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스페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스페인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8년 5월 5일 월요일

16-17세기 스페인의 군사비 지출에 대한 잡담

지난 3월에 ‘국가에 의한 무장력의 독점 - 미국의 방식’이란 글을 쓰면서 글의 마지막 부분에 르네상스 시기에 살았던 이탈리아인 트리불치오(Gian Giacomo Trivulzio)의 명언(?) 한마디를 인용했었습니다.

“(전쟁에는) 다음의 세가지가 필수적이다. 돈, 더 많은 돈, 그리고 더 더욱 많은 돈 이다.”

트리불치오가 지적한 것 처럼 전쟁에서 돈 문제는 백만번을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중요한문제입니다. 르네상스 이후 유럽의 여러 국왕들은 늘어나는 전쟁 비용으로 골머리를 앓아야 했고 종종 돈이 없어 피박을 보기도 했습니다. 폴 케네디는 강대국의 흥망에서 몰락한 강대국의 첫 번째 사례로 스페인을 들고 있는데 그가 지적하는 스페인의 몰락 요인 중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재정적 측면입니다.

합스부르크체제의 실질적인 약점을 드러나게 한 것은 치솟는 전비였다. 1500년에서 1630년 사이에 식량가격은 3배, 제품가격은 5배로 오른 전반적 인플레이션은 정부재정에 큰 타격을 주었다. 여기에 육해군이 2배, 4배로 늘어남에 따라 더욱 악화되었다. 결국 합스부르크는 계속해서 부채의 변제에 안간힘을 다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1520년대 알제리, 프랑스 그리고 독일 프로티스턴트와 맞서 여러 차례 전쟁을 치른 카를 5세는 자신의 경상수입이나 특별수입으로는 도저히 지출을 감당할 수 없게 되고 자신의 수입은 이미 몇 년 앞서 은행가에 담보되어 있었다. 오직 인도에서 오는 재화에 대한 결사적인 몰수 조치와 스페인에 있는 모든 금의 압수를 통해서만 프로티스턴트 군주에 대한 전쟁을 지원할 자금을 마련할 수 있었다. 1552년의 메츠(Metz) 전투에 소요된 전비만 해도 250만 두카도로서 당시 황제가 아메리카에서 얻던 경상수입의 거의 10배에 해당하였다. 어절 수 없이 그는 계속해서 새로운 대부자금을 물색하지 않을 수 없었는데 그때마다 조건이 점점 불리해져 갔음은 당연하였다. 왕가의 신용이 무너지면서 은행의 금리는 천정부지로 치솟아 경상수입의 대부분이 몽땅 지난 부채에 대한 이자지불에만 충당되었다. 카를 5세가 퇴위하면서 펠리페 2세에게 상속한 스페인의 공식 부채는 약 2,000만 두카도였다.

폴 케네디/이일수, 전남석, 황건 공역, 강대국의 흥망, 한국경제신문사, 1987, 67쪽

스페인의 군사비 지출은 같은 시기의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도 엄청난 규모였습니다. 단순히 비용뿐 만 아니라 국가 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다 스페인은 단연 최고였습니다. 예를 들어 16세기 유럽국가들은 국가총생산의 2% 정도를 군사비에 사용한 반면 스페인은 4~5%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카를 5세는 사방에서 전쟁을 벌여댄 탓에 유럽 최고의 채무자(!)가 되고 말았습니다. 1520년부터 1532년 사이 카를 5세의 연 평균 채무액은 41만3,000 두카도였는데 이것은 1552~56년 사이에는 192만9,000두카도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런 심각한 상황은 그의 뒤를 이은 펠리페 2세 때도 딱히 나아지지는 않았습니다. 물론 펠리페 2세는 카를 5세로부터 물려받은 부실한 재정 상태를 타개하기 위해 꽤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펠리페 2세는 돈이 나올 만한 곳은 모조리 쥐어 짜냈고 아메리카로 부터의 수입은 카를 5세 치세기에 연 평균 20~30만 두카도 수준에서 200만 두카도로 늘어났습니다. 하지만 수입이 늘면 뭘 하겠습니까. 지출은 더 늘어나는데.;;;;; 먼저 펠리페 2세가 심혈을 기울인 영국원정은 군사적 재앙일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치명적인 재앙이었습니다. 펠리페 2세가 아르마다의 건설에 투자한 비용은 엄청났는데 배를 건조하는 비용만으로 4백만 두카도가 날아갔다고 합니다. 여기에 네덜란드와 이탈리아에 주둔한 육군에 소요되는 비용도 엄청난 것이어서 1574년 한 해에만 570만 두카도가 해외 주둔군을 유지하는데 소비되었습니다. 펠리페 2세 시기의 연 평균 군사비는 무려 840만 두카도 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어쨌건 스페인은 강대국이라 펠리페 2세 이후로도 계속해서 군사비에 엄청난 투자를 해댔습니다. 스페인의 군사비 지출을 연구한 톰슨(I. A. A. Thompson)에 의하면 16세기 초부터 17세기 중엽까지 스페인의 국가 예산 지출은 무려 20배가 넘게 증가했는데 이것은 같은 시기 물가 상승률의 네 배에 해당하는 것이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중 상당수는 군사비가 차지하고 있었다지요. 톰슨의 연구에 따르면 스페인은 1621년부터 1640년 까지 4억 두카도의 예산을 사용했는데 이 중 47%가 군사비였다고 합니다. 이 시기 스페인은 30년 전쟁에 참전해 가뜩이나 시원찮은 재정에 압박을 가했습니다. 이 무렵 스페인의 연 평균 군사비 지출은 1700만 두카도 였습니다.

