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프랑스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프랑스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4년 8월 10일 일요일

2차대전기 미영 연합군의 전차 손실에 대한 통계 :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 - (7)



지루하게 늘어지는 ORO-T-117 요약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보고서의 부록C인 “Land Mines Warfare” 부분입니다. 본문에서 간략하게 다룬 지뢰 활용에 대한 연구를 따로 다루고 있는데 부록 중에서 양이 가장 많아 Part 1과 2로 나뉘어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부록C의 Part 1을 정리하겠습니다.

Part1은 크게 다섯부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북아프리카전역, 지중해전역, 북서유럽전역, 동남아시아전역, 태평양전역입니다.

먼저 북아프리카 전역은 총 1,718대의 격파된 영국군 전차가 분석 대상입니다. 이중 15%가 지뢰에 의해 격파되었다고 하는데 이것을 다시 연도별로 세분화하면 1941년에는 전체손실의 7%, 1942년에는 전체손실의 17%, 1943년에는 전체손실의 23%가 지뢰에 의해 격파된 것으로 집계됩니다. 추축군이 방어로 돌아설수록 지뢰에 의한 손실이 늘어나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복합적인 원인으로 손실 처리된 전차 중 약 2%가 지뢰와 연관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미군은 손실 표본 118대 중 16%, 프랑스군은 손실 표본 39대 중 23%를 지뢰에 의해 잃은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특히 사막지형에서 지뢰의 사용이 매우 유용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1)

지중해 전역에서는 주로 포Po강 이남에서 지뢰에 의한 전차 손실이 높았고 포강 이북에서는 다른 대전차병기에 의한 손실이 높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탈리아 전선에서 미군 손실 표본 588대 중 23%, 영국군은 손실 표본 728대 중 25%, 캐나다군은 손실 표본 567대 중 16%를 지뢰에 의해 잃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여기에 복합적인 원인 중 지뢰가 포함된 경우, 또는 손실원인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지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를 합산하면 전체 손실의 30%정도가 지뢰에 의한 것이 아닐지 추측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향은 표본의 숫자가 72대로 훨씬 적은 시칠리아 전선과도 비슷합니다. 시칠리아 전선에서 지뢰에 의한 손실은 25%로 추산된다고 합니다. 이탈리아 전선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차의 기동이 제한되는 지형이었기 때문에 독일군이 지뢰를 사용하는데 용이했으며 이것이 북서유럽 전역에 비해 지뢰에 의한 손실이 높았던 원인이라고 지적합니다.2)

북서유럽전선에서 지뢰로 인해 격파된 연합군 전차의 비율은 지중해 전역에 비해 낮습니다. 미군은 전체 표본의 18%, 영국군은 전체 표본의 26%, 캐나다군은 전체 표본의 12%를 지뢰에 의해 상실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북서유럽전역에서 지뢰로 인한 손실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손실된 원인이 불명인 전차중 상당수가 지뢰로 인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3)
북서유럽전선의 손실 사례 중에서 미 제1군의 전차 손실원인을 분석한 자료는 지뢰에 의해 격파된 전차가 어떤 부위를 격파당했는지를 집계하고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전체 표본 중에서 지뢰에 의해 격파된 전차는 167대인데 격파된 전차들은 지뢰에 의해 435군대의 피격 흔적이 남았다고 합니다. 지뢰에 의한 피격 흔적을 보면 현가장치와 바퀴 부분이 361건으로 전체의 83.2%, 차체가 39건으로 15.8%, 그리고 포탑이 5건으로 전체의 1%입니다. 지뢰에 의해 피격된 전차 중 전소된 것은 전체의 10%이고, 지뢰에 의해 차체 내부까지 관통이 된 경우는 전체의 15%라고 합니다.4)


미 제1야전군의 전차손실 중 지뢰에 의한 손실내역

영국군이 조사한 통계 중에는 영국군 전차를 격파한 지뢰의 종류를 분석한 통계가 있습니다. 1946년 1월에 작성된 보고서 “A Survey of Casualties Amongst Armoured Units in Northwestern Europe”이 원출처라고 하는데 표본이 많지는 않지만 참고는 할만한 통계입니다.

