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3월 24일 목요일

2차대전 당시 소련에 수용된 전쟁포로의 사망률

소련의 수용소라면 당장 떠오르는 것은 열악한 생활환경과 가혹한 중노동입니다. 소련의 강제수용소를 다룬 이야기 중 가장 잘 알려진 솔제니친의 수용소군도의 내용만 보더라도 아름다운 모습이라곤 전혀 떠오르지 않지요.

2차대전 당시 소련은 총 3,777,290명의 포로를 잡았다고 합니다.1) 국적별로 세분화 하면 대략 다음과 같았다는군요.



국적
숫자
독일
2,389,560
오스트리아
156,682
헝가리
513,767
루마니아
201,800
이탈리아
48,957
핀란드
2,377
기타
464,147
G. F. Krivosheev, Soviet Casualties and Combat Losses in the Twentieth Century(Greenhill Books, 1997), p.277


그리고 이 중에서 꽤 많은 수의 포로가 고향땅을 밟지 못하고 사망했습니다. 소련 정부가 모든 포로를 송환한 뒤 1956년에 정리한 기록에 따르면 송환된 포로와 사망한 포로의 숫자는 다음과 같았다고 합니다.(집계 방식의 문제인지 위에서 인용한 자료와는 포로 숫자에서 조금 차이가 납니다.)



국적
포로 총계
송환된 포로
사망한 포로
독일
2,388,443
2,031,743
356,687
헝가리
513,766
497,748
54,753
루마니아
187,367
132,755
54,602
오스트리아
156,681
145,790
10,891
이탈리아
48,957
21,274
27,683
폴란드
60,277
57,149
3,127
체코슬로바키아
69,977
65,954
4,023
프랑스
23,136
21,811
1,325
유고슬라비아
21,830
20,354
1,468
네덜란드
4,730
4,530
199
핀란드
2,377
1,974
403
벨기에
2,014
1,833
177
룩셈부르크
1,653
1,560
92
스페인
452
382
70
덴마크
456
421
35
노르웨이
101
83
18
기타
3,989
1,062
2,927
포로 총계
3,486,206
3,006,423
518,480
Stefan Karner, “Die sowjetische Hauptverwaltung für Kriegsgefangene und Internierte. Ein Zwischenbericht” , Vierteljahrshefte für Zeitgeschichte 42-3(1994), s.470.

2차대전이 끝난 직후 소련의 사회경제적 상황은 말 그대로 최악이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얼마전 까지 총부리를 들이댔던 나라의 포로들에게 좋은 대접을 해줄 여유가 있을리 없었습니다. 2008년에 썼던 “독일장교 비더만의 소련 포로수용소 생활”이라는 글에서 간단히 다뤘지만 특히 1945~46년 겨울에는 엄청난 숫자의 포로가 사망했습니다. 사정이 조금 나아지는건 1946년 하반기 이후였다고 하지요.

어쨌든 위에서 인용한 통계에 따르면 포로 생활 중 사망한 포로의 비율은 14.9%입니다. 좀 놀라운 것은 유독 이탈리아인 포로만 엄청나게 사망했다는 것 입니다. 생환된 숫자가 사망자 보다 더 적다는게 충격적이지요. 이탈리아 포로의 사망률은 56.5%로 다른 나라를 뛰어넘는 엄청난 규모입니다.2) 아마도 이탈리아군 포로의 대부분이 1942~43년 겨울 전역에서 생포되었기 때문에 그렇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비슷한 시기 스탈린그라드에서 생포된 포로 9만여명 중 겨우 6천여명 만이 살아돌아온 것과 비교할 수 있겠군요.3) 이탈리아가 1943년 항복한 뒤에는 포로의 대우가 개선되었다는 이야기도 있긴 합니다만 일단 사망률 자체가 덜덜덜한 수준이니별로 와닫지는 않는군요.
정작 가장 고생을 많이 했을 것 같은 독일군 포로의 사망률은 평균적인 수준입니다. 물론 최악이라고 할 수 있는 스탈린그라드의 포로들을 제외한다면 말입니다. 여기에 소련이 1945년에 본국으로 끌고 가지 않고 독일 내에서 석방한 포로들을 더한다면 사망률은 조금 더 내려가지 않을 까 생각됩니다.



