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Robert Forczyk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Robert Forczyk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7월 27일 수요일

Robert Forczyk, Tank Warfare on the Eastern Front 1943-1945: Red Steamroller (Pen and Sword, 2016)

매우 흥미롭게 읽었던 책의 후속작이 나온다면 항상 기대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전작이 좋았다고 후속작도 좋으란 법은 없지요. Robert Forczyk의 Tank Warfare on the Eastern Front 1943-1945: Red Steamroller (Pen and Sword, 2016)는 딱 그런 경우입니다. 전작인 Tank Warfare on the Eastern Front 1941-1942: Schwerpunkt (Pen and Sword, 2014)가 매우 재미있어서 기대를 했으나 아마존 서평 부터 심상치 않더니 정말 실망스럽군요.

이 책의 단점은 이렇습니다.

1. 서술의 불균형.
- 제목은 Tank Warfare on the Eastern Front 1943~1945라고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1943년'에 대부분의 서술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제가 읽은 E-Book 기준으로 1943년도의 작전을 다루는 부분은 14쪽 부터 199쪽까지 인데, 1944년 1월 부터 8월까지의 작전을 서술하는데는 216~252쪽, 1944년 9월 부터 1945년 5월까지의 작전은 252~255쪽만을 할애하고 있습니다. 전쟁 말기의 작전을 불과 4쪽만 가지고 대충 서술하고 넘어가는데서는 거의 황당함을 느낄 지경입니다. 물론 저자가 1943년 이후의 작전은 중요성이 덜하다고 판단했을 수도 있으나 그럴 거라면 애시당초 책을 1943년의 기갑작전에 집중해서 썼어야 한다고 봅니다.

2. 매우 제한적인 1차사료 활용
- 이 책의 주석만으로 판단하면 1차사료 활용이 전작에 비해 격감했습니다. 대부분의 주석이 2차사료를 출처로 하고 있습니다. 전작의 경우도 1차사료 활용이 미국에 소장중인 독일 노획문서에 한정된다는 한계가 있긴 했습니다만 이 책은 독일 노획문서 조차도 그리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지 않아 보입니다.
 사료 활용면에서 이렇다 할 장점이 없으니 책의 내용도 매우 평이하고 결론도 평이합니다. '독일이 연료 소모가 큰 중전차 생산에 집중한 것은 패착이다' '무장친위대와 공군이 많은 자원을 소모해 육군 기갑전력의 증강을 방해했다' '히틀러가 조장한 비효율적 관료제가 독일 군수산업에 악영향을 끼쳤다'와 같은 주장은 합리적이지만 기존의 연구자들도 충분히 지적해 온 문제입니다. 기존의 주장만을 답습하는데 그친다면 이 책의 의의를 어디에서 찾아야 할 지 회의적이군요.


 다만 1943년과 1944년 초의 기갑작전이 잘 정리된 점은 충분한 장점입니다. 저는 뭔가 좀 새로운 내용이 없을까 기대해서 실망했지만, 개설서라는 측면에서는 무난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전작에 비해서는 확실히 실망스럽습니다.


2015년 10월 22일 목요일

Robert Forczyk, Tank Warfare on the Eastern Front 1941-1942: Schwerpunkt (Pen and Sword, 2014)


개인적으로 Robert Forczyk의 Tank Warfare on the Eastern Front 1941-1942: Schwerpunkt는 최근 10년간 간행된 동부전선의 기갑전을 다룬 저작 중에서 한손에 꼽을 정도로 잘 씌여진 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2차세계대전사 중에서도 독일 기갑부대의 작전은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는 분야지만 2000년대에 들어오기 전 까지는 과도하게 독일 편향적인 서술이 이루어져 온 것이 사실입니다. 이것이 의도한 것이건 아니건 간에 독일군의 시각에 편중되어 씌여진 연구들은 그 한계가 명확했습니다. 이 책의 서술은 미국 국립문서보관청에 소장된 독일군 노획문서를 1차 사료로 하고, 주로 2차사료가 중심인 러시아-소련 문헌으로 보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저자는 독소전 초반의 기갑 작전에 대해 균형잡힌 서술을 하고자 하지만 1차 사료가 독일쪽에 집중되어 있다 보니 주로 독일측을 비판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서술 방식은 의외의 장점을 보여주는데 독소전 초반의 요란한 승리에 가려진 독일군 기갑부대의 한계점을 생생히 보여준다는 것 입니다.

