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뉘른베르크전범재판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뉘른베르크전범재판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2년 11월 13일 화요일

"제프" 디트리히와 미국 정신과의사의 면담

뉘른베르크 전범재판 당시 피고인들의 정신상담을 담당했던 미국 정신과의사 리언 골든슨Leon Goldensohn의 면담록을 읽는 중 입니다. 나치 독일의 굵직한 거물들이 나오니 재미있게 술술 잘 읽히는군요. 오늘은 “제프” 디트리히Josef Sepp Dietrich를 면담한 부분을 읽었는데 이것도 역시나 재미있었습니다. 특히 흥미로웠던 부분 하나를 발췌해 보지요. 1946년 2월 28일에 있었던 면담이라고 합니다.

골든슨 : 히틀러가 1940년 이전에 큰 실수를 저질렀다고 생각합니까?

디트리히 : 물론이오. 전쟁을 일으켰잖소. 전쟁에 진 패자는 한심해 보이는 법이지. 독일의 외교는 형편 없었소. 히틀러가 집권하기 전 부터 말이오.

골든슨 : 무슨 이야기입니까?

디트리히 : 지도를 한번 펼쳐봐요. 독일이 어디에 붙어 있습니까? 독일을 둘러싼 나라들을 한번 봅시다. 그리고 독일의 적국과 우방국을 찾아 보시오. 그러면 내가 하는 말이 무슨 소린지 알 게요.

Leon Goldensohn(Author), Robert Gellately(Editor), Nuremberg Interviews : An american psychiatrist’s conversations with the defendants and witnesses, (Vintage Books, 2004), p.283

양면전쟁을 두 번이나 경험한 군인다운 평가입니다.

그리고 이 책에서 재미있는 또 다른 요소는 여러 인물들의 주관적인 인물평입니다.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인물평이니 여러가지로 생각해 볼게 많습니다. 골든슨은 디트리히에게 롬멜에 대해 물어봅니다. 디트리히는 롬멜에 대해 꽤 냉정한 평가를 내립니다.

디트리히 : 롬멜 원수는 나와 대략 비슷한 연배였소. 기갑전에 능통한 장군이라고 하기는 조금 그랬지.

골든슨 : 롬멜 원수가 유능한 기갑부대 지휘관이 아니란 겁니까?

디트리히 : 평범한 수준이었소.

(디트리히는 롬멜에 대해 매우 냉정했다.)

디트리히 : 병과를 바꾸는건 어려운 일이오. 롬멜 원수는 보병전에 능통한 장군이라고 해야겠지. 롬멜 원수는 침착하지 못한 성격이라서 모든 것을 한번에 해치우길 원했소. 그리고 나면 흥미를 잃어버렸지. 나는 노르망디에서 그의 부하였소. 롬멜 원수가 좋은 장군이 아니라고는 할 수 없겠지. 성공을 거두면 괜찮았지만 상황이 역전되면 침울해 졌소.

Leon Goldensohn(Author), Robert Gellately(Editor), ibid., p.280

디트리히는 면담에서 자신이 카톨릭 신도임을 강조하면서 나치즘에 경도된 인물은 아니었다고 자신을 변호합니다. 이러한 자기 변론은 전후 서독에 거주한 무장친위대 출신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논조라 꽤 재미있습니다.  몇년전 포스팅 했던 “기이한 도덕적 먹이사슬”에 인용한 글 처럼 나치당의 사조직이 아니라 독일군의 일원이었음을 강조하는 것이지요.

2010년 9월 21일 화요일

그놈이 그놈!

뉘른베르크 전범재판 당시 미국측 자문단장이었던 토마스 도드(Thomas Joseph Dodd)가 1946년 7월 1일 아내 그레이스에게 보낸 편지 중 한구절.

