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가니스탄에서 생고생하는 십자군 용사들에 대한 Sonnet님의 동정어린(?) 글들을 읽고 보니 지난 세기 머나먼 안남국의 평화를 위해 헌신한 美利堅의 반공십자군들이 떠올랐다. 사실 미국이 죽을 쑨 이유 역시 마찬가지 아니던가?
1960년대의 미군 역시 비정규전에는 토벌군과 게릴라의 전력비가 10:1에서 15:1은 되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미군은 이미 1950년대부터 고질적인 병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 때문에 스틸웰 준장은 비정규전에 대비하기 위해 모든 지상군 사단이 비정규전을 수행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춰야 한다고 역설한 바 있고 1962년 1월 하우즈 위원회는 총 6개 사단(1, 2, 4, 25보병사단, 82, 101 공정사단)을 비정규전에 투입할 수 있도록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시기가 미국의 베트남 개입이 슬금 슬금 꼬여가던 시점이라는 것은 매우 의미심장하다. 어쨌건 겨우 6개 사단은 효과적인 비정규전 수행에는 턱없이 모자란 전력이었다.
베트남에 대한 미국의 지상군 개입이 시작되기 전부터 미국내에는 베트남전 승리가 어렵다는 견해가 제법 많았다. 대표적인 사례중 하나로 1963년 가을에 있었던 워게임 SIGMA 1에서는 북폭과 함께 미군 병력을 60만까지 증강시켰음에도 불구하고 VC들을 저지하지 못한다는 결과가 나와 많은 미국 고위 장성들을 열받게 했다.(이 워게임 결과에 분통을 터트린 대표적인 인물이 반공의 글라디에이터 커티스 르메이다)
어쨌건 초기 미군의 파병은 VC 사냥에 필요한 기동대대를 확보하는게 가장 큰 목적이었다. 1966년 6월, 미군사고문단은 남베트남의 VC 병력을 117개 대대(각 대대는 450명)으로 추산하고 있었는데 당시 가용한 남베트남군과 미군, 연합군 병력은 172개 대대로 화력과 기동력의 차이(미 군사고문단은 미 해병대 1개 대대를 VC 대대의 300% 전력, 미 육군 1개 대대를 VC 대대의 200% 전력으로 평가했다)를 감안해도 전력비가 3:1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66년 6월 초에 웨스트모어랜드는 워싱턴에 44개 대대의 증원을 요청했는데 이 44개 대대가 증원되더라도 양측 전력비는 겨우 3:1을 상회하는 수준에 불과했다. 맥나마라는 이 정도로는 불충분하기 때문에 7월 말 존슨에게 예비군 235,000명을 소집하고 육군 병력을 증강할 것을 건의했는데 설사 이것을 합하더라도 별 다른 뾰족한 답이 없었다. 1966년에 44개 대대를 요청했던 웨스트모어랜드는 1967년에 추가 증원을 요청했고 미군병력은 계속해서 증강됐다. 미군은 1969년까지 112개 대대로 증강됐지만 결국은 막대한 인명피해만 낸 채 철수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은 우리 모두가 잘 아는 사실이 아니던가.
강인한(또는 광신적인) 의지를 가지고 막대한 인명손실을 감당할 수 있는 상대와 싸운다는 것은 매우 피곤한 일이다. 미국의 9보병사단은 1969년 1월부터 2월까지 무려 168대 1의 사상자 교환비를 기록했다고 하지만 사단 작전구역에서 VC를 박멸하는데는 실패했다. 상대는 민족통일을 위해 시체로 태산을 쌓을 각오가 돼 있는 위인들이었으니 미군이 아무리 베트남인들을 죽여봐야 답이 없는게 당연했다.
하여간 베트남전과 마찬가지로 테러와의 전쟁역시 뾰족한 답이 없는 전쟁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