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2월 4일 금요일
국립김해박물관 특별전시전 '갑주: 전사의 상징' 도록
10월에 부산 출장을 가면서 잠깐 시간을 내 김해박물관의 특별전 '갑주: 전사의 상징'전을 다녀왔었습니다. 매우 훌륭한 전시여서 전시가 끝나는 11월 29일 이전에 시간을 내서 한번 더 가야 겠다고 생각했는데 유감스럽게도 그럴 수가 없었습니다. 그 대신 박물관 매점에 연락해서 도록을 한 부 구매했습니다. 이 도록도 전시 만큼이나 훌륭하네요.
도록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제1장 '갑주의 흐름'은 한반도 고대 국가들의 갑주 발전사를 보여줍니다. 나무와 갑옷 등을 소재로 한 갑주에서 철을 사용한 판갑과 찰갑, 마지막으로 마갑을 포함한 중기병이 등장하기 까지 이어지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4~5세기 찰갑의 발전과정을 보여주는 부분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참고로 동래성 해자 유적에서 발굴된 조선시대 찰갑에 대해서도 간략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소단락 '비늘갑옷 읽기: 유적에서 출토된 비늘갑옷을 복원하기 까지'에서는 찰갑의 재현 과정을 사진과 함께 간략히 설명해 놓았습니다. 영화나 드라마 소품 담당자들에게 유용한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제2장 '갑주의 지역성'은 고대 국가별 갑주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는 장 입니다. 먼저 한반도의 철제 갑주 도입에 영향을 준 중국 갑주 유물과 한반도의 영향을 받은 왜의 갑주에 대한 간략한 해설로 시작해 종장판갑(縱長板甲)으로 대표되는 가야와 신라, 그리고 찰갑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 갑주의 특성을 보여주는 유물과 벽화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아쉬운 점이라면 유물을 비롯한 자료가 부족한 백제 갑주에 관한 부분이 좀 빈약하다는 것 입니다. 소단락 '백제인가, 당인가?: 공산성에서 출토된 옻칠갑옷'에서는 공주 공산성 터에서 출토된 옻칠갑옷을 비롯한 갑주 유물에 대한 두 가지 가설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제3장 '갑주: 고대 기술의 정수'에서는 고대의 갑주 제작 방식과 갑주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다양한 찰갑 소찰의 결합 방식을 설명한 부분이 흥미있었습니다. 제3장은 분량이 조금 소략합니다.
제4장 '갑주로 엿본 고대사'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됩니다. 첫 번째는 갑주의 장식과 매장 방식을 통해 갑주에 대한 고대인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는 부분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가 중요한데 바로 한반도 중부와 남부에서 출토되는 왜 계열의 갑주의 역사적 의의를 다루고 있습니다.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나타나는 왜 계열의 유적과 유물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소재인데 일본측에서는 임나일본부의 실존을 증명하는 근거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도록에서는 한반도 고대국가들과 왜의 활발한 교류를 보여주는 유물이라는 서술을 하고 있습니다. 김영민의 2014년 논문을 인용하여 왜 계열의 갑주가 주로 발굴된 가야의 경우 교역품으로, 백제 지역의 경우는 갑주 소유자가 왜인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라남도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빈번하게 출토되는 왜 계열의 유적과 유물이 용병의 성격을 가진 왜군의 주둔을 보여주는 것인지, 아니면 이 지역과 왜의 활발한 교류를 보여주는 것인지 문제를 제기하는 점도 주목할 만 합니다.
마지막으로 도록의 말미에는 두 편의 짧은 논문이 실려 있습니다. 정관박물관의 이현주가 쓴 「삼국시대 찰갑제작의 전개과정」과 울산문화재연구원의 오광섭과 부산대학교 박물관의 박준현이 쓴 「삼국시대 판갑의 연구 현황과 과제」 두 편 입니다. 이현주의 글은 한반도 고대 갑주의 발전 과정을 시기별로 설명하고 있는 글이고, 오광섭과 박준현의 글은 한국의 고대 갑주 연구사를 정리한 글 입니다.
도판과 해설 모두 충실한 훌륭한 도록이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김해박물관 매점에 연락해서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이런 훌륭한 책은 많은 분들이 보셨으면 합니다.
