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1월 23일 수요일

영국 공군의 불필요한 활약


독일 군사사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토로하는 고통은 1945년 영국 공군의 포츠담 폭격으로 독일 육군문서보관소가 파괴되어 수많은 사료가 소실되었다는 점 입니다. 이것은 현재 연대급 단위의 미시적인 부대기록까지 충실하게 남아있는 미국이나 영국, 러시아와 대비됩니다. 제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2차대전 시기만 하더라도 사단급 기록조차 1944년 이후로 넘어가면 양이 급감하는 경향이 나타나니까요.

아래의 문서들은 미국 NARA소장 독일 노획문서 RG242 T315 R111의 독일 제3기갑사단 작전참모처 문서(원 소장번호 W1029a~W1029-5)의 일부입니다. 불 붙은 사단일지를 간신히 살려놓은 것을 알수 있는데 이것과 함께 수집했던 4기갑사단 일지의 경우는 상태가 더 좋지 않습니다.




2016년 11월 8일 화요일

판터 관련 서적에 관한 잡담


 판터에 관심이 많아서 관련된 책을 꾸준히 모으는 중인데 올해 출간된 Abteilung502 출판사의 Panther: External Appearance & Design Changes(로디 맥두걸, 마틴 블록 공저)은 흥미로운 정보가 많지만 제 관심사인 생산 및 제작공정에 관해서는 살짝 비껴가는 애매한 물건이었습니다. 각 형식의 공장별, 생산 시기별 외형 변화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춘 책이어서 그런지 외형에 대한 연구를 제외하면 눈에 띄는 새로운 정보가 없습니다. 물론 외형의 변화에 대한 연구 측면에서는 지금까지 나온 판터에 대한 책 중에서 가장 최신의, 가장 훌륭한 저작입니다만 이런 정보는 디테일을 추구하는 모델러들에게 적합한 내용이지요. 물론 저도 재미로 모형을 즐겨만들고 특히 판터 조립을 좋아합니다만, 이 책에 소개된 수준으로 디테일한 조립을 추구하지는 않습니다. 그럴 실력도 시간도 없지요^^

 개인적으로는 2년 전에 Schneider Armor Research에서 나온 프랑크 쾰러의 Panther: Meilenstein der Panzertechnik에 좀 더 좋은 평가를 하고 싶습니다. 프랑크 쾰러는 판터 복원 및 정비에 직접 참여한 경력자 답게 기술적인 측면에서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그 때문에 형식별로 서술하는 기존의 판터 관련 저작들과 달리 엔진, 변속기, 유압계통 등 전차의 구성품 별로 설명하는 개성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지요. 특히 엔진, 변속기 등 주요 구성품의 기계적 수명을 정리한 부분이 꽤 유용합니다. 무기 체계의 신뢰성에 대한 이야기는 많지만 그 체계를 이루는 각 구성품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이해 없이 두리뭉실하게 '신뢰성이 높다' '신뢰성이 낮다'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은걸 생각하면 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프랑크 쾰러는 페터 뮐러와 에디 에버를 두 사람이 함께 집필해 출간 예정인 두 권짜리 저작 Panzerkampfwagen Panther, Von allen Gegnern gefürchtet에도 참여했는데 이 책은 어떤 구성일지 궁금합니다. 아마 페터 뮐러와 볼프강 치머만 공저 Sturmgeschütz III. Rückgrat der Infanterie와 유사한 구성이리라 추측합니다. (Sturmgeschütz III. Rückgrat der Infanterie는 영어판도 있죠.) 프랑크 쾰러나 페터 뮐러는 선배격 연구자들과 비교하면 주석을 충실하게 달아 다른 사람들이 독자적으로 연구를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물론 종합적인 측면에서는 토마스 젠츠의 Germanys Panther Tank: The Quest for Combat Supremacy, 발터 슈필베르거의 Panzer V Panther und seine Abarten가 여전히 유용합니다.  판터의 각 형식별로 기술적 특성, 생산 및 배치를 종합적으로 설명하는 구성은 매우 모범적입니다. 물론 이 두사람은 주석을 제대로 달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긴 합니다만. 어쨌거나 슈필베르거와 젠츠 두 사람이 독일 전차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를 충실하게 해 놓은 덕분에 개설서로서 이 두 권의 책을 뛰어넘을 만한 책은 앞으로도 나오기 어려울 듯 합니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외형의 변화를 자세하게 파고든 로디 맥두걸의 저작은 꽤 개성있는 저작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게는 좀 애매한 존재입니다만^^




2016년 10월 28일 금요일

이번에 번역한 『전쟁론 읽기』에 대한 지적


감사하게도 얼마전 번역한  『전쟁론 읽기』에 대한 전문가 분들의 지적을 받았습니다. 부끄럽게도 번역자인 저의 『전쟁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데서 기인한 것들입니다. 지적받은 문제들을 충분히 검토하고 수정이 필요한 것들은 추후 2쇄 발행 등 정정할 기회가 있으면  반영하여 보완하도록 하겠습니다. 2쇄를 발행할 만큼 판매가 되면 좋겠군요.

