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3월 10일 일요일

2차대전기 미영 연합군의 전차 손실에 대한 통계 :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

늘 그래왔듯 통계 몇 개로 때우는 땜빵 포스팅 한개 나갑니다.

2차대전 시기 셔먼으로 대표되는 미영연합군의 기갑차량들은 거의 대부분 야라레메카라는 칭호가 아깝지 않은 물건들이었습니다. 다들 아시다 시피 셔먼이 유별나게 문제가 많은 물건이라기 보다는 주적인 독일군의 대전차 화력이 워낙 강력하다 보니 어쩔 수 없는 일이긴 했지만 말입니다. 관련된 이야기는 워낙 잘 알려져 있고 제 블로그에서도 몇차례 이야기를 했으니 “또 저 이야기냐?” 하실 분도 많을 듯 싶습니다. 그래도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 보는 것은 꽤 재미있는 일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 포스팅에서 다룰 자료는 1951년 3월 31일 발행된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입 니다. 이 보고서는 방대한 표본조사를 통해 작성되어 신뢰도가 상당히 높은 편으로 지금까지도 널리 인용되고 있습니다. 주된 내용은 군사사에 관심을 가진 분들이 좋아할 만한 기갑차량의 손실 원인에 대한 분석으로 손실원인, 화기의 종류, 승무원의 사상률 같은 통계를 많이 담고 있습니다. 이 짧은 포스팅에서 보고서의 내용을 다 다룰수는 없으니 몇가지 흥미로운 통계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해 보지요.(이 포스팅에서 다루지 못하는 내용은 앞으로 조금씩 다뤄보겠습니다.)


1. 연합군 전차의 손실 원인

제일 먼저 연합군 기갑차량의 전투 중 손실 원인에 대한 통계입니다. 유럽전선에서의 손실은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표의 출처는 모두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2]

표1.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미영연합군의 전차 손실(1941~1943)

표본
포격
지뢰
판처파우스트
/판처슈렉
박격포
기타
원인불명
미군
(1942~1943)
277
59
19
0
0
14
159
영국군
(1941~1943)
1,718
1,381
260
0
2
74
0
프랑스군
(1943)
39
30
9
0
0
0
0

표2. 시칠리아와 이탈리아 전선에서 미영연합군의 전차 손실(1943~1945)

표본
포격
지뢰
판처파우스트
/판처슈렉
박격포
기타
원인불명
미군
(1943~1945)
743
234
139
37
3
42
134
영국군
(1943~1945)
926
449
189
59
13
25
167
캐나다군
(1943~1945)
739
176
102
12
4
16
152

표3. 서유럽 전선에서 미영연합군의 전차 손실(1944~1945)

표본
포격
지뢰
판처파우스트
/판처슈렉
박격포
기타
원인불명
미군
(1944~1945)
4,257
1,738
614
412
25
143
809
영국군
(1944~1945)
1,685
929
419
179
7
67
63
캐나다군
(1942~1945)
845
279
74
46
8
31
224

서유럽 전선에서는 판처파우스트와 판처슈렉에 의한 손실이 상당히 높게 나타납니다. 2011년에 올렸던 베를린 전투 당시 소련군의 전차 손실 원인에 대한 글에 서도 언급했지만 전쟁 후반기에는 독일군의 보병용 대전차 화력이 증대되면서 연합군 전차에 상당한 위협을 주게 됩니다. 참고로, 이 보고서에 따르면 연합군의 기록에서 판처파우스트에 의한 전차 손실이 보고된 것은 1944년 2월 이라고 하는군요. 훗날 주한미군사고문단장을 역임하는 로버츠 준장은 1945년 4월 21일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판처파우스트는 이번 전쟁에서 우리가 경험한 적의 대전차 무기 중 가장 지독한 물건이다. 이 무기는 아군의 모든 전차를 격파할 수 있는데다 경험이 부족한 사람도 쉽게 다룰 수 있다. 현재 아군의 전차를 위협하는 유일한 무기는 판처파우스트다.”라고 평했습니다. 실제로 연합군의 라인란트 전역에서 발생한 전차 손실의 25~35%가 판처파우스트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는군요.1)

다음으로는 태평양 전선의 기갑차량 손실입니다. 이 지역은 유럽과 달리 대규모의 기갑전력이 투입되지도 않았고 손실도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지만 나름 흥미로운 조사 결과를 보여줍니다.[마찬가지로 표의 출처는 모두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2]

표4. 인도-버마 전선에서 영연방군의 전차 손실

표본
포격
지뢰
HEAT
박격포
기타
원인불명
영연방군
(1945)
102
64
19
9
0
3
7

표5. 태평양 전선에서 미군의 기갑차량 손실

표본
포격
지뢰
HEAT
박격포
기타
원인불명
미육군
(1944~1945)
393
134
113
0
7
92
9
미해병대
(1942~1945)
416
121
101
0
8
53
28

표5를 보시면 태평양 전선에서 유독 “기타” 손실이 높게 나타납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태평양 전선의 “기타” 손실에는 일본군 보병의 육박공격이 상당수 포함되는 모양입니다.2)




2. 연합군 전차의 피격 부위

다음은 피격 부위에 대한 통계입니다. 이 보고서에서는 포격과 (판처파우스트 류의) 보병용 대전차화기가 전차의 어느 부분에 명중했는지를 분석한 통계도 실려있습니다. 그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표6. 포격에 의한 연합군 전차의 피격 부위

표본
포탑
차체
서스펜션
미군
(서유럽 1)
784
247
408
123
미군
(서유럽 2)
284
88
145
51
미군
(이탈리아)
23
7
9
7
영국군
(서유럽)
320
104
166
50
영국군
(이탈리아)
24
10
12
2
영국군
(북아프리카)
31
15
4
12
[출처 :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10, p.21. 미군의 통계 중 서유럽 1은 제1군에서 집계한 통계이며 서유럽 2는 제3, 7, 9군의 통계를 합산한 것이다.]