2011년 1월 8일 토요일
기병에 관한 한국 전통군사사 논문 한 편
한국 전통군사사에 대한 논문을 한 편 읽었습니다. 저자는 여기 들러주시는 분들이라면 다들 아실만한 바로 ‘그 분’입니다. 사실 19세기 이전 군사사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거의 없지만 매우 흥미롭게 읽은 논문이기에 짧은 평을 하고 싶습니다. 이 논문을 읽을 기회를 주신 필자께는 죄송하게도 도움이 될 만한 평이 못 되는게 아쉽습니다.
이 논문의 제목은 「한국사에 있어서의 기병 병종」으로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 한국의 기병 병종에 대해 통사적인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필자께서 처음 논문을 보내주셨을 때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범위가 매우 방대해서 놀랐습니다만 내용을 철저하게 기병 병종의 분류에 맞췄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밀도가 있다는 느낌이 들었고 글도 상당히 재미있었습니다.
논문은 부록을 포함해 90쪽이고 짧은 단행본 한 권으로 만들어도 될 정도입니다. 아마 필자께서도 글을 쓰시는 동안 글의 분량에 상당한 신경을 쓰셨을 것 같은데 독자의 입장에서는 적당했다고 생각이 됩니다.
이 글의 구성은 머릿말과 맺음말을 제외하고 크게 여섯 부분으로 나뉩니다. 먼저 2장에서는 이 논문의 근간을 이루는 기병 병종의 기본 개념을 다루고 있습니다. 필자는 여기서 서구의 중기병과 경기병이라는 구분을 한국사에 적용하기가 어렵다고 지적하고 그 대신 사용하는 장비와 전술의 성격에 따라 창기병과 궁기병이라는 분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말에도 갑옷을 입히는 중장기병은 다른 병종과 확실히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있으므로 중장기병이라는 개념은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외국에서 사용하는 개념을 빌려오지 않고 한국의 역사적 상황에 맞는 개념을 고민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합니다.
다음의 3장에서는 한반도와 만주지역에 기승문화가 도입된 시점부터 삼국시대 까지의 기병 병종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고대의 문헌사료가 부족한 만큼 고고학의 연구성과를 풍부하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자료의 공백이 많은 시기인 만큼 논리를 전개하는데 어려움이 많을 수 밖에 없는데 필자는 중국 등 동시기 다른 지역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접근하고 있습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필자가 기승문화의 확산 시점을 추정하면서 마구의 기술적인 수준 보다는 말을 대량으로 사육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기반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 입니다. 이 주장은 주로 문헌자료에 바탕을 하고 있는데 상당히 재미있는 가설이라고 생각됩니다.
그 다음으로는 삼국시대 기병 병종의 분화를 분석하기 위해 이 글에서 사용하는 구분의 기준이 되는 전투용 활과 기병창, 그리고 말의 품종과 마구의 발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구의 발전에 대한 부분에서 중국은 물론 같은 시기 유럽(로마)과의 비교 분석이 돋보입니다. 필자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삼국시대의 기병 병종을 중장기병, 창기병, 궁기병이라는 세 종류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4장에서는 삼국시대의 중장기병에 대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논문이 전체적으로 시기적 구분을 채택하고 있는데 비해 4장에서만 특별하게 삼국시대의 중장기병이라는 하나의 병종에 대해 상당한 분량을 할애해 분석하고 있는 것은 다소 의외입니다. 이 부분에서 주목할 만한 부분은 한반도 내에서의 중장기병 운용 방식에 대한 추정입니다. 필자는 한반도의 산악지형과 열악한 도로 환경 때문에 중장기병이 소규모로 성곽을 거점으로 한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5장은 고려시대의 기병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문헌사료의 부족과 고고학적인 자료의 부족 때문인지 그 분량은 고대나 조선시대에 비해 적습니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원간섭기 이후 몽골의 영향으로 궁기병의 비중이 늘어났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입니다. 이것은 조선 초기의 기병운용과 내용적으로 연결이 되는데 뒷받침 할 수 있는 자료가 더 풍부하다면 상당히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6장은 조선초기의 기병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6장 부터는 풍부한 문헌사료를 바탕으로 보다 밀도있는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고대에서 고려시대 까지는 문헌사료의 부족으로 많은 부분을 고고학적인 자료나 다른 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논리적인 추론을 해야 하는데 조선시대는 상대적으로 문헌자료가 풍부하다는 점 때문에 이런 제약에서 자유로운 것 같습니다.
