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6월 29일 금요일

포츠담선언과 일본의 항복에 대한 몇가지 가정

저는 역사에 if를 대입하는 것을 꺼립니다. 재미있는 일이긴 한데 진지하게 하지 못하면 그냥 무의미한 말장난에 불과하니 말입니다. 좀 의미있는 if를 제시하려면 상당한 공부가 필요하지요. 그래서 저는 재미있기는 합니다만 if를 최대한 피합니다.

하세가와 츠요시의 Racing the Enermy : Stalin, Truman, and the surrender of Japan은 포츠담선언 직전 부터 일본이 무조건 항복을 수락하기 까지의 과정을 추적하는 흥미로운 저작입니다. 본문의 내용도 상당히 재미있게 서술되어 있지만 가장 흥미로운 점은 결론부분에 제시한 여러가지의 if 시나리오입니다. 포츠담선언의 내용과 형식에서 소련의 대일참전과 원자폭탄 투하 등 여러가지의 변수들을 고려한 if 시나리오들을 검토하고 있는데 상당히 재미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재미있는 것은 포츠담선언에 대한 if 시나리오 입니다. 저자는 포츠담선언에 관해서는 세가지의 가능성을 검토해보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미국이 포츠담선언문에 일본의 천황제 존속을 명시했을 경우이고 두 번째는 미국이 포츠담선언문에 무조건 항복을 명시하되 소련이 서명국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경우이며 마지막 세 번째는 미국이 포츠담선언문에 천황제 존속을 명시하면서 소련이 서명국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경우입니다. 저자는 이 세가지 경우에 대해 다음과 같은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미국이 포츠담선언문에 천황제 존속을 명시했을 경우입니다. 실제로 이것은 미국 상당수의 미국 외교관들과 군인들의 지지를 받은 안이기도 합니다. 저자는 이 경우에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를 제시합니다. 먼저 미국이 천황제 존속을 명시하더라도 일본 국내의 주전파들이 항복을 받아들이는 것은 가능성이 매우 낮았을 것이라고 봅니다. 다만 천황제 존속이라는 조건 때문에 히로시마에 첫번째 원자폭탄이 투하되었을 경우 주전파가 급속히 힘을 잃고 일본이 항복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었을 것으로 파악합니다.
그 러나 이 시나리오는 미국의 대중여론은 물론 정책 결정권자인 트루먼이 무조건항복을 원했기 때문에 실현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트루먼이 진주만 기습으로 인한 확실한 ‘복수’를 위해 무조건 항복을 선호했으며 결정적으로 원자폭탄을 실전에 사용하기를 원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두 번째는 미국이 포츠담선언문에 무조건 항복을 명시하되 소련이 서명국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일본이 소련을 통해 미국과 교섭하려는 희망을 완전히 잃어버리게 되지만 그래도 주전파로 인해서 원자폭탄이 투하될 때 까지 싸움을 계속할 것 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천황제의 존치문제 때문에 원자폭탄이 투하되더라도 주전파가 논의를 주도할 가능성이 높으며 결국에는 실제 역사와 마찬가지로 소련의 참전은 불가피 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립니다.

세 번째는 미국이 포츠담선언문에 천황제 존속을 명시하는 한편 소련도 서명국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경우입니다. 포츠담선언에 관한 if 시나리오 중 가장 재미있는 시나리오 입니다. 이 경우는 천황제를 유지하는게 가능한데다가 소련의 참전도 확실해 지기 때문에 주전파가 설자리가 없어진다는 변수가 있습니다. 저자는 주전파에서 육해군을 유지하는 것 같은 세부적인 조건을 제시할 수도 있겠지만 영향력은 미미하리라 봅니다. 물론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투하될 때 까지도 주전파를 압도하지 못할 가능성은 있으나 이 경우에는 일본의 항복이 앞당겨질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그러나 이것은 트루먼과 번즈가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추구하고 있었으며 스탈린 또한 동아시아에서 이권을 획득하기 위해 참전을 갈망하고 있었기 때문에 실현가능성이 가장 낮다고 결론을 내립니다.

저자는 이렇게 세가지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것들이 왜 실제로는 실현되기 어려웠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if 시나리오를 제시하면서 이것을 통해 실제 역사가 왜 그러한 방향으로 흘러갈 수 밖에 없었는지를 말하고 있는 것이죠. 꽤 흥미로운 서술 방식입니다.

댓글 2개:

  1. 일본이 빨리 항복했으면 만주는 잃어도 한반도는 독립이 힘들지 않았을까요?

    답글삭제
    답글
    1. 그러진 않았을 겁니다. 이미 전시 회담에서 조선의 독립문제는 결정되었으니 말입니다. 미국의 전후정책도 구체제를 청산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고요.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