내 사랑 그레이스,

지난 토요일에 재판은 한시까지 진행되었고 우리는 마지막 피고를 마무리 했어. 우리는 모두 우리가 중요한 단계를 넘어섰다고 생각하고 있지. 그런데 다시 문제가 생겼어. 예전에 러시아쪽에서 독일이 스몰렌스크 인근의 카틴 숲에서 항복한 폴란드군 장교 1만1천명을 학살했으므로 기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던거 기억하지? 물론 독일쪽에서는 러시아에서 학살을 저질렀다고 주장해왔지. 이제 우리는 양쪽 모두로 부터 세 사람씩의 증언을 들어야 해. 이게 얼마나 걸릴지는 주님만이 아시겠지. 나는 그냥 동전던지기로 정해버리면 좋겠어. 독일과 소련 모두 범죄를 저지를 동기가 충분하니까. 그리고 어떻든 양쪽은 1939년에 힘을 합쳐서 폴란드를 유린했으니 책임을 나눠 가져야 해. 단지 단 하나의 사실, 한가지 “작은” 사실만은 이론의 여지가 없겠지. 1만1천명의 폴란드군 장교가 잔혹하게 집단으로 살해됐다는 점 말이야. 그리고 독일이나 러시아 둘 중의 하나가 범인이라는 건 확실하겠지. 내 생각에 세상은 독일과 소련이 논쟁을 벌이는 것엔 관심이 없을 것 같아. 하물며 역사의 관심도 받지 못하겠지.

(후략)

Christopher J. Dodd, Letters from Nuremberg : My father’s narrative of a quest for justice(Crown Publishing, 2007),  p.333

2009년 11월 27일 금요일

기이한 도덕적 먹이사슬

1950년대에 무장친위대 출신 퇴역군인들은 상호원조회(HIAG, Hilfsgemeinschaft auf Gegenseitigkeit)로 불리는  참전군인단체를 조직했습니다. 그런데 HIAG의 각종 대외활동은 외부의 시선을 강하게 의식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무장친위대 출신자들은 전쟁기간중 나치당의 무장조직인 무장친위대에 소속되었다는 점 때문에 사회적 인식이 좋지 않았고 이때문에 전직 무장친위대원들은 공개적으로 무장친위대 출신이라는 점을 밝히려 하지 않았습니다. 이런 경향으로 인해 HIAG에 가입한 회원은 2만명을 기록한 뒤 1960년에 이르면 기존의 회원조차 이탈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때문에 하우서(Paul Hausser)길레(Herbert Otto Gille)와 같은 무장친위대의 유명인사들은 무장친위대가 나치의 전쟁범죄와 '거리가 먼' 조직이었다는 점을 부각시키려 했습니다. 예를들어 길레는 1953년 함부르크에서 열린 무장친위대 출신자들의 집회에서 뉘른베르크 전범재판이 무장친위대에게 전쟁범죄자라는 억울한 누명을 씌웠다고 성토했습니다. 또한 HIAG의 기관지 중 하나인 Der Freiwillige는 1957년 6월호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했습니다.

"무장친위대를 친위대보안국(SD, Sicherheitsdienst), ..... 그리고 강제수용소 경비원들과 동일한 부류로 취급하려는 경향이 있다. 사실은 최근 널리 알려져 있다시피 (무장친위대는) 이러한 조직들과 비슷한 임무를 수행한 것이 아니라 해군, 공군 또는 육군과 같은 임무를 수행했다. (무장친위대는) 다른 병종과 같은 군사조직이었으며 전투에 임할때나 점령지의 민간인들을 상대할 때에 있어서나 군사규율을 엄격하게 준수했다."

Large, David Clay. 'Reckoning without the Past: The HIAG of the Waffen-SS and the Politics of Rehabilitation in the Bonn Republic, 1950-1961', The Journal of Modern History Vol.59 No.1(Mar., 1987) pp.84~85 

기이하게도 전직 친위대가 또 다른 전직 친위대에게 전쟁범죄 책임을 떠넘기는 양상이 된 것 이었습니다. 물론 무장친위대는 전쟁범죄로 부터 자유롭지도 않았고 점령지의 민간인들에 대해 항상 규율을 엄격히 준수한 것도 아니었습니다.

어쨌든 1990년대에 독일 국방군의 전쟁범죄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될때 까지 전쟁범죄 문제를 두고 기이한 도덕적 먹이사슬(???)이 형성되었는데 육해공군등 국방군은 친위대 조직(무장친위대+일반친위대)에게 모든 책임을 떠넘기고 무장친위대는 일반친위대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구조였습니다.

요약하면 이렇게 되겠군요.

육해공군 : 우리는 친위대와는 달리 깨끗한 군인이랍니다.

무장친위대 : 우리는 일반친위대와는 달리 깨끗한 군인이랍니다.

