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야누코비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야누코비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4월 8일 월요일

우크라이나인 무장친위대에 대한 비판적인 연구 한 편

무장친위대는 2차대전사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에게 매우 인기있는 소재입니다. 그도 그럴것이 화려한 전과를 자랑하는 정예 사단에서 전쟁 말기에 급조한 빈약한 사단이 함께 존재하며, 인원 구성을 보면 독일인 은 물론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까지 참여하는 등 다채로운 모습을 보이고 있으니 호기심을 자극할 수 밖에 없지요. 무장친위대 출신 참전자들이 주축이 되어 펴낸 무장친위대에 관한 수많은 서적들이 상업적으로도 좋은 성과를 거둔데에는 이런 배경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다 보니 LAH나 다스 라이히 같은 정예 사단은 물론 뭔가 좀 부실해 보이는 사단의 부대사까지 출간되는 실정입니다.


우크라이나인으로 구성된 무장친위대 제14척탄병 사단은 후자 중 하나입니다. 재미있게도 이 별볼일 없어 보이는 사단은 상업적으로 출간된 사단사만 두 권이 있습니다. 홀로코스트 부정론자인 Richard Landwehr가 펴낸 Fighting for Freedom: The Ukrainian Volunteer Division of the Waffen-SS와 Michael O. Logusz가 펴낸 Galicia Division: The Waffen-SS 14th grenadier Division 1943-1945입 니다. 이게 가능한 배경에는 캐나다와 미국에 존재하는 꽤 큰 규모의 우크라이나 이민자 공동체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 중 많은 수는 우크라이나인 무장친위대 출신이기도 합니다. 이 문제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도 계시겠고 이쯤에서 눈치채신 분들도 많으실텐데, 우크라이나인 무장친위대는 꽤 말이 많은 집단입니다.


Journal of Slavic Military Studies 25호에 실린 Per Anders Rudling의 “‘They Defended Ukraine’ : The 14. Waffen-Grenadier-Division der SS(Galizische Nr.1) Revisited”는 이 복잡한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필자는 우크라이나의 우경화와 맞물린 무장친위대 복권 문제를 화두로 이야기를 전개하면서 이 사단의 간략한 역사와 전후 행적을 고찰하고 있습니다. 필자는 오늘날 우크라이나에서 전개되고 있는 우경화에 맞물린 무장친위대의 복권에 깔린 위험한 정치적 의도를 경계하고 있습니다. 유셴코가 우크라이나 대통령으로 있던 시기에 우크라이나의 민족운동 지도자 스테판 반데라Степан Андрійович Бандера를 건국의 영웅으로 추앙하는 분위기가 고조되면서 우크라이나인 무장친위대를 복권시키려는 움직임까지 힘을 받은 바 있습니다. 필자는 유셴코는 무장친위대에 대한 복권까지 나가지는 않았지만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위해 노력한’ 여러 정당과 단체에 대한 복권도 시사했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정부가 우익 운동에 편승했다는 점에서 책임을 면하기는 어렵겠지요. 유셴코의 후임인 야누코비치 대통령 시기에는 반데라를 포함한 우크라이나 독립운동에 거리를 두려는 움직임을 보였지만 우크라이나 서부를 중심으로 한 극우들은 오히려 무장친위대 복권에 더 열을 올립니다. 마치 독립을 전후한 시기 인도에서 찬드라 보스와 인도국민군에 대한 반응과도 비슷하지요. 필자는 우크라이나인 무장친위대를 복권하려는 움직임에 홀로코스트 부정론자들이 함께하는 점을 경계합니다. 실제로 독일에 협력한 우크라이나인 무장단체와 무장친위대는 민간인 학살에 참여한 혐의가 있지만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들은 이를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지요.


필자가 주목하고 있는 또 하나는 캐나다 등 북미에 존재하는 대규모의 우크라이나 이민자 공동체 입니다. 잘 아시다 시피 이중에는 제2차 세계대전 후 이민 온 무장친위대와 무장단체 출신자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들 중 일부는 북미에서 자리를 잡은 뒤 우크라이나 이민자 공동체에서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위치까지 올라갔습니다. 필자는 그러한 사례 중 하나로 2011년에 앨버타 대학에 우크라이나 무장친위대 출신인 세명의 우크라이나계 이민자가 기부를 한 점을 들고 있습니다. 이들은 오랫동안 캐나다 사회에서 우크라이나인 무장친위대의 활동을 찬양하고 정당화 하는데 힘써 왔습니다.


우크라이나 무장친위대에 대한 옹호는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무장친위대 옹호와 맥을 함께 합니다. 무장친위대를 일반친위대와 분리하여 ‘순수한 군인’의 위치에 놓고자 하는 것이지요. 무장친위대의 입장을 반영한 상업 출판물에서는 전쟁범죄와 무장친위대를 분리하려는 움직임을 볼 수 있습니다.(※간혹 오토 바이딩어처럼 적극적으로 무장친위대의 입장을 옹호하고 전쟁범죄를 부인하는 경우도 있지요. 잘 알려져 있는 것 처럼 오토 바이딩어는 다스 라이히 사단사에서 오라두르-쉬르-글랑 학살에 무장친위대가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았다는 논지를 펼쳤고 뒤에는 아예 단행본을 발간하기도 했습니다.)
이 점은 우크라이나인 무장친위대도 마찬가지입니다. 게다가 이들은 전쟁범죄를 부정하면서 여기에 ‘민족주의’를 추가해 비판을 봉쇄하는 무기로 삼습니다. 이 점은 한국에서 일어난 민간인 학살이 반공이라는 방패를 통해 비판을 면하려는 것과 비슷해 보이기도 합니다.


필자의 비판은 꽤 흥미롭습니다. 필자는 우크라이나 무장친위대가 창설될 당시 부터 나치즘의 영향에서 자유롭지 않았으며 전쟁범죄에 대한 책임을 면할수 없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필자는 여기에 냉전 이후 러시아와 폴란드, 우크라이나에서 진행된 홀로코스트 연구가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지적합니다. 이 부분에서는  후타 페냐치카Гута Пеняцька학살을 포함해 우크라이나인 친위대원이 참여한 전쟁범죄 사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후타 페냐치카 학살에 대해서는 폴란드,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연구 결과가 조금씩 차이를 보이고 있고 학살 당시 지휘계통에 무장친위대 제14척탄병사단이 들어가는가의 여부도 여전히 논의의 대상입니다.)
다음으로는 우크라이나인 무장친위대를 옹호하는 측에서 전쟁 말기에 부대의 명칭이 무장친위대에서 우크라이나 국군으로 개칭된 것을 구실로 민족주의적인 성격을 강조하고 나치즘과의 단절을 꾀하는 시도를 비판합니다. 필자는 1945년 4월 28일에 발행된 사단의 신문이 반유대주의 선전으로 가득차 있다는 점을 들어 전쟁의 마지막 순간까지도 우크라이나 무장친위대가 나치즘에 충실했다고 주장합니다.


필자의 지적대로 우크라이나인 무장친위대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에 있습니다. 이 사단의 ‘군사 작전’에 집중한 상업적인 출판물은 오래전 부터 존재했지만 이들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고찰은 이제 시작단계라는 것 이지요. 비슷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우리에게도 몇 가지 생각할 점을 제시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