표7. 보병용 대전차 화기에 의한 연합군 전차의 피격 부위

표본
포탑
차체
서스펜션
미군
(서유럽 1)
119
45
67
7
미군
(서유럽 2)
52
18
28
6
미군
(이탈리아)
1
0
1
0
영국군
(서유럽)
145
76
57
12
영국군
(이탈리아)
4
2
1
1
[출처 :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12. p.22]

그리고 조금 더 상세하게 조사한 내용이 있습니다. 격파된 107대의 셔먼을 분석해서 피격 부위와 관통 유무를 정리한 것인데 아주 재미있습니다.

표8. 셔먼 전차의 피격 부위와 관통 유무

명중
관통
방어
차체후부 상면
2
2
0
포탑 측면
28
14
14
차체상부 측면
47
42
5
차체하부 측면
27
27
0
포탑 정면
13
10
3
차체 정면
30
22
8
[출처 :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figure 12.]

방어력이 가장 강력한 포탑 정면과 차체 정면도 명중 당하면 관통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약간 의외인 것은 포탑 측면의 경우 상대적으로 관통이 안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인데 전체적인 평가에 영향을 끼칠 수준은 아니로군요. 다 아는 이야기지만 셔먼 전차는 일단 독일군한테 맞으면 뚫린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연합군 전차를 격파한 추축군 화포의 구경

다음으로는 추축군 화포의 구경에 따른 손실입니다. 북아프리카와 이탈리아 전선은 표본의 숫자가 상당히 적습니다. 서유럽 전선의 통계도 표본이 충분하다고 생각되지는 않지만 일정한 경향은 보여주는 듯 합니다. 독일군이 노획 무기를 광범위하게 사용해서 그런지 서유럽전선에서 조사된 통계는 화포의 구경이 잡다합니다.

표9. 연합군 전차를 격파한 추축군 화포의 구경(북아프리카 전선)

미군
영국군
47mm
5

50mm
1
15
75mm
2
10
77mm
1

88mm

110
105mm

1
210mm

4
[출처 :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16, p.28]

표10. 연합군 전차를 격파한 추축군 화포의 구경(이탈리아 전선)

미군
영국군
캐나다군
50mm

2
2
57mm
1


75mm

20
13
88mm
1
16
5
105mm


1
150mm
1


155mm


1
[출처 :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15, p.28]

표11. 연합군 전차를 격파한 추축군 화포의 구경(서유럽 전선)

미군
영국군
캐나다군
20mm
3

2
37mm
2

16
40mm
3


47mm
3


50mm
1
3
1
57mm
6


75mm
290
34
9
76mm
12


77mm
1


88mm
224
81
95
105mm
24
1

150mm
13


155mm
5


170mm
2


178mm
7


210mm
1


240mm
2


[출처 :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14, p.27]


4. 유럽전선 전차 승무원의 피해

이 보고서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전차가 격파될 경우 사상자는 얼마나 발생하는지 조사를 했다는 것 입니다. 보고서 작성자들이 사용한 표본은 유럽전선에서 격파된 미군의 중형전차 274대(승무원 1370명)와 경전차 48대(승무원 192명) 입니다. 보고서 원문에는 손실 원인별 인명손실이 자세하게 분석되어 있는데 이것까지 다루면 구글문서도구에서 다루기 곤란할 정도로 표가 복잡해 지니 단순하게 정리한 통계를 올립니다.

표12. 미군의 중형전차 전차병 손실(괄호는 사상자에서 차지하는 비율)

전사
부상
행방불명
무사함
전차장
36(23.1%)
108(69.2%)
12(7.7%)
118
사수
38(27.1%)
90(64.3%)
12(8.6%)
134
장전수
30(21.4%)
95(67.9%)
15(10.7%)
134
조종수
31(24.2%)
86(67.2%)
11(8.6%)
146
전방기관총수
36(27.3%)
87(65.9%)
9(6.8%)
142
[출처 :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20, p.38]

표13. 미군의 경전차 전차병 손실(괄호는 사상자에서 차지하는 비율)

전사
부상
행방불명
무사함
전차장
13(43.3%)
17(56.7%)
0
18
사수
12(38.7%)
18(58.1%)
1(3.2%)
17
조종수
13(40.6%)
19(59.4%)
0
16
전방기관총수
14(43.8%)
18(56.2%)
0
16
[출처 :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Table 21, p.39]

역시 전차의 손실 원인과 비교하면 포본이 충분하지 못합니다. 그래도 한가지 재미있는 점이 보이는데 썩어도 준치라고, 중형전차인 셔먼의 승무원이 스튜어트 보다는 안전하다는 점 입니다. 스튜어트 전차의 승무원은 전차가 격파될 경우 전사하거나 부상당하는 비율이 65.1%에 달하지만 셔먼 승무원은  50.8%입니다.(;;;;;;;) 게다가 스튜어트는 전사하는 비율이 사상자의 41.6%지만 셔먼은 24.6%로 사망률이 월등히 낮습니다.(물론 판터와 판처파우스트에 시달리던 전차병 본인들에겐 별 위안이 안됐겠지만 말이죠.)




1) Technical Memorandum ORO-T-117, Survey of Allied Tank Casualities in World War II(1951. 3. 31), pp.9~10.
2) Ibid., p.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