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규영(卞圭瑛)씨(당시 제6사단 19연대 1대대 1중대 1소대장 소위·예비역 중령·현 석공 원주주재 사무소장·49)
6사단 본부 군수처에서 상사로 근무하면서 신녕(新寧)까지 후퇴했다가 장교가 모자라 8월 30일에 현지임관되어 소대지휘를 맡았읍니다. 영천으로 가는 신녕 고개 위에 배치되어 있었는데 적 16연대가 10여대의 탱크로 공격해서 19연대는 큰 피해를 봤어요. 적 탱크 때문에 장병의 사기가 말이 아니었어요. 적 탱크 포탄이 30리 떨어진 영천 읍내까지 날아갔으니까요.
9월 4일께인데 새벽 1시에 10여대의 적 탱크가 헤드라이트를 켠 채 일렬종대로 신녕고개 위로 올라왔어요. 아군이 다 후퇴한 것으로 알았는지 보병엄호도 없이 아주 유유히 올라와요. 내 소대원들은 겁이 나서 벌벌떨어요. 군수처의 일을 보았기 때문에 나도 이때 처음으로 적 탱크를 보았지만 춘천에서부터 저놈 때문에 사단이 쫒긴 생각을 하니 이가 부드득 갈립디다. 한번 겨루어보자는 결심이 생겼어요. 강성의(姜成義, 전사), 河모 등 2명의 일등중사에게 수류탄 10여발씩을 주고 나를 따르라고 했어요. “내가 혼자서 탱크에 기어오를테니 너희들은 나에게 수류탄을 공급하고 엄호사격을 하라. 그리고 내가 죽거들랑 결혼 6개월된 마누라에게 죽은 날짜나 알려줘라”고 당부했어요.
고갯길을 내려가 길가에 엎드려 있는데 모두 14대의 탱크가 우르렁거리며 지나가요. 탱크들이 나의 매복지점 앞을 지나가는데도 겁이 나서 떤 것은 아닌데 뛰어오르기가 마땅치 않아요. 그냥 엎드려 기회를 보았지요. 좀 있으려니 도로파괴용 매설지뢰가 폭파하여 5미터 직경의 큰 웅덩이가 파지며 선두 탱크가 처박힙디다. 그러니 뒤따르던 탱크들이 차례로 정지해요. 이어 도로지뢰 폭파지점에서 3백미터 아래의 교량에 설치된 TNT가 터졌어요. 그러니까 또 한 대가 개울에 떨어지더군요. 이렇게 해서 모두 8대가 꼼짝 못하게 됐고 나머지 꽁무니의 6대는 도망칩디다. 앞 탱크의 뚜껑이 열리면서 적병들이 기어나오는 것을 셋이서 카빈으로 사살했어요.
이어 나 혼자 뛰어나가 다음 탱크의 뚜껑을 주먹으로 두드렸어요. “야! 빨리 열어” 했더니 저희 편인 줄 알고 뚜껑을 엽디다. 수류탄 1발을 집어넣었죠. 이런 식으로 차례로 부쉈는데, 마지막 탱크에서 눈치를 챘어요. 길가에 엎드려 있는 사병한테서 수류탄을 받아서 달려드는데 기관총을 냅다 쏩디다. 엎드리며 굴러 길가에 숨었다가 다시 탱크에 올라서서 뚜껑을 두드리며 “너희 편 탱크는 다 죽었다. 문 열고 나오라”고 했더니 장교 1명과 사병 4명이 손을 들고 나와요.
이때 동이 트고 있었는데 김익렬 연대장, 김종오 사단장, 미군 고문 등 많은 19연대 장병들이 고개 위에서 내려다 보고 있었어요. 나 혼자서 모두 적 탱크 6대(지뢰에 걸린 것 까지 8대)를 부수거나 생포했어요. 거짓말 같지만 사실이에요. 보병의 호위 없이 좁은 고갯길에서 탱크는 맥을 못써요. 이 전공으로 나는 임관 7일만에 중위로 특진하고 을지무공훈장을 받았읍니다.