6장에서 흥미로운 것은 조선초기에는 궁기병과 창기병이라는 2원적 체제에서 16세기에 이르면 사실상 궁기병 중심의 체제가 완성되었다는 지적입니다. 필자는 이미 5장에서 원간섭기 이후로 궁기병의 비중이 늘어났을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조선초기도 문헌사료를 통한 분석으로 궁기병이 다소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는 점을 밝히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16세기까지 창기병이 꾸준히 쇠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는 주장은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필자는 15세기를 거치면서 기병의 훈련 체계와 선발체계에서 기병창 보다 활을 중요시 하는 경향이 강해졌다는 점을 밝혀내 궁기병 중심으로의 전환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약간 아쉬운 점 이라면 왜 궁기병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졌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는 것 정도입니다. 또한 안정적인 말 공급기반의 쇠퇴가 기병의 점진적인 쇠퇴를 가져왔다는 주장도 매우 흥미롭습니다. 이것은 7장에서 다루고 있는 조선 기병의 쇠퇴와 내용적으로 연결이 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7장은 임진왜란 이후 조선 기병의 쇠퇴를 다루고 있습니다. 필자는 임진왜란 이후 전술이 보병 중심으로 전환하면서 군사력을 재건하는 과정에서 기병의 우선순위가 밀리게 되었다고 주장합니다. 조선후기 기병의 변화에서 제 개인적으로 재미있었던 내용은 근접전 능력 향상을 위해 편곤 사용이 확대되었고 18세기 초에 창설된 평안도의 별무사의 경우 하마전투를 고려해 조총도 사용하게 되었다는 부분입니다.
7장에서는 상당한 분량을 할애해 조선 기병의 질적ㆍ양적 쇠락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여기서 아쉬운 점은 조선 후기에 기병이 쇠퇴하게 되었다는 설명은 있으나 구체적인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설명이 부족하지 않은가 하는 점 입니다.
유감스럽게도 제가 전통 군사사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부족해 논문에 대한 대략적인 평 밖에 할 수 없었지만 상당히 인상깊은 논문이었습니다. 무엇보다 기병 병종에 대한 통사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이 글에서 필자가 제시한 몇몇 독특한 논점들은 후속 연구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논문의 제목은 「한국사에 있어서의 기병 병종」으로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 한국의 기병 병종에 대해 통사적인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필자께서 처음 논문을 보내주셨을 때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범위가 매우 방대해서 놀랐습니다만 내용을 철저하게 기병 병종의 분류에 맞췄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밀도가 있다는 느낌이 들었고 글도 상당히 재미있었습니다.
논문은 부록을 포함해 90쪽이고 짧은 단행본 한 권으로 만들어도 될 정도입니다. 아마 필자께서도 글을 쓰시는 동안 글의 분량에 상당한 신경을 쓰셨을 것 같은데 독자의 입장에서는 적당했다고 생각이 됩니다.
이 글의 구성은 머릿말과 맺음말을 제외하고 크게 여섯 부분으로 나뉩니다. 먼저 2장에서는 이 논문의 근간을 이루는 기병 병종의 기본 개념을 다루고 있습니다. 필자는 여기서 서구의 중기병과 경기병이라는 구분을 한국사에 적용하기가 어렵다고 지적하고 그 대신 사용하는 장비와 전술의 성격에 따라 창기병과 궁기병이라는 분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말에도 갑옷을 입히는 중장기병은 다른 병종과 확실히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있으므로 중장기병이라는 개념은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외국에서 사용하는 개념을 빌려오지 않고 한국의 역사적 상황에 맞는 개념을 고민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합니다.
다음의 3장에서는 한반도와 만주지역에 기승문화가 도입된 시점부터 삼국시대 까지의 기병 병종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고대의 문헌사료가 부족한 만큼 고고학의 연구성과를 풍부하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자료의 공백이 많은 시기인 만큼 논리를 전개하는데 어려움이 많을 수 밖에 없는데 필자는 중국 등 동시기 다른 지역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접근하고 있습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필자가 기승문화의 확산 시점을 추정하면서 마구의 기술적인 수준 보다는 말을 대량으로 사육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기반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 입니다. 이 주장은 주로 문헌자료에 바탕을 하고 있는데 상당히 재미있는 가설이라고 생각됩니다.
