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당시 전차전은 주로 1950년 7~10월 사이에 일어났고, 전차는 대부분의 기간에 보병 지원 임무에 투입되었습니다. 그리고 7~10월 사이의 전차전도 대부분 소대 이하의 규모로 전개됐습니다. 그래서 당시 미군 전차들은 화력지원을 위해 고폭탄 중심으로 탄을 탑재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낙동강 전선에서 격전이 벌어지던 8월 말, 미 8군 소속 전차대대들의 전차 포탄 보유 현황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표. 1950년 8월 31일 미 8군 소속 전차대대의 전차포탄 보유현황
| 
73대대 | 
70대대 | 
6대대 | 
89대대 | 
72대대 | ||
| 
76mm | 
76mm HE | 
- | 
4,753 | 
- | 
5,618 | 
4,033 | 
| 
76mm APCT | 
- | 
- | 
- | 
933 | 
671 | |
| 
76mm HVAP | 
- | 
790 | 
- | 
136 | 
98 | |
| 
76mm 백린연막탄 | 
- | 
667 | 
- | 
786 | 
566 | |
| 
90mm | 
90mm HE/ MT신관 | 
1,372 | 
386 | 
1,286 | 
353 | 
600 | 
| 
90mm HE/ PD신관 | 
3,070 | 
863 | 
1,075 | 
767 | 
1,343 | |
| 
90mm HE | 
1,960 | 
563 | 
1,875 | 
500 | 
875 | |
| 
90mm APCT | 
946 | 
266 | 
887 | 
236 | 
444 | |
| 
90mm HVAP | 
99 | 
28 | 
93 | 
22 | 
43 | |
| 
90mm 백린연막탄 | 
209 | 
59 | 
196 | 
45 | 
91 | |
“Ordnance Daily Activity Report”(1950. 8. 31), War Diary: Headquarters Eighth United States Army Korea(1950. 8. 31), RG407 Records of the Adjutant General's Office U.S. Army: Command Reports, 1949 - 1954(Entry NM3 429), Eighth Army(EUSAK).
철갑탄 대비 고폭탄의 비중이 매우 높은 것이 명확히 드러납니다. 실제 포탄 소모량에 대한 기록이 있으면 더 명확한 그림을 그릴 수 있겠지만, 보유량만 가지고도 당시 미군 전차 부대의 운용 양상을 짐작할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