다시 영천 동북쪽 포항가두(지금의 제2육사 근처)에서 영천공방전을 하다가 적 포탄에 오른쪽 다리가 날아갔어요. 탱크 부술 때 같이 나갔던 강성의 중사는 이때 전사했는데 강 중사는 6·25전에 북에서 혼자 월남한 사람이에요. 단독으로 수색활동을 귀신같이 잘하던 사람인데 지금도 내가 그 사람의 사진을 꼭 갖고 다니지만, 통일된 후에나 찾아갈 사람이 혹 나타날는지요.
中央日報社, 『民族의 證言: 2권』 을유문화사, 1972, 282~284쪽
변규영씨의 증언 내용은 한국군에서 간행한 공간사와 약간 차이가 있으니 공간사의 해당 전투에 대한 서술도 함께 소개합니다. 일단 날자가 다릅니다. 물론 이 정도는 기억의 착오라고 할 수 있겠죠. 국방부 공간사에도 변규영씨가 대전차 특공대를 지휘한 사실은 확인되지만 세부적인 전투 양상이 다릅니다.
다음날(9월 1일) 21:00쫌 적은 전차 2대와 보병 1개 소대로 편성된 보전 협동부대로 공격을 개시하였으나 아군 포화가 집중되자 곧 고개 중턱에서 철수하였다. 날이 밝은 뒤 대대장은 전날 밤의 교전 상황을 여러 각도로 분석한 결과 이는 적의 차기 작전을 위한 위력수색이라고 판단하고 적정을 수집하기 위하여 대대 수색대를 적 지역에 침투시켰다. 이날 오후 행동을 개시한 대대 수색대는 덕천-인각사(麟覺寺)-화수동 일대의 적정을 수색하였으나 적 부대 배치 지점 가까이 접근하지 못한 때문인지 그들이 공격을 개시할 뚜렷한 징후는 포착되지 않았다.이러한 수색활동을 끝마친 대대 수색대는 대대로 복귀 도중 넌덧마을 뒷산 고개에서 피난가지 않고 그 마을에 남아 있던 장임실(張任實, 당시 64세) 외 2, 3명의 노인을 만났다. 그들은 수색대원들을 보자 반가와서 눈물을 글썽거리며, "오늘 새벽 우리 동네에 많은 인민군과 열 서너 대의 전차가 왔네. 그들은 오늘 밤에 큰 싸움이 벌어진다고 하면서 우리들보고 마을에서 떠나라고 했네. 그래서 지금 우리 늙은이들은 덕천으로 피난가는 중이네"라고 그들이 직접 보고 들은 바 그대로의 적정을 알려 주었다. 그 노인들의 말대로라면 두세시간 이내에 적이 공격을 개시하게 될 것이라고 판단한 수색대장은 고맙다는 한 마디를 남기고 지름길로 달린 끝에 노을이 질 무렵에는 대대장에게 수색결과를 보고하였다.
대대장은 넌덧마을 노인들이 전해 준 첩보는 비록 신빙성이 희박하다고는 하지만 전날 밤의 적 위력수색과 일맥상통한 데가 있다고 생각하고 지체없이 작전회의를 소집하여 다음과 같이 적의 보전협동공격에 대한 대응책을 강구하였다.
1. 적 전차가 갑령 고갯마루에 설치된 대전차지뢰지대에 들어설 때 까지 사격을 엄금한다.
2. 적 선두 전차가 파괴되면 즉시 넌덧마을-갑령고개 중턱 일대에 지원포병의 화력을 집중하며, 대대내의 모든 화기도 일제히 사격한다.
3. 전차특공대는 갑령 고개의 두 번째 도로, 굴곡 지점 서쪽 능선에서 매복대기할 것이며, 아군 포병 지원사격이 끝나는 즉시 적 후미 전차부터 먼저 공격한다.
4. 각 중대는 전차특공대가 적 전차를 공격할 때 이를 엄호한다.
5. 사격개시 신호: 예광탄 3발.