확실히 '이론'을 다루는 책은 번역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공부를 열심히 해야겠습니다^^;;;;;

2016년 10월 27일 목요일

이 블로그도 10년이 됐군요

구글 블로거로 옮긴지 10년이 됐습니다. 네이버 블로그까지 포함하면 블로그를 굴린게 13년 정도 되네요. 처음 네이버에서 블로그를 하다가 여러모로 마음에 들지 않아 이글루스로 옮겼다가 10년전에 구글 블로거로 옮겨서 오늘에 이르게 됐습니다. 요 몇년새 먹고사는 일 때문에 포스팅이 뚝 떨어지긴 했습니다만 그래도 그동안 굴려온 관성으로 굴러가긴 하는군요. 재미있는 자료와 책이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으니 블로그에 올릴 소재가 떨어질 일은 없을 겁니다. 제 시간이 문제죠. 으흐흐. 한 1년 책이나 읽으면서 블로그질이나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원래는 10주년을 맞아 블로그 오시는 분들께 책도 돌리고 맥주도 한잔 하는 자리를 만들어 보고 싶었는데 먹고사니즘의 압박에 그럴 수가 없었습니다. 최소한 책 나눠드리는 자리는 숨통 트이는대로 마련해 보고 싶네요. 어쨌거나 10년동안 굴리다보니 꽤 애착이 가는 블로그라서 특별한 일이 없는 한 계속 굴려가고 싶습니다. 이 별볼일 없는 블로그를 찾아주시는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016년 10월 21일 금요일

역사서술에 대한 중국공산당의 관점을 보여주는 언론기사 하나

오늘 흥미로운 언론기사를 하나 읽었습니다. 중국 법원이 설사 '학문적 목적'이 있다 하더라도 '역사적 영웅'들을 모독하는 행위는 허용하지 않는다는 판결을 내렸다는 소식입니다. '국가적 신화'에 의문을 제기하는 행위 자체를 뿌리뽑으려는 아주 졸렬한 태도인데, 정말 한심하기 그지없군요.




특히 이 기사에서 다음 부분이 의미심장합니다.


청신원(程新文) 최고인민법원 민사1부 재판장은 "학술연구, 상업적 판촉 등을 명분으로, 인터넷 매체들을 주수단으로 삼아 영웅적 인물을 비방, 모욕하거나 그 이미지를 부정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명예를 훼손하고 타인의 정신적 가치를 약화하는 데서 나아가 사회주의 핵심가치관을 해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각 법원이 판결을 통해 사회주의 핵심가치관의 정신을 명백히 밝혀 사회의 영웅 숭상, 수호, 학습, 관심을 이끌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것은 중국공산당의 집권을 합리화하는 신화 중 다수가 심각한 수준의 역사왜곡에 기반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인정하는 발언이 아닌가 싶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경직된 분위기가 외국에서 활동하는 중국인 학자들이나, 중국 학자들이 외국에 발표하는 저술에도 악영향을 끼칠 것이 걱정이 됩니다. 미국에서 활동하는 리샤오빙(李小兵)의 China's Battle for Korea: The 1951 Spring Offensive를 읽고 인민해방군 출신의 연구자도 해외에서는 자국 군대의 한계를 비판하는 등 꽤 자유롭게 발언을 한다는 점에 깊은 인상을 받았었는데, 이런 연구자들이 중국 본토의 이런 퇴행적 기류에 휩쓸리진 않았으면 좋겠네요.


사족 하나- 위에서 언급한 리샤오빙의 China's Battle for Korea: The 1951 Spring Offensive는 여러모로 흥미로운 내용이 많습니다. 중국인민지원군의 1951년 5차 공세 패배 당시 인민해방군 내의 심각한 군기이완(장교 살해, 집단 탈영 등), 미군이나 영국군과의 교전에서 발생한 심각한 손실을 지적하는 점 등 솔직한 서술이 인상적입니다.



독일어 군사용어에 관한 잡담


 외국어의 개념을 한국어로 옮긴다는건 꽤 골치아픈 문제입니다. 외국어 단어는 그 단어가 사용되는 사회의 역사적-문화적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다른 언어로 옮길때 정확하게 맞아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꽤 되기 때문입니다. 오늘도 아는 분과 독일어 군사용어에 관해 이야기를 하다가 이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예를들어 저는 Landwehr를 그대로 직역해서 '향토방위대'라는 단어로 옮겼는데 진중근 중령님은 『독일군의 신화와 진실』에서 이것을 '지방군'으로 옮기셨습니다. '지방군'으로 옮기는 쪽이 영미권의 민병대로 부터 영향을 받은 Landwehr의 성격을 보여주는데 적합합니다. 문제는 Landwehr를 '지방군'으로 옮길경우 Landsturm을 어떻게 옮겨야 할 지 마땅한 생각이 떠오르지 않았다는 겁니다. 잘 아시겠지만 프로이센의 병역법에서는 현역을 보조할 예비군으로서 Landwehr와 Landsturm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Landsturm은 2차대전 시기의 '국민돌격대'와도 이어지게 되지요. 그래서 저는 일단 Landwehr는 '향토방위대'로, Landsturm은 '향토돌격대'로 옮겼습니다. 아마도 당분간 저는 계속해서 이 용어를 사용할 것 같습니다.

 현재 독일 연방군이 사용하는 용어는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에서 한국어로 옮긴 것이 있습니다만, 2차대전과 그 이전의 과거에 사용되던 역사적인 군사용어 중에는 우리말 번역이 까다로운 것 들이 많습니다. 독일어 사전에서 제대로 다루고 있지도 못하고요. 군사번역을 하는 다른 분들과 번역자들이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는 용어집을 만들어 보자는 이야기를 가끔 하긴 합니다만 아직까지 제대로 추진하고 있질 못 합니다. 뭐, 저도 번역이 본업은 아니니까요. 군사용어 위키를 만들어 보자는 제안을 하신 분도 계신데, 만약 실행할 수만 있다면 이게 가장 좋은 방안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