그 다음으로는 삼국시대 기병 병종의 분화를 분석하기 위해 이 글에서 사용하는 구분의 기준이 되는 전투용 활과 기병창, 그리고 말의 품종과 마구의 발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구의 발전에 대한 부분에서 중국은 물론 같은 시기 유럽(로마)과의 비교 분석이 돋보입니다. 필자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삼국시대의 기병 병종을 중장기병, 창기병, 궁기병이라는 세 종류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4장에서는 삼국시대의 중장기병에 대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논문이 전체적으로 시기적 구분을 채택하고 있는데 비해 4장에서만 특별하게 삼국시대의 중장기병이라는 하나의 병종에 대해 상당한 분량을 할애해 분석하고 있는 것은 다소 의외입니다. 이 부분에서 주목할 만한 부분은 한반도 내에서의 중장기병 운용 방식에 대한 추정입니다. 필자는 한반도의 산악지형과 열악한 도로 환경 때문에 중장기병이 소규모로 성곽을 거점으로 한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5장은 고려시대의 기병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문헌사료의 부족과 고고학적인 자료의 부족 때문인지 그 분량은 고대나 조선시대에 비해 적습니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원간섭기 이후 몽골의 영향으로 궁기병의 비중이 늘어났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입니다. 이것은 조선 초기의 기병운용과 내용적으로 연결이 되는데 뒷받침 할 수 있는 자료가 더 풍부하다면 상당히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6장은 조선초기의 기병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6장 부터는 풍부한 문헌사료를 바탕으로 보다 밀도있는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고대에서 고려시대 까지는 문헌사료의 부족으로 많은 부분을 고고학적인 자료나 다른 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논리적인 추론을 해야 하는데 조선시대는 상대적으로 문헌자료가 풍부하다는 점 때문에 이런 제약에서 자유로운 것 같습니다.
6장에서 흥미로운 것은 조선초기에는 궁기병과 창기병이라는 2원적 체제에서 16세기에 이르면 사실상 궁기병 중심의 체제가 완성되었다는 지적입니다. 필자는 이미 5장에서 원간섭기 이후로 궁기병의 비중이 늘어났을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조선초기도 문헌사료를 통한 분석으로 궁기병이 다소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는 점을 밝히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16세기까지 창기병이 꾸준히 쇠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는 주장은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필자는 15세기를 거치면서 기병의 훈련 체계와 선발체계에서 기병창 보다 활을 중요시 하는 경향이 강해졌다는 점을 밝혀내 궁기병 중심으로의 전환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약간 아쉬운 점 이라면 왜 궁기병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졌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는 것 정도입니다. 또한 안정적인 말 공급기반의 쇠퇴가 기병의 점진적인 쇠퇴를 가져왔다는 주장도 매우 흥미롭습니다. 이것은 7장에서 다루고 있는 조선 기병의 쇠퇴와 내용적으로 연결이 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7장은 임진왜란 이후 조선 기병의 쇠퇴를 다루고 있습니다. 필자는 임진왜란 이후 전술이 보병 중심으로 전환하면서 군사력을 재건하는 과정에서 기병의 우선순위가 밀리게 되었다고 주장합니다. 조선후기 기병의 변화에서 제 개인적으로 재미있었던 내용은 근접전 능력 향상을 위해 편곤 사용이 확대되었고 18세기 초에 창설된 평안도의 별무사의 경우 하마전투를 고려해 조총도 사용하게 되었다는 부분입니다.
7장에서는 상당한 분량을 할애해 조선 기병의 질적ㆍ양적 쇠락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여기서 아쉬운 점은 조선 후기에 기병이 쇠퇴하게 되었다는 설명은 있으나 구체적인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설명이 부족하지 않은가 하는 점 입니다.
유감스럽게도 제가 전통 군사사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부족해 논문에 대한 대략적인 평 밖에 할 수 없었지만 상당히 인상깊은 논문이었습니다. 무엇보다 기병 병종에 대한 통사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이 글에서 필자가 제시한 몇몇 독특한 논점들은 후속 연구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008년 12월 3일 수요일
'칼, 실용과 상징' : 고려대학교 박물관
얼마전에 번동아제님께서 소개해 주신 고려대학교 박물관의 도검 전시회, '칼, 실용과 상징'전을 관람하고 왔습니다.
평일 오전이어서 그런지 관람객이 별로 없어서 여유있게 관람할 수 있었습니다.
전시는 '제왕의 칼', '무사의 칼', '선비의 칼', '여인의 칼', '신들의 칼' 등 다섯가지 주제로 이루어 졌는데 재미있는 구분 방식 같습니다. 전시 구성외에도 많은 점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무료로 배포되는 안내용 브로셔는 짧은 분량에도 불구하고 알차다는 느낌을 주었으며 전시실의 구성과 배치도 좋은 느낌이더군요.
