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2월 8일 수요일

회색지대?

잘 아시다 시피 독소전쟁 초기 소련은 막대한 인명손실을 입었습니다. 수많은 전사자와 부상자 외에도 수백만명이 독일군의 포로가 되었습니다. 독일측의 주장에 따르면 1941년 전역에서 생포된 포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표1. 1941년 전역에서 생포된 소련군 포로
기간
사병
장교
사병(누계)
장교(누계)
6.22-6.30
112,784
645
112,784
645
7.1-7.10
253,588
1,324
366,372
1,969
7.11-7.20
234,566
405
600,738
2,374
7.21-7.31
213,092
648
813,830
3,022
8.1-8.10
271,714
1,625
1,085,544
4,647
8.11-8.20
211,225
647
1,296,769
5,294
8.21-8.31
215,641
522
1,512,410
5,846
9.1-9.10
203,668
749
1,716,078
6,595
9.11-9.20
234,574
605
1,950,652
7,200
9.21-9.30
550,961
1,553
2,501,613
8,753
10.1-10.10
288,485
861
2,790,098
9,614
10.11-10.20
499,476
3,392
3,289,574
13,006
10.21-10.31
249,817
931
3,539,391
13,937
11.1-11.10
152,296
742
3,691,687
14,679
11.11-11.20
85,786
312
3,777,473
14,991
11.21-11.30
53,852
64
3,831,325
15,055
12.1-12.10
39,596
74
3,870,921
15,129
12.11-12.20
19,277
3,890,198
15,129
12.21-12.31
16,567
67
3,906,765
15,196
[표출처 : Hartmut Schustereit, Vabanque : Hitlers Angriff auf die Sowjetunion 1941 als Versuch, durch den Sieg im Osten den Westen zu bezwingen, (Mittler&Sohn, 1988), p.73]

러시아에서는 독일측 주장이 과장되었다고 보고 있으며 1941년의 인명손실 중 포로 및 행방불명을 합치면 2,335,482명 이라고 주장합니다.1) 독일과 러시아의 통계간에 편차가 매우 커서 150만명이 넘을 정도입니다. 어쨌든 1941년 전역에서는 민스크, 스몰렌스크, 우마니, 키예프 전투와 같은 대규모 포위 섬멸전이 이어졌고 전투마다 수십만명의 포로가 발생했습니다. 민스크 포위망에서 30만명, 우마니에서10만3천명, 비텝스크에서 45만명, 스몰렌스크에서 18만명, 키예프에서 66만5천명, 체르니고프에서 10만명, 마리우폴에서 10만명, 브야즈마에서 66만3천명의 포로가 발생했다고 하지요.2)

그러나 1941년의 대규모 포위전은 큰 성과를 거두기는 했지만 완벽하게 수행되지는 않았습니다. 수십만명이 포위망을 빠져나갈 수 있었고 그중 일부는 소련군 전선으로 돌아가 다시 한번 싸울 기회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물론 그러지 못하고 후방에 남게된 인원들은 나름대로 빨치산을 조직하여 독일군을 후방에서 괴롭히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여기까지는 꽤 잘 알려진 ‘미담’이지요.

소련이 붕괴된 이후의 연구들은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서 다양한 분야로 관심을 돌리고 있습니다. 냉전기 소련에서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었던 존재들이 위에서 언급한 포위망을 벗어나 전열에 합류한 용사나 빨치산들이었다면 냉전 이후에는 이전까지 관심을 두지 않았던 회색분자들에게도 연구자들의 관심이 주어진 것 입니다.
얼마 전 읽은 한 연구에서는 전쟁 초기 독일군의 포위망을 벗어났지만 다시 전열에 복귀하거나 빨치산에 합류하지 않은 군인들에 대한 언급이 있었습니다. 적극적으로 싸운 것은 아니지만 독일의 부역자가 된 것도 아닌 일종의 회색지대 같은 존재들인 것 입니다. 이런 존재들이 얼마나 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1943년에 NKVD가 해방된 지역에서 582,515명에 달하는 전직 군인들을 적발한 것을 보면 그 규모가 엄청났음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시 1944년 1월 1일에서 10월 1일까지 해방된 지역에서 354,592명(이중 장교는 50,441명)의 전직 군인들을 적발해 냈다고 합니다. 대략 전쟁 기간 중 이런 식으로 적발해서 다시 군대에 편입시킨 인원이 939,700명에 달한다는 기록이 있다고 하지요.3) 이들은 독일군의 포위망을 벗어난 뒤 그냥 민간인으로서 후방에 숨어서 전쟁이 끝나기만을 기다렸다고 합니다. 1941년에서 1942년 사이에 이렇게 숨어든 사람들은 전세가 역전되어 NKVD와 SMERSh가 자신들을 잡으러 올 것이라는 사실은 결코 생각하지 못했겠지요. 이런 식으로 다시 징집된 이들은 당연하게도 매우 사기가 낮아서 전투가 치열해 지면 뒤로 돌격하는 경우가 꽤 있었던 모양입니다.
이렇게 해방된 지역에서 탈영병으로 의심받아 체포된 이들은 더 심한 처벌을 피하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후방에 남게 되었음을 증명할 필요가 있었다고 합니다. 보통 군인 출신으로 드러난 경우 의도적으로 탈영했거나 독일군에게 협력하지 않았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 세명의 증인을 출두시켜야 했다고 합니다. 물론 결백함을 입증해봐야 다시 군대에 징집되는 것 이었지만 그러지 못한다면 죄수부대나 정치범수용소 특급을 탔다고 하지요.4)

