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3월 13일 일요일

2차대전 후반기 소련군 소총병사단의 규모

2차대전 당시 소련은 가공할 동원능력을 발휘해 전쟁 초반의 수많은 참패에도 불구하고 패전을 면할 수 있었습니다. 소련이 전쟁 발발 첫 6개월 동안 입은 인명손실은 끔찍한 수준이었습니다. 1941년 12월 31일까지 입은 인명손실(전사, 포로, 행방불명, 부상)이 무려 4,473,820명이었다고 하니 전쟁 첫 해에 붕괴되지 않았다는게 놀라울 지경이죠.1) 하지만 소련은 전쟁 첫해에 무려 600여만명을 동원하는 괴력을 보여줍니다.2) 글자 그대로 전멸당한 부대만큼 새로운 부대를 다시 만들어 내보내는 방식으로 위기에 대응한 것이지요.

전쟁 초기 이런 총알받이의 역할을 수행한 근간은 바로 소총병 사단(Стрелковая Дивизия) 이었습니다. 유능한 지휘관과 훈련도 부족하고 게다가 기동력 조차 낮은 소총병 사단들은 개전 초반 독일군의 밥이었습니다. 비록 용감히 맞서 싸웠다고는 하나 작전과 전술 단위의 능력이 부족하니 그 결과는 안 봐도 뻔한 것 이었습니다.

하지만 1942년과 1943년을 거치면서 상황은 조금씩 호전되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동안 누적된 인명손실이었습니다. 소련이 독일보다는 가용한 인적자원이 많다고는 해도 1942년에 7,369,278명, 1943년에 7,857,503명이라는 무시무시한 손실을 입었으니 병력 충원에 곤란함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던 것입니다.3) 그 결과 소련군의 소총병사단은 계속해서 편제병력을 줄여 나갑니다. 1942년 3월 18일의 편제에서 소총병사단의 총병력은 12,725명이었는데 이것이 1942년 7월 28일 편제에서는 10,386명, 1942년 12월 10일 편제에서는 9,435명, 1943년 7월 15일 편제에서는 9,380명으로 줄어듭니다.4) 문제는 편제 병력을 계속 줄여도 병력소모가 커서 편제를 맞추기가 어려웠다는 것 입니다. 1942-43년 동계 공세 기간 중 소련군의 소총병 부대들의 실제 병력은 부대에 따라 편제의 55~95% 수준이었습니다. 그러나 1943년 7월의 하계 전역에서는 편제의 75~80% 정도였고 편제의 90%를 넘어가는 부대는 극히 드문 실정이었다고 합니다.5)

쿠르스크 전투 당시 소련군은 독일군의 대공세를 맞아 방어준비에 심혈을 기울였고 종심깊고 강력한 방어선을 구축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독일군의 공세를 맞아 병력 보충에 상당한 힘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소총병사단들의 병력 수준은 위에서 언급한 정도에 그쳤습니다. 1943년 7월 5일, 독일 제4기갑군의 공격에 맞선 보로네지 전선군 예하 6근위군 소속 소총병사단들의 병력 규모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6근위군1943년 7월 5일 병력
51 근위소총병사단8,590
52 근위소총병사단8,900
67 근위소총병사단8,003
71 근위소총병사단8,796
89 근위소총병사단8,189
90 근위소총병사단8,417
375 소총병사단 8,647
[표: Валерий Замулин, Курский Излом(Эксмо, 2007), с.904]

이 정도 병력은 당시 수준에서 매우 양호한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쿠르스크 방어전은 소련의 승리로 끝났지만 그 피해도 상당한 수준이어서 소련군의 1943년 하계 대공세 중 하리코프에 대한 루미얀체프 작전 당시 소련군 수뇌부가 병력 충원에 심혈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소총병사단들의 평균 병력은 사단 당 7,180명으로 편제의 75%에 불과했습니다.6) 장기간에 걸친 소모전의 여파가 나타난 셈이지요.  

소총병사단들은 1943년 부터 시작된 반격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소련군이 1943년에서 1945년 까지 입은 총 병력손실 중 84.23%가, 그리고 사망자는 85.95%가 보병부대에서 발생한 것 이었습니다.7) 1941-42년과 달리 1943년 후반 이후의 소련군은 수십개 사단이 송두리째 전멸당하는 사태는 없었고 그 덕분에 각각의 부대들도 ‘작전 중의 소모’만 감당하면 되는 정도로 상황이 좋아졌지만 문제는 이 ‘작전 중의 소모’도 만만한 수준은 아니었다는데 있습니다.

1943년 9월 20일 보로네지 전선군 예하 38군 소속의 소총사단들의 병력 현황을 예로 들어보면 좋을 듯 싶습니다. 이 당시 보로네지 전선군은 쿠르스크 방어전과 루미얀체프 작전이라는 공세작전을 마치고 추격전을 위해 병력 보충을 어느 정도 받은 상태였습니다.


38군1943년 9월 20일 병력
71 소총병사단3,755
136 소총병사단5,376
163 소총병사단5,045
167 소총병사단8,488
180 소총병사단8,517
232 소총병사단7,138
240 소총병사단8,442
340 소총병사단5,404
[표 : В. Гончаров, Битва за Днепр 1943 г.(Хранитель, 2007), с.549]

이른바 근위 사단이라는 부대라고 해서 별반 나을 것은 없었습니다. 역시 9월 20일 같은 보로네지 전선군 예하 6근위군 소속 근위소총병사단들의 병력 현황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위에서 인용한 쿠르스크 전투 당시의 병력 수준과 비교해 보면 전투 손실을 제대로 보충받지 못한 상태라는 걸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6근위군1943년 9월 20일 병력
51 근위소총병사단4,064
52 근위소총병사단4,977
67 근위소총병사단4,103
71 근위소총병사단5,451
90 근위소총병사단4,651
[표 : В. Гончаров, Битва за Днепр 1943 г.(Хранитель, 2007), с.553]