스페인의 군사비 지출이 증가한 원인은 방대한 지배영역과 이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커져버린 군대에 있었습니다.
먼저 지배영역이 늘어나면서 그 만큼 성곽 건설과 개량, 유지에 들어가는 비용이 늘어났습니다. 오랑의 경우 펠리페 2세의 재위 시기에 30년에 걸쳐 축성에 300만 두카도가 사용되었고 1590년에는 영국의 대서양 연안지역을 습격에 대비하기 위해서 100만 두카도가 성곽의 건설과 유지 보수에 소비되었습니다. 이 시기에 보통 성곽 하나를 개량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은 7만~15만 두카도 정도였다고 합니다.
다음으로는 늘어난 영역을 방어하기 위해 병력이 증가한 것이 결정적이었습니다. 15세기 후반에 기껏해야 2만 정도이던 육군은 세기가 바뀌기 전에 6만으로 불어났고 불과 100년 뒤인 1590년에는 네덜란드 주둔군만 85,000~86,000명에 달했습니다. 물론 15~17세기 동안 유지비용이 비싼 기병의 비중이 줄어든 것도 사실이지만 그 대신 보병이 엄청나게 불어났기 때문에 기병의 감소로 인한 경제적 효과는 전혀 없었습니다. 수만의 대군에게 월급을 지급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 이었고 월급이 체불될 경우에는 난감한 결과가 따라왔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라면 네덜란드 주둔군 병사들이 월급 체불에 항의해 안트베르펜을 약탈한 것이 있지요. 펠리페 2세는 대륙에서 비싼 돈을 들여 이단들을 응징하는 동안 지중해에서도 역시 비싼돈을 들여 이교도들을 응징하고 있었습니다. 1570년대에 지중해의 갤리선 함대를 유지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은 한해에 67만 두카도 정도였다고 합니다. 17세기로 접어들어 스페인의 해양 전략의 중심이 지중해에서 대서양으로 이동하자 갤리선 함대에 들어가는 비용은 점차 줄어들었지만 대신 대서양에서 함대를 유지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이 늘어났습니다. 대서양 함대의 유지 비용은 한해에 보통 50만 두카도에서 많은 경우 100만 두카도 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육군 병력의 증가로 화약무기를 획득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모되었습니다. 화약 무기 자체는 기존의 냉병기 종류와 비교하면 비싸지는 않았지만 대신 대량으로 장비하는 특성상 전체적인 비용은 오히려 늘어났습니다. 스페인은 1588년 단 한 해에만 대포와 화약을 구매하는데 622,758 두카도를 사용했습니다. 이 중 30만 두카도 가량이 대포를 구매하는데 쓰여졌다고 합니다. 단, 일단 대포를 구입해 놓으면 포탄이나 심지, 화약 등의 소모품의 가격이 쌌던 탓에 유지비는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었던 모양입니다. 그러나 어쨌건 화약무기의 도입은 스페인에 있어 경제적인 부담이었습니다. 스페인은 군사강국이었지만 경제와 산업기반은 난감할 정도로 형편없었기 때문입니다. 스페인 국왕의 주 수입원은 아메리카의 은이었고 병기창은 스페인령 네덜란드와 이탈리아 였다죠. 스페인의 연간 병기 생산량은 1590년대 초반에 아퀘부스 2만정, 머스킷 3천정 수준이었는데 군 병력은 십만 단위이니 전쟁을 하려면 군대에 필요한 총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결국 밖에서 가져온 돈을 총 사느라 다시 밖으로 내 보내는 구조이고 이 상태에서 전쟁질을 해대니 국왕의 지갑이 항상 텅 비어있었던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 이었습니다.