‘애국자’ 들이나 블라소프와 같은 ‘반역자’들의 이야기는 오래전 부터 잘 알려져 있었지만 이렇게 어중한 위치에 있었던 사람들의 이야기는 냉전이 종결되고 나서야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뭐랄까요. 정치적 환경의 변화로 기존에는 조명을 받지 못했던 이야기들에 관심이 주어졌다고 해야 할까요. 냉전이 종식된 뒤 러시아와 서방 모두 소련 시기의 역사에 대해 이전 보다는 조금 더 냉철하게 바라볼 수 있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이렇게 회색지대라 할 수 있는 부분에도 주목하게 된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1) G. F. Krivosheev, Soviet Casualties and Combat Losses in the Twentieth Century, (Greenhill Books, 1997), p.96
2) G. F. Krivosheev, ibid., p.235
3) Roger R. Reese, Why Stalin’s Soldiers Fought : The Red Army’s Military Effectiveness in World War II, (University Press of Kansas, 2011), p.235
4) Catherine Merridale, Ivan’s War : Life and Death in the Red Army, 1939~1945, (Metropolitan Books, 2006), pp.251~252


잡담하나. 왠지 도표를 넣으면 알맹이 없는 글에 뭔가가 생긴다는 착각을 하게 됩니다. 요즘 들어 쓸데없이 도표를 집어넣는 원인이 된 듯 하군요;;;;;

댓글 12개:

  1. bearstone3:25 오후

    엄청난 숫자내요. 그런데 사병에 비해서 장교가 너무적네요. 영관장교 이상이라면 모를까......

    답글삭제
    답글
    1. 소련군 포로 통계를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1941년에 소련군의 장교 인명피해 중에서 전사, 행방불명, 포로를 포함한 총 손실은 203,083명 이었습니다. 독일측 주장에 따라 여기서 15,000명의 장교 포로를 제외하면 18만명이 넘는 장교가 전사하거나 행방불명이 되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장교의 전사율이 높았던 것이 상대적으로 장교 포로가 적었던 이유가 아닌가 합니다.

      삭제
  2. 이준님6:35 오전

    1. 백선엽 장군의 회고록에서는 "지각 합류"라는 이야기로 점령지 서울에 잔류했던 군인들에 대한 이야기를 했었죠. 그냥 저냥 돌려서 이야기 했고 나름대로 "관대한 처분"을 내렸다는 이야기를 언급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녹녹치는 않았을 겁니다. ㅋㅋ

    2. 서기원의 중편에도 비슷한 설정이 있지요. 다만 이 경우는 주인공이 지키던 고지가 함락되고 북한군에 포로로 잡혔다가 탈출한 후에 애인이자 자기 부대 소대장의 여동생 집에 숨어살고 부대 복귀를 하지 않습니다. 소대장(고지 함락때문에 사실상 진급이 물먹은)도 그걸 알지만 눈감아주고 휴가나 외출때 둘이 노닥거리고 지내다가 결국 상이군인이 된 후에는 탈영병과 불구 장교간의 미묘한 신경전을 벌이면서 동거하다가 전선이 밀리면서 같이 피난을 간다는 결말입니다. ㅋㅋ

