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9월 28일 금요일

해결책은 언제나 간단;;;;;

며칠전에 NARA에서 독일 노획문서 마이크로필름 사본을 복사하는 이야기를 꺼냈었죠. 필름 한 롤을 복사하는데 125달러나 들어가서 잠깐 멍때리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오늘 다시 가서 4층에 있는 그곳 직원인 빨간머리 흑누님(;;;)한테 이 이야기를 꺼냈더니만 그냥 카메라로 찍으면 되지 뭘 고민이냐며 웃더군요;;;; 아아. 해답을 주시는 흑누님.

그래서 가지고 간 카메라 중 한대인 캐논 SH40HS로 찍어봤는데 생각보다 쓸만합니다. 물론 문서가 좀 클 경우에 마이크로필름 리더의 화면에 있는 격자표시까지 찍히는게 좀 걸리긴 합니다만 제가 좀 가난하니 이정도 문제는 감수해야죠.

시험삼아 바르바로사 작전 초기 독일 제2기갑집단의 작전처 문서를 찍어봤습니다. 원본 그대로 올리기 때문에 클릭하시면 제대로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제는 돈 걱정이 아니라 업무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최대한 많은 독일자료를 확보하는게 문제가 되었습니다. 다행히 토요일에도 문서보관소가 개관을 하니 시간 배분을 잘 해야겠습니다.

2012년 9월 25일 화요일

유니온역의 반즈 앤 노블

오전에 워싱턴DC에 가서 등록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유니온역에 들렀습니다. 주말에 갈 곳에 있어서 기차시간표를 알아보러 갔는데 이 역에는 제법 큰 반즈 앤 노블이 있더군요. 마침 필요한게 있어서 한번 둘러보기로 했습니다. 잠깐 살펴보니 독일을 여행할 때 들렀던 기차역 구내서점들과 비슷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대중적인 군사서적을 제법 찾아볼 수 있는게 마음에 들더군요. 서적시장이 세분화 되어 있다는 것은 상당한 장점 같습니다.


2012년 9월 23일 일요일

NARA에서 마이크로 필름 한 롤을 복사하는 비용을 알아봤는데

쉬면서 앞으로 할 일을 정리해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곁다리로 잉여력 향상을 위한 준비도 하고 있는데 이게 좀 만만치 않군요. 여유가 생기면 독일 노획문서의 마이크로필름 사본을 사가려 하는데 제가 필요로 하는 시기의 기록이 NARA에는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들어 켐프 분견군은 작전참모부 문서가 한장도 없고 제5기갑사단은 1943년 가을 이후의 작전처 문서가 없습니다. 특히 동부전선에서 작전한 사단들의 경우 1943년 이후의 문서가 없는 경우가 제법 있어서 당혹스럽습니다. 바그라티온 작전에 대한 글을 써보려 했는데 좀 그렇군요. 다행인 점은 야전군과 기갑군 단위의 문서는 상대적으로 잘 남아 있다는 점 입니다.

결정적으로 가격도 만만치 않습니다. NARA에서 공개하는 가이드를 읽어보니 1960년대에는 필름 한 롤을 복사해 주는데 7~8달러 정도 했던 것 같은데 현재는 한 롤을 복사하는데 120달러가 들어가는군요. 시험삼하 카트에 몇 롤 넣어봤는데 가격이 장난이 아닙니다. 일단은 일 끝나고 귀국하기 직전에 남은 돈에 맞춰서 복사를 해야 겠습니다.

역시 잉여력 향상에 가장 중요한 것은 돈 입니다.

2012년 9월 21일 금요일

잉여력을 업그레이드 하고 오겠습니다

일이 있어서 오늘부터 한 5~6개월 정도 미국에 가 있으려 합니다. 

잉여력을 업그레이드할 좋은 기회가 아닐까 생각중입니다.

생각해 보면 2003년에 독일에서 몇달 뒹굴거린 것이 잉여력 향상에 꽤 도움이 되었는데 이번 미국 체류도 그러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재미있는 것들을 많이 건져올 수 있었으면 합니다.

아, 그러나 짧은 기간이지만 가까운 사람들과 떨어져 지내야 한다는게 아쉽군요.

어쨌든 앞으로도 헤롱한 상태로 즐겁게 서로 낄낄거릴 수 있는 온라인 생활이 계속되었으면 합니다.



2012년 9월 17일 월요일

북한 주재 소련대사 슈티코프의 1950년 6월 26일 전문

출국준비로 어수선해서 블로그질이 좀 뜸하군요;;;; 가끔씩 들러주시는 분들께 민망하니 한국전쟁과 관련된 날림번역글 하나 올려 봅니다.

이 전문은 1950년 6월 26일 평양주재 소련대사 슈티코프가 소련군 총참모부 정보부국장 자하로프Матве́й Васи́льевич Заха́ров에게 보낸 것으로 1994년 BBC가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입수한 문서입니다. 한국에서 번역출간된 라주바예프 보고서와 중복되는 내용이 많긴하지만 개전 초기 북한군의 문제를 잘 요약해서 보여주는 글 같습니다. 라주바예프 보고서는 한참 뒤에 작성되어 정리가 잘 되어있긴 합니다만 슈티코프가 작성한 이 문서는 개전 직후에 작성되어 당시의 분위기를 좀 더 잘 반영하는 것 같습니다. 특히 개전 초반의 유리한 상황에서도 북한군 수뇌부의 지휘능력 부족을 질타하는 부분이 주목할 만 합니다.





1급기밀 
자하로프 동지 앞. 
직접 전달할 것.


조선인민군의 군사작전 준비와 실행 과정에 대해 보고합니다. 
조선인민군은 총참모부의 계획에 따라 6월 12일 부터 38도 접경지대에 병력집결을 시작해 6월 23일에 집결을 완료했습니다. 부대 재배치는 질서정연하게 이루어졌으며 사고는 없었습니다. 
적의 정보부서가 군부대의 재배치를 감지했을 가능성도 있지만 계획을 그대로 실행했으며 작전 실행 시기는 비밀로 했습니다. 
사단급 작전계획과 지형정찰은 소련 고문관의 참여하에 이루어졌습니다. 
작전에 필요한 모든 준비과정은 6월 24일까지 완료되었습니다. 6월 24일 각 사단장은 작전 일시와 시간에 대한 명령을 받았습니다. 
각 부대에서는 남조선 군대가 38선을 침공하여 군사적 공격을 도발하였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가 조선인민군에 반격을 명령했다는 민족보위성의 명령서가 낭독되었습니다. 
조선인민군의 장교와 사병들은 반격명령을 열렬히 환영했습니다. 
각 부대는 6월 24일 24시 공격개시선으로 이동했습니다. 군사작전은 조선 시간으로 오전 4시 40분 개시되었습니다. 포병의 공격 준비사격은 20~40분의 직접 포격과 10분간의 탄막포격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보병은 왕성한 사기를 가지고 공격에 나섰습니다. 공격 시작 후 첫 세시간 동안 공격부대는 3~5km를 진격했습니다. 
조선인민군의 공격은 적에게 완전한 기습이었습니다. 
적은 옹진, 개성과 서울 축선에서만 강력한 저항을 했습니다. 적은 공격 첫날 12시가 지나서야 보다 조직적인 저항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첫날 전투에서 점령한 도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옹진, 개성, 신읍리(新邑里, Sinyuri, しん ゆうり) .(1943년 총참모부가 간행한 1:1,000,000 지도) 
인민군은 춘천방면에서 12km를 진격했습니다. 
동해안에서는 8km를 진격했습니다. 
공격 첫날 조선인민군 해군은 동해안에서 두 개의 상륙작전을 실시했습니다. 첫번째 상륙집단은 강릉(Korio, こうりょう) 지구에 상륙했으며 해군육전대 2개대대와 1천여명의 빨치산으로 편성되어 있습니다. 두 번째 상륙집단은 울진에 상륙했으며 600여명의 빨치산으로 편성되어 있습니다. 
상륙작전은 5시 25분에 시작되었으며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습니다. 
빨치산 부대가 울진과 그 주변 지역을 점령했습니다. 
상륙과정에서 인민군의 함선과 남조선군의 함선 간에 교전이 있었습니다. 교전 결과 남조선군의 트롤함 한척이 격침되었고 다른 한척이 파손되었습니다. 북조선 함대는 피해가 없었습니다. 
6월 26일 인민군은 공격을 계속하여 전투를 치르면서 남조선 영내 깊숙히 전진해 들어갔습니다. 
6월 26일에는 옹진반도와 개성반도가 완전히 소탕되었으며 (인민군) 6사단은 (강화)만을 강행 도하하여 김포 비행장 방면의 인구밀집지대를 점령했습니다.  
서울 방면에서는 (인민군) 제1사단과 제4사단이 문산과 동두천을 점령했으며 제2사단은 (강원도의) 중심인 춘천(Siunsen, しゅんせん)을 점령했습니다. 
동해안에서도 진격이 계속됐습니다. 주문리(注文里, Tubuiri, ちゅうぶんり, 주문진)를 점령했습니다. 
6월 26일에는 고성 방면으로 진격하는 제12사단, 신읍리를 지나 의정부(Geisif, ぎせいふ) 방면으로 진격하는 제3사단 및 기계화여단과 하루종일 연락이 두절되었읍니다. 
북(조선군)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민군의 작전 수행에 있어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문제를 지적할 필요가 있습니다. 
1. 군사작전이 시작되면서 각 부대가 전방으로 진격하는 동시에 상급부대에서 하급부대에 이르기까지 지휘부 간의 교신이 두절됐습니다. 인민군 총참모부는 개전 첫날 부터 전투를 지휘하지 못 했으며 단 하나의 사단과도 제대로 된 통신을 유지하지 못 했습니다.
각 부대의 지휘관들은 상급 제대의 참모부와 교신을 하려 하지 않았으며, 야전 부대와 그 상급 부대의 지휘에서는 참모진을 허가를 받지도 않고 교체했으며, 총참모부는 동해안에서 작전하고 있는 여단 및 제12사단과 교신을 하지 못했습니다. 
2. 조선인민군의 참모진은 전투 경험이 없었습니다. 소련 군사고문단이 동반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투 지휘가 졸렬했으며 포병 및 전차의 운용도 형편없었고 통신도 제대로 하지 못했습니다. 
3. 그러나 우리의 군사고문관들은 조선인민군 부대 내에서 매우 헌신적으로 활동했으며 이들이 부여받은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북돋아 주었습니다. 
4. 군사작전이 개시될 무렵 북조선 인민들의 정치적인 분위기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에 대한 신뢰와 조선인민군이 승리할 것이라는 믿음 때문에 전반적으로 열성적이었습니다. 
6월 26일 김일성은 조선민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의 이름으로 조선 인민들에게 연설을 했으며 이 연설에서 조국의 정세에 대하여 설명했으며, 적을 섬멸하고 조선을 통일하는 과업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5. 조선인민군 지휘부는 부대간의 통신을 정상화하고 전투 지휘를 체계적으로 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이 조치가 마무리되고 인민군 사령부는 철원(Tepuges, てつげん) 지구로 이동했습니다. 민족보위상(최용건), 인민군 총참모장(강건), 그리고 군사고문단장과 여러명의 장교들이 사령부로 갈 것 입니다. 
남(조선군)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 이틀간의 군사작전으로 다음과 같은 점이 드러났습니다. 
1. 적군은 저항 의지를 보여주었으며 싸우면서 남조선 내륙 깊숙히 퇴각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남조선군의 포로를 많이 잡지 못했습니다. 
2. 남조선 괴뢰정부는 후방에 있던 부대를 투입하고 있으며 인민군의 진격을 저지하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3. 첫날 조선인민군의 공세로 남조선은 혼란에 빠졌습니다. 남조선 당국과 주한미국대사는 라디오 방송에서 담화를 발표하여 남조선 인민들이 침착하게 있을 것을 당부했습니다. 남조선군의 사령부는 남조선 군대가 승리하고 있다는 거짓 방송을 하고 있습니다.

