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핵무기 운용
금번 훈련에서 일반적으로 핵무기의 전술적 운용이 원만하지 못하였다는 것을 지적하고 싶다.
이 거대한 파괴력의 핵무기를 정확하게 사용하였을 때 비로소 결정적으로 전과를 확대할 수 있으므로 무엇보다 선결문제는 정확한 핵표적의 선정을 하여야만 되는 것이다.
핵 표적 선정방법은 육군대학을 졸업한 장교는 이미 기지(旣知)의 사실이지만 여기에 개략적이나마 간단히 소개하여 본다면 G-2, G-3에 의하여 잠재표적을 설정하고 다음 이것에 의하여 잠정표적을 선정한다. 이것이 완료되면 핵무기의 배당수에 따라 실제 부대가 기동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표적의 우선순위를 결정 타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역시 임기(臨機)표적이나 요청사격을 위하여 보유되는 예비량의 핵무기 사용도 표적선정에 있어서 확실한 정보에 의하여 심중(深重)한 판단으로서 정확한 요청사격을 하여야 하는 것이다.
금번 기동훈련에서도 볼 수 있었지만 적의 이동표적이나 적에 관한 첩보의 불확실한 것으로 말미암아 핵무기의 요청사격이 몇번이나 각하 당하는 예가 있었다. 또 한가지의 결함으로서는 이 거대한 파괴위력을 가진 핵무기의 사격이 기동계획과 결합되었을 때 전과확대의 최대효력을 발휘할 수가 있는 것인데 기동계획과 협조되지 않는 핵무기 일방의 사격은 가치있게 사용되었다고는 할 수 없으며 이번 훈련기간을 통하여 목격한 결함을 지적할 수가 있다.
金黃鳳, 「第1軍 機動訓練에 對한 小考」, 『軍事平論』22(1962. 1), 49쪽
그리고 아군이 핵무기에 타격 받았을 경우의 대응에 대한 논평도 흥미롭습니다.
6. 핵 상황하에서의 사체처리 및 후송 문제
핵무기 1발로 1개 중대병력이나 수개 대대병력까지 순시간(瞬時間)에 사상 및 파괴시킬 위력을 보유하고 있음은 이미 주지하고 있는 사실이다. 이번 훈련은 핵 상황하에서 실시되었다는 것은 수차 말한 바 있고 또 핵무기 투발로 인하여 이번 훈련에 많은 인원 및 장비가 사상되고 파괴된 상황이 있었다.
이와 같이 일시에 다수의 인원이 사상을 당하였을 때 지휘관이나 참모의 조치가 대단히 막연한 입장에 처해 지는 것이다. 1개 중대 및 기타의 병력이 완전히 손실을 입었을 때 손실병력에 대한 보충이나 예비대로서 대치하는 등의 전술적 문제는 용이하게 해결시킬 수 있을지 모르나 사상자의 처리와 후송에 관하여 심각하게 고려되어 있지 않는 것을 지목할 수 있었는데 이 문제에 대해서는 소홀히 할 과제가 아닐 것으로 본다.
이 문제에 부가해서 말할 것은 사단의무중대나 연대의무중대 등이 장차의 핵상황하에서 전기한 바와 같은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였을 시 현재의 편제병력과 장비로서 능히 처리할 수 있겠는가를 고려하여 볼 때 편성면에서나 장비면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처리 및 후송문제에 이르는 기술적인 면도 연구되어야 하겠다.
金黃鳳, 「第1軍 機動訓練에 對한 小考」, 『軍事平論』22(1962. 1), 51쪽
저도 관련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접한 것은 이것이 처음인데 추후 1950년대부터의 핵무기 운용에 관한 자료들을 모아서 정리해 본다면 꽤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