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항공산업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항공산업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12월 6일 월요일

전시동원체제와 군수기업체의 순익문제

항공산업 초창기 부터 냉전 초기까지 미국의 군사항공산업을 다룬 비들(Wayne Biddle)의 Barons of the Sky를 읽던 중 재미있는 부분이 하나 눈에 들어왔습니다. 미국의 전시 동원체제가 본궤도에 올라가면서 군수산업에 종사하는 항공기 생산기업들의 수익률이 떨어졌다는 이야기 입니다. 물론 항공기 생산회사들이 적자를 본 것은 아니지만 수익률이 급속히 하락했다는 것은 꽤 의외더군요. 미의회에서는 기업의 순익이 생산가격의 일정 비율을 넘지 못하게 하는 규정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1940년에는 6%였다가 1942년에는 5%, 그리고 1943년에는 4%까지 떨어졌습니다. 전시동원체제가 완성되어 갈수록 기업들은 재미를 볼 수 없었다는 이야기죠;;;;

이 책에서는 그 사례로 록히드의 P-38 가격을 들고 있습니다. 1942년 6월 육군항공대가 1,800대의 P-38을 주문했을 때 한대당 가격은 82,418달러로 록히드는 한대당 3,925달러의 순익을 올렸다고 합니다. 그런데 미하원에서 록히드가 폭리를 취한다는 보고서를 발행하자 상황이 꽤 안좋아졌습니다. 1943년 1월에 주문된 800대의 P-38은  한대당 가격이 66,861 달러로 떨어졌는데 한대당 순익은 2,572달러로 떨어졌습니다. 그리고 1944년 6월에 주문된 1,700대는 대당 가격이 67,589달러로 조금 올라갔지만 순익은 2,000달러로 더 떨어졌다고 하는군요;;;; 당시 록히드의 사장이었던 그로스(Robert E. Gross)는 꽤 실망했는지 1945년 1월 한 주주에게 보낸 편지에서 남은 전쟁 기간 동안은 1942년 만큼 돈을 벌 수 없을 거라고 푸념했다고 합니다.

전쟁으로 군수 생산이 폭증하면 기업의 이익도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하는게 일반적인데 실제로는 꼭 그렇지만도 않았다는 것이죠. 생각해 보면 전시동원체제에서는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방향으로 나가게 되는데 ‘갑’에 해당하는 정부가 ‘을’에 해당되는 기업의 이익을 꼬박꼬박 챙겨주는게 더 이상하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