참고서적
피에르 빌라르/김현일 옮김, 『금과 화폐의 역사 1450-1920』, 까치, 2000
존 H. 엘리엇/김원중 옮김, 『스페인 제국사 1469-1716』, 까치, 2000
폴 케네디/이일수, 전남석, 황건 공역, 『강대국의 흥망』, 한국경제신문사, 1987
J. R. Hale, 『War and Society in Renaissance Europe 1450-1620』,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5
I. A. A. Thompson, 「“Money, Money, and Yet More Money!” – Finance, the Fiscal-State, and the Military Revolution : Spain 1500-1600」, 『The Military Revolution Debate』, Westview, 1995

2007년 3월 23일 금요일

국제여단에 대한 우울한 이야기

(전략) 국제여단 소속의 외국인 지원병들은 스페인 병사들과 유리된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특별한 공식적인 방문을 제외하면 국제여단 병사들은 스페인 병사들과 어울리지 않습니다. 영국이나 미국인 병사들은 “럭키 스트라이크”를 피우지만 담배가 없어 피우지 못하는 스페인 병사들에게 자신들이 피우는 담배를 나눠줄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국제여단 병사들은 고국에서 보내오는 물품으로 풍족한 생활을 하지만 이것을 스페인 전우들과 나누지 않습니다. 외국인 지원병들에게는 출신 국가의 식품이 제공되지만 국제여단에 소속된 스페인 병사들에게 스페인 전통 음식을 제공한 것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알바세테(Albacete)의 의무부대는 최근까지 외국인 지원병들만 치료했으며 스페인 병사들은 해당 부대에서 알아서 하라고 방관했습니다. 알바세테, 무르시아(Murcia), 알리칸테(Alicante), 베니카심(Benicassim)의 군병원은 매우 좋은 시설을 가지고 있지만 국제여단본부의 의무감 Telge 소령과 그의 부관 Franek 대위는 국제여단에서 외국인 전우들과 함께 싸운 스페인 병사들을 받아들이는 것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저는 우리 사단이 처음으로 스페인 전우들에게 외국인 지원병들과 동등한 처우를 한 것이 대단한 성과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11여단장 Richard는 브루네테와 사라고사 전투에서 입은 피해를 보고하면서 외국인 지원병의 경우는 매우 자세하게 집계하고 때로는 이름까지 일일이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는 정작 자신이 지휘하는 스페인 병사들의 피해는 얼마나 되는지 제대로 모르고 있었습니다.

(후 략)

1938년 1월 14일, 스베르쳅스키 대령의 보고서 중에서

Spain Betrayed : The Soviet Union in the Spanish Civil War, Yale University Press, 2001, pp453-454에서 재인용

부대 재편성 도중에 매우 유감스럽고 극도로 심각한 사고들이 발생했습니다. 본부의 요청에 따라 장교 한명과 정치위원 한명이 Trembleque로 파견됐습니다. 이 두 명이 도시에 도착하자 (Trembleque) 요새사령관과 인민전선위원회에서는 이들이 도착하기 전날에 발생한 (국제여단 병사들이 일으킨) 사고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습니다. (국제여단소속의) 많은 병사들이 술에 취해서 밤새도록 도시에서 소요를 일으켰습니다. 술에 취한 (국제여단) 병사들은 경비병을 강제로 무장해제 한 뒤 위협했으며 도시의 건물들을 마구 파손해 주민들이 밤새 공포에 떨어야 했습니다. 그리고 부대 이동 과정에서 60명이 탈주했습니다.

(후 략)

1938년 2월 13일, 14혼성여단장 뒤몽 중령이 국제여단 본부에 보낸 보고서.

Spain Betrayed : The Soviet Union in the Spanish Civil War, Yale University Press, 2001, pp462-463에서 재인용

정치적 올바름을 외치는 자들의 이중성은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는 모양입니다. 프랑코에 맞서 싸운 이들의 용기까지 폄하하고 싶지는 않지만 이렇게 깽판을 칠 요량이라면 스페인에는 뭐하러 간 것일까요?

이와 비슷하게 1820년대에 그리스 독립전쟁에 참가한 서유럽 지원병들 상당수가 그리스인들을 극도로 혐오했다고 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