사단
|
9
|
12
|
4
| |||
129보병사단
|
7
|
9
|
17
| |||
55군단
| ||||||
292보병사단
|
7
|
25
| ||||
102보병사단
|
14
|
12
|
26
|
바그라티온 작전이 개시될 즈음 제102보병사단은 보유하고 있던 돌격포들을 상급부대인 제55군단의 직할로 차출당했습니다.
이 표도 완전히 정리된 것이 아니라서 다른 자료를 구하는대로 수정을 할 예정입니다. 다음에는 작전 기간 중 증원된 기갑전력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혹시나 통계를 정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으면 중전차대대와 돌격포여단, 중대전차대대 선에서 정리를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글을 쓰려고 합니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