전시물 중에는 조선, 일본, 청나라의 갑옷도 있어서 단조로움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군복을 입은 철종어진의 모사도도 전시되어 있었는데 군복을 입은 조선국왕의 어진은 처처음 봤습니다. 전시실의 설명문에는 철종어진이 유일하게 군복을 입은 조선국왕의 어진이라고 하는군요.
전시된 칼 중에서는 흑칠천단초금장곡병환도(黑漆千段草金裝曲柄環刀)가 인상 깊었습니다. 개항기 이후 서양식 예도의 외형을 응용했다는 점이 흥미롭더군요. 도검류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이런 물건을 접하니 매우 신기했습니다. 그리고 조선 말기에 궁중에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서양식 식칼도 흥미로운 전시품이었습니다.
전시물 관람을 마친 뒤 전시실 밖에서 은장도 제작과정을 다룬 영상물을 관람했습니다. 정말 재미있더군요.
그리고 전시회 포스터도 한 장 받았습니다.
대부분의 박물관 전시가 그렇지만 사진 촬영이 안되는 점은 유감이었습니다. 전시도 재미있었고 전시물 사진을 찍을 수 없었던 점도 있어서 도록을 구입했습니다.
전체적으로 매우 알찬 전시라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물론 도검류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상태라서 전시물들에 대해서는 뭐라 평할 방법은 없지만 꽤 재미있더군요. 시간 여유가 있으신 분들께서는 한번 관람하셨으면 싶습니다.
평일 오전이어서 그런지 관람객이 별로 없어서 여유있게 관람할 수 있었습니다.
전시는 '제왕의 칼', '무사의 칼', '선비의 칼', '여인의 칼', '신들의 칼' 등 다섯가지 주제로 이루어 졌는데 재미있는 구분 방식 같습니다. 전시 구성외에도 많은 점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무료로 배포되는 안내용 브로셔는 짧은 분량에도 불구하고 알차다는 느낌을 주었으며 전시실의 구성과 배치도 좋은 느낌이더군요.
전시물 중에는 조선, 일본, 청나라의 갑옷도 있어서 단조로움을 피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군복을 입은 철종어진의 모사도도 전시되어 있었는데 군복을 입은 조선국왕의 어진은 처처음 봤습니다. 전시실의 설명문에는 철종어진이 유일하게 군복을 입은 조선국왕의 어진이라고 하는군요.
전시된 칼 중에서는 흑칠천단초금장곡병환도(黑漆千段草金裝曲柄環刀)가 인상 깊었습니다. 개항기 이후 서양식 예도의 외형을 응용했다는 점이 흥미롭더군요. 도검류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이런 물건을 접하니 매우 신기했습니다. 그리고 조선 말기에 궁중에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서양식 식칼도 흥미로운 전시품이었습니다.
전시물 관람을 마친 뒤 전시실 밖에서 은장도 제작과정을 다룬 영상물을 관람했습니다. 정말 재미있더군요.
그리고 전시회 포스터도 한 장 받았습니다.
대부분의 박물관 전시가 그렇지만 사진 촬영이 안되는 점은 유감이었습니다. 전시도 재미있었고 전시물 사진을 찍을 수 없었던 점도 있어서 도록을 구입했습니다.
전체적으로 매우 알찬 전시라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물론 도검류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상태라서 전시물들에 대해서는 뭐라 평할 방법은 없지만 꽤 재미있더군요. 시간 여유가 있으신 분들께서는 한번 관람하셨으면 싶습니다.
2008년 8월 25일 월요일
빈 - 둘째날 : Naschmarkt, 오스트리아 육군박물관
빈에서의 둘째날이 밝았습니다. 그런데 하루종일 부슬비가 내리는 날씨여서 조금 아쉬웠습니다.
둘째날은 토요일이어서 오전에는 Naschmarkt로 헌책을 사러 나갔습니다. 물론 시장을 돌아다니며 군것질 하는 것도 포함해서...
사실 책을 산다고 나왔으나 막상 시장에 들어오니 먹는 것에 더 정신이 팔립니다. 싱싱한 치즈를 한덩어리 사서 아침으로 먹었습니다.
아흥~♪
동양상회는 여전하더군요. 이 가게는 아는 분이 많으 실 것 같습니다.
Naschmarkt는 말 그대로 '먹자시장(?)' 정도 되겠습니다만 이것 저것 다 팝니다. 동대문에 가깝죠.