슈티코프 
No. 358/sh 
1950년 6월 26일

2012년 9월 9일 일요일

타미야의 1/48 AFV 신제품!

1/48 AFV 시리즈로 저에게 즐거움을 주는 타미야에서 1/48 신제품을 예고했습니다!!!





이번 제품은 4호전차 파생형인 대공전차 뫼벨바겐이로군요. 대공전차는 딱히 좋아하지 않지만 4호전차 파생형이라면 이야기가 다르죠! 으흐흐흐.

그런데 한가지 재미있는 점은 기존의 4호전차 J형에서 쓰던 다이캐스트 차체를 쓰지 않는 듯 합니다. 차체 하부를 새로 만들었다는 이야기 같은데 이걸 보면 새로운 4호전차 파생형들이 출시될 것 같습니다. 으흐흐흐.

4호전차 시리즈를 새롭게 시작하는 마당에 4호전차 D형이나 단포신 F형을 발매해 줬으면 합니다. 아. 하필이면 외국에 나가야해서 수입되는 대로 집어들 수 없는게 안타깝군요. 돌아오는 대로 지르겠습니다.

2012년 9월 8일 토요일

[번역글] "마스터 플랜" : 중국의 신형 유도미사일 구축함

9월 4일 The Diplomat 인터넷 판에 재미있는 글이 한 편 실렸습니다. 제목은 “‘마스터 플랜’ : 중국의 신형 유도미사일 구축함(The Master ‘PLAN’: China’s New Guided Missile Destroyer)”인데 영어로 계획을 뜻하는 Plan과 인민해방군 해군(PLAN, People’s Liberation Army Navy)의 영문약자가 같은 점을 이용해서 재미있는 글장난을 하고 있네요. 제목부터 재미있습니다. PLAN이라는 글자가 중의적이라서 ‘기본계획’ 대신 ‘마스터 플랜’이라고 옮겼습니다.

이 글의 필자인 미해군전쟁대학U.S. Naval War College교수 요시하라 도시吉原俊井와 제임스 홈즈James R. Holmes는 중국해군의 건함 양상이 구축함 중심의 대형함정 위주로 나가고 있으며 영유권 분쟁이 일어나고 있는 중국 인근 해역에서의 작전을 염두에 두고 진행되고 있음을 지적합니다. 특히 중국의 구축함 건조가 해군력의 균형을 무너뜨리고 있다는 방향으로 서술을 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대응이 어떤 양상으로 나갈지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결국 이 불균형을 메꿔줄 나라가 어디인지는 뻔한 것인데 한국에는 한미일의 군사적 협력에 경기를 일으키는 사람이 많아서 이 글을 불편하게 받아들일 사람도 많을 듯 싶습니다.

날림번역이긴 합니다만 한번 읽어보시죠.


“마스터 플랜(The Master PLAN)’ : 중국의 신형 유도미사일 구축함”

