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월 17일 화요일

문화적 충격?

빈센트 브란트Vincent Selden Randolph Brandt라는 미국 인류학자는 1965년 부터 1966년 사이에 충청남도 서산군 석포리에서 현지조사를 수행했습니다. 이 사람의 회고록이 얼마전에 번역되었는데 1960년대 한국 농어촌 사회에 대한 제3자의 시각이 꽤 재미있습니다. 이 회고록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은 축첩제도에 관련된 이야기 인데 폐쇄적인 공동체가 외부세계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보여주는 부분 같습니다. 브란트 박사는 밀가루를 얻으러 한 미군기지를 방문하고 돌아가는 길에 낮선 마을에 들러 그곳 주민들의 환대를 받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미국에 대한 이야기들을 나누었다고 합니다.

한국인 아내에 대한 여성들의 질문은 답하기가 힘들었다.

“예. 제 부인은 한국 사람이고 서울에 살고 있습니다.”

“당신의 미국 부인은 어디에 있나요.”

“내 한국 아내가 내 미국 아내입니다.”

“그건 이상한데요. 왜 그렇게 대답하시는 거죠? 뭐 때문에 화가 나셨나요? 우리는 외교관을 제외한 모든 외국인들이 여기에 있을 때 한국 아내를 데리고 산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저는 아내가 한명입니다. 그녀는 한국 사람이고, 지금은 서울에 있습니다.”

“당신의 미국 아내는 어쩌고요?”

나는 설명하려고 노력했다.

“내 아내는 한국에서 한국 사람으로 태어났습니다. 그녀는 미국에 유학을 갔습니다. 지금은 친정 가족과 함께 서울에 있습니다.”

이 대목에서 할머니가 그림자가 드리운 구석에서 권위있게 말했다.

“저 사람은 자기도 첩을 두고 있다고 말하려고 하는 게다. 하지만 서투른 한국어 실력 때문에 첩이 한국 사람인지 미국 사람인지는 모르겠구나.”

그녀는 나에게 확실히 하라고 격려했다.

“부끄러워하지 마세요. 서울의 높은 사람들이 부도덕하다고 말하지만 여기에도 첩이 있습니다. 모든 사람이 문제없다고 여기는 한 괜찮습니다.”

빈센트 S. R. 브란트 저, 『한국에서 보낸 나날들 : 인류학자 빈센트 브란트 박사의 마을현지조사 회고록』, (국사편찬위원회, 2011), 61~62쪽

이 이야기의 뒷 부분에서는 미국인들이 ‘제사’를 지내지 않는 다는 것에 마을 사람들이 충격을 받았다는 일화도 실려 있습니다. 외부와의 교류가 제한되었던 사회에서 자신들의 경험과 지식을 넘어서는 것들을 쉽게 받아들이기란 힘들 일이지요.

댓글 5개:

  1. 그냥 괴담인지도 모르지만 외부의 귀한 손님에게는 자신의 아내를 잠자리에 제공하는 것을 미덕으로 아는 종족과 접촉한 유럽인 선교사가 그것을 끝까지 사양했다가 결국 살해당했다... 뭐 이런 야그도 예전부터 돌고 그랬지 말입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어느 동네인지는 모르겠지만 난감한 일화로군요.

      삭제
  2. 이준님9:11 오후

    실화인지는 모르겠지만 80년대 KBS 명화극장을 통해서 나온 영화 이야기입니다.(스튜디오에서 북극의 눈보라를 찍은 압박) 이누이트 주인공이 선교사를 만나서 좋은 관계를 맺고 지내고 폭풍우때 서로 목숨을 구해주고 뭐 그런 사이인데.. 자기 생명도 구해주고 어쩌고 해서 풍습대로 아내를 잠자리에 제공했고, 당연히 노발대발한 선교사가 뭐라고 하자 홧김에 밀었는데 머리를 부딪혀서 죽었다.. 뭐 그런 이야기죠.

    에로는 아니고 그래서 벌어진 재판과 논쟁이 영화의 주요 주제였던 걸로 기억합니다.(라고 하지만 다 보지 못했음)

    덧: 이누이트의 이런 아름다운(?) 풍습때문에 1930년대까지 북극에 이런 저런 일로 간 분들이 미성년자 여성과 관꼐를 맺어 야이를 얻은 경우가 바일비재했죠. 북극의 나누크를 찍은 감독도 그랬고 북극점 정복자 피어리도 14살(...)여자 사이에서 아들을 얻었다고 합니다. ㅋㅋ

    답글삭제
  3. 이준님9:16 오후

    1. 개인적으로 문화적 상대주의나 이런것에 회의를 느꼈던게 50년대 남한에서 당연히 여겨지던 축첩이나 (약점이 있던 여성들에 대한) 성적 착취였습니다. 강간 같은거야 문제되는건 당연한일이지만 첩이 있고 본처가 첩이랑 알콩달콩 거리는게 "당연시 여겨지는" 사회가 혐오스럽더군요.

    2. 한국에 상주하시는 외국의 어르신들이 현지처를 가진다는 건 뭐 전두환때까지도 꽤 있었고 당연히 그러리라고 생각되었던 때가 있었죠. ㅋㅋㅋ

    3. 한국에서 높으신 분들이 첩을 가졌을때 인사상 불이익(...)을 주기 시작한게 5.16 이후부터니까 의외로 그런 역사는 깊은가봅니다. 물론 이런 축첩때문에 피해보는 여성들에게는 문화상대주의니 아름다운 풍습이니 하는건 잠꼬대에 불과하겠지만요

    답글삭제
    답글
    1. 50년대에도 축첩제를 근절하기 위해 별 짓을 다했지만 효과가 없었죠;;;; 유명한 언론사 창업자 ㅈㄱㅇ선생이 박통에게 신뢰를 얻은 이유 중 하나가 세컨드를 차별하지 않고 정성을 다해 챙겨줬기 때문이라는 야사도 있을 정도고;;;;;;;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