헌 책을 몇 권 산 뒤 다시 군것질을 조금 한 뒤 바로 오스트리아 육군박물관으로 향했습니다. 5년 전에도 갔었는데 그때 일부 구역이 공사중이어서 모두 관람하지를 못 했거든요.
오스트리아 육군박물관은 빈 남부역 근처에 있어서 찾기가 쉽지요.
그런데 빈 남부역에 유로라인 버스가 들어오는걸 처음 알았습니다. 5년 전에도 그랬는지 기억이 잘 나지 않는군요.
드디어 박물관에 도착했습니다. 오스트리아 제국군의 병영으로 쓰이던 건물이라 남다른 포스(?)를 풍깁니다.
건물 외곽의 회랑과 박물관 정문 바로 앞에는 오스트리아군이 18~19세기에 사용했던 화포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100파운드 구포(1751년형)
6파운드 포(1764년형)
6파운드 포(1838년형)
그리고 의외의 물건이 하나 있었습니다.
니가 왜 여기 있는거야!
이제 표를 사서 본격적으로 박물관 관람을 시작합니다.
그런데 물품보관소의 보관표가 좀 허접합니다.
당연히 1층 부터 관람을 시작했습니다. 주 전시실로 들어가기 전에 작은 기획전시가 하나 있더군요. 2차대전 당시 공습을 테마로 한 전시였습니다.
먼저 본토방공전에서 독일 정규군을 지원한 다양한 보조인력들의 복장을 전시해 놓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공군여성보조원 전화교환수와 피난민을 재현한 마네킹이 가장 인상깊더군요.
기획전시실을 지나 1층 주전시실로 들어갑니다. 1층에는 1866년 부터 1차대전 종전까지의 물건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아래의 야포는 1차대전 중 사용된 10cm Kanone M99 같은데 정확히 잘 모르겠습니다. 의외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의 포병에 대한 사진자료를 찾기가 어렵더군요.
다음은 오스트리아 산악부대의 동계 장비입니다.
그리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프란츠 요셉 1세(Franz Joseph I)의 군복입니다.
이외에도 영국군 등 외국군대의 명예연대장 복장이 몇 벌 더 있었는데 사진이 잘못나와서 올리지는 못 합니다.
1차대전 당시 오스트리아군의 주력 중기관총. M1907
1층 전시실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1870~1890년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의 요란한 군복들입니다. 일부분만 올리는게 아쉽군요.
Leibgarde-Reiter의 행사용 제복
제28보병연대 사병
제6울란연대 사병
향토연대(Landesschützenregimet)의 엽병
제5용기병연대의 중위
그리고 1차대전 시기의 전시물로 넘어갑니다.
페르디난트 황태자가 사라예보에서 저격당할 때 탄 승용차
1차대전 관련 전시물 중에서 다양한 선전포스터가 눈에 띄었는데 특히 아래의 전시공채 포스터는 참 잘 만들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보기가 좋군요.
그리고 다시 1차대전 시기의 군복들이 이어집니다.
제8용기병연대의 상병(1914/15)
울란연대의 사병(1914/15)
후사르연대의 사병(1914/15)
대전 초기 독일군
대전 초기 세르비아군
대전 초기 이탈리아군 알피니연대원
그리고 대전 후반기 전시실로 넘어가는 중간에 중화기류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38cm Haubitze M1916
7.5cm Gebirigskanone M1915
15cm Feldhaubitze M1914
그리고 대전 후반기의 전시물이 이어집니다. 대전 후반기의 군복들은 대전 초기의 군복에 비해 화려함이 줄어들었고 오히려 2차대전 초기의 군복들과 비슷한 느낌을 풍깁니다.
대전 후기 오스트리아군 보병
오스트리아군 조종사
대전 후기의 보병대위(67보병연대)
대전 후기 오스트리아군의 3톤트럭, A-XII-930
이렇게 대략 1층 관람을 마치는데도 시간이 한참 걸렸습니다. 생각해 보니 원래 2층 관람에 중점을 두려고 했는데 1차대전기 전시물에 정신이 팔리다 보니 깜빡 했습니다.
건물 곳곳의 기둥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배출한 명장들의 조각상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다시 프란츠 요셉 1세의 흉상...
2층에는 16세기 말 부터 19세기 초 까지의 전시물들이 있습니다.
일단 30년 전쟁부터 시작하게 되는 군요. 아직까지 갑옷이 그럭 저럭 효용이 있던 시절의 물건들입니다. 갑옷제작 기술이 완성에 달한 시기의 물건들이라 제법 멋있죠. 드레스덴에서 봤던 갑옷들에 비해서는 덜 화려하지만 그래도 나쁘진 않습니다.