우리는 야구장의 철학자 요기 베라Lawrence Peter "Yogi" Berra의 열렬한 추종자이다. 요기 베라는 “예측을 하는 것은 어렵다. 특히 미래에 대한 것이라면 더욱 그렇다”는 말을 남겼다고 전해진다. 위대한 요기 베라가 그랬던 것 처럼 우리도 예언에 운을 걸지는 않는다. 하지만 우리는 2010년 말 더 디플로맷The Diplomat에 중국 정부가 해군 증강을 늦추거나 중단할 것이라고 예측한 서방 전문가들의 견해가 틀릴 것이라는 예측을 한 바 있다.
중국이 해군 증강을 늦추거나 중단할 것이라고 예측한 전문가들은 그 증거로서 중국이 유도미사일구축함, 즉 DDG의 건조를 중단했다는 점을 내세웠다. 만약 그대로 되었더라면 중국은 의도적으로 자국 해군의 타격력을 감소시키는 선택을 한 것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중국해군은  여러 종류의 유도미사일 구축함을 시험하면서 이중에서 가장 뛰어난 요소만을 종합한 함정을 완성하려는 것으로 보았던 것이다. 그리고 인터넷에 공개된 052D 뤼양(旅洋)2급 유도미사일 구축함의 사진을 놓고 봤을때 구축함의 건조를 본격적으로 재개할 것이라고 보았다.
최근까지 서방의 중국인민해방군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중국의 조선소에서는 유도미사일 프리킷이나 고속정 처럼 방어에 특화된 항속거리가 짧은 소형함정을 건조하기 위해서 유도미사일 구축함 같은 주력함정의 건조를 늦추거나 중단하고 있다는 주장이 주를 이루었다. 이들은 2005년 이래로 구축함의 건조가 줄어들었다는 점을 근거로 내세웠다. 이들은 이를 통해 중국의 해군력 건설이 위협적이지 않은 방향으로 나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주장은 아무리 잘 봐줘야 직관력이 떨어지는 것이라고 밖에 할 수 없다. 그리고 실제로 지난 몇년간 중국과 서방의 군사 웹사이트에는 이런 낙관적인 전망을 뒤흔들 사진들이 잇달아 올라왔다. 이러한 사진들은 우리가 중국의 건함 경향에 대한 예측을 내놓았던 2010년에 이미 중국은 유도미사일 구축함의 건조를 재개했음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최근의 정보들은 상하이에 있는 장난(江南) 조선소에서 여섯번째의 052C 유도미사일 구축함을 진수했으며 연평균 두척을 기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 옆에서 건조중인 새로운 함정은 052C의 후속함인 052D로 추정된다. 그리고 잘 알려진 중국 전문가 한명은 지난주 신형 함정(052D) 한척이 진수되었다고 확인해 주었다. 이 배가 당장 항해를 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조선소의 일반적인 공정을 감안할 때, 더 많은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 것은 분명하다. 그렇지만 이 배를 진수한 것은 대양으로 신형 군함을 내보내는 중요한 시금석이라 할 수 있다.
어쩌면 중국해군은 가장 적합한 수상전투함을 가지게 된 것인지도 모른다.
타이페이 타임즈에 따르면 비밀에 둘러쌓인 새 군함은 052C의 개량형으로 중국의 해군 지지자들에게 “중국판 이지스”로 불리고 있으며 미국의 이지스함과 기술적으로 대등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필자들은 이런 주장을 신뢰하지 않는다.) 052D는 스텔스 설계가 적용된 6,000톤급 함정으로 가스터빈 엔진을 갖췄으며 64개의 수직발사기(VLS)를 갖추고 있다. 수직발사기는 함체에 내장된 수납통이라 할 수 있다. 각 수직발사기는 미사일 적재량에 따라 한 발에서 네 발의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 수직발사기는 함내의 무기고에서 발사대까지 미사일을 옮기면서 일어나는 불편함, 시간 지연, 기술적 문제 없이 함대공, 함대함, 함대지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게 해준다.
최소한 서류상으로 052D는 미해군의 알레이버크Arleigh Burke급 유도미사일구축함이나 타이콘데로가Ticonderoga급 유도미사일순양함의 축소판에 가깝다. 중국해군의 유도미사일 구축함은 미국 해군의 해당 함종보다 배수량이 작은데 미국 해군의 알레이버크급은 11,000톤, 타이콘데로가급은 9,600톤이다. 배수량이 작다는 것은 연료탑재량이 더 적고 그만큼 항속거리도 짧다는 것이다.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 보면 이 정도의 능력은 이 군함이 활동하게 될 중국의 “근해”와 인도양에서의 국지적 임무에는 적합한 것이다. 052D급의 무장 또한 알레이버크급이나 타이콘데로가급 보다 적은데 전자는 수직발사기 96개를, 후자는 수직발사기 122개를 장착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구축함들은 아시아 해역에서의 국지분쟁에는 충분한 타격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중국 구축함들은 대부분 연안에 배치된 전력의 화력지원을 받으며 작전을 펼칠 것이므로 화력의 격차는 줄어들 것이다.
중국정부는 1990년대 후반 본격적으로 해군 증강을 시작하면서 함대 건설에 매우 합리적인 접근방식을 취했다. 중국을 둘러싼 전략환경이 유리하고 미국이 공해와 하늘에 대해 자유로운 출입을 허용하는 동안 중국해군은 여유롭게 “함대에 대한 실험”을 시도했다. 조선소에서는 여러 종류의 소형함정을 건조하면서 장점만을 골라서 취했으며 나머지는 버렸다. 이러한 ‘위험회피risk-averse’ 방식을 통해 기술적인 감각을 획득하면서 조선공학 측면에서 질적인 도약을 이룩했다.
각각 두척 내외가 건조된 다섯 종류의 함급으로 이루어진 중국의 수상함대는 이러한 느린 접근방식의 증거이다. 이 함정들은 모항 근처에 머무를 필요가 없다. 중국해군은 승무원들의 기량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교리를 개발하며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험적으로 건조된 함정들을 원양에 투입했으며 이를 통해 실질적인 가치를 얻어냈다. 인도양에서의 해적 퇴치 작전에서도 이런 방식을 취한 것이 확실하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중국해군은 한 종류의 함정을 대량 건조하게 될 것이다. 중국이 해군에 대한 실험을 마무리 짓기에는 적절한 시기로 보인다. 소련이 건조한 항공모함 바략을 개장한 중국해군의 첫번째 항공모함은 시험 운항을 실시하고 있는 중이다. 최근 정보에 따르면 중국은 바략의 갑판에서 운용이 가능한 러시아의 Su-33 전투기를 역설계한 파생형인 J-15의 시험비행을 실시했다고 한다. 중국해군의 첫 항공모함 기동전단에서 아직 미비한 것은 항공기와 미사일로 부터 주력함을 보호할 수 있는 다목적의 감시용 함선이다. 052D가 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의 신형 유도미사일 구축함이 순전히 항공모함을 보유하려는 중국의 야망을 실현하려는 것이라는 점을 인정할 수 밖에 없다. 중국이 미국과 동등한 항공모함 전투단을 편성하는 것은 엄청난 도전이다. 중국은 항공모함과 항공모함 항공단, 수상함정, 그리고 전위를 맡을 원자력추진 공격잠수함으로 빈틈없이 상호 연계가 가능한 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이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구축함의 유용성은 단지 중국의 항공모함 도입 계획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다. 구축함은 주력이 되는 함선이다. 다목적의 유도미사일 구축함은 중국해군이 체계적으로 항공모함 운용 방식을 습득하는 동안에 다른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052D급은 수상함전투전대SAG, Surface Action Group나 상륙기동부대의 지원에 배속하거나 항공모함이 아닌 다른 중요 함선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052D급은 임무에 따라서는 부대의 핵심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052D은 광대한 해역에서 이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지난 5년간 11척에 달하는 수상함전투전대들이 류큐 열도를 가로지르는 공해상의 해협을 통과해 서태평양으로 진출했다. 2012년의 첫 6개월 동안에만 4개의 수상함전투전대가 이곳을 통과해 대양으로 나갔다. 이러한 해상 활동 경향은 수상함전투전대가 운용하게 될 수상함에 관한 조직원칙을 이해하는 핵심일 수 있음을 보여주며 그 중에서도 052D급은 핵심적인 위치에 있을 것이다.
중국해군은 무엇을 할 것인가? 특히 개량된 뤼양급은 대함공격에 특화되어 있는, 중국이 보유한 러시아제 소브레메늬급 구축함에 대한 공격을 방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052D급은 중국이 연안지역에 힘을 투사하기 위해서 건조하고 있는, 아직은 얼마 안되지만 꾸준히 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상륙강습함들을 호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원정타격부대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해군을 간단히 압도할 수 있을것이다. 특히 이런 종류의 부대는 남중국해의 섬을 점령하는데 적합하다. 또한 052D급은 기동성과 스텔스성을 갖춘 022 허베이급 쌍동선에 대한 대공방어를 제공할 수 있다. 허베이급은 작은 선체로 감지를 회피하며 우세한 적 함대를 상대로 제해권을 확보하거나 거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거리 대함 순항미사일을 운용한다.
게다가 타이완에서 돌발사태가 발생할 경우, 최신예 유도미사일 구축함은 방어하는 대만공군의 생존능력을 위협할 수 있는 함대 기반의 방공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척의 052D급은 장거리 탐지능력과 교전 거리를 가졌기 때문에 중국본토에 배치된 지대공 미사일의 유효사정거리를 훨씬 넘어서 타이완 인근, 혹은 타이완 전역에 걸친 범위를 담당할 수 있다. 타이완 동쪽에 배치된 052D급은 타이완을 완전히 포위해서 타이완 조종사들이 이륙하면 모든 방향에서 위협을 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국해군은 이토록 인상적인 일선의 함선들을 해외로 파견해서 중국의 군사적 강력함을 외국인들에게 과시하고 해군외교를 증진할 수 있을것이다. 핵심은 중국이 더 많은, 그리고 더 우수한 대형 구축함을 가지게 될수록 다양한 임무를 위해서 중국해군의 다양한 자산을 조합할 수 있게 될것이라는 점이다.
끝으로 한마디 더 하자면, 중국해군이 유도미사일 구축함을 증강하는 것이 이 지역의 해군력 균형을 뒤바꿀 것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대답은 간단하다. 그렇다. IISS의 밀리터리 밸런스Military Balance에 근거해 간략하게 추산해 보는 것 만으로도 실상이 잘 드러난다. 타이페이 타임즈가 예측한 것 처럼 중국이 10척의 052D급을 배치한다면 중국해군은 이지스함에 견줄수 있는 함정을 16척 보유하게 된다. 그리고 중국해군이 10척만 건조하고 멈출 것으로 생각할 수는 없을 것이다. 반면 현재 아시아 지역에서 이지스함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인 일본과 한국의 경우 각각 6척과 3척을 보유하고 있을 뿐이다.
최소한 서류상으로는, 이 경우 중국이 아시아에서 가장 강력한 해군국이 되는 것이다. 일단 052D급이 함대에 배치되기만 하면 중국해군은 미해군을 제외하면 다른 어떤 나라의 해군을 상대로 하더라도 우위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중국해군은 일본해상자위대에 대해서 16:6의 우세를 보일 것이며, 한국해군에 대해서는 16:3의 우세를 보일 것이다. 그리고 일본과 한국의 연합함대에 대해서는 16:9의 우세를 보일 것이다. 이것은 심각한 문제이다.(That’s significant.)
중국에게 유리한 쪽으로 균형이 기울게 되면 수년내로 아시아에서는 새로운 건함 경쟁이 일어날 것인가? 미국이 아시아에서 유지할 수 있는 힘과 아시아 국가들이 군비경쟁을 감당할 수 있는 능력과 이로 인한 비용을 부담하려는 의지에 많은 것이 달려있다. 이제 중국해군이 해군력 건설을 멈추었느냐는 논의는 할 필요도 없다. 이제는 이 골치아픈 문제에 대해서 심각하게 생각할 때이다.

2012년 9월 4일 화요일

항공모함의 효용에 대한 최근 미국의 논의

얼마전 포린 폴리시 인터넷판에 올라온 로버트 해딕Robert Haddick의 글, “Shipping Out : Are aircraft carriers becoming obsolete?”을 읽고나서 몇가지 잡생각을 했습니다.

미국 연방정부의 예산감축에 따라 국방비도 크게 감축되고 있는데 이런 분위기에 편승해 많은 예산을 잡아먹는 항공모함의 효용성에 대한 논의가 있는 모양입니다. 막대한 유지비가 소요되는데다가 고속의 장거리 대함미사일의 발전 때문에 갈수록 작전에 제약을 받게될테니 “값싼” 다른 대안을 찾아봐야 하는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는 것 입니다. 특히 최대의 가상적인 중국은 접근거부전략을 취하면서 대함미사일을 중시하는 방향을 취하고 있는데 이 경우 항공모함 항공단의 주 용도인 지상타격은 꽤 곤란해 질 수 있습니다. 항공모함이 항공기들의 작전범위 내에서 미사일 때문에 활동의 제약을 받게된다면 그야말로 돈낭비가 되겠지요. 특히 항공모함은 미국의 강력함을 상징하는 정치적 자산이기도 한데 싸구려 미사일 몇발 때문에 써먹을 수 없다면 미국의 정치적 위신이 실추될 수도 있습니다.(이건 꽤 심각한 타격이 되겠지요.)

