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궁기병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궁기병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1년 1월 8일 토요일

기병에 관한 한국 전통군사사 논문 한 편

한국 전통군사사에 대한 논문을 한 편 읽었습니다. 저자는 여기 들러주시는 분들이라면 다들 아실만한 바로 ‘그 분’입니다. 사실 19세기 이전 군사사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거의 없지만 매우 흥미롭게 읽은 논문이기에 짧은 평을 하고 싶습니다. 이 논문을 읽을 기회를 주신 필자께는 죄송하게도 도움이 될 만한 평이 못 되는게 아쉽습니다.

이 논문의 제목은 「한국사에 있어서의 기병 병종」으로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 한국의 기병 병종에 대해 통사적인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필자께서 처음 논문을 보내주셨을 때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범위가 매우 방대해서 놀랐습니다만 내용을 철저하게 기병 병종의 분류에 맞췄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밀도가 있다는 느낌이 들었고 글도 상당히 재미있었습니다.
논문은 부록을 포함해 90쪽이고 짧은 단행본 한 권으로 만들어도 될 정도입니다. 아마 필자께서도 글을 쓰시는 동안 글의 분량에 상당한 신경을 쓰셨을 것 같은데 독자의 입장에서는 적당했다고 생각이 됩니다.

이 글의 구성은 머릿말과 맺음말을 제외하고 크게 여섯 부분으로 나뉩니다. 먼저 2장에서는 이 논문의 근간을 이루는 기병 병종의 기본 개념을 다루고 있습니다. 필자는 여기서 서구의 중기병과 경기병이라는 구분을 한국사에 적용하기가 어렵다고 지적하고 그 대신 사용하는 장비와 전술의 성격에 따라 창기병과 궁기병이라는 분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말에도 갑옷을 입히는 중장기병은 다른 병종과 확실히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있으므로 중장기병이라는 개념은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외국에서 사용하는 개념을 빌려오지 않고 한국의 역사적 상황에 맞는 개념을 고민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합니다.

다음의 3장에서는 한반도와 만주지역에 기승문화가 도입된 시점부터 삼국시대 까지의 기병 병종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고대의 문헌사료가 부족한 만큼 고고학의 연구성과를 풍부하게 반영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자료의 공백이 많은 시기인 만큼 논리를 전개하는데 어려움이 많을 수 밖에 없는데 필자는 중국 등 동시기 다른 지역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접근하고 있습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필자가 기승문화의 확산 시점을 추정하면서 마구의 기술적인 수준 보다는 말을 대량으로 사육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기반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 입니다. 이 주장은 주로 문헌자료에 바탕을 하고 있는데 상당히 재미있는 가설이라고 생각됩니다.
그 다음으로는 삼국시대 기병 병종의 분화를 분석하기 위해 이 글에서 사용하는 구분의 기준이 되는 전투용 활과 기병창, 그리고 말의 품종과 마구의 발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구의 발전에 대한 부분에서 중국은 물론 같은 시기 유럽(로마)과의 비교 분석이 돋보입니다. 필자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삼국시대의 기병 병종을 중장기병, 창기병, 궁기병이라는 세 종류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4장에서는 삼국시대의 중장기병에 대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논문이 전체적으로 시기적 구분을 채택하고 있는데 비해 4장에서만 특별하게 삼국시대의 중장기병이라는 하나의 병종에 대해 상당한 분량을 할애해 분석하고 있는 것은 다소 의외입니다. 이 부분에서 주목할 만한 부분은 한반도 내에서의 중장기병 운용 방식에 대한 추정입니다. 필자는 한반도의 산악지형과 열악한 도로 환경 때문에 중장기병이 소규모로 성곽을 거점으로 한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 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5장은 고려시대의 기병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문헌사료의 부족과 고고학적인 자료의 부족 때문인지 그 분량은 고대나 조선시대에 비해 적습니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원간섭기 이후 몽골의 영향으로 궁기병의 비중이 늘어났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 입니다. 이것은 조선 초기의 기병운용과 내용적으로 연결이 되는데 뒷받침 할 수 있는 자료가 더 풍부하다면 상당히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6장은 조선초기의 기병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6장 부터는 풍부한 문헌사료를 바탕으로 보다 밀도있는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고대에서 고려시대 까지는 문헌사료의 부족으로 많은 부분을 고고학적인 자료나 다른 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논리적인 추론을 해야 하는데 조선시대는 상대적으로 문헌자료가 풍부하다는 점 때문에 이런 제약에서 자유로운 것 같습니다.
6장에서 흥미로운 것은 조선초기에는 궁기병과 창기병이라는 2원적 체제에서 16세기에 이르면 사실상 궁기병 중심의 체제가 완성되었다는 지적입니다. 필자는 이미 5장에서 원간섭기 이후로 궁기병의 비중이 늘어났을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조선초기도 문헌사료를 통한 분석으로 궁기병이 다소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는 점을 밝히고 있습니다. 여기에 더해 16세기까지 창기병이 꾸준히 쇠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는 주장은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필자는 15세기를 거치면서 기병의 훈련 체계와 선발체계에서 기병창 보다 활을 중요시 하는 경향이 강해졌다는 점을 밝혀내 궁기병 중심으로의 전환을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약간 아쉬운 점 이라면 왜 궁기병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졌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는 것 정도입니다. 또한 안정적인 말 공급기반의 쇠퇴가 기병의 점진적인 쇠퇴를 가져왔다는 주장도 매우 흥미롭습니다. 이것은 7장에서 다루고 있는 조선 기병의 쇠퇴와 내용적으로 연결이 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7장은 임진왜란 이후 조선 기병의 쇠퇴를 다루고 있습니다. 필자는 임진왜란 이후 전술이 보병 중심으로 전환하면서 군사력을 재건하는 과정에서 기병의 우선순위가 밀리게 되었다고 주장합니다. 조선후기 기병의 변화에서 제 개인적으로 재미있었던 내용은 근접전 능력 향상을 위해 편곤 사용이 확대되었고 18세기 초에 창설된 평안도의 별무사의 경우 하마전투를 고려해 조총도 사용하게 되었다는 부분입니다.
7장에서는 상당한 분량을 할애해 조선 기병의 질적ㆍ양적 쇠락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여기서 아쉬운 점은 조선 후기에 기병이 쇠퇴하게 되었다는 설명은 있으나 구체적인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설명이 부족하지 않은가 하는 점 입니다.

유감스럽게도 제가 전통 군사사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부족해 논문에 대한 대략적인 평 밖에 할 수 없었지만 상당히 인상깊은 논문이었습니다. 무엇보다 기병 병종에 대한 통사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특히 이 글에서 필자가 제시한 몇몇 독특한 논점들은 후속 연구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