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5월 7일 월요일

2차대전 중 미국의 화학전 검토에 대한 잡상

John Ellis van Courtland Moon이 1989년에 Journal of Strategic Studies에 기고했던 “Project SPHINX: The Question of the Use of Gas in the Planned Invasion of Japan”라는 논문을 읽다보니 앞부분에 꽤 재미있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왜 미국이 1945년 이전에는 일본을 상대로 화학무기 사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지 못했는가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1943년의 타라와 전투에서 미군이 상당한 인명손실을 입은 뒤 미국내에서 일본을 상대로 화학무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여론이 조금씩 힘을 받기 시작한 것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갤럽의 조사에 따르면 1944년 9월에 일본을 상대로 화학무기를 사용하는데 찬성하는 여론은 23% 남짓이었는데 1945년 6월에는 40%까지 늘어났다고 하지요. 타라와 전투 이후 일본군이 각 지역에서 보여준 극단적인 저항은 미국인들에게 상당한 문화적 충격을 주었던 모양입니다. 일본군의 저항으로 인명손실이 높아지면서 대중과 언론은 물론 미육군 내에서도 요새화된 섬에서 저항하는 일본군을 상대로 화학무기가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특히 미육군 화학전국Chemical Warfare Service의 국장 포터William N. Porter 소장은 일본을 상대로 화학무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주장을 강력하게 펼친 인물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포터 소장의 제안은 육군참모본부 작전국에서 검토만 되었을 뿐 1945년 이전에는 그 이상의 단계로 나가질 못했습니다.

문은 그 이유를 몇가지 제시하고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잘 알려져 있다시피 루즈벨트 대통령이 화학무기 사용에 부정적이었다는 점 입니다. 루즈벨트 대통령은 미국이 먼저 화학무기를 사용하는 것에 반대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제시하는 이유가 재미있습니다. 미국은 일본군을 상대로 화학무기를 사용할 경우 유럽전선에서 독일이 화학전을 전개할 가능성을 우려했다는 것 입니다. 일본군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강력한 화학전 능력을 갖춘 독일이 화학무기를 뿌려댄다면 제법 골치가 아팠을 것 입니다. 그랬기 때문에 루즈벨트 대통령이 사망한 것과 함께 독일의 항복도 미국이 1945년 부터 본격적으로 일본을 상대로 한 화학전을 진지하게 검토한 이유라는 것 입니다.

이점을 보면 냉전기에 핵무기 사용을 둘러싼 논의가 연상됩니다. 특히 독일의 화학전 능력이 상대적으로 화학전에 대한 보복수단이 마땅치 않은 일본에 대한 억지력으로 작용했다는 설명은 상당히 재미있습니다. 마치 핵무장을 한 강대국이 하위 동맹에 대한 핵억지력을 제공하는 것과 비슷해 보인다고 할까요.

댓글 4개:

  1. 드레드노트11:22 오후

    오, 화학 무기! 제가 군대있을때 화생방 지원대(제가 있던 공군에선 이렇게 불렀습니다)에 있어서 감회가 새롭네요. 1943년 미군의 이탈리아 상륙 당시 수포 작용제(아마 겨자 가스였을 겁니다)를 수송선에 실어 날랐을 정도이니 미군도 여차하면 쓸 생각이었던 거 같습니다.

    문제는 수포 작용제가 실린 수송선이 독일군 폭격에 격침되는 바람에 수많은 미군 사상자가 발생했지요. 누출된 수포 작용제로 인해 항구는 아비규환이 되어 버렸고 일부는 바닷물에 아주 잘 섞이는(...) 바람에 침몰을 피해 바다에 뛰어든 수병들은...


    위 얘기는 군생활 당시 교범에서 봤던 건데 기억이 가물가물하지만 화학 무기 얘기가 나와 한 번 끄적여 봤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양쪽 모두 화학무기 개발과 생산을 꾸준히 했지만 막상 사용하게 된다면 골치가 아파지니 사용을 주저했지요. 특히 독일은;;;;

      삭제
  2. 위장효과9:14 오전

    자국민들및 점령지 민간인들에게는 잘도 사용했으면서 정작 전장에서의 사용은 꺼려했던 것도 아이러니죠.

    답글삭제
    답글
    1. 원래 만만한 상대에겐 거리낌이 없는 법이죠;;;;;;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