재미있게도 이런 상황에서 항공모함을 비판하는 사람들에게 미국 공군의 B-1이나 B-52 같은 장거리폭격기들이 매력적인 대안으로 비춰지는 모양입니다.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드러난 것 처럼 긴 항속거리와 많은 탑재량을 가진 장거리폭격기는 새로운 전장 환경에 잘 맞는 유용한 무기였습니다. 신속대응이 가능하면서도 항공모함에 비하면 ‘저렴한’ 무기체계라는 점에서 예산에 신경을 쓰는 정치인들의 주목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 입니다.

이 상황은 마치 트루먼 행정부에서 ‘제독의 반란’이 일어날 당시의 상황과 비슷해 보이기도 합니다. 트루먼 행정부도 국방예산 삭감을 추진하면서 비용이 많이드는 항공모함 중심의 해군 보다는 B-36으로 대표되는 장거리폭격기와 핵무기를 중심으로 한 국방정책을 취하려 했지요. 똑같은 상황은 아닙니다만 예산감축이 필요한 상황에서 장거리폭격기가 항공모함의 대안으로 비춰지는 것이 상당히 재미있습니다.

2012년 9월 1일 토요일

새우 싸움에 고래 등 터질(?) 걱정

닉슨이 중국을 방문했을 때 저우언라이와 나눈 대화랍니다.

저우언라이 : 우리는 조선 문제에 관한 미국의 견해를 당연히 알고 있습니다. 물론 미국도 우리의 견해를 알고 있을 것 입니다. 먼저 닉슨 대통령의 공식적인 정책은  미래에 조선에서 군대를 궁극적으로 철수하는 것입니다. 또한 일본 자위대가 남조선에 들어오는 것도 막을 것인데 이것은 극동의 평화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하면 북조선과 남조선의 교류를 촉진할 수 있겠습니까? 어떻게 하면 평화로운 재통일을 촉진할 수 있겠습니까? 이 문제는 오랜 시일이 필요할 것 입니다.
닉슨 : 중요한 문제는 우리 양국이 동맹국들이 억제하도록 영향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점 입니다. 총리에게 역사적인 이야기를 하나 알려드리지요. 나는 1953년 부통령이 된 뒤 처음으로 세계 각국을 순방했습니다.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내게 이승만에 대한 매우 긴 구두 훈령을 주었습니다. 이승만은 북진할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 나는 이승만에게 북진을 해서는 안되며 그렇게 한다면 미국이 그를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해줘야 했는데 이것은 썩 달가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내가 그 이야기를 하자 이승만이 울었던 기억이 나는군요. 나는 이승만이 북진하지 못하도록 막아야 한다는 입장이었습니다. 물론 나는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부통령으로서 그의 지시를 이행해야 하는 사람이었습니다. 이 이야기는 처음 하는 것 입니다.
저우언라이 : 네. 방금 대통령께서 이야기한 이승만의 성격은 우리가 그에 대해서 듣던 것과 같군요.
닉슨 : 무엇이 비슷하다는 것 입니까?
키신저 : 이승만에 대해서 들었던 것입니다.
저우언라이 : 이승만이 정계에서 은퇴하고 몇년 뒤에 말입니다.
닉슨 : 한국인들은 남북을 가리지 않고 정서적으로 충동적인 사람들입니다. 한국인들이 충동성과 호전성 때문에 우리 두 나라를 곤란하게 만들수도 있는 사고를 치지 못하도록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은 미국과 중국에게 중요한 문제입니다. 한반도가 우리 두 나라의 투쟁의 장이 된다는 것은 어처구니 없고 말도 안될 일입니다. 이미 과거에 그런 선례가 있었으니 다시 그런 일이 일어나서는 안될 것 입니다. 나는 총리와 내가 이러한 사태를 막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바입니다.
Memorandum of Conversation(1972. 2. 23)”,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9–1976, VOLUME XVII, CHINA, 1969–1972, (USGPO, 2006), pp.732~733

사실 강대국 입장이 아니더라도 크게 건질 것도 없는 곳에서 일을 벌여 손해보는 것은 피하려는 것이 정상입니다. 특히 저 당시 미국과 중국처럼 소련(!!!) 이라는 공동의 적이 있는 마당에서는 더욱 더 그랬겠지요. 어쨌든 이 당시 양국의 기조는 쭈욱 이어져 내려왔고 현상유지가 되는 상태에서는 우리도 비교적 팔자가 나쁘지 않은 편 이었습니다. 그런데 조금씩 기존의 판이 흔들릴 기미가 보이고 있지요. 찝찝한 일 입니다.

2012년 8월 22일 수요일

포린 폴리시에 북한 정권의 향후 행보에 대한 재미있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포린 폴리시 사이트에 들어가보니 빅터 차의 글이 한편 올라왔습니다. 제목은 "Kim Jong Un Is No Reformer"인데 제목에서 알수 있듯 김정은 정권이 향후 온건한 노선을 취할 것이라는데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보수적인 언론에서 비중있게 다루었네요.

제 개인적으로도 빅터 차가 내놓고 있는 몇몇 전망은 상당히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특히 빅터 차는 12월의 한국 대선에서 민주당이 승리하더라도  북한 정권이 한국 길들이기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합니다. 과거 김대중과 노무현 정권 당시 우리가 당한 망신을 생각하면 일리가 있는 전망입니다. 이런 환경에서는 북한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을 무시하기가 쉽지 않을 것 입니다. 물론 현재 야당의 주류를 이루는 친노집단의 성향을 생각한다면 아닐 수도 있겠지만. 또한 새누리당이 승리한다면 박근혜가 북한에게 기선을 제압당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초반에는 강하게 나갈 것이라고 지적하는데 현재의 상황을 고려한다면 그렇게 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실 북한에서 초대형 도발을 연달아 했는데 평화 운운하며 고개숙이고 들어가는건 국제적인 비웃음거리에 불과하겠지요.

개인적으로는 북쪽에서 신중한 노선을 취하기를 바라는데 김정은이 애비 밑에서 배워먹은걸 생각한다면 영 찝찝하기 짝이 없습니다.


2012년 8월 21일 화요일

북한 공식 문헌의 자료적 가치에 대한 잡담

북한의 공식문헌들은 지나치게 정치적이다 보니 진지한 북한 연구에 어려움을 주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연구자에 따라 북한 자료들을 대하는 태도에 약간의 차이가 있긴 합니다만 전반적으로 북한 연구자들은 이 점을 심각하게 비판하고 있지요. 특히 시기가 내려올 수록 자료적으로 문제가 많아진다는 것은 공통적인 견해로 보입니다. 전반적으로 김일성의 유일체제가 확립되는 50년대 후반에서 60년대 이후의 문헌들이 심각하다는데 견해가 일치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제가 읽어본 약간의 북한 문헌을 생각해 보면 동의할 만한 듯 싶습니다.

몇년전 사망한 서동만 교수는 북한의 공식문헌의 자료적 가치에 대해 이렇게 평한바 있습니다.

“빨치산혁명 전통이 이른바 혁명적 군중노선과 결합하면서 북한 사회주의는 대중적 성격을 강화해가지만 내용적으로는 비속화ㆍ통속화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고도의 이론적 모색을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또한 지도부 내의 군사적 성격의 강화는 전반적인 지적 불모화의 경향을 촉진했다. 60년대 중반부터 북한의 각종 매체에 등장하는 글들은 북한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설명력을 거의 잃은 슬로건 차원으로 전락하고 있다. 이때부터 북한의 인문ㆍ사회과학 관련문헌에서는 구체적 사실을 담은 내용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주체사상의 체계화와 동시에 진행되었다. 외부의 북한연구에서 북한의 공식문헌이 갖는 자료적 가치는 이때부터 급격하게 떨어지고 있다. 지루한 김일성 교시의 나열과 그에 대한 동어반복적 해설로 가득 채워진 북한의 공식문헌에 익숙해지기 위해서 북한 연구자에게 요구되는 자질이란 무엇보다도 이들 문헌을 읽어낼 수 있는 무한한 인내심이었다. 70년대 이후를 대상으로 한 외부의 북한 연구가 주로 이데올로기 분석으로 시종하게 된 것도 이때문이다. 남한을 포함해서 외부의 북한연구가 낙후된 중요이유는 무엇보다도 냉전상황에 있었지만, 60년대 중반 이후 북한 내 지적 불모화 경향이야 말로 그에 못지않게 결정적인 이유라 할 것이다.
서동만저작집간행위원회 엮음, 『북조선 연구 : 서동만 저작집』, (창비, 2010), 73~74쪽.

얼마전에 읽었던 일본의 소련학자 시모토마이 노부오의 평은 약간 더 신랄한 듯 싶습니다. 인용을 해보죠.

“북한을 둘러싼 정치ㆍ정치사 연구, 그 중에서도 특히 국내정치나 국제관계에 대해 북한 측이 정보를 비밀로 하는 체질로 인해 사료나 문헌 부족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공식 출판물을 이용하더라도 진상해명은 불충분하다. 그 결과 지역연구를 행하는 사람들은 상당히 불리하다. 사실 『김일성 저작집』과 같은 대부분의 문헌을 보아도, 이 책이 논문탐구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1956년 중반 8월종파사건에 대해서는 어떠한 언급도 없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학이 본질적으로 학문으로서 성립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생기기도 한다.
시모토마이 노부오 지음/이종국 옮김, 『모스크바와 김일성 : 냉전기의 북한 1945~1961』, (논형, 2012) , 9쪽.