Robert Forczyk이 이 책에서 다루는 시기는 독소전쟁 개전 부터 스탈린그라드 전투가 끝날때 까지입니다. 저자는 전략적인 측면, 작전적인 측면, 전술적인 측면을 균형있게 다루고자 합니다. 그래서 책의 서두에서 독일과 소련 양측의 기갑전 교리, 기갑부대의 편성, 교육 및 훈련 수준, 전차와 지원 장비를 비롯한 무기 체계를 비교평가하고 각각의 장단점에 대해 서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위에서 서술한 것 처럼 1차사료가 독일쪽에 집중되어 있다 보니 독일군의 한계에 대한 비판이 부각되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저자는 주요 국면에서 독일군부의 전략적인 시야가 협소한 점을 통렬하게 비판하는데 이 점은 상당히 설득력이 있습니다.

다음으로 본론인 기갑작전에 대한 서술에 대해 이야기 해 보죠. 개전 초기에는 소련군이 일방적으로 밀리면서 막대한 인력 및 장비 손실을 입었기 때문에 이 시기 독일군의 문제점에 대해 주목하는 연구는 2000년대에 들어와서야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저자는 이 시기 독일군의 성과를 인정하면서도 한계점에 대해 냉철한 비판을 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전 초기 북부전선에서 만슈타인이 보여준 기갑군단 지휘에 대해서도 지나치게 무모한 진격으로 군단의 측익과 후방을 위험에 빠트리는 경향이 있었다고 지적합니다. 물론 독일군에 대한 비판에 머무르지 않고 소련의 선전으로 과장된 콜로바노프의 활약을 지적하는 등 균형 잡힌 서술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바르바로사 작전 시기의 작전에 대한 서술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독일군 기갑부대의 소모에 대한 부분입니다. 저자는 독일군이 기갑부대의 장기적인 작전을 뒷받침 할 수 있는 보급 및 인력 보충 체계를 가지고 있지 못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것이 소모전에서 어떻게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왔는지 보여주고 있습니다. 결과론적인 비판이라 하더라도 타이푼 작전을 전후한 시점에서 소모가 심한 기갑사단 일부를 독일 본토로 소환해 재정비를 했어야 한다는 지적은 타당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소련군 기갑부대가 개전 초기의 패전의 경험을 통해 서서히 발전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점도 흥미롭습니다. 저자는 소련의 전시선전으로 개전 초기 몇몇 소련군 기갑부대의 활약상이 과장된 측면은 인정하면서도 소련군 지휘관들이 경험을 축적하면서 조금씩 독일군에 맞설 수 있는 역량을 키워나갔음을 강조합니다.

1942년 전역에 대한 서술도 비슷한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먼저 1941~42년 겨울 전역이 마무리 된 뒤 독일과 소련측이 다가올 여름의 작전을 위해 기갑부대를 재정비하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독일군과 소련군의 편제 개편, 장비의 개선, 인력 충원에 대해 서술하면서 이것이 42년 전역에 끼치는 영향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1942년 전역에 대한 서술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그동안 잘 다루어 지지 않았던 1942년 하계 전역 당시 북부집단군과 중부집단군 지구에서 전개된 기갑전에 대해서도 상당한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는 점 입니다. 그러나 역시 중요한 것은 독일군이 주공을 가한 남부전선의 이야기 겠지요. 스탈린그라드 전투에 관한 서술에서는 기갑부대를 시가전에서 소모시킨 파울루스의 미숙한 기갑부대 운용에 대한 비판, 독일 제6군이 소련군에게 포위된 뒤 전개된 독일군의 구출작전에 대한 비판 등이 주목할 만 합니다. 이중에서도 제6기갑사단장 라우스 같은 인물들이 전후 회고에서 구출작전의 경과에 대해 낙관적으로 서술한 점을 비판하는 부분이 훌륭하다고 생각됩니다.

비록 저자의 1차사료 활용이 독일측에 집중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으나 균형잡힌 서술을 하고자 하는 의도는 달성했다고 봅니다. 독일군의 작전-전술 단위의 탁월한 역량은 인정하면서도 전략적 시각의 결여, 특히 전쟁이 소모전의 단계에 접어들었음에도 이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결전을 위해 전력을 낭비한 점을 비판하는 것은 수긍할 만 합니다. 독일측 사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덕분에 독일군 지휘관들의 회고록에 실린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다만 소련-러시아 쪽의 1차사료 인용이 부족한 점은 아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