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레닌그라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레닌그라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4월 14일 일요일

연방의 신형전차

독일군은 1943년 말 부터 소련이 개발하고 있는 신형 중전차 ‘스탈린’에 관한 정보를 조금씩 포착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모든 정보업무가 다 그렇듯 ‘스탈린’ 전차에 대한 정보는 꽤 다양해서 독일군은 1944년 봄에 처음으로 이 전차를 상대하기 전 까지는 제대로 된 정보를 얻을 수 없었습니다. 1943년 말에 수집된 정보들은 대개 이 신형전차를 목격했다는 소련 포로들의 목격담을 취합한 수준이었습니다.


1943년 10월 16일 육군본부 동부정보과Abteilung Fremde Heere Ost에서 육군 병기국과 기갑총감부에 보낸 정보문서에 따르면 소련 제124소총병사단에서 탈주한 소위가 ‘스탈린’ 전차를 목격하고 증언한 내용이 있습니다.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RG242 T78 R619
[제124소총병사단 622소총병연대에서 탈주한 소위(의 증언) : 레닌그라드 근교에서 있었던 훈련에 ‘스탈린’이라는 명칭을 가진 100톤급 신형 전차 6대가 참가했다. 이 전차들은 레닌그라드에서 생산되었다. 궤도의 폭은 1.50m, 전면장갑은 25cm이며 속력은 시속 40~50km이다. 무장은 10cm포 1문과 기관총 3정이다. 승무원은 12명이다. 궤도 양쪽에는 위쪽으로 접을 수 있는 장갑판이 설치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보병 30~50명 정도를 태울 수 있다고 한다. 방수설계가 되어 있어 수심 4m까지 도하가 가능하다. 신형 전차는 KV-1 보다 길이가 3m 더 길어서 기존의 대전차호는 쉽게 극복할 수 있다고 한다. 연료 소비량은 KV-1 보다 조금 더 많은 수준이라고 한다.]


그렇습니다. 2차대전의 승패는 여기서 갈린 것 입니다. 파시스트 다 죽었습니다...


이 증언에 따르면 ‘스탈린’ 전차는 이렇게 생겼다고 합니다.

출처 : RG242 T78 R619

2011년 11월 17일 목요일

예일대 출판부의 2012년 봄 카탈로그를 살펴보니

예일대학교 출판부의 2012년 봄 카탈로그를 살펴 보니 당연히 재미있어 보이는 책이 몇 권 눈에 들어옵니다. 몇 권은 꼭 사야겠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4월에는 2011년 세계를 뒤흔든 아랍의 봄에 대한 단행본이 한권 나올 모양입니다. The Battle for the Arba Spirng이라는 제목인데 출간된 뒤 서평을 보고 구매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5월 출간예정작 중에서는 Thomas Friedrich의 Hitler's Berlin : Abused City가 눈에 띄입니다. 히틀러가 베를린을 어떻게 변화시켜 나갔는지, 그리고 변화시켜 가려 했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군요. 도시계획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겠지만 꽤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나오는대로 구매할 생각입니다.

6월에는 네 권의 책이 눈에 들어옵니다.
첫 번째는 Alison Pargeter의 Libya : The Rise and Fall of Qaddafi입니다. 리비아 문제에 생소한 미국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만큼 제게도 꽤 도움이 될 것 같군요. 일단 서평이 나오면 구매를 생각해 봐야 겠습니다.
유명한 Annals of Communism Series에서는 레닌그라드 전투에 대한 자료들을 엮은 The Leningrad Blockade가 출간될 예정이라는군요. 전부 66종의 문서가 실릴 예정이라는데 매우 기대가 됩니다.특히 공산당과 비밀경찰이 어떤 식으로 도시의 통제를 유지했는지에 대해 많은 것을 이야기 해줄 것 같습니다. 이건 무조건 구매입니다.
세번째는 2차대전 직후 독일인에 대한 인종청소를 다룬 R. M. Douglas의 Orderly and Humane 입니다.역시 무조건 구매해야 겠습니다.
마지막으로 Mordechai Bar-On의 모세 다얀 전기가 눈에 들어옵니다. 꽤 재미있을 것 같은데 이건 서평을 보고 생각해 보는게 좋겠군요.

2009년 4월 24일 금요일

1942년 8월 28일, 스탈린그라드의 대공황

마이클 존스(Michael K. Jones)의 Stalingrad는 참전자들의 증언을 통해 전투의 진행과정을 따라가는 내용입니다. 개개인의 체험을 통해 내용을 전개하는 방식은 군사작전을 중심으로 내용을 건조하게 서술하는 것에 비해 훨씬 재미있게 읽힙니다.(물론 저는 개인적으로 작전 중심의 딱딱한 내용을 선호하긴 합니다만) 내용은 스탈린그라드에 포위되어 독일군의 공세를 격퇴한 62군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시기도 독일군이 스탈린그라드로 진격해 오던 1942년 8월부터 독일군이 시가지에 대한 최후의 공세를 펼친 11월 중순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반격작전 이후의 내용은 에필로그 형식으로 짧게 서술되어 있는데 저자가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은 소련군이 독일군의 포위 공세에 대한 공황상태에서 벗어나 조직적인 반격능력을 되찾아 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개인 체험 위주의 서술이어서 소련 시절에는 검열 등의 문제로 논의 될 수 없었던 이야기들이 많이 나온다는 점은 큰 장점입니다. 전장에서의 비겁행위라던가 독일군에 대한 공포 같은 것이 체험자들의 경험을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그만큼 잘 와 닫는다고 할 수 있지요.