표1. 영국군 전차를 격파한 독일군 지뢰의 종류
지뢰 종류
격파된 전차
전체 표본에서 차지하는 비율(%)
Riegel Mine 43
18
23
Teller Mine
2
3
Riegel Mine 혹은 Teller Mine
4
5
기타 지뢰(목함지뢰 등)
3
4
지뢰 형식 불명
50
65
[표 출처: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C, p.57, Table XXVIII]

흥미로운 점은 라인강을 도하한 이후에는 지뢰로 인한 손실이 줄어든다는 점 입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두가지 원인을 제시하고 있는데 첫번째는 독일 내에서 싸운다는 점 때문에 독일 민간인의 희생을 우려해서 독일군이 지뢰 사용을 제한했다는 설명이고, 두번째는 라인강 도하 이후 연합군이 신속하게 진격을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지뢰를 매설하는 것이 어려웠을 것이라는 설명입니다.5)

동남아시아 전선의 사례는 1945년 2~5월 인도군 제225여단이 미얀마로 일본군을 추격하는 과정에서 집계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제225여단이 상실한 전차 중 20%가 지뢰에 의한 것으로 집계되는데 서유럽에서 독일군이 사용한 지뢰 보다는 위력이 낮았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6) 

태평양 전선에서는 지뢰에 의한 손실이 가장 높게 나타납니다. 미육군과 미해병대의 전차 손실 표본 775대 중에서 30%가 지뢰에 의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타로 집계된 손실 중 상당수가 지뢰로 기동 불능이 된 상태에서 보병의 근접 공격에 격파된 것이라고 합니다. 특히 필리핀 전역에서 지뢰로 인한 손실이 높았다고 하는군요. 다만 태평양 전선은 기갑전이 매우 드물었다는 특성을 감안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7)



주석
1)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C, p.53.
2)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C, pp.53~54.
3)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C, p.54.
4)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C, p.55.
5)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C, p.56.
6)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C, p.57.
7)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C, pp.57~58.

2014년 7월 10일 목요일

2차대전기 미영 연합군의 전차 손실에 대한 통계 :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 - (6)



이번 포스팅 부터는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의 부록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이 보고서는 재미있게도 부록이 꽤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부록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제2차대전 중 프랑스군의 전차 손실원인, 두번째는 제2차대전 중 대전차 지뢰의 효율성에 대한 연구, 마지막 세번째는 제2차대전 중 독일군의 전차 손실원인입니다. 이 중에서 2차대전 중 대전차 지뢰의 효율성에 대한 연구는 분량이 꽤 많아서 미육군이 존스홉킨스 대학에 이 연구의 용역을 맡길 당시 대전차 지뢰의 운용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부록의 첫번째 내용은 제2차세계대전 당시 프랑스 정부가 조사한 프랑스군의 전차 손실 원인입니다. 미군이나 영국군의 조사 보고서와는 달리 내용이 간략한게 아쉽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프랑스 정부가 1945년 전쟁이 끝난 뒤 1940년 전역에서 발생한 피해를 조사한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조사가 이루어 지지도 못했을 것 같습니다. 조사 대상은 기갑사단 4개, 경기계화사단 5개, 기계화기병사단 1개, 기타 독립 정찰부대와 전차대대라고 되어 있습니다. 프랑스 정부의 조사에서는 경미한 손상을 입어 야전부대가 회수한 차량들은 손실내역에서 제외했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 조사에 따르면 프랑스군이 1939년 부터 1940년까지 상실한 전차의 손실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프랑스군의 전차 손실 원인(1939~1940)
손실원인
대수
비율(%)
포격(전차포 및 야포)
1,669
95.4
지뢰
45
2.6
항공기
35
2.0
총계
1,749

[출처: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B, Table XXVII, p.48.]

프랑스 정부의 조사에 따르면 1940년 전역에 투입된 프랑스군의 전차는 총 4,071대이며 이 중 항복 이후 프랑스 정부에 남은 것은 250대 가량이었다고 합니다. 1940년 5월 10일 부터 6월 25일 사이에 전장에서 회수되어 수리된 전차가 몇대인지는 자료를 확보할 수 없었다고 하는군요.1)

프랑스가 해방되어 재편성된 프랑스군이 실전에 참가한 1944년 부터 1945년까지의 조사는 더 소략합니다. 이 기간동안 프랑스군은 549대의 전차와 95대의 구축전차, 134대의 장갑차(Combat Car)를 잃었다고 합니다. 완전 손실은 대부분 포격과 보병의 휴대용 대전차화기에 의한 것이었다고 하며 지뢰로 인한 완전 손실은 거의 없었던 모양입니다. 이 시기의 손실 원인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포격이었다고 합니다.2)

1)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B, pp.48~49.
2)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Appendix B, p.49.