1944년에 들어가면 상황이 더욱 더 심각해 졌던 것으로 보입니다. 바그라티온(Багратион) 작전 당시 소련군의 주공축선에 배치된 소총병사단들의 평균병력은 6,000~6,500명 수준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8)

소련군이 점령된 영토를 해방하면서 그만큼 더 병력자원을 동원할 수 있었지만 장기간의 소모전 때문에 전쟁 말기로 갈수록 소총사단의 병력 규모는 별로 나아지지를 않았습니다. 예를 들면 베를린 작전에 투입된 제1 벨로루시 전선군 예하 47군의 경우 작전 시작직전 병력 5,000명을 넘는 소총병사단이 하나도 없을 정도입니다.(주력 공격부대인데도 말입니다!)9)


47군1945년 4월 5일 병력
185 소총병사단4,203
260 소총병사단4,111
328 소총병사단4,163
80 소총병사단4,210
76 소총병사단4,190
175 소총병사단4,189
82 소총병사단4,055
132 소총병사단 4,597
143 소총병사단4,409

[표: Алексей Исаев, Берлин 45-го(Эксмо, 2007), с.708]

상황이 조금 나은 5충격군(Ударной Армий)의 병력 현황도 47군 보다 조금 나은 수준입니다.


5충격군1945년 4월 10일 병력
230 소총병사단5,032
248 소총병사단5,006
301 소총병사단5,638
89 근위소총병사단5,470
94 근위소총병사단5,823
266 소총병사단5,520
60 근위소총병사단5,348
295 소총병사단5,383
416 소총병사단4,649
[표: Алексей Исаев, Берлин 45-го(Эксмо, 2007), с.710]

최후의 공세를 앞두고 준비를 갖춘 사단의 병력 수준이 편제의 절반 남짓한 수준인 것을 보면 소련군 또한 인력 소모가 극도에 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 G. F. Krivosheev, Soviet Casualties and Combat Losses in the Twentieth Century(Greenhill Books, 1997), p.94
2) David M. Glantz, Colossus Reborn : The Red Army at War, 1941-1943(University Press of Kansas, 2005), p.540
3) Kreivosheev, ibid, p.94
4) Steven J. Zaloga and Leland S. Ness, Red Army Handbook 1939-45(Sutton, 1998), p.35
5) Glantz, ibid, p.190
6) David M. Glantz, From the Don to the Dnepr : Soviet Offensive Operations, December 1942-August 1943(Frank Cass, 1991), p.223
7) Kreivosheev, ibid, p.219
8) Walter S. Dunn, Jr., Soviet Blitzkrieg : The Battle for Whiter Russia 1944(Lynne Rienner, 2000), pp.41~42
9) Алексей Исаев, Берлин 45-го(Эксмо, 2007), с.708

댓글 9개:

  1. BigTrain1:40 오전

    정말 2차대전 소련군에 관련된 글들을 보면 희생이 너무나 어마어마해서 잘 다가오지를 않습니다..

    쥐어짠다고 쥐어짜도 주공부대 사단 병력이 여단급이라니.. 

    답글삭제
  2. 하얀까마귀10:49 오전

    부족한 인력을 화력으로 메운 것을 감안하면 저 중에도 알보병은 정말 부족했을 것 같습니다. 편제상으로도 그렇고 현장에서도 더욱...

    답글삭제
  3. 스카이호크12:58 오후

    러시안 스팀롤러도 한계까지 갔었군요(...)

    그런데 저쯤 되면 부대를 재편해야 하지 않을까요? 병력이야 반토막이 나든 말든 사단 숫자를 유지하려는 모양새는 힛통이나 강철의 대원수나 비슷하게 있었던 것 같은데요.

    답글삭제
  4. 길 잃은 어린양7:41 오후

    예. 워낙에 전쟁 중반까지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니 말입니다. 물론 전쟁 후반기의 인명피해도 무시무시한 수준이고요.

    답글삭제
  5. 길 잃은 어린양7:42 오후

    실제로 워낙 인명피해가 심하다 보니 이미 1942년 부터 편제 병력 보다 편제 장비의 충원 목표를 높게 잡고 있더군요.

    답글삭제
  6. 길 잃은 어린양7:43 오후

    그런데 사실 편제 병력의 50~70% 수준이라면 딱히 해체하기도 애매한 것 같습니다. 소련은 이미 1941-1942년에 부대 해체와 재편성을 지겹게 해 봤으니 재편성으로 혼란만 가중시키는 것 보다는 기존의 편제를 골격이나마 유지하는 쪽이 더 나았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고요.

    답글삭제
  7. 스카이호크8:41 오후

    듣고 보니 그렇네요. 말씀하신대로 괜히 뜯어서 완편으로 만드는 건 아무래도 성가시죠. 당장 민간기업에서 조직구조 하나 뜯어고치는 것도 생 난린데.

    그나저나, 우리 힛총통이나 강철의 대원수는 사단 병력이 반토막들이라고 완편일 때보다 임무를 더 가볍게 해 주지는 않았을 것 같네요(...)

    답글삭제
  8. 위장효과3:06 오후

    정말 막판에는 인해전술이 아니라 차해전술...처음에는 포스팅읽으면서 "단위가???" 하고 의심했을 정도입니다. 제가 알고 있는 수준에서도 분명 소련군의 인명손실은 엄청난 것이었지만, 저런 구체적인 숫자를 보면서도 믿을 수가 없더군요.

    답글삭제
  9. 길 잃은 어린양8:04 오후

    예. 솔직히 집계를 어떻게 했을까 싶을 정도로 덜덜덜한 규모입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