일반친위대 : 이런 위선자 새퀴들!!!


다행히도 1990년대 이후로는 나치 시기의 범죄연구가 국방군의 전쟁범죄로 까지 확산되어 더 이상은 이런 기이한 도덕적 먹이사슬이 존재할수 없게 되었지요.

2007년 12월 31일 월요일

뉘른베르크 전범재판의 카이텔에 대한 어떤 미국인의 호의

예전에 카이텔의 마지막 편지를 번역하면서 의외로 담담하고 자기 확신에 찬 모습이 인상적이라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아무래도 전통 있는 독일 장교단의 일원이었으니 비록 패장이고 전범일 망정 최소한의 자존심을 지키려 노력했었겠지요. 이런 모습은 연합국 측에도 영향을 줘서 독일에 우호적인 인사들의 동정을 받았던 모양입니다. 오늘 뉘른베르크 전범재판 당시 자문단장(Chief of Counsel for the Prosecution of Axis Criminality) 이었던 도드(Thomas Joseph Dodd)의 편지를 읽다 보니 카이텔의 평소 태도가 미국인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던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뉘른베르크, 독일, 1946년 4월 3일

내 사랑 그레이스(도드의 아내),

리벤트로프의 차례는 끝났고 카이텔의 차례야. (중략) 카이텔은 이날 아침에 재판정에 섰고 나는 그에게 최대한 좋은 모습을 보이라고 말해야 했어. 무슨 까닭인지 나는 그에게 동정심을 느꼈거든. 나는 카이텔이 정직한 군인의 모습을 보여서 매우 기뻤어. 물론 카이텔은 유죄가 분명하지만 내 생각에는 다른 전범들에 비하면 가벼운 죄일 뿐이야. 카이텔은 하루나 이틀 정도 더 재판에 나와야 할 것 같아. (후략)

Christopher J. Dodd, Letters from Nuremberg : My father’s narrative of a quest for justice, Crown Publishing, 2007, pp.278~279

도드가 공정한 재판을 주장하고 또 독일측에 호의적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카이텔은 상당히 좋은 인상을 주었던 것 같습니다. 카이텔의 마지막 편지를 보더라도 그는 최후까지 군인으로서의 긍지를 잃지 않기 위해 노력했던 것은 분명합니다.

2007년 11월 24일 토요일

카이텔이 아들에게 보낸 마지막 편지

샤이러는 그의 기념비적인 걸작인 ‘제 3제국의 흥망’의 에필로그로 뉘른베르크 전범재판의 방청기를 실어놨습니다. 샤이러는 그가 지켜본 피의자들의 태도에 대해서 짤막하게 기록했는데 유감스럽게도 카이텔에 대해서는 사형이 선고되었다고 짤막하게만 넘어가더군요. 당시의 다른 증언이나 기록을 보면 카이텔은 군인답게 사형판결에 대해 침착한 반응을 보였다고 합니다. 그가 사형되기 전에 아들에게 보낸 마지막 편지는 매우 짧고 간결하지만 카이텔의 심리 상태를 잘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1946년 10월 3일

이것이 너에게 보내는 마지막 편지가 될 것 같구나.

나는 14일 내로 판결에 따라 사형에 처해질 것 같다… 나의 운명에 대한 긴 판결은 내가 재판관들 앞에서 내가 나의 소신대로 행동할 수 있도록 해줬다. 재판 과정에서 나는 내가 한 발언들을 단 한마디도 후회하거나 번복하지 않았다. 나는 모든 질문과 모든 경우에 대해서 항상 진실만을 말했다. 나는 지금은 물론이고 미래와 역사 앞에서도 떳떳하다.

Walter Görlitz, Generalfeldmarschall Wilhelm Keitel – Verbrecher oder Offizier?, Verlag S.Bublies, 1961, 1998, ss.489~490

이것만 보면 전형적인 확신범의 태도같습니다.

그런데 카이텔 또한 "역사가 나를 평가해 줄 거얌~"하는 희망을 품었던 모양이군요. 네. 그나마 현실의 패자가 얻을 수 있는건 별 가치도 없는 미래의 평가 뿐이지요. 그러나 이를 어쩌나요. 현재의 역사 또한 카이텔에 대해 별로 우호적이진 않으니 말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