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4월 15일 금요일

늙은 사자의 몸부림

2차대전 직후 영국의 안보정책은 매우 재미있는 주제입니다. 1차대전 이후 영국의 안보정책이 몰락해가는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고심의 흔적이라면 2차대전 이후 영국의 안보정책은 영국의 몰락을 인정하고 그 바탕위에서 B급 강대국의 지위를 고수하려는 처절한 몸부림으로 볼 수 있을 것 입니다.

특히 핵무기의 등장은 다른 강대국들과 마찬가지로 영국에게 있어서도 꽤 심각한 문제였습니다. 요즘 읽은 논문중에서 처칠이 재집권에 성공한 뒤 총참모부가 작성한 1952년 Global Strategy Paper를 다루고 있는 것이 있는데 여기서 핵무기에 대해 언급하는 부분이 흥미롭습니다.


냉전에 있어 주된 억제력(main deterrent)이며 전쟁 발발시 연합국의 유일한 공세 수단으로 간주되는 것(즉, 핵무기)을 가지지 못한다면 영국이 미국의 정책과 냉전 계획, 그리고 전시에 끼칠 수 있는 영향력은 심각하게 약화될 것이며 이것은 영국이 정책 수립이나 공세 계획에 참여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뜻한다.

(중략)

핵무기를 완전히 미국에 의존하고 (영국이) 자체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원자폭탄을 보유하지 않는 심각한 정치적 불이익을 받아들이는 것은 영국에게 가장 현명하지 못한 일로 보아야 한다.

John Baylis·Alan Macmillan, “The British global strategy paper of 1952”, Journal of Strategic Studies, 16: 2, pp.209~210

강대국으로 명함을 내밀기 위해서는 실력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하고 핵무기는 그럴수 있는 상징이라는 이야기죠. 2차대전 이전의 전함처럼. 하지만 이후 영국의 핵정책을 보면 안습입니다. 본격적인 핵경쟁에 나서기에는 국력이 모자라고 결국 상징적인 수준의 핵전력을 보유하는 데 그치게 되니 말입니다.(물론 유사시 물귀신작전을 펼 정도는 되겠습니다만)

물론 이때 영국이 확보한 국제적인 지위가 아직까지 유지되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히 안습이라고 할 수는 없겠습니다만. 역사를 보면 강대국 경쟁에서 탈락한 비참한 패배자들이 산적해 있으니 말입니다. 영국의 몰락정도는 양호한 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