언어장벽의 문제도 약간 작용하고 있긴 하지만, 북한 문헌에 대한 회의적인 견해 때문에 해외의 북한 연구자들은 냉전 종식이후 공개되기 시작한 동유럽 사료를 활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소련과 동독의 외교문서가 상당히 수집되어 있지요. 사실 제 개인적으로도 북한 공식문헌 보다는 소련이나 동유럽 문헌이 훨씬 신뢰할만 하다고 생각합니다.(물론 연구자별로 편차가 있어서 김광운 같은 경우는 북한 건국과정을 거의 북한문헌만 활용하여 재구성하기도 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시모토마이 노부오下斗米 伸夫가 그런 경우겠습니다. 그리고 시모토마이 노부오보다 먼저 1950년대의 북한을 연구한 발라즈 샬론타이Balazs Szalontai도 거의 대부분 소련과 동유럽 사료를 바탕으로 서술을 했지요.(발라즈 샬론타이의 Kim Il Sung in the Khrushchev Era: Soviet-DPRK Relations and the Roots of North Korean Despotism, 1953-1964는 제 개인적으로 매우 좋아하는 북한 연구서입니다.)

결국 진지한 연구가 1960년대 이후로 확장되려면 그 시기의 소련과 동유럽, 혹은 중국 자료를 활용할 수 있어야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해당 시기의 북한 문헌을 읽어보면 그럴수 밖에 없지요. 그런데 시기가 내려갈 수록 북한에 대한 소련과 중국의 영향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북한의 폐쇄성도 강화되는데 외국 문헌이 어느 정도의 정보를 줄 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동독 자료의 경우 전후 복구시기에는 동독의 기술인력이 대거 파견되거 지방 곳곳에 배치되기 때문에 꽤 심도깊은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50년대 이후의 동독 자료는 저도 아직 읽어본게 하나도 없어서 함부로 이야기 하는게 무리이긴 합니다만 어쨌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력이 감소하는 것 만은 확실하다고 생각합니다. 소련과 동유럽 자료를 대거 활용하고 있는 해외의 북한 연구자들이 주목할 만한 연구를 내주길 바랄 뿐입니다.

2012년 8월 15일 수요일

냉전기 "독일편향적" 독소전쟁 서술을 비판하는 경향에 대한 잡상

습기찬 여름철 눅눅해지는 헌책들을 정리하다가 빼든 Stalingrad to Berlin 때문에 뻘글 하나 써봅니다.

유명한 군사사가 데이빗 글랜츠David Glantz가 1987년에 발표한 「2차대전기 동부전선에서 전개된 작전에 대한 미국의 시각American Perspectives on Eastern Front Operations in World War II이라는 글은 발표 당시 냉전으로 인한 사료적 한계, 반공적 시각이 결합된 영어권의 2차대전 인식을 날카롭게 비판했습니다. 이 글이 발표된 시점은 마침 고르바초프의 개혁개방정책이 진행되던 시기와 맞물리기도 합니다. 발표된 시점 때문인지 몰라도 이 글은 몇년 뒤 폭발적으로 발전하게 될 독소전쟁사 연구의 신경향을 알리는 나팔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물론 세부적으로 따지자면 글랜츠의 글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영어권 국가를 중심으로 비판하는 것이기에 이 글이 냉전기 서방의 독소전쟁사 연구를 총괄하는 것은 아닙니다.

전체적인 틀에서 25년전 글랜츠가 비판한 내용은 핵심을 정확하게 찌르고 있습니다. 존 에릭슨John Erickson과 같은 걸출한 연구자가 소련의 목소리를 담은 몇 권의 대작을 내기도 했습니다만 냉전기 영어권의 독자들이 접할 수 있던 독소전쟁 관계 서적은 독일의 시각을 반영한 것이 다수였고 소련의 시각을 반영한 것은 소련의 공식출판물을 영어로 번역한 것 정도였으니 말입니다.

그런데 따져보면 미국의 독일 편향을 비판한 글랜츠도 몇몇 저작에서 지나친 러시아 편향이라는 문제를 드러냈지요. 더 들어가면 냉전기 소련의 시각을 반영한 저작들도 정치적인 이유로 왜곡이 극심하기는 매한가지였습니다. 이런 이유로 냉전기 영어권에서는 오히려 소련 편향으로 인한 역사인식의 왜곡도 제법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유명한 쿠르스크 전투에 대한 해석이지요. 오늘날에는 매우 잘 알려진 이야기 이기도 합니다만 냉전시기 쿠르스크 전투에 대한 서술은 존 에릭슨의 The Road to Berlin나 쥬크스Geoffrey JukesKursk는 거의 전적으로 소련의 공식서술에 따라 쿠르스크 전투를 재구성했으며 1990년대 까지 쿠르스크 전투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의 틀을 만들었지요.

재미있는 점은 냉전기 쿠르스크 전투에 대한 서술은 독일자료를 활용한 쪽이 더 정확하다는 점 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Stalingrad to Berlin은 글랜츠가 1987년에 쓴 글에서 상당히 높게 평가한 역작입니다. 이 책은 1966년에 출간됐는데 제한적으로 소련 자료들을 활용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사료는 미국이 노획한 독일 문서들이죠. 작전단위에서 서술을 하고 있기 때문에 서술이 세밀하지는 않지만 출간된 시점을 고려하면 걸작이라 칭할만 합니다. Stalingrad to Berlin에서는 쿠르스크 전투의 클라이맥스(???)라 할만한 프로호로프가 방면의 전투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짤막하게 서술하고 있습니다.

한편 남부집단군의 상황은 호전되고 있었다. 7월 11일 친위대 제2기갑군단은 쁘숄Псёл강 북안에 교두보를 확보했다. 소련군은 아직 독일 제48기갑군단의 작전지역에서는 프숄강 남쪽에서 완강하게 버티고 있었다. 그러나 독일 제4기갑군은 프숄강 남안의 소련군이 버틸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호트Herman Hoth는 프숄강 북쪽으로 진출하는 것은 쉬울 것 같다고 보고했다.바투틴Никола́й Фёдорович Вату́ти은 가용가능한 예비대가 고갈되기 직전이었다. 반면 만슈타인은 아직 쓸수 있는 패가 남아있었다. 만슈타인은 쿠르스크로 향하는 최후의 일격에 무게를 실을 때가 됐다고 판단하고 제24기갑군단(제23기갑사단과 친위대 비킹사단으로 편성)을 제1기갑군 후방의 예비대에서 빼내 벨고로드 지구로 이동시키기 시작했다.켐프 분견군Armee-abteilung Kempf은 도네츠강 동안에서 공세를 시작한 뒤 6일 동안 진격에 큰 어려움을 겪었지만 7월 11일에 필사적으로 공세를 가해 제3기갑군단이 북쪽으로 돌파할 수 있었다. 다음날 바투틴은 스텝전선군에 소속되어 있던 제5근위군과 예비대로 있던 제5근위전차군을 반격에 투입했다. 그러나 제3전차군단은 진격을 계속했으며 13일 밤에는 상당한 규모의 소련군을 제3기갑군단의 측익과 친위대 제2기갑군단의 우익으로 포위할 수 있었다.
Earl A. Ziemke, Stalingrad to Berlin : The German Defeat in the East, (USGPO, 1966), p.137.

1996년에 출간되어 화제가 되었던 나이페George NipeDecision in the Ukraine를 읽으신 분들이라면 바로 아시겠지만 사실상 나이페의 저작은 친위대 제2기갑군단에 중점을 두고 전술단위로 자세한 분석을 했라는 점을 제외하면 짐케가 30년 전에 했던 서술의 틀에서 거의 벗어나지 않고 있습니다. 사실 냉전기 소련의 공식서술 보다는 객관적인 서술이었던 셈 입니다.

짐케는 그 뒤에 쓴 Moscow to Stalingrad : Decision in the East에서도 마찬가지로 독일측 사료를 중심으로 독소전쟁의 작전사를 서술했는데 여기서도 냉전기 소련의 연구가 외면하거나 놓친 부분들을 독일 사료를 활용해 잘 잡아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주코프가 1942년 겨울 중부집단군을 상대로 감행한 “마르스” 작전에 대해 서술한 것 입니다. 서방측 문헌에서 이 작전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한 것은 대부분 독일자료에 의존한 짐케가 처음이었던 것 입니다. 이렇게 냉전기의 “독일편향”적인 저술들은 소련측이 외면하거나 왜곡한 사실들에 균형을 맞춰주는 기능을 어느정도 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냉전기 독소전쟁 서술에서 “독일편향”을 비판하는 것이 때로는 너무 야박한건 아닐까 하는 잡생각도 들곤 합니다.

2012년 8월 9일 목요일

외계문명(?????)의 지혜

꽤 즐겁게 읽었던 소설의 한 토막.

빌리는 지구인들이 벌이는 그 전쟁과 같은 살인 행위에 트랄파마도어인들이 곤혹스러워하거나 경악을 금치 못하리라고 생각했다. 그들이 지구인들의 잔학성과 굉장한 무기들이 결합되면 결국에는 순결한 우주의 한 부분이, 나아가 전체가 파괴될 수도 있다고 염려하리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전쟁에 관한 질문은 한번도 나오지 않았고, 빌리 자신이 말을 꺼낸 뒤에야 비로소 나왔다. 동물원 관객 중에 누군가가 해설자를 통해 지금까지 트랄파마도어에서 배운 것 중에서 가장 가치 있는 것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빌리의 대답은 이랬다.

“한 행성의 모든 주민이 어떻게 이렇게 평화롭게 살 수 있는지요! 아시다시피, 나는 태초 이래 무의미한 살육에 열중해 온 행성에서 왔습니다. 내 나라 사람들이 급수탑에 넣고 산 채로 삶아 죽인 여학생들의 시체를 내 눈으로 똑똑히 보았습니다. 그 사람들은 당시 자기들이 절대 악과 싸우고 있다는 긍지에 차 있었습니다.”