    3. 한국전쟁 당시도 이런 일로 해서 남은 분들이 나중에 "나는 사실 유격대임 ㅇㅇ"내지는 "니네가 모르는 어떤 부대의 밀명을 받고 후방에 남은 거임"으로 치장한 케이스가 있지요. 실제 몇건을 보면 그런 냄새가 좀 많이 나기도 합니다 ㅎ

    답글삭제
    답글
    1. 말씀하신 것 처럼 한국전쟁 당시의 사례를 보면 찝찝한 부분이 한두군데가 아니지요. 1950년대의 한국군을 생각한다면 한국에서 다른 나라의 오합지졸 군대를 비웃기는 좀 그럴 듯 싶습니다.

      삭제
  3. 문기야4:50 오후

    제503중전차대대사 마지막부분에 보면 미군에게 포로가된 독일군 3백만 중 1백만 가까이가 미군의 고의적인 방치로 사망했다고 나오더라고요. 위키백과를 찾아보니 그런 내용은 없던데 그런일이 사실이었는지 알 수 있을까요?

    답글삭제
    답글
    1. 그건 과장된 내용일 것 입니다. 서방측에 포로로 잡힌 독일군 포로 100만명이 연합군의 학대로 사망했다는 이야기는 1989년에 나온 other losses에서 처음 제기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주장은 입증해 줄 만한 근거가 부족합니다. 2차대전기 독일의 인명손실에 대한 뤼디거 오버만스의 연구에서는 미군에게 포로가 된 독일군 310만명 중에서 사망자는 2만2천여명이고 영국군에게 포로가 된 독일군 364만명 중 사망자는 2만1천여명 정도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독일에서 공식적으로 조사한 결과도 대략 비슷한 결론을 내리고 있습니다.

      삭제
    2. 일단 1944~1945년의 혼란기에 제대로 집계되지 않은 행방불명자가 많다는 점도 포로 문제를 연구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요인입니다.

      삭제
  4. 이준님5:13 오후

    한국에서는 사실 거의 알려지지 않는 사실이었고 어린양님께서 말씀하신 이런 이유때문에 -즉 사실이 아니니까- 재대로 알려지지 않았습니다만 만화가 고바야시의  불꽃의 기사에서 소개된 이야기와 박노자의 글 때문에 자주 퍼진 이야기라고 볼수도 있습니다. 이 사람들이 왜 이런 주장을 사실처럼 소개했는지는 굳이 말씀 안 드려도 아시겠지요

    답글삭제
  5. 반면 소련에게 잡힌 독일군 포로도 독일측에서 파악하는 숫자와 소련에서 파악하는 숫자가 180만 명 넘게 차이난다고들 하는데요. 이유는 소련군이 독일군 포로를 포로수용소에 도착했을 때부터 숫자를 세지만, 수용소에 도착하기전에 상당수가 죽어나간다고 합니다. 이 주장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답글삭제
    답글
    1. 포로 숫자에서 독일측 주장과 소련측 주장이 180만명의 차이를 보인다는 걸 어디서 확인하셨는지 출처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한번 확인해 보고 싶군요.

      러시아에서 공식적으로 내놓은 포로 숫자가 독일쪽에서 집계한 것과 차이를 보이는 것은 사실입니다. 크리보셰프가 집계한 통계를 보면 2차대전 기간 중 소련이 잡은 독일군 포로는 2,389,560명이고 독일인 연구자인 슈테판 카르너가 기밀해제된 NKVD의 포로 관계 문서에서 확인한 통계에서는 2,388,443명 입니다.

      독일측 집계를 보면, 뤼디거 오버만스의 연구에서는 소련에 사로잡힌 독일군 포로를 306만명으로 집계하고 있습니다. 독일측 통계는 소련군에 사로잡힌 독일군 포로를 대략 300~310만명 정도로 집계하고 있는데 이것을 기준으로 하면 독일과 러시아의 통계 그 차이는 60~70만명 정도입니다.

      삭제
  6. <span><span>http://www.stern.de/politik/geschichte/kriegsgefangene-viele-kamen-nicht-zurueck-537667.html?eid=537265</span>  
    독일 적십자사에서는 여전히 포로130만 명의 운명이 실종 상태라는 군요. 제가 잘못 봤네요.</span>

    답글삭제
    답글
    1. rookie님이 링크한 기사 또한 독일 내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이는 견해에 따라 소련군에 잡힌 독일군 포로를 306만명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