그로부터 약 1시간이 경고한 20:00쯤 적의 공격준비사격이 대대 방어지역에 집중되기 시작하더니 5, 6분이 경과하자 맹렬하기 이를 데 없는 포격으로 아군 방어진지를 강타하였다. 이 바람에 대대 방어진지는 잠깐 동안에 초연으로 휩싸이고 사상자가 속출하였다. 이런 소용돌이 속에서 어느 중대장은 대대장에게 철수를 건의하는가 하면, 제3중대와 대대간의 통신이 두절되어 적정 파악마저 어렵게 되었다.
바로 이 때쯤 넌덧마을 부근에서는 수 미상의 적 전차가 요란한 엔진 소리를 내면서 공격을 개시하였다. 이렇듯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상황하에서 대대장은 철수 건의를 단호하게 물리치고 오직 방어진지의 사수를 강조하여 마지 않았다.
약 30분간에 걸친 적의 포격이 대대 방어지역 후방으로 연신된 얼마 뒤, 드디어 적 선두 전차가 어렴풋한 달빛 아래 그 모습을 드러내었다. 하지만 아군 진지에서는 총 한 방 쏘지 않고 쥐죽은 듯 잠잠하기만 하였다.
고갯마루 20m 앞 까지 육박한 적 선두 전차는 그를 지켜보는 수많은 시선을 알아차리기라도 한 듯 지뢰지대 전방에서 일단 정지하더니 헷치를 열고 상반신을 전차 밖으로 내민 전차장이 두리번거리며 주변을 살피기 시작하였다.
대대 관측소와의 거리는 불과 50m 안팎! 이 광경을 보다못한 어느 병사는 총을 겨냥하고 이것을 제지한 대대 작전장교의 손은 떨고 있었다. 잠시 뒤에 적 선두 전차가 다시 움직이자 그 후방 300~400m 지점에서 정지했던 2번 전차도 뒤를 따랐다. 몇 초 뒤 "쾅"하고 천지를 진동하는 폭음과 함께 적 선두 전차가 길 옆으로 비스듬히 전복되었다.
그 직후 대대 관측소에서 예광탄 3발이 발사되어 붉은 포물선 세줄이 밤하늘을 수놓았다. 순간 대대의 모든 화기가 일제히 불을 뿜었으며, 넌덧마을-갑령 고개 중턱에는 제16포병대대의 일제사격(TOT)이 집중되었는데 동 대대 포격은 신속하고 정확하여 매우 큰 위력을 발휘하였다.
약 20분이 경과하였을 때 쯤 대대장은 모든 사격을 중지시켰다. 이 때를 기다리던 변 소위는 전차특공대를 지휘하여 두 번째 굴곡 지점에서 후진중인 적 후미 전차에 3.5inch 로켓탄을 집중사격한 것을 필두로 고개 아래에서 차례로 적 전차 7대를 파괴하고 승무원 다섯 명을 사로잡았다.
이 날 밤의 적 공격은 단 1회로 끝이 났다. 갑령 고개에서 파괴된 적 전차 8대 중 승무원이 전차 안에서 전사한 전차는 선두와 후미 전차 두 대였고 전차특공대에 대항을 시도한 전차는 단 한대 뿐이었다. 나머지 다섯 대의 승무원들은 아군 포격이 집중될 때 이미 탈출했는지 전차특공대가 접근하였을 때에는 전차 내부가 텅 비어 있었다. 동이 튼 얼마 뒤에 대대는 전장을 정리하여 증강된 1개 중대 규모의 적 시체를 확인하고 트럭 2대분이 되는 각종 화기를 노획하였다. 대대장은 갑령 고개 북쪽에도 적 전차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미군 전방항공통제장교에게 항공지원을 요청하도록 협조하였다.이리하여 06:00쯤 갑령고개 상공에 나타난 우군기는 갑령고개-화수동과 그 북쪽 28번 도로상에 있는 적 전차에 네이팜탄을 투하하여 이를 모두 불태웠다. 신녕전투가 끝난 뒤에 확인된 바에 따르면 이 일대에는 제19연대 제1대대가 파괴한 8대를 포함하여 총 21대의 적 전차가 파괴되어 있었다고 한다.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신령ㆍ영천전투』 , 1984, 161~16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