1620년경의 머스킷티어
1632년경의 보병 부사관
1620년경의 창병
1620년경의 중기병(Kürassier)
1620년경의 Arquebusier
1610년경의 Lanzierer
30년 전쟁기의 전시물 다음에는 17~18세기 터키와의 전쟁에 대한 전시물들이 있습니다. 터키와의 전쟁에서 노획한 무기들이 많이 전시되어 있는데 특히 개머리판이 화려하게 장식된 오스만 투르크군의 수발총은 하나 가지고 싶을 정도였습니다.
다음으로는 18세기 전시실로 넘어갔습니다. 유감스럽게도 여기서 부터는 시간도 부족하고 메모리카드 용량도 문제가 있어서 사진을 많이 찍지 못했습니다. 사실 여기까지 오니까 박물관이 문 닫을 시간이 되어 관람도 다 마치지 못 했습니다.
전시물의 구성은 다른 전시실과 비슷했는데 한 가지 멋진 점이 더 있었습니다. 전시실을 가득 메운 대형 기록화들이 그야말로 압권이었습니다. 도록을 구매하려 했는데 관람시간이 종료되어 기념품점이 문을 닫는 바람이 실패해서 너무 아쉬웠습니다. 지난번에 왔을 때는 돈이 없어 도록을 사지 못 했는데 두 번째 방문에서는 시간이 없어 실패하네요.;;;; 뭐, 다음에 세번째로 갈 때는 사와야 겠습니다.
아래의 그림은 1759년 11월 21일 막센(Maxen)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의 항복을 받는 모습을 묘사한 기록화 입니다. 일반적으로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에서는 프로이센의 승률이 높은 편이라 이런 그림을 구경하는 것은 꽤 재미있는 경험이었습니다.
그러나 두 번째 관람에서도 방대한 전시물 덕분에 전체를 다 관람하는데 실패하고 또 기념품 점에서 책을 사는데도 실패했습니다. 결국 다음에 빈을 세번째 방문할 때는 꼭 전체를 관람해야 겠습니다.
박물관 관람을 마친 뒤 남역 근처에 있는 한 식당에서 저녁 식사를 했는데 식당 주인장이 전직 권투선수였습니다. 잠깐이지만 세계 챔피언도 했더군요. 이 양반의 이야기는 빈의 세번째 날에 다시 하도록 하겠습니다.
둘째날은 토요일이어서 오전에는 Naschmarkt로 헌책을 사러 나갔습니다. 물론 시장을 돌아다니며 군것질 하는 것도 포함해서...
사실 책을 산다고 나왔으나 막상 시장에 들어오니 먹는 것에 더 정신이 팔립니다. 싱싱한 치즈를 한덩어리 사서 아침으로 먹었습니다.
동양상회는 여전하더군요. 이 가게는 아는 분이 많으 실 것 같습니다.
Naschmarkt는 말 그대로 '먹자시장(?)' 정도 되겠습니다만 이것 저것 다 팝니다. 동대문에 가깝죠.
헌 책을 몇 권 산 뒤 다시 군것질을 조금 한 뒤 바로 오스트리아 육군박물관으로 향했습니다. 5년 전에도 갔었는데 그때 일부 구역이 공사중이어서 모두 관람하지를 못 했거든요.
오스트리아 육군박물관은 빈 남부역 근처에 있어서 찾기가 쉽지요.
그런데 빈 남부역에 유로라인 버스가 들어오는걸 처음 알았습니다. 5년 전에도 그랬는지 기억이 잘 나지 않는군요.
드디어 박물관에 도착했습니다. 오스트리아 제국군의 병영으로 쓰이던 건물이라 남다른 포스(?)를 풍깁니다.
건물 외곽의 회랑과 박물관 정문 바로 앞에는 오스트리아군이 18~19세기에 사용했던 화포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의외의 물건이 하나 있었습니다.
이제 표를 사서 본격적으로 박물관 관람을 시작합니다.
그런데 물품보관소의 보관표가 좀 허접합니다.
당연히 1층 부터 관람을 시작했습니다. 주 전시실로 들어가기 전에 작은 기획전시가 하나 있더군요. 2차대전 당시 공습을 테마로 한 전시였습니다.
먼저 본토방공전에서 독일 정규군을 지원한 다양한 보조인력들의 복장을 전시해 놓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공군여성보조원 전화교환수와 피난민을 재현한 마네킹이 가장 인상깊더군요.