2014년 7월 6일 일요일

유럽 전선의 M4 셔먼 배치 양상(1944.6~1945. 5)

지금 연재중인 “미군과 독일군 장비의 비교 평가에 관한 미 제2기갑사단장의 보고서”에는 셔먼의 형식별 문제에 대해 언급하는 내용이 가끔나옵니다. 특히 지휘관들이 M4A3E8의 보급 부족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경우가 가끔 있지요. 전반적인 셔먼의 형식별 배치 현황이 있으면 이 보고서의 맥락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 같아서 표를 몇개 올립니다. 잘로가의 책 Armored Thunderbolt : The U.S. Army Sherman in World War II에 부록으로 잘 정리된 표가 있어서 이것들을 올립니다.


표1. 서유럽전선에 배치된 미군 기갑사단의 셔먼전차 배치 상황(75mm/76mm)

44.6
44.7
44.8
44.9
44.10
44.11
44.12
45.1
45.2
45.3
45.4
45.5
2AD
219/0
210/0
171/45
153/68
156/65
128/60
125/60
117/21
143/66
143/65
143/87
95/95
3AD
204/0
201/0
184/50
159/65
115/60
138/60
165/48
138/40
155/44
143/51
119/40
86/90
4AD


160/0
137/18
108/13
132/18
128/17
68/16
112/42
91/49
48/68
54/105
5AD


166/0
136/19
125/15
127/16
119/21
127/10
123/35
114/35
106/66
77/62
6AD


156/0
153/0
153/0
157/2
122/11
139/11
66/44
87/56
45/74
30/128
7AD



94/12
62/49
78/32
77/49
61/36
94/41
118/50
77/61
72/80
8AD








107/47
116/47
80/70
77/70
9AD





167/0
0/168
13/95
51/116
50/116
55/97
52/96
10AD





114/51
116/49
85/34
84/49
86/43
84/84
66/100
11AD







98/44
81/58
91/61
88/61
68/74
12AD







109/52
93/44
78/90
84/84
86/83
13AD











91/70
14AD










83/88
65/68
16AD










117/51
115/49
20AD










117/51
0/165
%76
0
0
10.2
17.9
21.9
18.6
33.1
27.3
34.5
37.2
44.0
56.3
[출처 : Steven Zaloga, Armored Thunderbolt : The U.S. Army Sherman in World War II(Stackpole Books, 2008), p.340]


표2. 미 제12집단군 소속 독립전차대대의 셔먼전차 배치 상황(75mm/76mm)

44.6
44.7
44.8
44.9
44.10
44.11
44.12
45.1
45.2
45.3
45.4
45.5
75mm
245
370
650
527
508
647
525
695
733
781
669
567
76mm
0
0
0
95
37
166
177
259
216
305
438
607
합계
245
370
650
622
545
813
702
954
949
1,086
1,107
1174
%76
0
0
0
15.2
6.7
20.4
25.2
27.1
22.7
28.1
39.5
51.7
[출처 : Steven Zaloga, Armored Thunderbolt : The U.S. Army Sherman in World War II(Stackpole Books, 2008), p.340]


표.3. 미 제6집단군의 셔먼전차 배치 상황(75mm/76mm)

45.1
45.2
45.3
45.4
45.5
미 제7군





75mm
422
381
332
434
523
76mm
185
208
366
478
557
76mm포 비율
30.4
35.3
52.4
52.4
51.5
총계
607
589
698
912
1,080
프랑스 제1군





75mm

420
513
537
546
76mm

53
52
51
50
총계

11.2
9.3
8.6
8.3
76mm포 비율

1,062
1,263
1,500
1,676
[출처 : Steven Zaloga, Armored Thunderbolt : The U.S. Army Sherman in World War II(Stackpole Books, 2008), p.341]


표4. 유럽전선 미군의 M4A3E8 보급 상황

44.12
45.1
45.2
45.3
45.4
총계
제1군

29
19
57
153
258
제3군
21
28
62
13
132
256
제9군

33
72
45
64
214
제15군

24



24
총계
21
114
153
115
349
752
[출처 : Steven Zaloga, Armored Thunderbolt : The U.S. Army Sherman in World War II(Stackpole Books, 2008), p.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