책을 읽으면서 가장 흥미로웠던 대목은 독일군이 스탈린그라드로 진격해오던 1942년 8월 말 스탈린그라드 시내에서 벌어진 대규모 공황사태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1942년 8월 28일, 전후 모든 소련의 역사서술에서 언급하는 것이 금기시 되었던 일이 일어났다. 스탈린그라드에서 대규모의 피난이 시작된 것이었다. 세르게이 자차로프는 당시 시내의 레닌 병원에 입원해 있었다.

“독일군의 폭격에도 불구하고 병원의 기능은 많은 노력을 기울여서 유지되었다. 그런데 8월 28일에 매우 놀라운 일이 벌어졌다. 내가 잠에서 깨어났을 때 아무도 없었던 것이다. 간호사도 없었고 의사도 없었다. 정말 단 한 명도 없었다. 병원 원장이 우리를 돌봐주기 위해서 나타났다. 그가 말했다.

‘정말 죄송합니다. 병원의 직원들이 모두 떠났습니다. 모두 도망쳤습니다.’

우리는 병원 바깥의 불안한 움직임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몸을 움직일 수 있는 사람들은 창가 쪽으로 갔다. 우리는 엄청난 혼란을 목격했다. 모두가 공포에 빠져 제정신이 아니었다. 마치 도시 전체가 집단적인 광란에 빠진 것 같았다. 사람들은 상점과 건물들에 들어가 물건을 약탈했다. 모두가 소리를 질렀다. ‘도데체 어떻게 돌아가는 겁니까?’ 그리고 여기에 대한 답변이 돌아왔다. ‘도시가 텅 비었어’, ‘ 공무원들이 모두 사라졌어!’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장 나쁜 소식이 들려왔다.

‘독일놈들이 온다!’

우리는 창 밖으로 계속해서 펼쳐지는 장면들을 바라보았다. 사람들은 사방으로 뛰어다니며 비명을 지르고 울부짖었다. 그리고 갑자기 엄청난 힘이 밀려왔다. 모든 사람들이 가능한 모든 운송수단을 찾아 도망치기 시작했다. 나는 어떤 가족이 말 한마리가 끄는 수레에 가재도구를 싣고 거리를 지나가던 장면을 기억한다. 모두가 스탈린그라드를 떠나고 있었다! 내가 속한 연대의 지휘관이 나타났다. 그가 말했다. ‘동무들을 병원에서 이송할 것이오! 이 도시는 포기되었소!’

우리는 움직일 수 있는 환자는 모두 불러모았다. 백 명 정도가 병원에서 나왔다. 우리는 시가지를 따라 볼가강 쪽으로 이동했다. 그때 갑자기 여러 대의, 아마도 열 다섯 대에서 스무 대 정도의 독일군 비행기가 나타났다. 독일 비행기들은 병원 쪽으로 가서 연속적으로 병원에 폭탄을 투하했다. 아마도 병원에 남아있던 환자 대부분이 죽었을 것이다. 우리는 폭격이 있기 직전에 빠져 나온 것 이었다.

내가 속한 일행은 순간 조용해 졌다. 기분 나쁜 침묵이 이어졌다. 모두가 기력이 없어 보였다. 우리는 밤이 되어야 볼가강을 도하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우리의 지휘관 알렉세이는 우리에게 이렇게 지시했다. ‘제군들, 보급품을 구해야 겠네’ 버려진지 얼마 되지 않은 민간인의 아파트나 주택에서 식량을 가져 오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아 우리는 일반 상점으로 갔다. 상점들은 모두 문이 열린 채 방치되어 있었고 과자, 꿀, 빵, 소시지 같은 각종 식품으로 가득 차 있었다. 우리는 식량을 구한 뒤 강변으로 다시 집합했다.

우리는 오후 내내 강을 건너기를 기다리다가 놀라운 소식을 들었다. 트랙터 공장의 노동자들이 긴급회의를 가진 뒤 스탈린그라드를 떠나지 않겠다는 결정을 내렸다는 것이었다. 그들은 무슨 일이 있어도 탱크 생산을 계속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단호한 결심을 내린 일부의 시민들은 다른 사람들과 함께 도망치지 않았다. 그들은 도시를 버리는 것을 거부하고 지하실이나 방공호로 들어갔다. 분위기가 갑자기 달라졌다. 집단적인 공황이 단호한 저항 의지로 바뀌었다.

스탈린그라드는 살아 남았다.”

발렌티나 크루토바는 이 날을 이렇게 기억했다.

“상점들은 그냥 열린 상태로 방치되었고 수천명의 사람들은 갈 수 있는 모든 방향으로 도망쳤다. 그러나 일부의 사람들은 남았다. 우리는 여전히 스탈린그라드가 포위를 면할 수 있을 것 이라는 희망을 가지고 있었다.”

대규모의 피난 사태를 촉발한 것은 스탈린그라드 경찰과 민병대가 갑자기 시내에서 사라졌기 때문이었다.

Michael K. Jones, Stalingrad : How the Red Army Survived the German Onslaught, Casemate, 2007, pp.59~61

전쟁 이야기에서 제 관심을 가장 끄는 것은 이러한 집단 공황상태입니다. 통제 불가능한 혼란 상태에서 표출되는 인간의 다양한 본성은 정말 흥미로운 이야기 입니다.

물론 제3자의 입장에서.

제가 당사자가 된다면 그건 진짜 고역이겠죠. 그런 사태를 제 생전에 겪고 싶은 생각은 별로 없습니다.

이것과 비슷하게 1945년 독일이 붕괴될 무렵 동부 독일의 이야기나 1975년 베트남 붕괴시의 이야기도 많은 관심을 끕니다. 요즘도 가끔씩 읽는 안병찬 기자의 ‘사이공 최후의 표정 컬러로 찍어라’ 같은 책은 전체 내용이 이런 혼란으로 가득 차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