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1월 19일 목요일

판필로프의 28 근위대원 등 소련의 전시 프로파간다에 대한 잡설


소련의 유명한 전쟁 영웅담인 판필로프의 28 근위대원이 종군기자에 의해 날조된 이야기라는 점은 이제 역사학계에서 '거의' 공인된 사실입니다. 물론 러시아 내에서는 다른 날조된 영웅담들을 옹호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어떻게든 진실을 부정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긴 합니다만 그건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멍청한 짓에 불과하죠.

하지만 판필로프의 28 근위대원이 날조된 선전에 불과하다고 해도 무의미한 비웃음거리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바르바로사 작전에 관한 네권의 연구서를 낸 데이빗 스타헬(David Stahel)은 마지막권인 The Battle for Moscow(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의 144쪽에서 판필로프의 28 근위대원 이야기에 대해 '비록 날조된 이야기이지만 이로인해 다른이들이 용기를 내 분투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꽤 공정한 시각이라는 생각이 드는군요.

사실을 날조하는 것은 비단 전쟁 초기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닙니다. 소련쪽 주장과 독일 자료를 교차검증해 보면 어떨때는 한심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소련군의 전술적 졸렬함은 구제불능 수준입니다. 러시아 역사가 발레리 자물린은 전쟁 당시 소련군 내에서는 기록의 과장과 날조가 만연해 있었다고 지적하기도 합니다. 나중에 따로 이야기를 해 보고 싶은데, 사실 독일군의 전력을 과장해서 소련군의 많은 손실을 정당화 하려는 경향은 현대의 러시아 연구에서도 간혹 나타납니다.

이런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소련이 수많은 이들의 용맹과 희생을 통해 승리를 거둔 것 또한 명백한 역사적 사실입니다. 전쟁이라는 상황에서, 특히 적군이 수도의 코 앞에 육박해온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판필로프의 28 근위대원과 같은 영웅담이 날조된 것은 어쩔수 없는 결과였을 것 입니다. 그리고 이와 비슷한 수많은 날조된 영웅담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런 사실들을 인정하는 것이 소련인들이 거둔 승리의 의미를 깎아내리는 것은 아닐 겁니다.

댓글 9개:

  1. 스탈린의 공포정치와 관계없이 러시아인의 순수한 애국심은 1812년이나 1941년이 같은거 같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굳이 스탈린 체제의 프로파간다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감동적인 이야기가 많은데, 어째서 푸틴 행정부는 퇴행적인 짓을 골라하는지 알수가 없습니다.

      삭제
  2. 뭐... 우리도 이제서야 육탄10용사를 비롯한 프로파간다를 제대로 밝힌다고 하네요.http://m.news.naver.com/read.nhn?sid1=100&oid=032&aid=0002759680&mode=LSD

    답글삭제
    답글
    1. 심일 소령 문제에 관해서도 이야기 할 게 몇개 있는데, 돌아가는 꼴이 좀 한심하군요. 의견이 맞지 않는다고 특정 분야의 전문가들을 비하하는 댓글 투성이이니.

      삭제
    2. 요즘 세상이 좀 그렇죠. :(

      삭제
  3. 질문하나 드립니다. 빌헬름 카이텔의 직함이 국방군 총사령관 인가요 아니면 국방군 총사령부 부장인가요?

    답글삭제
    답글
    1. 국방군 총사령관(Oberbefehlshaber der Wehrmacht)는 아돌프 히틀러입니다. 카이텔은 OKW라는 사령부 조직의 장(Chef des Oberkommandos der Wehrmacht)이니 총사령부 부장 정도로 옮겨도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Chef des Oberkommandos der Wehrmacht는 국내에 통일된 번역안이 없으니 저도 고민을 좀 해봐야 겠습니다.

      삭제
    2. 가능하시면 번역자 모임이 있을때 한번 모시고 싶습니다만.

      삭제
  4. 아이고 저는 엉터리 입니다.
    카이텔 직책이 별거 없었군요. 히총통은 국방군총사령관 겸 육군총사령관 겸 한때는 A군집단사령관 까지 ㅠㅠ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