기획전시실을 지나 1층 주전시실로 들어갑니다. 1층에는 1866년 부터 1차대전 종전까지의 물건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아래의 야포는 1차대전 중 사용된 10cm Kanone M99 같은데 정확히 잘 모르겠습니다. 의외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의 포병에 대한 사진자료를 찾기가 어렵더군요.
다음은 오스트리아 산악부대의 동계 장비입니다.
그리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마지막 황제인 프란츠 요셉 1세(Franz Joseph I)의 군복입니다.
이외에도 영국군 등 외국군대의 명예연대장 복장이 몇 벌 더 있었는데 사진이 잘못나와서 올리지는 못 합니다.
1층 전시실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1870~1890년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의 요란한 군복들입니다. 일부분만 올리는게 아쉽군요.
그리고 1차대전 시기의 전시물로 넘어갑니다.
1차대전 관련 전시물 중에서 다양한 선전포스터가 눈에 띄었는데 특히 아래의 전시공채 포스터는 참 잘 만들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보기가 좋군요.
그리고 다시 1차대전 시기의 군복들이 이어집니다.
그리고 대전 후반기 전시실로 넘어가는 중간에 중화기류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대전 후반기의 전시물이 이어집니다. 대전 후반기의 군복들은 대전 초기의 군복에 비해 화려함이 줄어들었고 오히려 2차대전 초기의 군복들과 비슷한 느낌을 풍깁니다.
이렇게 대략 1층 관람을 마치는데도 시간이 한참 걸렸습니다. 생각해 보니 원래 2층 관람에 중점을 두려고 했는데 1차대전기 전시물에 정신이 팔리다 보니 깜빡 했습니다.
건물 곳곳의 기둥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배출한 명장들의 조각상으로 장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다시 프란츠 요셉 1세의 흉상...
2층에는 16세기 말 부터 19세기 초 까지의 전시물들이 있습니다.
일단 30년 전쟁부터 시작하게 되는 군요. 아직까지 갑옷이 그럭 저럭 효용이 있던 시절의 물건들입니다. 갑옷제작 기술이 완성에 달한 시기의 물건들이라 제법 멋있죠. 드레스덴에서 봤던 갑옷들에 비해서는 덜 화려하지만 그래도 나쁘진 않습니다.
30년 전쟁기의 전시물 다음에는 17~18세기 터키와의 전쟁에 대한 전시물들이 있습니다. 터키와의 전쟁에서 노획한 무기들이 많이 전시되어 있는데 특히 개머리판이 화려하게 장식된 오스만 투르크군의 수발총은 하나 가지고 싶을 정도였습니다.
다음으로는 18세기 전시실로 넘어갔습니다. 유감스럽게도 여기서 부터는 시간도 부족하고 메모리카드 용량도 문제가 있어서 사진을 많이 찍지 못했습니다. 사실 여기까지 오니까 박물관이 문 닫을 시간이 되어 관람도 다 마치지 못 했습니다.
전시물의 구성은 다른 전시실과 비슷했는데 한 가지 멋진 점이 더 있었습니다. 전시실을 가득 메운 대형 기록화들이 그야말로 압권이었습니다. 도록을 구매하려 했는데 관람시간이 종료되어 기념품점이 문을 닫는 바람이 실패해서 너무 아쉬웠습니다. 지난번에 왔을 때는 돈이 없어 도록을 사지 못 했는데 두 번째 방문에서는 시간이 없어 실패하네요.;;;; 뭐, 다음에 세번째로 갈 때는 사와야 겠습니다.
아래의 그림은 1759년 11월 21일 막센(Maxen)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의 항복을 받는 모습을 묘사한 기록화 입니다. 일반적으로 오스트리아-프로이센 전에서는 프로이센의 승률이 높은 편이라 이런 그림을 구경하는 것은 꽤 재미있는 경험이었습니다.
그러나 두 번째 관람에서도 방대한 전시물 덕분에 전체를 다 관람하는데 실패하고 또 기념품 점에서 책을 사는데도 실패했습니다. 결국 다음에 빈을 세번째 방문할 때는 꼭 전체를 관람해야 겠습니다.
박물관 관람을 마친 뒤 남역 근처에 있는 한 식당에서 저녁 식사를 했는데 식당 주인장이 전직 권투선수였습니다. 잠깐이지만 세계 챔피언도 했더군요. 이 양반의 이야기는 빈의 세번째 날에 다시 하도록 하겠습니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