그것은 사실이었다. 빌리는 드레스덴에서 삶아져 죽은 시체들을 보았다.

“그 뿐입니까? 나는 포로수용소에 있을 때에는 삶아져 죽은 여학생들의 오빠와 아버지들이 살육한 인간들의 지방으로 만든 촛불로 밤을 밝혔습니다. 지구인들은 우주의 골칫거리임이 분명합니다! 다른 행성들이 지금은 무사하더라도 곧 지구 때문에 위험에 빠지게 될 겁니다. 그러니 내게 비결을 좀 가르쳐 주세요. 내가 지구로 가져가서 우리 모두를 구원할 수 있게요. 어떻게 한 행성이 평화롭게 살 수 있습니까?

빌리는 자기가 감동적인 연설을 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트랄파마도어인들이 작은 손을 쥐어 눈을 가리는 것을 보고는 당혹했다. 이제까지의 경험에 비추어 그 몸짓이 무슨 뜻인지는 분명했다. 그가 바보같은 소리를 하고 있다는 것 이었다.

“제발- 말씀 좀 해 주세요?”

그는 몹시 풀이 죽어 안내원에게 말했다.

“내 말이 뭐가 그리 바보 같다는 거지요?”

“우린 우주가 어떻게 멸망할지 아는데-” 하고 안내원이 말했다. “지구는 그 일과 아무 관계가 없소. 지구도 함께 사라진다는 것만 빼면.”

“어떻게- 우주가 멸망합니까?” 빌리가 말했다.

“우리가 날려 버리지. 비행접시에 쓸 새 연료를 실험하다가 말이오. 트랄파마도어의 시험 조종사 하나가 시동 버튼을 누르면 온 우주가 사라져 버리는 거요.”

그렇게 가는 거지.

“당신들은 그것을 알고 있으니까 예방할 방법도 있을 것 아니에요?” 빌리가 말했다. “그 조종사가 버튼을 누르지 못하게 할 수 없습니까?”

“그는 이제까지 늘 버튼을 눌렀고 앞으로도 늘 그럴 거요. 우리는 늘 그에게 그렇게 하게 했고, 앞으로도 늘 그럴 거요. 그 순간은 그런 식으로 되도록 만들어져 있으니까.”

“그렇다면-” 하고 빌리가 이해가 안 간다는 표정으로 말했다. “지구에서 전쟁을 예방한다는 생각도 어리석은 거군요.”

“물론이오.”

“하지만 이 행성은 평화롭잖아요?”

“오늘은 그렇소. 다른 날들은 당신이 보았거나 읽은 어떤 전쟁보다 잔혹한 전쟁을 벌이지. 우리가 전쟁에 대해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고, 그래서 우리는 그냥 전쟁을 보지 않을 뿐이오. 무시해 버리는 거지. 우리는 영원토록 즐거운 순간들만 보며 지내요. 오늘 동물원에서 처럼. 이 순간은 정말 멋지지 않소?”

“멋집니다.”

“열심히 노력만 한다면 지구인들도 그 방법을 배울 수 있을 거요. 끔찍한 시간은 외면해 버리고 좋은 시간에 관심을 집중하는 것이오.”


커트 보네거트 지음/박웅희 옮김, 『제5도살장, 혹은 아이들의 십자군 전쟁, 죽음과 추는 의무적인 춤』, (아이필드, 2005), 138~141쪽

2012년 8월 6일 월요일

Wolfram von Richthofen : Master of the German Air War

독일공군에 관한 책은 세기 힘들정도로 많지만 독일공군의 장군을 다룬 평전은 그다지 많지가 않습니다. 대중적으로 알려진 저작으로는 악명높은 데이빗 어빙David Irving이 집필한 독일공군원수 밀히Erhard Milch의 전기인 The Rise and Fall of the Luftwaffe : The Life of Field Marshal Erhard Milch 정도가 있을 뿐이었습니다. 2008년에 출간된 제임스 코럼James S. Corum의 리히토펜 전기, Wolfram von Richthofen : Master of the German Air War는 독일공군 장성을 주제로 삼은 보기 드문 저작입니다. 제임스 코럼은 독일공군의 창설에서 프랑스전역 까지를 다룬 The Luftwaffe: Creating the Operational Air War, 1918-1940의 저자로서 독일공군 연구의 권위자입니다. 제임스 코럼은 기존의 저작에서도 리히토펜의 역할에 대해 많은 주의를 기울였는데 결국에는 리히토펜을 독립적인 연구의 대상으로 확대했습니다. 그 결과물인 이 전기는 제 기준에서 본다면 상당히 좋은 저작이라고 생각됩니다. 보기 드문 독일공군 장성에 대한 전기일 뿐만아니라 상당히 균형이 잡혀있으며 독일공군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되는 저작입니다.

먼저 리히토펜에 대한 군사적인 측면의 서술을 살펴보지요.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코럼은 기존의 연구에서 독일공군 내에서 리히토펜의 역할에 대해 다룬바있습니다. 군인으로서 리히토펜은 독일공군의 교리와 조직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개척자이자 유능한 야전지휘관으로 요약됩니다. 스페인내전에서 보여준 탁월한 지휘능력과 현대적인 공지협동작전의 기틀을 확립한 것 만으로도 리히토펜의 군사적 능력은 높게 평가받을 만 합니다. 저자는 2차대전 초기 리히토펜이 승승장구하면서 항공사단장에서 항공군단장으로, 그리고 마침내는 공군원수로 진급하여 항공군을 지휘하게 되는 과정을 흥미롭게 서술합니다. 또한 스페인내전과 2차대전 기간 중 보여준 탁월한 군사외교가의 모습도 흥미롭습니다. 리히토펜은 스페인내전 당시 부터 탁월한 정치감각을 보여줬으며 2차대전 발발 뒤에는 불가리아와 루마니아에서 군사외교를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동맹국과의 관계가 원할하지 못했던 독일에서 리히토펜과 같은 인물은 독특하다 하겠습니다.
물론 리히토펜의 성공을 단순히 그의 능력만으로 설명하지는 않습니다. 저자는 탁월한 군사사가 답게 리히토펜이 참여한 각 전역의 배경을 설명하는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농업국가로서 근대적인 공군을 건설할 능력이 부족했던 폴란드, 규모는 컸으나 근대적인 항공전을 수행할 능력이 부족했던 프랑스와 소련 공군에 대한 서술은 독일공군이 어떻게 해서 승리를 거둘 수 있었는지 이해하는 것을 도와줍니다.
리히토펜이 살았던 시대와 그가 몸담았던 조직의 구조적인 문제는 상당히 중요하게 다루어집니다. 독일이 소모전에 말려들어가면서 서서히 패배로 치닫는 과정에서는 독일군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비판합니다. 영국본토항공전에서 부터 불거지기 시작한 정보력의 부족, 그리고 독소전쟁으로 이어지는 거시적인 전략의 결여로 인한 방향성 상실은 저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입니다. 특히 독일육군과 마찬가지로 작전 단위에서는 탁월한 능력을 보여줬던 독일공군이 잘못된 전략으로 소모되는 과정은 이 책의 후반부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독소전쟁에서 리히토펜의 제8항공군단이 운용되는 과정을 추적하면서 독일공군이 능력이상의 임무를 담당하면서 서서히 붕괴되는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독일공군이 소모전으로 붕괴되는 모습은 리히토펜이 마지막으로 지휘한 지중해전역에서 절정에 달하게 됩니다. 리히토펜이 1940년 공군소장의 계급으로 항공사단을 지휘했을 때 1943년에 공군원수의 계급으로 항공군을 지휘했을 때 보다 더 많은 항공기를 지휘할 수 있었다는 사실은 전략의 결여로 인한 소모전의 결과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또한 이 저작은 정치적으로 상당히 균형이 잘 잡혀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데이빗 어빙의 밀히 전기가 독일측의 시각을 강하게 반영해 우호적인 논조로 씌여졌다면 코럼의 리히토펜 전기는 서술대상의 과오에 대해서는 엄격한 태도를 유지합니다. 스페인내전 당시 게르니카 폭격에 대한 서술에서 이 점이 두드러집니다. 코럼은 케르니카 폭격은 민간인을 목표로 한 ‘테러폭격’이 아니었으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민간인 피해도 과장된 것임을 지적하지만 동시에 리히토펜은 군사적인 목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군인으로 스페인 민간인의 희생에는 무관심했다는 점을 지적함으로서 균형을 잃지 않으려 합니다. 아마 어빙과 같이 독일측에 우호적인 저자가 같은 내용을 서술했다면 게르니카 폭격이 민간인에 대한 테러공격이 아니었다는 사실만을 강조하면서 리히토펜에 면죄부를 주려 했을 것 입니다. 마찬가지 맥락에서 히틀러와의 관계도 중요하게 다루어집니다. 저자는 리히토펜이 다른 귀족 출신들과 마찬가지로 바이마르 공화국체제 보다는 나치즘에 우호적이었으며 또한 히틀러를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했음을 지적합니다. 코럼은 1944년 7월 20일의 쿠데타에 보여준 태도를 통해 완고한 보수주의자로서의 리히토펜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리히토펜이 히틀러를 지지한 동시에 히틀러의 지지를 받는 인물로서 나치체제의 그림자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지적합니다. 비단 히틀러에 대한 지지가 아니라 하더라도 프로이센 군사귀족으로서의 보수성에 대한 서술은 매우 흥미롭습니다. 리히토펜의 일기를 통해 드러나는 타국에 대한 우월감은 그런 사례의 하나입니다. 저자는 리히토펜의 한계를 지적함으로서 리히토펜을 입체적인 인물로 되살려내고 있습니다.

