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는 솜(Somme) 전투를 다룬 책 중에서 The Battle of the Somme : A Topographical History를 소개했습니다. 오늘 이야기 할 책도 역시 솜 전투에 대한 책인데 의 Gliddon의 책 보다는 평범한 형식입니다.
지난번에도 적었듯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유명한 소재를 글의 주제로 삼는 것은 위험한 일 입니다. 아주 잘 쓸 자신이 없다면 좀 특이한 방식으로 접근하던가 하는 쪽이 덜 위험하지요. 그런 점에서 오늘 이야기할 프라이어(Robin Prior)와 윌슨(Trevor Wilson)의 The Somme은 아주 과감한 저작입니다. 저자들은 1차 사료를 바탕으로 솜 전투를 정면으로 다루면서 기존의 연구와는 조금 다른 관점에서 영국군의 실패 요인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사료적 토대가 탄탄하기 때문에 읽는 재미가 매우 쏠쏠한 좋은 책 입니다. 제가 읽은 솜 전투에 대한 저작 중 가장 최근의 연구성과라는 점도 언급해야 겠군요.
저자들은 매우 용감한 접근방법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주된 분석대상으로 삼는 것은 솜 전투의 입안과정과 솜 전투 첫날을 포함한 초기의 전투입니다. 전투 첫날에 대해서는 미들브룩(Martin Middlebrook)의 The First Day on the Somme 같은 유명한 저작이 있다 보니 더 쓸만한 것이 있나 싶은데 저자들은 신통하게도 기존 연구들과는 다른 관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과연, 탄탄한 자료에 기반한 글의 강점은 이런 것이다 싶더군요.
솜 전투에 대한 많은 저작들이 독일군의 기관총에 학살당하는 밀집대형의 영국군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데 저자들은 그런 이미지는 완전히 틀린 것은 아니지만 전쟁 중과 전쟁 직후에 출간된 부정확한 저작들의 서술이 과장되게 수용된 면이 있다고 지적합니다. 실제로 이날 공격에 나선 영국군 보병부대들은 손실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공격대형을 훈련 받았습니다.
저자들이 주목하는 것은 솜 전투 초기 영국군의 포병 운용의 실패입니다. 먼저 공격 개시 전에 수일간 계속된 공격준비사격이 매우 형편없이 진행되었고 또 공격 당일의 공격준비사격과 이후 보병의 공격과정에서 진행된 탄막사격이 거의 효과가 없었다는 것 입니다. 즉, 영국군의 공격준비사격은 강력한 독일군의 제1방어선에 심각한 타격을 주기에는 부족했고 또 독일 포병에 대한 제압도 거의 이뤄지지 못했습니다. 또 7월 1일 공격 당일의 포병 운용도 매우 형편없었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영국 8군단이 대표적인 사례인데 8군단의 공격을 지원하는 포병은 독일군의 제1방어선이 제압되지 않았는데도 후방의 독일군 진지로 포격을 돌리는 바람에 제1방어선의 독일군은 방어준비를 갖출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공격준비사격이 독일포병에 거의 피해를 주지 못했기 때문에 독일 포병은 영국군 보병부대가 돌격해 오자 바로 맹렬한 포격을 퍼부어 영국군에 기관총 만큼이나 큰 피해를 입힐 수 있었다고 지적합니다. 저자들은 영국군의 공격준비사격은 독일군의 제1선 방어진지와 철조망, 후방의 독일 포병 어느 하나에도 충분한 타격을 입히지 못했고 그 결과는 공격 첫째 날의 가공할 손실로 나타났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공격 첫날의 형편없는 포병운용과는 반대의 사례로 제시되는 것은 7월 14일의 공격입니다. 저자들은 이날 영국군의 포격이 독일군의 제2방어선과 후방의 독일 포병에 상당한 타격을 가할 수 있었다는 점에 주목합니다. 제2방어선이 제1방어선에 비하면 방어력이 취약한 면도 있었지만 포병이 공격에 앞서 2중으로 구축된 철조망선을 뚫은 것은 이날의 공격이 상당한 성과를 거두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것 입니다. 저자들은 14일의 전투와 같이 영국군 보병은 충분하고 효과적인 화력지원을 받았을 때 매우 양호한 전과를 거뒀음을 지적합니다. 특히 1915~16년에 편성된 전투경험이 없는 사단들 조차도 훈련 상태에 비하면 양호한 전투능력을 보여줬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기존의 저작들과는 반대되는 평가여서 재미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구성 면에서도 꽤 높은 점수를 줄 수 있습니다. 각 장의 분량이 짧아서 가독성이 매우 좋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