1)  G. F. Krivosheev, Soviet Casualties and Combat Losses in the Twentieth Century(Greenhill Books, 1997), p.277
2) Stefan Karner, “Die sowjetische Hauptverwaltung für Kriegsgefangene und Internierte. Ein Zwischenbericht” , Vierteljahrshefte für Zeitgeschichte 42-3(1994), s.470.
3) Guido Knopp, Die Gefangenen,(Wilhelm Goldmann Verlag, 2005), s.72

댓글 7개:

  1. 아이아스9:06 오전

     프랑스나 네덜란드, 덴마크 사람들은 대개가
    친위대나 의용병으로 간 사람들이 포로로 잡힌 건가요?

    확실히 많이 죽기는 죽었지만.....
    아리안 아저씨의 부하들이 잡은 포로들에 비하면 덜 죽은 건지도...-_-:

    답글삭제
    답글
    1. 프랑스의 경우 1940년에 독일령으로 편입된 알자스, 로렌 출신자들이 다수입니다. 1940~44년 당시 '독일인'으로 징병이 된 사람이 대다수라고 보면 될 것 입니다. 네덜란드나 덴마크는 거의 대부분 의용병으로 보면 될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에도 부모 중 한명이 독일인일 경우가 있어서 살짝 복잡합니다.

      독일이 잡은 소련군 포로의 사망률에 대해서도 나중에 한편 정리해서 쓸 생각입니다. 일단 1941~42년의 사망률은 굉장히 높은데 1943년 이후는 조금 미묘한 것 같습니다.

      삭제
  2. 오오 니뽄은 바졌군요 ㅋ
    형님 이 포스팅 보고 관심이 동해 일본군은 어땠나 찾아보니 마침 일본 국회도서관 웹사이트에 GHQ/SCAP가 펴낸 소련 수용소 내에서 일본인 포로에 대한 보고서가 있더군요 ㅋ 보고서는 49년 5월 기준인데 이미 47년 조낸 후덜덜한 사망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ㅋ


    <span>A tabulated list of </span><span>125</span><span> prisoners of war camps in the Soviet Area;
    giving the number of prisoners and number of dead, was compiled
    by the Japanese Demobilization Bureau in January 1947,
    bssed on numerous interrogation reports, oral and written stataments
    by repatriates. Of </span><span>209,300</span><span> prisoners of war in these camps,
    </span><span>51,332</span><span> died from malnutrition and communicable diseases.
    The mortality rate obtained was thus </span><span>24.5</span><span> percent.
    This cumulative percentage deals with the first years after
    the war, when prisoners treatment and general camp conditions
    were admittedly at their worst.</span>

    으악 ㅎ 글고 더 재밋는건 행불자가 37만명이나(...)

    시간 나면 번역해 보겠습니다 ㅋ

    하여간

    답글삭제
    답글
    1. 응. 내가 참고한 책이나 논문에는 일본군 포로의 사망률이 나와있지 않더군. 크리보셰프의 책에는 일본군 포로가 609,400명으로 나오고 카르너의 논문에는 52만여명으로 나오는 등 자료마다 편차가 커. 문제는 송환된 규모나 사망률이 실려있지 않다는 것.

      인용한 GHQ/SCAP의 자료에 나온 포로 숫자와 행불자를 더하면 대략 소련측의 통계와 비슷한 숫자가 나오는 것 같군.

      삭제
  3.  독일군 포로의 사망율이 '생각보다는' 낮아서 의외로군요. 그전에는 막연하게 독일군 포로의 절반은 수용소에서 죽은줄로만 알았는데...

    답글삭제
  4. 박종민2:26 오후

    6.25때 국군포로의 사망비율은 어느정도나 될까요?

    하긴 정확한 통계가 가능할까부터 의심이 들기는 하지만, 우리측(북한포로)의 통계는 어느정도 있지만, 북한측의 통계는 별 의미가 없지 않을까요?

    답글삭제
    답글
    1. 일단 북한쪽은 포로 전체 숫자에 대한 통계 조차 제대로 된 걸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근본적인 문제지요.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