물론 약간의 오류들이 있어 다소 아쉽기는 합니다. 특히 군사용어나 인명의 오류는 다소 이해하기 어려운 점 입니다. 코럼은 독일 제6군 사령관 파울루스를 계속해서 ‘폰 파울루스’라고 적고 있는데 코럼 같은 군사사가가 이런 실수를 한다는 것이 다소 의아하기까지 합니다. 마찬가지로 독일육군이나 소련군의 부대명칭을 표기는 데 있어서도 사소한 오류가 몇개 있습니다. 그렇지만 이런 몇가지 오류에도 불구하고 리히토펜 전기는 매우 훌륭한 저작으로 군사사에 관심을 가진 분들이라면 일독할 가치가 충분한 책 입니다.

2012년 7월 31일 화요일

기대되는 스카이보우의 신제품

자주 가는 1/48 스케일 모형 사이트를 갔다가 반가운 소식을 접했습니다. 현재 AFV클럽에서 발매중인 1/48 스케일 AFV를 원래 생산한 곳이었던 스카이보우가 신제품을 내놓은 모양이군요. 티거1 초기형에 치머리트 코팅이 된 형식이랍니다.




스카이보우에서 대략 20종 정도의 제품을 설계해 놓았다고 알려졌고 실제로 파이어플라이는 신제품 공고에도 실렸었는데 티거와 Sd.kfz 251 이후로는 소식이 없던 차에 매우 반갑습니다.
국내에도 입하되면 좋겠군요. 안되면 해외주문이라도 해야겠습니다.

2012년 7월 29일 일요일

이승만 우상화에 대한 잡상

1990년대 초반 까지만 하더라도 각급 학교에서는 반공교육이 계속 이루어졌습니다. 저도 초등학교를 졸업한 것이 1990년대 초반이라서 학교에서 500원씩 내고 재미없는 반공영화를 봐야했던 기억이 남아있습니다. 그래도 모든 반공교육이 재미없는 것은 아니어서 북한의 김일성 우상화에 대한 내용은 매우 재미있었습니다. 어린아이의 생각에도 워낙 멍청한 이야기들이었으니 말입니다. 나이를 먹은 뒤 실제로 북한 문헌을 보면서 이런 멍청한 짓을 확인하면서 비웃다 보니 초등학교 시절이 생각나기도 하더군요.

그런데 나이를 먹으면서 이것 저것 주워듣다 보니 지도자 숭배라는 역겨운 문화가 북한만의 문제는 아니라는 찝찝한 사실을 알게 된 것은 그다지 유쾌한 일이 아니었습니다. 대통령이 당선될 때 마다 반복되는 당선자 찬양은 표현 수위의 차이만 있을 뿐 아첨을 위한 글이라는 점에서 밥맛떨어지는건 마찬가지였으니 말입니다. 그 중에서도 소위 ‘國父’라는 이승만 우상화는 가장 정도가 심한 것이어서 혐오감을 느끼다 못해 즐기는 지경이 되었습니다. 1950년대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하다 보니 이승만 우상화에 대한 글을 심심치 않게 읽게 되더군요.

특히 이런 우상화는 195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심해집니다. 특히 1960년 선거를 앞두고는 이기붕에 대한 선전과 엮여서 더욱 눈뜨고는 못 볼 수준이 되지요. 최근에 읽은 것 중에서 해군의 정훈잡지였던 월간 『해군』 1959년 8월호에 실린 글들이 인상적입니다. 1959년 8월호에는 이승만에 대한 특집과 함께 이기붕에 대한 특집이 함께 실렸는데 적당히 참고 읽어줄 만한 글도 있지만 「豫言者로서의 李承晩 大統領」처럼 민망한 글도 있습니다. 8월호에 실린 글을 한편 인용해 보겠습니다.(문장이 비문 투성이인 것은 넘어가죠)

배달민족의 영원한 태양이시며 정의의 천사이신 우리 국부 리승만박사님 께서 조국의 자주 독립과 국제정의의 실현을 위하여 싸워오신 형극의 길은 그대로 대한민국 중흥의 혈사이고 세계인류 평화의 건설자이시며 님께서 앞으로 실현하시려는 그 원대한 포부는 바로 겨레와 인류가 자유와 평화를 누리기 위하여서는 반듯이 따라야 할 거룩한 정경대도이다.
겨레와 민국의 자유번영을 위하여 90평생을 아낌없이 헌신하여 오신 국부 리승만 박사께서는 유엔한국위원단 감시아래 1948년 5월 10일 총선거를 실시케하고 초대 국회의장이 되시였고 헌법을 제정공포한 제헌국회에서 절대다수의 득표로 초대 대통령에 당선되시였다.
초대 대통령의 중책을 맡으시고 내각조직과 정권이양을 완료한 ‘리’대통령께서는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의 자주독립을 세계만방에 선포하시였다. 표지는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정부수립기념식에서 선포문을 낭독하시는 국부 리승만 대통령의 감격어린 모습이다.

「표지설명」,『해군』(1959. 8)

글자만 몇개 바꾸면 북쪽에서도 쓸만한 글이라 하겠습니다. 1950년대 후반으로 가면서 정권재창출의 필요가 높아진 자유당, 특히 자유당의 강경파들은 이승만 우상화를 강화하고 여기에 이기붕 끼워팔기를 시도하는데 이것은 마치 김일성-김정일을 세트로 끼워파는 방식을 연상시킵니다. 다행히도 전자는 실패했지요. 사실 지도자에 초월적인 인격을 부여함으로써 권위를 얻고 이것을 집권의 정당성으로 삼는 방식은 요즘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정치가로서의 자질이 검증되지 않은 인물들이 단지 막연한 이미지를 팔아먹으면서 집권을 꿈꾸는 오늘날 과거의 망령이 떠오르지 않는다면 이상한 일이겠지요.

2012년 7월 20일 금요일

블로그의 정치 관련글을 삭제하면서...

지난번에 말씀드린대로 시간이 날 때 마다 블로그에 있는 정치관련글을 삭제하는 중 입니다. 특히 분노한 상태로 마구 써내려간 글들은 무조건 삭제하고 있는데 읽다 보니 한편으로는 제 가벼움에 부끄러움이 느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몇년이 지났건만 나를 화나게 만들었던 일들이 여전히 현재진형형이라는 생각에 웃음이 나오기도 합니다. 약간의 논쟁(?)이 있었던 몇몇 글들은 일단 남겨뒀는데 블로그를 다시 공개로 전환하기 전에 한번 더 읽어보고 삭제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 같습니다. 이미 댓글이 달린 글들을 삭제한다는게 찝찝하긴 합니다만 나중에 블로그를 공개로 돌렸을때 이번과 같은 일이 또 일어나지 않는다는 보장도 없으니 정리를 하긴 해야될겁니다.

2012년 7월 15일 일요일

푸펜도르프(Puffendorf) 전투에 대한 개괄

지난번에 쓴 “Rurfront 1944/45 - Hans Kramp”에 서 푸펜도르프 전투 이야기를 꺼낸 김에 이 전투에 대해 간략하게 썰을 풀어보겠습니다. 독일 자료를 보강해서 독일쪽의 시각도 반영한 글을 쓰고 싶은게 욕심이지만 필요한 자료를 언제 구할 수 있을지 모르는 일이니 일단은 미국의 시각에서 간략하게 소개를 해 보지요. 차후에 만족할 만한 독일측 자료를 구할 수 있으면 새로 한편 더 쓰도록 하겠습니다.

푸펜도르프Puffendorf 전투는 1944년 11월 17일 미군의 공세에 맞서 반격에 나선 독일 제47기갑군단 소속의 제9기갑사단과 제506중전차대대가 미군 제2기갑사단과 격돌한 기갑전이었습니다. 특히 이 전투는 미 제2기갑사단이 처음으로 독일군의 쾨니히스 티거를 전장에서 맞딱드리고 충격을 받은 것으로 유명합니다. 푸펜도르프 전투는 미군의 11월 공세의 일부였으므로 전반적인 상황을 먼저 설명하고 푸펜도르프 전투이야기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이 공세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은 미육군 공간사 The Siegfried Line Campaign에 잘 되어 있으므로 배경 설명은 이 저작을 기준으로 하겠습니다.

작전명 퀸Queen으로 명명된 11월 공세에서 미 제2기갑사단은 제9군 예하 제19군단에 소속되어 있었습니다. 미 제9군의 목표는 윌리히Jülich를 포함하여 뢰어Roer강에 도하점을 확보하는 것 이었습니다. 미 제9군은 윌리히 방면으로의 공세에 제19군단과 제13군단을 투입했는데 맥레인Raymond S. McLain중장이 지휘하는 제19군단은 제2기갑사단, 제29보병사단, 제30보병사단으로 편성되었으며 질렘Alvan Cullom Gillem, Jr.소장이 지휘하는 제13군단은 제84보병사단과 제102보병사단, 제113기병단으로 편성되었으며 제9군의 예비대로 제7기갑사단이 있었습니다. 이중 제19군단은 제9군의 주공으로서 윌리히를 점령하고 뢰어강을 도하하는 확보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제13군단은 제19군단의 좌익에서 공세를 시작해 리니히Linnich를 점령하고 뢰어강을 도하하는 임무를 맡았습니다. 미 제9군은 윌리히와 리니히를 확보하고 뢰어강을 도하하면 뒤셀도르프 방면으로 공세를 계속할 예정이었습니다.1) 이 지역의 지형은 라인강 유역의 전형적인 평야로 많은 도시와 마을이 산재해 있는게 특징입니다.(독일 서부의 라인강 유역을 가 보신 분들이라면 바로 머리에 떠오르실 겁니다.)

이 공세의 문제라면 공세 초기에 좁은 지구에 병력이 집중적으로 투입되어 공간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는 것 이었는데 이때문에 주공인 제19군단이 진격하면서 제13군단이 전개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했습니다. 또한 가을비와 10월 말 부터 내리기 시작한 눈으로 인해 평야지대가 진창으로 돌변했습니다. 아직 10월이어서 지면이 얼어붙을 정도가 아니었기 때문에 이것은 심각한 문제였습니다.2)  때문에 전차를 포함한 기동장비의 정비에 많은 노력이 기울여 졌습니다. 특히 공세를 앞두고 전차의 궤도에 장착하는 “덕 빌Duck Bills”을 집중적으로 장착해서 제2기갑사단과 각 보병사단에 배속된 독립전차대대들은 공세 직전까지 셔먼의 4분의 3에 덕빌을 장착했다고 합니다.3)

미 제9군의 정면에는 독일 제15군 소속의 제12SS군단(제176보병사단, 제183국민척탄병사단)과 제81군단(제246국민척탄병사단, 제3기갑척탄병사단)이 배치되어 있었고 예비대로는 뤼트비츠Heinrich Diepold Georg Freiherr von Lüttwitz 기갑대장이 지휘하는 제47기갑군단(제9기갑사단, 제15기갑척탄병사단)이 있었습니다. 독일군은 미군의 의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었고 윌리히 방면으로 진출하는 주공을 상대하기 위해 예비대인 제47기갑군단을 투입할 계획이었습니다.

퀸 작전은 악천후로 인해 연기된 끝에 1944년 11월 16일 개시되었습니다. 기상 문제로 인해 항공지원이 약간 축소된 규모로 실행됐고 이어서 공격준비포격이 실행되었습니다. 포격이 끝나자 주공인 미 제19군단의 제29보병사단과 제2기갑사단이 진격을 시작했습니다. 공격정면이 매우 좁았기 때문에 제2기갑사단은 B전투단CCB, Combat Command B만을 투입했습니다. B전투단은 공격 첫날 독일 제183국민척탄병사단 제330척탄병연대의 방어를 격파하고 푸펜도르프와 플로버리히Floverich를 점령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푸펜도르프를 점령하는 과정에서 제2기갑사단 B전투단이 입은 손실은 4대의 전차가 진창에 기동불능이 되고 6대의 전차가 지뢰로 파손된 것 이었습니다. B전투단은 푸펜도르프와 플로버리히를 점령한 뒤 푸펜도르프 북쪽의 압바일러Apweiler 방 향으로 공격을 계속했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매복한 독일군의 대전차포에 전차 7대(3대 완파, 4대 기동불능)와 다수의 보병을 상실했습니다.4) 첫날의 공격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미 제2기갑사단은 독일 제183국민척탄병사단 제330척탄병연대에 괴멸적인 타격을 가했습니다. 미국측 기록에 따르면 B전투단이 독일 제330척탄병연대로 부터 잡은 포로만 570명에 달했습니다. 미 제2기갑사단은 첫날 공격에서 전사 21명, 실종 18명을 포함해 196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전차 35대를 잃었습니다.5)
반면 미 제2기갑사단의 우익, 즉 남쪽에서 공격을 개시한 제29보병사단은 상당한 손실을 입으면서 진격도 부진했습니다. 평야지대였기 때문에 보병들은 포격에 노출될 경우 공격을 제대로 할 수 가 없었으며 배속된 제747독립전차대대 역시 상황은 마찬가지였습니다. 보병을 지원하는 전차들은 보병 때문에 신속하게 돌진하지 못했고 전차에 포격이 집중하면서 전차의 엄호를 바라던 보병의 피해만 속출한 것 입니다. 제29보병사단이 공격에 투입한 제115보병연대와 제175보병연대는 1km도 전진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제115보병연대 C중대는 심각한 타격을 입어서 공격 첫날 중대원이 20명으로 줄어들었을 정도였습니다.6)

이렇게 미 제19군단의 공세 첫번째 날이 지나갔습니다. 독일군은 이 공격에 매우 신속히 반응했는데 11월 16일 오후 예비대인 제47기갑군단에 출동명령이 내려진 것 이었습니다. 특히 가장 강력한 부대인 엘버스펠트Harald Freiherr von Elverfeldt 소장이 지휘하는 제9기갑사단에게는 미 제2기갑사단의 돌파를 저지하라는 명령이 내려졌습니다. 미 제2기갑사단은 독일군이 기동예비를 투입한 사실을 아직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11월 17일 다음 목표인 게레온스바일러Gereonsweiler를 공격하기로 했고 양측의 기갑부대는 이렇게 격돌하게 됩니다.

1944년 11월 17일, 독일 제9기갑사단은 푸펜도르프와 이멘스도르프Imensdorf 방면으로 반격을 개시했습니다. 푸펜도르프 방면은 제11기갑척탄병연대가, 이멘스도르프 방면으로는 제10기갑척탄병연대가 공격을 담당했으며 여기에 제33전차연대와 제506중전차대대가 배속되었습니다.
이멘스도르프 방면으로 공격한 제10기갑척탄병연대는 이곳을 방어하던 미 제406보병연대와 제771대전차대대에 의해 비교적 간단히 격퇴되었습니다.7) 그러나 푸펜도르프 방면의 전투는 좀 격렬하게 전개됐습니다.
독일군 제33전차연대와 제11기갑척탄병연대의 푸펜도르프 공격은 이곳에서 공격을 위해 전개중이던 미 제2기갑사단 B전투단 제1임무부대에게는 기습이었습니다. 독일군이 먼저 미군을 향해 포격을 시작했고 이어 미군도 대응포격을 시작했기 때문에 양측의 보병들은 기동을 할 수가 없었습니다.8) 결국 전투는 글자 그대로 순수한 기갑전투로 진행되었습니다. 미군 전차들은 공격을 위해 전개하던 중에 기습을 받은데다 진창으로 인해 기동력이 저하되어 고전을 면치 못했습니다. 미국측의 표현에 따르면 독일 전차(판터)의 폭 넓은 궤도는 “얕은 자국만을 남기는데 미군의 전차 궤도는 참호를 만들지경”이었던 것 입니다. 게다가 독일군 전차의 강력한 방어력은 미군을 경악시켰습니다. 특히 제2기갑사단은 처음으로 쾨니히스티거와 교전을 했기 때문에 그 충격은 엄청났습니다. 한 전차장은 자신의 전차가 쾨니히스티거에 14발을 명중시켰음에도 아무런 피해도 입히지 못한 것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B전투단은 18대의 셔먼과 7대의 스튜어트 경전차가 완파되었고 16대의 셔먼과 12대의 스튜어트 경전차가 격파되었습니다. 여기에 A전투단이 4대의 셔먼을 잃었습니다.9)  B전투단은 11대의 독일 전차를 격파했다고 추산했는데 미 제2기갑사단이 공세기간 중 격파한 판터가 5대에 불과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과장된 보고라고 생각이 됩니다. Tiger in Combat에 따르면 쾨니히스티거는 이날 전투에서 네대가 격파되었는데 3대는 제67포병연대의 야포 사격으로 파괴된 것 입니다.

푸펜도르프 전투는 미 제2기갑사단의 전차병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줬습니다. 1945년 3월 20일 미 제2기갑사단장이 아이젠하워에게 제출한 “독일군과 미군의 기갑장비 비교평가에 관한 제2기갑사단의 장교 및 사병들의 의견(Personal Convictions of Individual Officers and Enlisted Men of 2nd Amrored Division as to Comparison of German and Aerican Armor and Equipment)”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 실린 많은 증언들이 푸펜도르프 전투의 경험을 이야기 하고 있을 정도이기 때문입니다.10) 그리고 이 전투의 충격이 엄청났기 때문인지 미국 공간사에서도 이 전투를 다루는 저작이 두권이나 있을 정도입니다.



1) Charles B. MacDonald, The Siegfried Line Campaign, (USGPO, 1993), pp.516~517.
2) Donald E. Houston, Hell on Wheels : The 2nd Armored Divison, (Presidio, 1977), p.302.
3) Charles B. MacDonald, ibid., p.518.
4) Donald E. Houston, ibid., pp.307~309; Charles B. MacDonald, ibid., pp.526~527.
5) Charles B. MacDonald, ibid., p.530.
6) Harry Yeide, Steel Victory : The Heroic Story of America’s Independent Tank Battalions at War in Europe, (Presidio, 2003), p.161; Charles B. MacDonald, ibid., p.528.
7) Charles B. MacDonald, ibid., p.531.
8) Hans Kramp, Rurfront 1944/45 : Zweite Schlacht am Hubertuskreuz zwischen Wurm, Rur und inde, (Verlag Fred Gatzen Geilenkirchen, 1981), p.247; Charles B. MacDonald, ibid., pp.531~532.
9) Lida Mayo, The Ordnance Department : On Beachhead and Battlefront, (USGPO, 1991), pp.325~326; Donald E. Houston, ibid., pp.310~313.
10) Thomas L. Jentz의 Germany’s Panther Tank : The Quest for Combat Supremacy, pp.154~156에는 이 보고서에서 인용한 증언들이 많이 실려있습니다.